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함양 활동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언어적 정서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안은옥 ( Eun-ok Ahn ),강남준 ( Nam-joon K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불우한 환경에 있어 영어의 수준이 낮고 영어에 대한 흥미도 없는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창의성 함양 활동을 통해 언어적인 면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에 있는 한 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1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약 7주 동안 창의성 함양 활동들을 활용한 영어수업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창의성 함양 활동들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6가지 특성들을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수업 전·후와 실험 중 각 3개 차시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한번의 실험 전후 시험을 보았으며, 실험후 모든 학생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성 함양 활동들이 영어 학습에 더욱 효과적이며, 더욱 흥미를 갖고 배울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참여도 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이 활동들을 미래에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언어적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다른 시험결과에 비해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언어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볼때 언어적인 측면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매우 낮은 등급에 있는 학생들에게 창의성 함양 활동들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 불우한 환경으로 인한 학습 부진과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 (CEAs) on the learning attitudes, linguistic development, and other aspects of the affective domain of underprivileg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hinking skills may positively affect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who have psychological disorders and/or come from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 students from a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CEA-based experimental lessons were given over a period of seven weeks. In the CEA-based classes, six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were used. In this study, one pre- and post survey, one pre- and post-test per unit, and one semi-structured post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toward CEAs, experienced linguistic achievement, and saw positive effects on both their learning attitudes and affective domain.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of using CEAs to support the learning not onl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linguistic and emotional improvement but also that of students in other schools as well. Thus, further studies that could explore the effect of using CEAs on the linguistic and affectiv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창의 활동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남준 ( Kang Nam J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이 논문은 초등학교 6학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강조한 활동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실험을 위해 총 122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참여했고 이들은 각 61명씩 실험수업반과 통제 반으로 나뉘었다. 이 실험수업을 위해 영어 교과서 중에서 하나의 유닛을 사용했고 통제반은 주로 교과서에 있는 활동들을 위주로 수업을 하였고 실험 반은 6가지의 창의 활동들을 2주 동안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고 실험 수업이 끝난 후에 설문지와 인터뷰를 수행했다. 설문 결과로서 볼 때 실험반이 통제 반에 비하여 실험수업을 기존 수업보다 선호하였다. 두 그룹은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활동들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제 반은 생각 할 기회가 많이 주어진 창의 활동들 중에서 두 가지(categorization and a creative role play)와 `Listen and Repeat` 를 제일 많이 선호하였고 그 이유는 생각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이다. 하지만 창의 활동중 하나인 Creative chant는 가장 싫어하는 활동 중 하나로 뽑혔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너무나 생각하게 하기 때문과 너무나 많은 그룹토의 때문이었다. 통제 반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들은 게임과 `Listen and Repeat`, 그리고 읽기 활동이며 이에 대한 이유에서 생각할 기회가 많아서 라는 이유는 단 한 사람도 선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점은 학생들이 감당 할 만큼의 적절한 창의 활동들은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언어를 연습하게 하는 활동과의 적절한 조합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수업의 형태가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결론에 이르렀다.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f 122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1 of them being enroll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one unit of an English textbook was used.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used textbook activities for each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x different CEAs in place of six textbook activities across six English lessons over a two-week period. The study employ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for more robust data analysis and triangulation of the data. After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post survey and several students were chosen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survey results fo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nglish less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greater positivit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activities they liked and disliked.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eferred the game-like activities,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referred some CEAs to other textbook activities due to the opportunities they provided to use their thinking skills.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effect of CEAs on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it also revealed possibilities of implanting CEAs in regular English lessons for Korean primary schools.

      • KCI등재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 in English Lessons for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강남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f 122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1 of them being enroll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one unit of an English textbook was used.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used textbook activities for each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x different CEAs in place of six textbook activities across six English lessons over a two–week period. The study employ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for more robust data analysis and triangulation of the data. After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post survey and several students were chosen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survey results fo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nglish less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greater positivit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activities they liked and disliked.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eferred the game-like activities,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referred some CEAs to other textbook activities due to the opportunities they provided to use their thinking skills.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effect of CEAs on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it also revealed possibilities of implanting CEAs in regular English lessons for Korean primary schools.

      • KCI등재

        연상기법을 활용한 창의 활동과 이에 대한 영어교사들의 인식 고찰

        강남준 ( Kang Nam J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이 논문은 연상기법에 중점을 둔 창의성 중심 활동들을 12시간 동안 진행됐던 창의성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하고 이러한 활동들과 이에 대한 활용 방법을 학습하게 된 37명의 영어 선생님들이 창의성 중심 활동들을 영어 정규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연수 후에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또한 그 들의 인식이 달라지게 만든 이유와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총 37명의 초중등 영어 선생님들이 이 연구에 참석하여 창의성 영어활용 활동에 대한 연수를 받은 후, 한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선생님들이 창의성과 영어 과목 접목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이 바뀌었고, 놀랍게도 중등 선생님들의 인식이 더 많이 바뀌었다. 이 논문은 창의성 중심 연수가 선생님들의 창의성과 영어교과 접목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 논문의 결과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활용가능한 창의성 중심 영어 학습 활동에 대한 교사 연수가 많아지며 이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troduces several association technique-based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were used in a 12-hour intensi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creativity workshop and investigates whether 37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toward integrating CEAs into their English lessons were changed due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workshop.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ed teachers` perceptions and reasons for changing their perceptions if they did. In this study, one post-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which showed that although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ir perceptions toward the particular value of using CEAs in their lessons, many of them experienc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s toward CEA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 majority of the teachers would like to integrate CEAs into their lessons in the future if they had an English textbook that included CEAs and workshops to help them to better know how to use CEAs when they te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lend support to the possibility of using CEA-related workshops to help teachers develop positive perceptions toward CEAs and toward using them in English instruction, and call fo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to be conducted on a larger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