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융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손상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A new phase of college education, head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cently, is to reflect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that solve the lack of on-site practical skills, the lack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lack of crea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cept of convergence, the necessity of fusion design education, the status of convergence curriculum and curriculum opening.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fusion design education in domestic professional universities, the first is the name of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or related departments running departments. The ministry aims to foster the talent of fusion design, including the Ministry of Convergence Technology,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Society and Design, the Department of ICT Convergence, the Department of Creative Arts and Convergence, the College of Culture and Technology, and the Department of IT. Second,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Technology Engineering → Department of Media Design → Department of Metallurgical Design,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Design → Department of Visual Design, Department of Visual Design → Department of Game Content/Multimedia, Department of Creative Arts Convergence, Department of Culture, Media, Department of Information Media, Department of IT → Department of Multimedia Contents, Department of Education. Thirdly, there was a somewhat different pattern of opera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general universities.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professional and general universities in that they operate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and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rdinary universities operate fusion subjects under the system of obtaining a degree after comple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a major, not as a major, at the time of admission. Also, the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ubject to convergence design, big data, VR contents, smart cars, start-up process, and design window convergence metho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imed at fostering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nd fostering lifelong learners,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talents, including learners' self-directed project learning, discu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Converged human resources education starts with the educ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requires convergence in various fields, so professional universities require active university re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n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direction.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지향하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국면은 현장 실무능력 부족, 문제해결능력 부족, 창의성 부족을 해결 하는 대학의 교육을 반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융합의 개념, 융합디자인 교육,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설 현황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전문대학의 융합디자인 교육의 개설현황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첫째는 융합학부 또는 학과 를 운영하는 관련학과 명칭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융합기술공학부, 기계공학부, 인문사회·디자인학부, ICT융합학부, 창의 예술융합학부, 컬쳐텍계열, IT학부 등의 각각 융합디자인 인재양성을 지향하고 있다. 두 번째는 융합기술공학부→미디어디 자인과, 기계공학부→금형디자인과, 인문사회·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학과, ICT융합학부→게임콘텐츠과/멀티미디어과, 창 의예술융합학부→뉴미디어콘텐츠과, 컬쳐텍계열→방송영상미디어과, IT학부→멀티미디어컨텐츠학과로 학과(전공)의 교육 과정이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적으로 융합된 교육과정을 진행하기 보다는 보여지기식 구성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세 번째는 전문대학교과 일반대학교 간의 운영형태는 다음과 같다. 융합학부 내 학과를 편재 운영하고, 융합교과목을 운영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문대학교와 일반대학교 유사한 점이 있다. 다만, 일반대학교는 융합학과를 별도로 운영하면서 입학 당시 학과(전공)가 아닌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주전공으로 이수한 후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로 융합 교과목을 운영한다는 점 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교과목은 융합디자인, 빅데이터, VR콘텐츠, 스마트자동차, 창업프로세스, 디자인창의융합방법론 등의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차이가 있다. 4차 산업혁명 교육 방향은 협력과 소통의 함양 및 평생학습자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형 프로젝트 학습, 토론, 협동학습 등 인재 육성을 중요하 게 강조하고 있다. 융합형 인재 교육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의 교육으로 출발하여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전문대학교는 현장 직무능력을 겸비한 인재융성을 국가정책 및 교육방향에 의거하여 적 극적인 대학의 재구조화가 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 KCI등재

        융합디자인 특성에 따른 주방가구 CMF디자인 경향 연구 -2019년 독일국제가구전시회 IMM Cologne를 중심으로-

        신정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Kitchen furniture design is changing innovatively in order to meet the desire of consumers who display their emotional consumption tendencies, and who think of housing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nd an emotional space. In addition, CMF design, which stimulates five senses through Color, Material and Finish, is an effective means of satisfying it. Therefore, researchers aim to make a clear definition of the convergence design that is emerging in modern society and to grasp trends in the CMF design of kitchen furni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design. The method of study is to first identify the backgroun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design paradigm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n, a case study will be conducted on the CMF of kitchen furniture presented at IMM Cologne 2019, the International Furnishing Fair held in Germany to examine the trend of the convergence design. In this study, the type of the convergence design was divided into the spatial convergence design which merges with the area of physical reality and the conceptual convergence design which merges with the area of physical non-rea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nvergence design were classified as functionality and aesthetic, the conceptual convergence design was classified as non-material and nonterritorial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ality of the spatial convergence design showed a design tendency that was faithful to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furniture or focused on a single detail, such as edges and handles. Second, the aesthetic of spatial convergence design showed design diversity to satisfy individual consumers, and was pursuing luxurious sophistication with black color as the main. Third,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convergence design used materials that were sensitive to light and was forming temporary yet dynamic images. Fourth, the nonterritorial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convergence design was pursuing sustainable design using eco-friendly materials and showed the tendency of CMF design to reject existing framework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trend of CMF design for kitchen furniture showing innovative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vergence desig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MF design of the entire residential space, such as a living room, a bedroom and a bathroom in order to satisfy all consumers who are more emotionally changing and active in a living space. 융합디자인 패러다임의 시대, 감성적 소비 성향을보이고 주거를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감성공간으로 생각하는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위해 주방가구 디자인은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Color, Material, Finish를 통해 오감을 자극하는 CMF디자인은 이를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현대 사회 대두되고 있는 융합디자인에 대한명확한 정의를 내리고 융합디자인의 관점에서 주방가구 CMF디자인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융합디자인 패러다임이 도래하게 된 배경과 정의, 특성을 문헌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그 후, 2019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 국제가구전시회인 IMM Cologne에 출품된 주방가구의 CMF 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융합디자인 경향을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융합디자인의 유형을 디자인 영역이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다른 영역과 융합하는 영역적 융합디자인과 물리적으로 비실재하는 영역과 융합하는개념적 융합디자인으로 구분하고 영역적 융합디자인의 특성은 기능성과 심미성으로 개념적 융합디자인의특성은 비물질성과 탈영역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영역적 융합디자인의 기능성은 가구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거나 엣지, 핸들과 같이디테일 한 부분에 집중한 디자인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영역적 융합디자인의 심미성은 개성 있는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다양성을 보였고, 블랙 컬러를 메인으로 한 고급스러운 세련미를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개념적 융합디자인의 비물질성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재를 활용하여 일시적이면서도 역동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넷째, 개념적 융합디자인의 탈영역성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기존의 틀을 거부한 CMF디자인의 경향을 보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융합디자인의 관점에서 혁신적 변화양상을 보이는 주방가구의 CMF디자인 경향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그러나 주거 공간 안에서 더욱 감성적으로 변화하고 적극적인 행태를 보이는 소비자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거실, 침실, 욕실 등 주거 공간전반의 CMF디자인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융합패러다임이 변화시킨 현대디자인에 대한 고찰

        이순엽,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The previous design area has stayed in the category of practical and purposeful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s uch as visual design, image design, industrial design, fashion design, and environment design while the moder n design is expanding to the concept of 'convergence design' as the meanings and areas of design are expand ed in the combination with diverse areas such as management, engineering, and humanities. Now, under the si tuation of the time when it is impossible to stay in the past concept of design, the design concept through ‘convergence’ is expanding the design to new roles. The ‘convergence’ is to create more expanded new entities or value systems by improving the value such as convergence product, convergence service, converg ence industry, and convergence design, through the chemical/physical combination of independent entities like study, technology, product, service, and industry based on the consilience of knowledge or study. We are facing the era of huge change from the age of specialization leading the changes in the world for tho usands of years to the age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is one of the universal phenomenons of modern society that could be observed in the whole areas of society, instead of a specific area. Therefore, the discus sion of convergence is spreading to the overall social system after exceeding the descriptive area. The chang ed characteristics of modern design concept include the convergent tendency to understand/interpret the socia l phenomenons of the digital era in the area of business administration, engineering, and sociology in the conn ection with related sciences without being limited to industry and technology. Owing to the appearance of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and tools, the divided design boundary is collapsed, which is continuously divers ified into the new design area. Now, the convergence design industry is settled down as the creative knowled ge-based service industry having effects on the whole industr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th e academic basis of this new design paradigm that could play the key role in the future industry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humanities, scientific technologies, and industry after exceeding the integrated design thinki ng. 이전의 디자인 영역이 시각디자인, 영상디자인, 산업디자인, 패션디자인, 환경디자인 등 이미 오랫동안 실용적이고 합목적적인 기능성과 심미성 범주에 머물렀다면 현대디자인은 경영, 공학,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디자인의 의미와 영역이 확장 되어 상호 혼성되는 ‘융합디자인’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제 과거의 디자인 개념에서 머물 수 없는 시대적 상황에 서 ‘융합’을 통한 디자인 개념은 디자인을 새로운 역할로 확대시키고 있다. ‘융합’이란 지식이나 학문의 통섭을 통하여 학 문, 기술, 제품, 서비스, 산업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분야 및 개체들이 화학적, 물리적 결합을 통해 융합 제품, 융합 서 비스, 융합 산업, 융합디자인과 같이 그 가치를 더욱 향상해 더 확장된 새로운 개체나 가치체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우리는 과거 분업화의 시대에서 오늘날 수천 년간 세계의 변화를 주도해온 분할적 힘이 융합적 힘으로 대체되는 대전환의 시대 를 맞이하고 있다. 융합은 특정 영역을 넘어 사회 전역에서 관망할 수 있는 현대사회의 보편적 현상의 하나이다. 따라서 융합에 관한 논의는 기술적 영역을 넘어선 사회체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달라진 현대디자인 개념의 특성은 기술에 따른 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접 학문과 연계되어 경영학, 공학, 사회학적 등의 분야에서 디지털시대의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융 합적 경향을 보이고, 고도화된 디지털 기술과 도구의 등장으로 전문분야로 나누어져 있던 디자인 경계도 무너지며 지속해서 새 로운 디자인 분야로 다원화되고 있다. 이제 융합디자인 산업은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창조적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으로 자리 를 잡고 있다. 이런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은 통합적인 디자인적 사고를 넘어 인문학, 과학기술 및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산업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학문으로서의 근거를 찿는데 연구의 의미를 부여한다.

      • KCI등재

        디자인적 사고의 전 분야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를 위한 융합디자인 활성화 제안

        박문형(Park, Moon H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융합디자인이라는 새로운 분야는 디자인에서 파생된 지 역사가 그렇게 오래 되지 않았다. 그러나 고도화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다양한 분야가 상호 작용 및 쌍방향 소통을 하면서 디자인계에도 상당한 파급 효과를 준 결과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디자인이 어떻게 쓰임새를 가질 수 있는지를 모색하다가 디자인계 내·외부를 막론하고 사고방식의 새로운 틀을 제공하고 있는 ‘디자인적 사고’라는 개념을 가지고 융합디자인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르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첫째, 융합디자인과 디자인적 사고에 대해서 유관된 내용을 살펴보면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융합디자인은 산업융합이라는 시대에 걸맞게 가치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디자인 또한 다양한 분야와 협업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디자인 사고’와 ‘디자인적 사고’의 차이점을 통하여 일반 대중과 사회가 보다 쉽게 디자인 관련 개념을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디자인적 사고를 통하여 다양한 분야에 파급 효과가 생기기 하게 위해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방법을 모색을 한다. 그 방법을 찾기 위해서 경제용어인 스필오버 효과를 차용하여 적용 모델을 구조 및 체계화하였다. 셋째, 디자인적 사고를 통하여 융합디자인의 활성화를 스필오버 할 수 있는지 모색하면서 제안한 내용은 활성화의 방법론으로 정리하였다. 디자인적 사고에서 융합디자인으로 중심축을 잡고 사용자 중심디자인이라는 가치를 추구할 수 있도록 구조를 구체화하였다. 이 가치는 산업융합이라는 시대의 흐름상에 가치융합이라는 개념과도 일치한다. Was a convergence design and the new field did not become historian derives from a design to be like that long. But inevitably the various field interaction from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advancement society, and communicates bidirectionally is a product of the result where gives in a design origin considerable ripple effect. From this research the convergence design how can have the use, seeks within design origin regardless the outside the way of thinking provides the new frame, "design convergence" in order to approach with the new view differently, the convergence design to have the concept. First, about convergence design and design accident also the understanding to look carefully the contents which became the latex tube and in order to gain. The convergence design to the time when is an industrial convergence well-mated design also the various field and cooperation leads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is advancing with the direction of value convergence and is a point which will be able to have a distant view the value. "Design thinking" in order came "difference of design thinking" to lead and the general public and the society the interests to make a design related concept more easily. Second, design convergence leads, goes and do, respects how will be able to apply the method seeks ripple effect to the various field. In order the method searching borrowed the spillover effect, is an economic term structure and systemize did the application model. The third and design convergence led, activation of convergence design spillover can do, sought and the contents which proposes arranged with methodology of activation. Will be able to pursue the value which is a user-centered design from design convergence to catch the central axis in convergence design, materialized a structure. This value agrees with the concept which is a value convergence to the flow pattern of the time when is an industrial convergence.

      • KCI등재

        산업융합 추진을 위한 디자인 역량강화 및 활용방안

        최익현 ( Choi Ik Hyun ),김면 ( Kim M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디자인은 18세기 산업혁명시대 이후 제품에 대한 기능적,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새로운 분야로 등장하며 우리 인류의 삶의 가치를 증진하고 창출시키는 수단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21세기로 접어들며 산업은 서로간의 영역이 모호해지고 협업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융합혁명의 시대」로 급속히 전환되어 가고 있으며 디자인주도의 산업패러다임 확산과 창의산업 창출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창조경제가 국가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로 사람들의 행동·경험 등을 반영하여 제품·서비스를 만들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을 성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창의산업 창출을 위한 융합 디자인 정책 개발과 추진의 성공 조건으로, 공공부문에서는 그 동안 정부에 의존하는 수직적 구조의 정책추진과 경직된 부처 간 역할을 변화시켜 수평적 구조의 융합을 추진하여야 하며, ICT를 기반으로 한 산업융합을 위해서는 R&D와 디자인분야의 협업이 무엇보다 필요하게 됐다. 이를 위해 디자인융합 R&D시스템의 확산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 인력양성은 물론 디자인의 영역을 넓히기 위한 노력으로 서비스디자인, 미래디자인 등 혁신사업 발굴과 함께 디자인을 융합과 성장의 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클러스터, 통계, 정보, 제도적 마련 등 디자인 인프라 강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21세기 융합시대를 선도하는 디자인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emerged as a new breed of industry adding functional and aesthetic value to products follow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and it has become a critical tool to create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mankind. As different industries become intertwined and increasingly require collabor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industrial paradigm has been rapidly shifting to bring about an “age of convergence revolution" and design has taken on a bigger role in the expansion of the design-driven industrial paradigm and creation of a creative economy. In order to enable the creative economy to make a new breakthrough for the national economy, it is preferentially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behavior and experience of consumer`s into goods and services through “design thinking” so that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ll be achieved.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design policies for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industries, the public sector needs to push for horizontal structure-based convergence by making changes in vertical structure-based policy implementation dependent on the government and in inflexible interdepartmental roles. Also, as the condition of success, ICT-based industrial convergence,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design needs to be achieved first and foremost. To this end, the expansion of design convergence R&D systems and fostering of professionals who will operate them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essential not only to create innovative businesses such as service design and future design in order to widen the horizon of design but also to strengthen the design infrastructure in such ways as establishing design clusters, statistics, information and systems that can enable the utilization of desig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convergence and growth. All these efforts will allow Korea to make a quantum leap and become a powerhouse in the design industry that leads the convergence age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기업의 융합형 디자인전략 체계(CDSS) 및 구조 모형 연구

        조은환,이해묵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Design management so far has been implemented in system-oriented manner, focusing mainly on government policy and internalization of large corporations. However, this policy and direction lacks the vision which considers the speciality of domestic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venture business. Hence it is difficult to prepare relevant policy on them. Design management as policy alternative for them shall be implemented centered on strategy rather than on system, Also, design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small & medium enterprise and in supplement of design policy process by CEOs. The concept of convergence is the subject of social interest, and is identical with object of design in the aspect that various related contents are accepted in harmony. This study extracted and analyzed convergence related contents in design field and studie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design, and as the result tried to present Convergence style design strategy.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is purposed on providing advice to corporate CEOs and decision makers, and also to establish the long term vision through mutually horizontal cooperation between management, brand, consumer and technological experts centered on des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system through detailed study on consistency of management ideology, brand identity establishment, establishment of client(consumer) opinion collection system, presentation of design vision, and secur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etc. For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ed structural model for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by classifying into composite, entrepreneur, specialist and business-starting types according to CDSS analysis table. By this CDSS structural model this paper proposed the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model comprising both process ad system altogether. 지금까지의 디자인경영은 대부분 정부 정책과 대기업의 세계화전략에 초점이 맞추어져 체계 중심으로 실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과 방향은 국내 중소기업과 벤처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비전 마련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책의 대안으로 디자인경영은 체계 중심에서 전략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최고경영자의 디자인 정책과정을 보완 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융합의 개념은 오늘날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이며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조화롭게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디자인의 근본적인 목표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분야에 융합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그 융합디자인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기업에서의 융합형 디자인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융합형 디자인전략은 기업의 최고경영자 및 의사결정권자를 조언하고 디자인 을 중심으로 경영, 브랜드, 소비자 및 기술 전문가와 상호(相互) 수평적협력을 통해 장기적인 비전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영이념과의 일관성, 브랜드 정체성 확립, 고객(소비자) 의견 수렴의 체계 확립, 디자인 비전제시, 기술 경쟁력확보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 체계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내용으로 경영이념의 체계, 브랜드의 독립성, 소비자(고객) 요구의 수렴, 디자인의 비전 및 기술기획력으로 나누어서 세부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디자인 혁신 중소기업의 성공 요소를 구분하여 종합형, 사업형, 전문형 및 창업형으로 나누어서 융합형 디자인전략 체계의 구조모형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CDSS 구조 모형을 통해 과정과 체계를 담는 융합디자인전략 모델을 제안 하였다.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융복합 디자인 교육 과정 연구

        권성하,손희주,황희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o educate design students on social responsibility. In theoretical studie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ethods are explained. In th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versal design cases applied fashion design, interior design and media design together are explor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design is being applied in combination with fashion and interior desig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 in real life.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al design, an education model that deepens the degree of convergence by stage was proposed along with the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a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xchange is devised. Curriculum 1 is a seminar-type project sharing stage that the majors unite to share a problem-solving mindset and independent design fields contemplate ways to solve problems in their respective majors. Curriculum 2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from each major join together to create design outcomes that can be solved in each field through major convergence and share the results under a common topic, such as design considering senio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3 is an industry-university-linked project stage in which students derive problems for universal design by themselves and create innovative convergence design results that meet the common theme of the major convergence team through multi-dimen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universal design environment when students enter society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curriculum which enables future designers to experience step-by-step convergence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학제간 교육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복합 정도를 심화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융복합 디자인 교육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과 융복합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들 사례에서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에 각각 미디어디자인이 함께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에 있어 정보기술의 발전이 실생활에서 사람들과 밀접한 패션과 실내디자인에 결합되어 응용되고 있는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많은 서비스가 미디어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패션과 스마트홈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융복합 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합 정도를 심화하고 실무적 교육과 학문간 교류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알아야 하고 참고해야 할 개념들에 대해서는 사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 교류 시간을 늘린다. ‘교육과정 1’은 전공들이 연합하여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독립된 디자인 분야가 각자의 전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구상하는 정도로 세미나 형태의 프로젝트공유 단계이다. ‘교육과정 2’는 시니어, 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등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고 각 학과의 학생들이 모여서 각 분야가 전공실기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교육과정 3’은 학생들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문제를 스스로 도출하고 여러 전공이 다차원적 협업을 하여 전공융합 팀의 팀 공통 주제에 부합하는 혁신적 융복합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산학연계 프로젝트 수업단계이다. 이러한 융복합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 학생, 동료 간의 의견 교류 시간과 기회를 확보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학제간 교육을 가능하게하여 향후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다양한 분야가 협업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구상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업디자인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 연구

        안기선 ( Ahn¸ Ki-seon ),이주현 ( Lee¸ Joo-hyun ),이인숙 ( Lee¸ In-s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농촌융복합산업에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 변화, 농업의 외형적 성장세의 둔화, 다양한 농산물 브랜드 등장으로 인한 소비자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구매를 결정짓는 요소가 감성 및 스토리텔링 등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음에 따라 이제 농산업과 디자인 간의 융합에 있어 고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농촌융복합산업에서의 디자인 융합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바탕으로 융합 특성 및 요소 탐구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디자인의 농토, 농장, 농작물에 나타나게 된 제품과 브랜드 소비자 만족도를 도출해봄으로써 농업과 디자인 융합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농촌융복합산업 현황과 농업디자인 유형별 디자인 융합의 특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실증 연구 설계에서 연구문제 및 가설 설정, 연구모형 설계, 농토·농장·농작물디자인 각 분야별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토디자인에서는 브랜드만 영향을 끼치며, 농장디자인에서는 브랜드, 제품 순으로, 농작물디자인에서는 제품, 브랜드 순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업디자인의 신뢰, 가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랜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as the competition to secure consumers intensifies due to changes in consumer preferences, the slowdown in the external growth of agriculture,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agricultural brands, the factors determining purchase tend to include design elements such as emotion and storytelling. As it is being transformed, it is now necessary to upgrade the convergence between agriculture and design. In addition, for design convergence in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exploration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based on their point of view in order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ic data for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design by deriv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products and brands that appeared in farmland, farms, and crops in agricultural design.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vergence by agricultural design type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fterwards, in the empirical research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design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in each field: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setting, research model design, and agricultural land/farm/crop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y the brand had an effect in the farmland design, the brand and the product in the farm design, and the product and the brand in the crop design.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trust, value, and image of agricultural design in the future, the brand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 KCI등재

        디자인주도 혁신을 위한 신기술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DX(Digital Experience) 융합 콘텐츠 디자인 중심으로

        김경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4차 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경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기존 산업의 경계를 완전히 허무는 초연결사회의 등장으로 기술 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로봇, 모빌리티, IoT, AI, AR/VR 빅데이터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기술에서 새로운 디자인과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역할은 인간과 환경, 기술, 사 회, 문화를 하나의 개념으로 연결하여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계의 요구 또한 전통적인 디자이너들의 요구에서 디자인 주도 형 신기술융합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디자인 교 육 분야의 기존 교육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 방향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외 디자인 교육의 융합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 다 학제적 접근과 신기술융합 교육을 통해 공학, 디자인, 경영 등의 분야를 결합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실무 연계 교육을 통해 협업 과 조율 및 조화로 디자인 리더십 능력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도구와 기술 활용 교육 및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을 제고하기 위한 DX(Digital Experience) 융합 콘텐츠 디자인 중심으로 트랙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역할 에 대한 중요성과 융합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인식하고, 향후 4차 산업시대를 선도하는 핵심인재 양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the pace of environmental change accelerates and the emergence of a hyper-connected society that completely breaks the boundaries of existing industries, technological convergence has become a keyword that penetrat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fact, demand for new designs and designers is increasing in new technolog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such as robots, mobility, IoT, AI, and AR/VR big data. The design role is gradually expanding to an area that provides special meaning and value by connecting humans, the environment, technology, society, and culture into a concept, and the needs of the industry are also required to be design-led new technology convergence tal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and respond to changes. First,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new technology convergence education, an educational direction that combines fields such as engineering, design, and management was presented and key elements were derived. Second, a plan was proposed to develop design leadership skills in collaboration, coordination, and harmony through practical linkage education. Finally, a track composition was proposed focusing on digital experience (DX) convergence content design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digital tools and technology utilization education and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this study,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role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we expect it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fostering key talents leading the 4th industrial era in the future.

      • KCI등재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전문대학 디자인교육

        천정임 ( Jeong-im Ch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자인의 영향력이 미약하여 양질의 디자인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세분화된 디자인 분야의 학과나 전공의 학생들은 졸업 후 같은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각각 다른 전공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자인 분야의 학과와 전공은 서로 융합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융합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4년제 종합대학이나 대학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2년제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국내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과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융합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검토, 분석된 결과와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으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가 산업사회를 대비하여 기초조형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듯이 융합의 시대적 변화를 대비하여 문화, 창조,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은 각각의 주변 학문과 연련되어 융합디자인 교육의 발판이 되었다. 즉 소비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자인의 속성과 함께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등의 분야와 융합이 이루진다. 전문대학에서의 짧은 교육 기간 등의 여건에 맞추어 문화의 이해, 창조적 능력 발휘, 소통에 의한 협력의 단계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결론 산업과 디자인 교육의 관련성,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은 실무 형 디자인 교육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활용할 것이다.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fusion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executing the curricula.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re usually carried out superficially. The influence of design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quality designs. Currently, there are many design departments which are subdivided with minute differences. As a result, students graudated from these different departments tend to work together on a same job.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ny subdivided departments to be integrat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eed of convergence design were all focused on regula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Thus, a new study is needed for 2-year junior colleges. The present study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for junior college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direction. Methods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evious studies on design educa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The surveyed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roposed is a new design education curriculum for 2-yea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a junior college. Result Bauhaus considered it very important to teach the basic modelling in preparation of the coming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effectively carry out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 such, a new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creativity, culture, and communicaiton is necessary in preparation of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reativity, culture, communication became the basis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other branches of surrouding disciplines. That is, to meet the desires of customers and clients, the inherent properties of design is conv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rts, humanities, social sciences, management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the duration of education is short in junior colleges, proposed is the curriculum compopsed of three steps consisting of demonstration of creativity,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cooperaton based on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oncepts on the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and on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are defined. Aft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was reviewed, and afte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improved, proposed is the curriculum that can be executed in junior colleges. The proposed design curricula for junior college suitable for the era of convergence is very practical so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urriculum would be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in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