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가치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오성환(Oh, Su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콘텐츠와 문화 원형 콘텐츠의 원천이 되는 문화유산은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보존한다는 사회문화적 의의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화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을 가능하게 만든 동인이며, 문화유산의 복원과정에서 활용 및 서비스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문화유산 데이터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표준화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미래의 사업에도 표준화지침이 필요하겠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업의 결과물을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표준화 지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이나 국제적 차원의 기준 및 표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으며,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에도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화 사업의 기획부터 데이터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공유가능하며 활용가능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도출해낼 수 있는 표준화 방안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디지털화가 각 기관별 혹은 대상 문화유산별로 진행되다보니 생성되는 정보의 차이, 기관 간의 정보 공유의 어려움, 일반인에 대한 활용도 미흡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제작 지침이 없으며, 또한 유관기관 간에 지침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따라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활용 서비스까지를 고려한 국가 주도적 표준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of cultural content and cultural circle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at preserv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in terms of creating economic value. The digitized drivers, and made possib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and, ranging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erms of servic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digital cultural heritage data to create value-added content is produced in order to be utilized must be fulfilled. Standardized guidelines for future business, but al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e project have been made to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it is time to standardized guidelines.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the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nd the point is not to rais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interested in Lea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andardized methods to derive a recording project from the planning to the use of data can be shared and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owever,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gencies, and the public about the lack of utilization of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looked to be conducted by each agency, or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destin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addition, guidelines and standardized production,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relevant agencies because they do not share the instruction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measures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creation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s to the state-l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저작권인식과 소비의도

        황혜선 ( Hye Sun Hwang ),이경희 ( Kyunghee Lee ),김기옥 ( Kee Ok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이 큰 일본과 비교해 디지털문화콘텐츠 저작권인식과 소비의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디지털문화콘텐츠의 합법적인 소비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태도와, 주관적 소비규범이 소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으며, 이때 저작권인식이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태도와, 소비의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소비자의 경우 일본에 비해 저작권인식이 높았으나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긍정적인 소비태도가 합법적 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고 있었다. 디지털문화콘텐츠 소비의도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한국과 일본 두 모형의 통계적 차이는 없어 한국과 일본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소비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국 산업규모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합법적 소비의도를 형성하는 요인의 구조가 크게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국의 저작권인식 수준이 일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은 한국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시장이 성숙될 수 있는 기반은 마련되어 있으나, 이를 실제 합법적 소비행위로 이끌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행위를 합리적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면서 소비자의 저작권인식 수준을 모형에 포함함으로써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와 관련된 소비자의 지식과 태도, 행위를 하나의 모형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opyright and consumption intention between Korean and Japan consum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egal consumption decis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general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tudy model was established that the attitudes of digital culture content,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had an impact on consumption intention. It was also set that the recognition of copyright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s of digital culture content and consump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it showed that Korean consumers had higher recognition than the Japanese consumers but the effect of positive consumption attitudes formed based on this on legal consumption intention wa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onsumption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was similarly formed between Korea and Japan. It can be said that the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 market in Korea but there is a shortage of factors leading this by practical legal consumption behaviors in tha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factors that form legal consumption intention in Korea and Japa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scale of both countries and Korean consumers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rather than the Japanese consum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the consumer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consump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were confirmed in one model by including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pyright in the model while explaining the consumption behavior of digital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KCI등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안지형,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심인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무용콘텐츠 개발 현황 및 개발 과제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무용콘텐츠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무용콘텐츠 활성화의 기대효과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그동안의 연구를 조사 · 연구하였고, 문헌 · 자료 조사연구,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답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통해 문화 콘텐츠산업과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구축 하고,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의 현황 및 성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 와 더불어 문화원형총람 및 문화콘텐츠 닷컴에 구축되어진 무용콘텐츠사이 트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개발되어진 무용콘텐츠의 개발 개요 및 결과를 연 구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기대하고자 한다. 첫째, 무용콘텐츠의 스토리텔링개발 및 홍보이다. 스토리텔링은 하나의 완성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생명과 가치를 부 여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완성된 문화콘텐츠로부터 다양한 콘텐츠를 형성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만들어 주는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무용원형분류⇒무용유형체계화⇒사건적, 인물적, 배경적 요소의 조사·분 석 · 연구를 통한 스토리소스 추출⇒각 전문분야(무용, 스토리텔링, CT) 스토리텔러들의 스토리텔링 분석 및 구성⇒무용콘텐츠 시나리오창작 및 다양 한 매체로의 발현으로의 무용콘텐츠 스토리텔링 개발은 무용콘텐츠의 정체 성을 심어주고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부여하여 무용콘텐츠가 대중 및 무용전공자에게 좀 더 쉽고 재있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해 줄 것이다. 또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무용콘텐츠 홍보는 무용콘텐츠의 내재된 감동과 가치를 전달함에 있어 무용콘텐츠를 좀 더 친근하고 재있게 느끼게 할 수 있는 감성적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둘째, 무용콘텐츠의 MSMU(Multi Source Multi Use) 화이다. 문화콘텐츠의 OSMU(One Source Multi Use) 는 문화콘텐츠의 유통의 효율적인 전략이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의 빠른 변화에 발맞추어 콘텐츠의 무한확장을 모토로 하는 Multi source 전략이 대두되고 있다. 무용콘텐츠 역시 1 차 콘텐츠를 재창조하거나 새롭게 상품하는 MSMU의 흐름에 발빠르게 부합하여야 하며, 무용콘텐츠의 재구성, 프로그램화 스토리텔링화를 통한 무용 다큐멘터리, 무용UCC. 새로운 형태의 3D 무용프로그램, 무용 공연장 안내 캐릭터 등 다양한 MSMU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용콘텐츠의 효율적인 MSMU는 무용콘텐츠 활성화에 있어 새로운 시도가 펼 수 있으리라 본다. 셋째, 무용콘텐츠개발 인력양성 및 인접학문간 연구이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한 발전요소 중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인력’이다. 무용콘텐츠개발에 있어서도 이는 예외가 아니다. 또한 무용의 기존자료를 토대로 무용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접학문간 연구 역시 꼭 선재되어야할 사항이다. 이에 따라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에서의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 개설 및 개발, 문화콘텐츠 관련 인접 학문간 교류 및 상호 연구의 활성화, 무용전공자의 무용콘텐츠 전문 인력양성 시스템 개발 및 확보는 무용콘텐츠 활성화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문화의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고 대중과 예술의 경계가 친밀해 지고 있다. 무용콘텐츠는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에 부합할 수 있는 무용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무용전공자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제공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창작공간이 될 것이라고 본다. 순수예술로써의 무용의 정체성에 대한 무용전공자들의 올바른 의식정립과 체계적인 연구를 토대로 시대가 요구하는 문화콘텐츠 산업과의 공존은 상호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적 결과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용콘텐츠의 활성화를 통한 우수한 무용콘텐츠의 개발은 무용의 다양한 가치를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igital contents business of the cultural archetype, the center of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present the dance contents revitalization scheme through the research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ask of dance contents development and enhance the expected effect of dance contents revitaliz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investigation of previous studies, construc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business through data collection through the research study on literature· material and a visit to the Korean Culture & Content Agency and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performance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industry. In addition,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overview and result of the dance contents thus far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nce contents sites constructed at the cultural archetype conspect us and the cultural contents. com. Through the following scheme, it presented the dance contents revitalization scheme with a focus on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business: First, to develop the storytelling and publicity of dance contents. Storytelling is not only the work of making one complete cultural contents and imposing life and value on them but also becomes an important element of cultural contents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a diversity of contents out of the completed cultural cont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licit the source of story ⇒ analyze and construct the storytelling of the storytellers of each special field(dance, storytelling, CT) ⇒ create the dance contents scenario and develop the storytelling of dance contents as the manifestation of diverse media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dance archetypes ⇒ the systematization of dance types ⇒ the research, analysis and study of the event, character and background. This implants the identity of dance contents into people's mind and gives a new life and value to them, there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making dance contents a little more easily and excitingly accessible to the public general and those specializing in d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ity of dance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can perform an emotional catalyst that can make dance contents a little more intimate and exciting in communicating the impression and value inherent in dance contents. Second, to translate dance contents into MSMU(Multi-source Multi-use).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of cultural contents is an efficient strategy for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But in keeping with the rapid change of the times, the multi-source strategy with the unlimited expansion of contents as the motto is coming to a forefront. Cultural contents should recreate the primary contents or correspond speedily with the stream of MSUM. Diverse MSUM should be achieved, such as the reconstruction of dance contents, dance documentary through programmed storytelling, dance UCC, a new form of 3-D dance program, information character on the dance site and the like. It is seen that the efficient MSMU of dance contents can become an attempt to revitalize dance contents. Third, to train the dance contents development personnel and make an interdisciplinary study. The indispensable one of the important development element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the very 'manpower'. This is not an exception to the development of dance contents. And to plan and develop dance contents based on the existing material of dance, an interdisciplinary study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open and develop the subject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college and graduate school, exchange cultural contents between adjacent sciences and revitalize an interdisciplinary study, develop and establish the system for training and educating dance majors into the professional dance contents manpower. This can be said to lay the important foundation for revitalizing dance contents. The times of cultures change with rapidity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public and arts becomes intimate. It is viewed that cultural contents can become another creative space that can establish the identity of dance able to correspond with this parading of the time and provide imagination and creativity for dance majors. The establishment of dance majors' correct consciousness about the identity of dance as pure arts and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required by this times based on the systematic study could achieve an important cultural result that can make their mutual development possible. And the development of good dance contents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dance contents could serve as the momentum for the diverse values of dance to be reevaluated.

      • KCI등재

        지역 무형문화유산과 융합한디지털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를 활용한3D애니메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염준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3

        Digital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e has absolute value as a source source fo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world has developed various digital convergence contents in the 4th industrial era, and as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through digital networks naturally introduces different cultures, interest in each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e increases, and converges with digital technolog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preserve and visualize the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ach country as digital content. Digital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a part of the cultural prototype that becomes the cultural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is characterized by cultural ideology. Accordingly, if digital technology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IP materials is used as a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succeed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serve as a key catalyst for not only raising the local image but also revitalizing the cultural industry as a whole. However, despite having such important values, research on the us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still insignificant, and even most of these are limited to digital recording or design ele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developing characters and animation contents and commercializing them through locally differentiated storytelling using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Giji, Dangjin, Chungcheongnam-do. In the era of globalization of local culture,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nimation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utilizing local characteristic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characters that symbolize local culture through storytelling. Curr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can see similar cultural contents that symboliz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sent these problems and develop regional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m, we intend to develop characters and animations through storytelling by utiliz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ug-of-war in Dangjin Giji City, which symbolizes the Dangjin area.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ug-of-war in the base city, present the problems of existing characters, and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utiliz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models and animation contents to maximiz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tourism promotion effects, and we will try to continue the shortcoming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and we look forward to better follow-up research.

      • 전통 사찰의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홍선호(Sun-Ho Hong)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2023 전통미술융합연구 Vol.2 No.-

        2000년을 기점으로 문화유산 활용 기본방안이 마련되면서 문화유산 활용에 대한 개념 강화와 문화유산 콘텐츠의 제작이 활성화되었다. 2019년 찾아온 팬데믹은 공간과 실물이 필요한 문화유산 활용 산업 위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였으나 오히려 첨단기술을 활용한 AR, VR 등 디지털 콘텐츠로의 혁신적인 전환을 촉진하였다.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콘텐츠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전통 사찰, 정부, 공공기관, 학교 등이 주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는 유서깊은 전통 사찰로 『만덕사지』를 비롯하여 중수기 및 역사 기록물,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제작된 문화유산이 현전하고 있다. 서지학, 미술사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강진 백련사에 대해 활발한 연구성과들을 보여주었으나 아쉽게도 고품질의 문화 콘텐츠가 제작되지 못했다. 현재 국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문화유산 콘텐츠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에서 중장기 개발 계획과 문제점들을 보완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강진 백련사에서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서 현재 제작된 콘텐츠와 함께 보완 사항들을 분석해 보았다. 강진 백련사는 활발한 연구성과에 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문화원형 요소 데이터베이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진단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기획이 부재하고 각 콘텐츠 제작부터 정부, 공공기관 등과의 정책 연결성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된다. 이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콘텐츠의 양적, 질적 증가에 대한 큰 장애물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의 지리적 약점을 보완하고 문화원형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내실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장기적인 콘텐츠 기획과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이벤트들을 적극 시도해야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year 200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for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cultural heritage content has been activated.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was expected to impact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ndustry, which requires space and physical elements, it instead promoted an innovative transition to digital content such as AR and VR through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is also facing a new turning point led by traditional temples,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following this trend of change. Gangjin Baekryunsa, one of the top temples in Korea, houses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oduc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cluding “History of Mandeoksa Temple”. Althoug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bibliography, art history, and history have shown active research results on Gangjin Baekryunsa, high-quality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produced. Despite the development of Korea's content industry, various attempts a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mid-to-long term development plans and rectify problems, the lack of high-quality digital content at Gangjin Baekryunsa remains. This issue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currently produced content. It was diagnosed that Gangjin Baekryunsa, despite its active research results, has low accessibility to the database of cultural prototype elements needed to produce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lacks continuous manage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long-term planning and a weak connection with content production,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is acts as a major obstacle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of content related to Gangjin Baekryunsa. In order to overcome the geographical disadvantages of Gangjin Baekryunsa and maximize the strengths of cultural prototyp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value of digital cultural content. In addition, active attempts at long-term content planning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d events that can attract people must be made to further promot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관광서비스 융합을 통한 지역 전통도자문화콘텐츠 확장성 복합연구 - 전남지역 도자공립박물관을 중심으로 -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지역박물관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문화관광의 거점이며, 박물관이 지역의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문화자원임을 인식하고 시작되었다. 오늘날 박물관은 대중을 위한 교육의 장이며, 시민을 위한 휴식공간의 역할이 요구되는 등 대중과 함께하는 박물관으로서 달라진 문화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전통도자문화콘텐츠의 확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물관 공간의 역할변화에 따른 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운영현황과 전통도자문화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관광서비스와 박물관의 변화에 따른 지역박물관의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문헌자료와 사례를 통하여 서술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공립도자박물관 현황, 그리고 전남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도자문화를 살펴보고, 지역박물관 문화콘텐츠를 전시, 체험 및 교육, 문화상품, 휴식공간의 특성과 현황을 실제 운영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문화콘텐츠는 관광패러다임을 고려한 관광서비스의 다양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기술은 전통도자를 주제로 한 문화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콘텐츠로 현재 전남공립도자박물관의 디지털 콘텐츠가 주로 유아나 어린이 대상의 콘텐츠로 한정됨에 따라 연령범위를 확대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디지털콘텐츠의 확장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의 범위를 체험 및 교육으로 확장하여 지식의 습득을 돕고 문화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체험기회 제공으로 색다른 교육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박물관이 전통계승과 창조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역 공립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의 다양한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관광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은 자연경관, 레저환경 그리고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편의제공을 통해 지역관광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박물관이 지역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지역전통도자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독창적인 창작콘텐츠를 개발·운영하는 작은 동기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도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전통도자 문화콘텐츠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rior to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a local museum is a base for regional cultural tourism marketed for tourists and museums ar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 tourism. Museum is an educational place for the messes as a cultural space. These days, cultural services of museum have changed in other ways, that it is required to play a role as rest area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s importance continues to gr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ourism service. Therefore, this research is provide the operation ststus of local public ceramics museums and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ing role in the museum space. In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described the literary data and cases of cultural contents of local museums according to changes in museums and tourism service.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the traditional ceramic culture related to the identity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exhibi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products, and rest area of local museums through the actual operating c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ltural contents of museums need to build diversification of services based on tourism paradigm. The museums could extend their social role through this. Second, the digital technology is the contents that enrich the cultural contents under the theme of traditional ceramics. Currently, the digital contents of Jeonnam Public Ceramic Museum are limited to the contents mostly for infants or children, s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at could expand the range of age can bring about the expandability of digital contents. Thir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digital contents to experience & education could help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feel interest in culture, which could provide an unique educational experience. The museums could also expand their pivotal role in local culture for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creative development. Fourth, the effects of tourism could be enhanced by connecting with various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where a local public museum is located. When Jeonnam raises the satisfaction with local tourism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focusing on natural landscape, leisure environment, and museums, the museums could become the priming water for local development. This study attaches importances that local traditional ceramics cultural contents keep their local identity and offer motivation to run creative contents. Many different perspectives need to be conducted after this.

      • KCI등재

        디지털 언어와 글로컬 문화콘텐츠 가능성

        구모니카(Gu, monika)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새로운 화두로 등장한지 오래되었지만 진지하게 연구된 적이 없는 디지털 분야는 기술결정론적 입장과 인문학적 입장의 대립으로 ‘근거 없는 낙관론’과 ‘대책 없는 비관론’ 사이에 머물며 그 이론이 확고하게 정립되지는 못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논의들을 종합하여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종합적으로) 디지털 언어를 정의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쓰기와 읽기가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어떤 방식으로 텍스트성과 시각성을 혼합한 쓰기와 읽기로 재매개되는지(디지털 언어의 혼합성)를 살피면서, 서사성과 선형성 논란에서 벗어난 텍스트성이 ‘디지털 언어’의 중요한 속성임을 규정할 것이다. 또한 텍스트 자체가 오래 전부터 시각성을 내포해왔으며 문자적 텍스트와 회화적(시각적) 그림들이 시대를 관통하며 ‘혼합성’(텍스트성과 시각성의 재매개)으로 수렴되어 왔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듯 텍스트성과 시각성을 결합하여 새롭게 규정된 디지털 언어는 그렇다면 새롭게 부상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소비를 어떻게 촉발하는지, ‘글로컬’이라는 21세기의 새로운 문화 현상을 탄생시키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최근 멀티미디어 통신 환경 아래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소비의 패러다임의 개혁으로 인한 ‘글로컬 문화콘텐츠’ 패러다임의 기회 요소를 다음의 관점에서 살펴볼까 한다.; 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국지적 논의의 확산; ⅱ)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ⅲ) 원격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문화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역동성 구현; ⅳ) 글로컬 하이퍼미디어를 통한 관심의 경제와 초문화의 실천. 결론적으로, 디지털 신인류의 사고와 소통의 체계인 디지털 언어를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보편과 개별, 절대와 상대를 넘어선 진정한 글로컬 문화의 세기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field was emerged as a new discussion point a long time ago. But the digital field was never seriously studied with no further advance, just causing the technological determination approach and the humanistic approaches to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trap of between ‘groundless optimism’ and the ‘measureless pessimism’. Therefore, I try to describe the digital language in a objective way, which is synthetic of the convention method. As the traditional writing and reading enter the digital era, I will investigate how the conventional reading and writing is remediated to a mixture of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a mixture in the digital language), and I will prescribe textuality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language’ rather than narratives and linearity. Also, it examined that the texts have go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ity for a long time and that the texts and the pictures have been combined to make ‘a mixture’(remediation of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 through the ages. The digital language that was newly defined by combining the textuality and the visuality is moved newly emerging contents’s and creates the new culture of the 21th century called ‘glocal’. Especially I checked the opportunity factors of ‘glocal cultural contents’ paradigm from the four perspectives as below that is recently from paradigm innov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s creation and consumption under the multimedia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ⅰ) Expansion of the local discuss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ⅱ) Acquisition of the variety of the cultural contents through digital contents platform; ⅲ) Realization of the cre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 active consumption through remote communications; ⅳ) Realization of the interested economy and the super-culture through glocal hyper media. Finally, when we understand the digital language, which is the system of the thoughts and communication of the digital new generation, we will truly go to the era of the glocal culture far beyond the scope of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bsoluteness and relativit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의미와 방향

        강연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n digital age. Nowadays we take much interest in ‘culture contents’ and ‘storytelling’, these have very important statu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Culture Technology is a requisite for improvement the structure of our culture and raise our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meaning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and the direction of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n digital age.‘Culture contents’ and ‘storytelling’ are remarkable aspect to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and contents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in digital era,The culture industries includes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but it is also the tool to preserve a nation’s or region’s culture and self identity. In these days ‘culture contents’, especially ‘local culture contents’ must act as a role of mental antibody against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ra, the presence of lightness which includes individual anxiety, communication interruptions. Therefore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s an important part in the growth of cultural identity and spiritual values.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김현(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인문콘텐츠학계와 전통적인 인문학계가 공동으로 관심으로 가져야 할 과제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가능성에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디지털 인문학이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와 관계된 창조적인 저작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주제를 계승하면서 연구 방법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그리고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도할 수 있게 된 새로운 성격의 인문학 연구를 포함한다. 순수 인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돕는 길이고, 인문콘텐츠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문화산업에 응용할 방대한 인문학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일이다. 미국과 유럽, 심지어는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상황을 보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의 육성은 범인문학계(인문학+인문콘텐츠학)의 자연스러운 발전 궤도상에 있는 과제이다. 인문콘텐츠학이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의 일부를 인문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갖춘 지식코디네이터로 육성하는 일이다. 이들은 인문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뿐 아니라 그곳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조직화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학마다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정규 교과 과정을 운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학회 차원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한다면, 소수의 교수 인력만 가지고도 다수에게 그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argue that a cooperation is necessary between the fields of humanities contents and traditional humanities in exploring the potential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refers to all new types of humanities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projects enabl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finition is not limited to stud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topic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earch method; but it also includes completely new forms of humanities research realized by the use of computers. Digital humanities can be beneficial to both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digital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a wide dissemin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in society; for cultural contents, digital humanities will provide the most efficient medium to acquire humanities knowledge for applica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contain digital humanities, I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of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should train some of their stud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to raise them as humanities knowledge coordinators. These coordina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basic humanities knowledge, but also the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to systemize the knowledge into digital contents. In case of Korea,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t is difficult for colleges to independently run digital humanities programs. But with open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it will be possible with just a few human resources to distribute knowledge and ideas to a large audience.

      • KCI등재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체계와 방법 연구

        이재수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1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Humanities Contents 20 years ago, the academical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was established. In the meantim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contents in Korea has grown remarkably. The Korean Wave has spread greatly, and K-content is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cultivation of talent in related fields is an important role of the universit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2022, there were 32 master’s degree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 universities have obtained master’s degrees with interest in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e area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14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roduced, with nearly 80% of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content genres and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zing 81 research paper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bout half of them are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humanities. 22.2% of theses are about the uti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was followed by development, production and genre at 13.6% each. Through this research,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a destitute foundation, but social demands are very high, so strategies and support measures for promo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urgently needed, and the results will be very in height. Futhermore this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ugguested a graduate cours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dditionally,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proposed a graduate progra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ntent-oriente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cosystem, promo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establish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chives, and establish and operate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reator network.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ath of efforts and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that will lead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체계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년 전에 인문콘텐츠학회가 성립되면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토대가 성립되었는데, 그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눈부실 만큼 성장하였다. 한류는 큰 확산을 이루었고 K-콘텐츠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있다. 바로 관련 분야의 인재의 양성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그 미래를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석사학위는 2022년까지 32건으로 다양한 대학에서전통문화콘텐츠와 종교문화콘텐츠 영역에서 불교문화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는 총 14명이 배출되었는데, 문화콘텐츠 장르와 개발 관련 연구가 80%에 육박하였다. 이를 통해 본다면 불교문화콘텐츠학 관련 연구의 기반은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논문 81편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분야의 사회문화 관련이 절반이고, 활용이 22.2%, 개발, 제작과 장르가 각각 13.6%의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은 토대는 부실하지만, 사회적 요구는 매우 높으므로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전략과 지원책이 시급하며, 그 성과도 매우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 글에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교육환경과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과 연구의 기반을 세우기 위한 대학원 과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교육의방법론으로 인재양성, 현장 실무 교육과 전문 자격 시스템을 및 불교문화콘텐츠 전문가 네트워킹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콘텐츠 중심의 불교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시스템, 불교문화 콘텐츠아카이브 구축, 불교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함을 밝혔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교육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협력의 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