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화의 메타비평 연구- 비평적 자의식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권성우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 대표적인 비평가인 임화의 메타비평을 통시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화는 누구보다도 뚜렷한 비평적 자의식을 지닌 비평가였다. 그는 비평의 본질과 성격, 존재방식에 대한 수많은 평문(메타비평)을 남겼다. 그는 비평적 위기가 닥칠 때마다 비평의 존재방식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전개한 비평가이다. 그러한 메타비평을 통해 임화는 비평에 대한 사유를 인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임화는 1930년대 중반까지는 마르크스주의 비평을 분명하게 고수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부터 임화는 작품에 종속된 비평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면서 비평의 사회성과 정치성을 강조했다. 1940년 무렵부터 정세가 악화되면서 일본제국주의의 내선일체 사상과 대동아공영권이 확산되자, 임화는 비평의 독립성과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여준다. 임화의 이러한 태도는 당시 노골적으로 확산되고 있던 일본 제국주의파시즘에 대한 간접적인 저항에 해당된다. 이와 연관하여 임화의 ‘창조적 비평’은 전면적인 억압기나 파시즘이 활개 치는 시기에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 하는 점을 보여주는 일종의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임화의 계몽주의적 비평은 해방직후 다시 적극적으로 분출했다. 그러나 그의 비평적 사유는 그의 정치적 죽음으로 인해 더 이상 지속되지 못했다. 이러한 점은 한국현대비평사의 최대의 아이러니이자 불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Meta-Criticism of Imwha(林和), a representative critic of Korean Colonial Period. Imwha was a critic who had more critical self-consciousness than anyone else. He wrote many critic essays about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His thoughts on criticism are shown impressively in those articles and writings. Apparently, Imwha held on to Marxist Criticism until the mid 1930s. But, since the late 1930s, he developed his critical view on the criticism which was subordinated to literature works and emphasize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features of criticism. Since 1940, Imwha started to show his strong interest in the independence of criticism and autonomy of arts. This attitude can be considered as an indirect resistance against the Fascism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s being spreaded openly. He developed actively his enlightenment criticism again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But his critical thoughts couldn’t be developed more because of his political death. This is one of the worst misfortun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criticism.

      • KCI등재

        김현의 공감의 비평 연구 - 제네바학파 연구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래희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1 No.-

        The study aims to review Kim's criticism of empathy focusing on the relation with the Geneva academic circle, The concept of criticism of empathy was not discussed in depth in Kim's critique research compared to its importance.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the relaton between criticism of empathy and the Geneva academic circl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m's criticism of empathy and the Geneva academic research,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of criticism of sympathy in the 1980s and Kim's strategy of criticism. The sympathy of the Geneva academic circle is not the result of empathy, b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ental adventures to reach transcendental reality. Kim's criticism of empathy is also subjective in that it is a work that sympathizes with and chooses to join the writer's unique spiritual adventure. The tenacity of these criticisms is based on the expectation of individual originality, a rejection of criticism based on ideological or periodic requests. Criticism of empathy starts from an extremely subjective point of view, but there is a peculiarity in that it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society. Good literature makes one realize that what was considered a personal complex was actually a general complex and has a sense of orientation toward a freer world. Empathy, Compassion plays a critical role as it comes down to rejection of reality through preparation against the Utopian world. The reason why Kim Hyun emphasized his sense of lack is because he wants to find the power to refuse to compromise with negative reality. But the experience of empathy does not always play a social critical role. The state of reconciliation that compassion seeks may strengthen its yearning for a world free of oppression, but it may turn into a base of escape or complacency. Discloser of complex through analysis and the dismantling of negativity of desire emerge as a way to continue to carry out denial of reality through empathy, while preventing these risks. Analytical deconstruction advocated by Kim Hyun in the 1980s is the result of a strategy to maintain the social critical function of criticism of empathy. Kim's criticism of empathy provides a strong response logic to the assertion that the starting point of criticism is a specific ideology, a request from society, or a fact that the judgment criteria of criticism are firm. But to the question of how the critic's special sensitivity and originality can not fall into subjectivism, it can only provide an theoretical, elitist answer to wait for original consciousness and language. 본고는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제네바학파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감의 비평 개념은 그 중요성에 비해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았고 공감의 비평과 제네바학파 연구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더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서는 김현의 공감의 비평론과 제네바학파 연구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1980년대 공감의 비평론의 전개 양상과 김현의 비평전략을 탐색해보았다. 김현이 파악한 제네바학파의 동화는 감정이입의 결과물이 아니라 초월적 실재에 도달하려는 독특한 정신적 모험의 참여를 의미한다. 공감의 비평은 이러한 독특한 모험에 동참하기를 선택한 작업이라는 점에서 주관적인 성격을 띤다. 비평의 주관성의 옹호는 이념·시대의 요청에 기초한 비평의 거부이고 개인의 독창성에 대한 기대의 발로라 할 수 있다. 공감의 비평은 지극히 주관적 차원에서 출발하지만 사회 비판적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데에 그 특이성이 있다. 공감의 비평의 관점에서 볼 때 좋은 문학이란 개인적 콤플렉스로 간주되던 것이 사실은 보편적 콤플렉스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개인적 콤플렉스에서 시작한 공감은 유토피아적 세계와 현실의 대비를 통해 비판적 역할을 수행한다. 김현은 1980년대 비평에서 결핍의식을 특별히 강조한다. 이는 부정적 현실과의 타협을 거부할 동력을 공감 경험에서 찾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감의 경험이 항상 사회 비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공감이 지향하는 화해의 상태는 자유에 대한 동경을 강화할 수도 있지만 도피나 자기만족의 기제로 변질될 수도 있다. 콤플렉스의 논리화와 욕망의 부정성 해체 작업은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면서 공감이 비판적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장한다. 1980년대 김현이 표방한 분석적 해체주의는 공감의 사회비판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의 결과물이다. 비평의 출발점이 특정한 이념이나 사회의 요청인 경우 혹은 비평의 판단기준이 확고부동한 진리라 주장하는 경우, 김현의 공감의 비평은 이에 대한 유력한 대응 논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비평가의 특수한 감수성에 기초한 비평이 어떻게 주관주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는 독창적 의식과 언어를 기다리라는 원론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답변만을 제공할 뿐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음악비평문 지도방안 연구: 작품비평을 중심으로

        안소영,최은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의 진로 선택 과목 중 하나인 음악 감상과 비평에서 음악비평문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틀을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Stolnitz(1960)의 예술비평을 재구성하여 세 가지의 음악비평 즉 맥락적 비평, 내재적 비평, 그리고 인상주의적 비평을 제시하였으며, 이들 비평을 Feldman(1973)의 비평 단계인 설명, 분석, 해석, 그리고 평가에 적용시켰다. 또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음악에 대한 비평문을 기술할 수 있도록 각 단계에서 어떤 내용이 기술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과 각 단계의 지도방안으로, 첫 단계 “설명”에서는 작곡가에 대한 전기나 작품 배경 등의 정보와 조성, 박자, 리듬 등의 표면적인특징을 기술하게 한다. 두 번째 단계인 “분석”에서는 음악의 구성 요소가 악곡 안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게 한다. 다음 단계인 “해석”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적 의미를 찾게 하고, 해당 작품을 사회나 역사적 맥락에서 기술하게 하거나, 청자의 주관적 감정을 밝히게 한다. 마지막 단계인 “평가”에서는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게 한다. 결론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음악비평 수업에서 글쓰기 작업에 필요한 실질적 내용을 체계화하고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비평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 학교 음악 교육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eaching methods for guiding music criticism in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one of the High School Music Career-related Subjects. Methods The authors have reconstructed Stolnitz's art criticism and presented three musical criticisms, contextual criticism, intrinsic criticism, and impressionist criticism; we have applied Feldman's four critical stages,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to the three types of musical criticism. We have also presented a model of what should be included in each stage so that students can actually write criticism of musical works. Results In the first stage, explanation, students can obtain some information on the composer's biography and background of the work from textbooks and introductory books, and describe musical surface such as tonality, beat, rhythm, etc. When guiding students on the second stage, analysis, let them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 In the next stage, interpretation, students are asked to find musical meaning based on the analysis, describe the work in a social or historical context, or contextually reveal their subjective feelings about the work. In the final stage, evaluation, the teacher makes students judg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iec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zes and presents a framework for writing in high school music criticism classe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discussions on music criticism will be actively conducted and contribute to school music education.

      • KCI등재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의 콘텐츠 비평 교육 설계를 위한 신입생 비평 글 분석

        이지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3

        이 연구에서는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의 콘텐츠 비평 교육 설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신입생들이 작성한 콘텐츠 비평 글을 독자 반응 비평 이론의 관점에 입각해 분석하였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 운영 상황을 고려할 때, 비평 이론을 처음 접하는 학생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독자 반응 비평 이론의 비평적 지향점이 유용할 수 있다. 2장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텍스트비평 과정을 비평자가 자신의 미적 판단을 정당화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과정으로 전제하고, 비평이 서술, 해석, 평가로 구성되며, 각 요소의 유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또한 주관적 독자 반응 비평의 관점을 원용해 독자 지향적⋅현실 지향적⋅경험 지향적 반응 중 경험 지향적 반응이 읽기 경험을 공유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살폈다. 3장에서는 2장의 틀을 활용하여 학생 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글 중 독자 지향적 반응과 현실 지향적 반응에 초점을 둔 글은 자신의 미적 판단을 정당화하는 과정이 누락되고 텍스트와 독자의만남으로서의 읽기 경험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비평의 요소 중 서술이 과소하거나 과대한 경우 독자 지향적이거나 현실 지향적반응에 그치고 경험 지향적 반응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향이 보였다. 텍스트의내적 요소에 대한 서술과 해석이 부족한 경우에도 자신의 미적 판단에 대한 정당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읽기 대상에 대한 감상을 설득력 있는 비평으로 정교화해 나가는 교육 지향점을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ent criticism education design in the ‘Thinking and Expression’ subject. Content criticism articles written by fresh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ory. The critical orientation of the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ory can be useful in consideration of the course management situation for freshmen. This is because many freshmen are new to critical theory. Chapter 2 presupposes the text criticism process as a process in which a critic justifies his or her aesthetic judgment to persuade the reader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city of each element.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using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reader response criticism, experience-oriented reactions among reader-oriented, reality-oriented, and experience-oriented reactions are useful in sharing reading experiences. In Chapter 3, student writings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of Chapter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cess of justifying one’s aesthetic judgment was omitted in articles that focused on reader-oriented and reality-oriented responses among students’ writings, and the reading experience as a meeting between text and readers was not convincingly explained. In addition, when the description was insufficient or excessive among the elements of criticism, there was a tendency to stop at a reader-oriented or reality-oriented response and not move toward an experience-oriented response. Even if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s internal elements were insufficient, justification for one’s aesthetic judgment was not sufficiently achiev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ritical education should aim for a process in which responses to content, which is a hobby of students in their daily lives, are elaborated from appreciation to criticism.

      • KCI등재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저변의 확대

        김정녀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Mongyurok is the genre of the works which allegorically expressed the criticism for politics and society through commenting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and the tendency of criticism to social reality is understood as the general property of Mongyurok style. However, It’s hard to make mention of stylistic characteristic uniformly about Mongyurok that had been created and enjoyed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paper want to make certain the critical functions and the phases of Mongyurok by categorizing ‘the function of Mongyurok’ in the perspective of creative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reative motivation of the works, the functions of Monyurok are divided into three.:(1) the function of the resistance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rough publicizing private memories (2) the function of the new discourse production through accepting the knowledge (3) the function of the personal viewpoints expression by extending critical domain. Though these functions do not necessarily appear the diachronic aspect, the leading function is identified by specific periods, and targets of criticism and domain of criticism is likely to enlarged as time passes. A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ongyurok made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social reality the criticism target and had its own resistant characteristic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e political function of Mongyurok at this time deserved special mention. A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critical targets of Mongyurok were extended to china’s history and figures, the figures in out of world, and the characters in novels, various discourses were created and distributed through accepting knowledge. Especially Mongyurok in the 19th centur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riticism aspects reflected individual tastes and interest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 which had been limited to special figures or events. While the Mongyurok created in the middle of Joseon had the political criticism characteristic, Mongyurok created in the late of Joseon was varied the critical domain and targets as history criticism, literary criticism, and culture criticism and so on, apart from politics criticism. This study has been set on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for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tendency of Mongyurok works being produced at certain times was understood as the direction of all the Mongyurok works, or a group of works not showing the tendency of realistic criticism was misunderstood as the humble writings that was poor in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o reconfirm Mongyurok as the historical genre that Mongyurok was in charge of the various critical function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s and targets for a long time. 몽유록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논평을 통해 작가의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우의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며, 현실 비판적 성향이 몽유록 양식의 일반적 특징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창작되고 향유된 몽유록의 양식적 특징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른 ‘몽유록의 기능’을 유형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라 몽유록의 기능은 (1) 사적 기억의 공론화를 통한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 (2) 지식의 수용을 통한 새로운 담론의 생산, (3) 비평 영역의 확대에 따른 개인적 관점 표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통시적 양상을 띠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시기별로 주도적인 경향은 확인되며, 비평 대상과 영역은 후대로 갈수록 그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중기 몽유록은 정치․사회 현실의 모순을 비평 대상으로 삼고 있고,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이 시기 몽유록의 정치적 기능은 특기할 만하다. 조선 후기 몽유록의 경우는 비평 대상이 중국의 역사와 인물, 이계(異界)의 인물, 소설 속 인물 등으로 확대되면서 지식의 수용을 통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유통되었다. 특히 19세기 몽유록의 경우는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한정되었던 비평 영역이 확대되면서 개인의 취향과 관심이 반영된 문화 비평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창작된 몽유록이 정치비평의 성격을 뚜렷이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조선 후기의 몽유록은 정치비평 외에도 역사비평, 문예비평, 문화비평 등으로 다양한 비평의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특정 시기에 산출된 몽유록 작품의 성향이 몽유록 전체의 작품 지향으로 이해되고, 또 현실 비판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 일군의 작품은 주제의식이 빈약한 희필(戲筆)로 오해되어온 그간의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본고를 통해 몽유록이 오랜 기간 비평 영역과 대상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비평적 기능을 담당해온 역사적 장르임을 재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예술비평과 메타비평 그리고 권력의 변증법

        서대정(Suh, Dae Jeong)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신비평(New Criticism)은 그 동안 주류를 이루었던 역사주의적 비평을 구시대의 비평으로 돌리고 새로운 비평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신비평은 텍스트 자체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나 이를 해독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진 비평가에게 막강한 권력을 쥐어주었다. 그로 인해, 비평가의 역할을 무한히 강조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등장한 후기구조주의적인 사유로 인해, 수용자의 중요성 강조, 저자의 죽음, 다성성, 대화주의와 같은 신개념이 등장하면서 비평가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정립되었다. 영화비평 또한 이 시기부터 양적,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영화는 예술장르 중에 가장 친대중적이며, 대자본의 투여가 활발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대중의 작품 비평에 대한 욕구는 유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꼴과 아카데미는 대중에게 자신의 비평 권력을 나눠주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전문가에게 의존하면서 영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던 대중들은 영화잡지나 여타 미디어를 통해서 자신의 욕구를 채우는데 만족해야 했다. 이러한 비평 지형도는 인터넷이 활성화된 21세기 들어서 획기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더 이상 대중은 비평가에게 의존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와 지식을 습득했으며, 더욱 활성화된 SNS를 통해서 자신들의 비평적 의견을 피력했다. 이제 대중들에게 필요한 것은 의견이 아닌 정보였으며, 대중들의 활발한 비평적 활동은 오히려 전문영화잡지가 사라지게 만들었다. 그러나 아이러닉하게도 아카데미에서 영화비평은 다시 활발해졌다. 전문영화잡지가 일부 수행하던 역할을 대체하게 된 것이다. 그러면서 영화비평은 더욱 더 아카데믹한 영역으로 고립되어갔다. 대중과 비평이 유리된 이유는 비평권력의 독점에 대한 불신에 기인한 것이다. 문학 장르에서 행해졌던, 주례사 비평, 텍스트 물신주의 비평, 덕담 비평과 같은 부정적 비평 행태가 영화 장르에도 비슷하게 적용된 측면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인터넷 시대에 접어들면서 ‘말하기’와 ‘말하지 않기’ 전략이라고 부를 수 있는 비평의 관행에 대해서 수용자들은 등을 돌린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순간 비평은 미디어에서 사라지고 인터넷에서는 수용자 개개인의 의견을 피력하는 아마추어리즘이 득세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비평관행을 깨고, 다시 비평이 제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비평에 대한 비평’ 즉 메타비평이 반드시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실명비평문화가 정착되어야 진정한 비평의 시대가 도래 할 것이다. 자신이 행한 비평활동이 누군가에게 또 다른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자기 반영적인 자세, 비평을 하는 자신에 대한 철저한 내적 성찰이 이루어질 때 메타비평은 유의미한 예술 활동이 될 것이며, 이와 더불어 다시 예술 비평에도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이다. New Criticism sprang up as current of 1920’s, simultaneously Historical Criticism faded away into the art history. By paying attention to the text itself, New Criticism gave powerful authority for access to the text to critics who have special knowledge to decord the text. That emphasized the role of critics limitlessly. But new paradigm such as death of authors, multivocality, dialogism and emphasizing role of user was established by post structuralism. Film criticism progress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many developing at this period. Since film genre has a powerful inclination of pro-people so audiences in Film genre has totally different demand for criticism from users in other genres. Nonetheless ecole and academy not allow people to divide critic power and consequently people who obtained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film was depending on specialist in film had to satisfy the needs through other media such as news paper, magazine, broadcasting etc. This topographical map has changed in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due to activated internet. People do not depend on critics, get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internet and demonstrate their thoughts and opinions by activities in SNS. Therefore people do not need view or opinion of specialist any more. They really want only information about film. Ironically, film criticism is activated in ecole and academy. They substitute for the role of special film magazines. In doing this, film criticism has returned to more academic field. This is because distrust exists between critics and people. They disgust and hate the negative attitude for criticism was taken place in literature genre such as text fetishism criticism, praise criticism, officiating ceremony criticism, etc. In other words, so called ‘the strategy of speak and no speak’ make turn users back on the criticism. For this reason, criticism disappears in media at one point, and amateurism which can afford individual viewpoint of audience in film genre became prevailed. In order to breaking the traditional practice in criticism and to settle criticism in place, criticism on criticism: Meta criticism must be activated. In addition, if real name criticism arrived, authentic era of criticism will appear in front of us. Self reflexible attitude which can be another text on criticism, inner self-reflexivity in his criticism will be needed in meta criticism, at that time meta criticism make new standard in art criticism.

      • KCI등재

        교육적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Art criticism is an area of visual literacy for analyz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as well as works of art. Of course,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s creation and nostalgic activities. However, The necessity of criticism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viewpoint of properly receiv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Until now, school art education has neglected the area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compared to the areas of expression. Even though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Most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introduction of artists and art history. This cause seems to have affected the part where the methodology for appreciation education was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Schola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method of art criticism. However, until recently, the most widely applied critical theory in our education field is E. B. Feldman's critical discourse theory.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by several scholars about the possibility that Feldman's theory will focus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from a formalist perspective. Among such scholars, Tom Anderson proposed 'educational criticism model stage' that emphasized learner-led criticism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Feldman's theory. In this study, Anderson's art criticism of art criticism in five stages, eight operations, was expanded to nine operations. In addition, a method of “critical education in the form of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by inserting “writing criticism” in the final operation. Criticism writing is proposed as a method of art criticism education in that it becomes a useful learning too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og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ellectual thinking. 미술비평은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문해력의 영역이다. 물론 미술교육의 본질은 창작과 향수활동이지만, 비평교육의 필요성은 다양한 시각매체의 정보를 바르게 수용하기 위한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학교 미술교육에서는 표현영역에 비해 감상비평 영역을 소홀히 다루었으며, 감상비평 교육은 대부분 작가 소개나 미술사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감상교육에 관한 방법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미술비평 방법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관점을 달리하지만, 최근까지도 우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비평이론은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적 담화이론이다. 하지만 펠드만의 이론이 형식주의 관점으로 지식전달에 치중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여러 학자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그런 학자 중에서 톰 앤더슨(Tom Anderson)은 펠드만의 이론을 수정 보완하여 학습자 주도의 비평을 강조한‘교육적 비평모델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의 미술비평의 단계인 5단계 8개의 조작을 9개의 조작으로 확대하였다. 그리고 확대된 조작에‘비평문 작성’을 삽입하여‘통합교육 형태의 미술비평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문학적 비평문 쓰기와는 다른 비평단계의 해석과 비평을 토대로 논술적인 비평문 쓰기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술비평에 의한 비평문 쓰기는 미적 감성과 지적 사고에 의한 논리적인 표현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학습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한다.

      • 시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음악비평수업모형 개발

        이보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criticism model for the visually impaired learners so that the blind who enjoy music appreciation can have systematic criticism ability.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r the teaching material, and conducted a demand analysis of 13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lind scho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visually impaired learners abou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fter analyzing the literature analysis and questionnaire results, I developed a music criticism model and then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on three teachers in Blind School to diagnose the fit of the model.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of triang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blind students had a high interest in appreciation with an average of 4.47(SD = 0.64) and the interest in criticism was 3.62(SD = 1.22). Particularly, students showed a high response to impressionist criticism types among various criticism types. Finall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8th grade criticism model, which is a fusion of 5 types of art criticism by Stolnitz and the contextual revision of Feltman criticism stage, were evaluated by 3 experts. The result was positive evaluation from all 3, I was asked to review about the plan and stage.

      • KCI등재

        선총원의 문학비평

        김은영 중국인문학회 2018 中國人文科學 Vol.0 No.68

        In the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history, Congwen Shen is a novelist and prosaist and at the same time, is a literary critic who clearly shows the standard according to his own unique values. In addition to all of these, he is a writer with a considerable influence. His literary creation and criticism is positioning as the unique literary ideas that only he can identify. Shen's literary criticism has been an inspiration to many artists who long for establishing the pure aesthetic theory and principle, under the proposition of soul exploration. We can see that he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aesthetic quality in literary criticism. He who tries to pursue pure aesthetics, also shows the decided superiority in the theory of literary criticism. He suggests concepts such as 'harmoniously', 'balancedly', 'properly', etc. in the process of literary criticism. These things are used as a measure in his literary criticism. Shen's aesthetic impression is also his own way of critical notion and quality. His notion of literary criticism is clearly shown in the preface of <Congwen Shen's study collection of novel>. Through it, he shows that literature must be resolute, realistic and plainly simple. Above all, the non-political literature on the basis of personality becomes the reference point of Shen's literary criticism. In this study, this writer analyzed Shen's literary criticism using several measures, based on both the criticism of aesthetic common sense and the criticism in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lso, I intended to study the importance of Shen's literary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of the value of Shen's study & literary criticism and the literature position about him.

      • KCI등재

        새로운 온라인 공론장 에서의 비전문가의 미술비평-자발적 비평과 말하기로서의 글쓰기

        김성호 ( Sung 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9 No.-

        본 연구는 ‘전문가의 미술비평’이 아닌 ‘비전문가의 미술비평’를 대상으로 삼는다. 즉 ‘비전문적 미술비평’의 의미론적 개념 정의와 더불어 그것의 특성과 본질을 사회역사적 관점을 통해 비판적으로 탐구하는데 집중한다. 18세기 프랑스의 살롱을 통해 살펴보는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공론장’ 개념이나, 최근 온라인 공간에서 제기되는 ‘새로운 공론장’ 개념은 비전문가들의 비평적 행위를 촉발시킨다. 연구자는 이러한 비전문적 비평 행위에서 도출되는 ‘자발적 비평’과 ‘표현의 공론’이라는 주요 개념에 주목하고, 그것이 대개의 ‘전문가의 미술비평’에 결여되어 있는 매우 긍정적인 비평 개념임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러한 개념들이 전문가의 미술비평, 특히 컨텍스트를 주제로 삼는 제도비평, 기관비평 등에 적용될 여러 가능성을 ‘민주적 소통 공간’으로 평가되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실제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모색한다. 아울러 전문비평과 비전문비평의 글쓰기 태도와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비전문가들의 비평적 행위에 담긴 ‘말하기로서의 글쓰기’가 표방하는 ‘사회적 미학’의 함의를 도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전문 미술비평’에 대한 연구로부터 ‘전문미술비평’의 당면한 과제들을 일정부분 개선해나가는 실천적 이론, 즉 화용론적 연구방법론에 관한 한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ncerns ‘art criticism by layman’ not ‘art criticism by experts’. That is, it concentrates on critically exploring the hallmarks and nature of ‘non-professional art criticism’ from social, historical perspectives defining its semantic concept. Both the ‘public sphere’ concept Jurgen Habermas presented through 18th century French salons, and the ‘new public sphere’ concept raised online triggers critical acts by laymen. Taking note of the main notions such as ‘spontaneous criticism’ and ‘public opinion of expression’ derived from acts of non-professional criticism, I try to reveal these as positive concepts of criticism that ‘art criticism by experts’ does not have. I concretely explore the possibility to apply these notions to art criticism by professionals, such as institutional criticism or criticism about institutions, based on the theme context, and through the methodology of writing in an online space, seen as ‘space for democratic communication’. In addition I draw out implications of ‘social aesthetics’ and ‘writing as speaking’, denoting the critical acts by laymen, advoca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attitudes and methodologies of writing in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criticism. Consequently,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ractical theory, that is, a pragmatic research methodology that may solve in part impending tasks of ‘professional art criticism’ through study of ‘non-professional art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