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태지호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a theoretical exploration that appropriates 'Cultural Studies' as a methodology for resear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the main concepts of ‘Cultural Studies’. This is a premise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appropriate 'Cultural Studies' to research methodology.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popular culture, practicality of every day culture and representation. Afterwards, this paper examine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through the problem framework of 'experience' and 'structure'. This is a discussion that examines the theoretical horizon of ‘Cultural Studies’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At the same time, this is also a discussion to confirm how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is related to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through the concepts of culturalism, structuralism, and hegemony. Since then, the appropriation of ‘Cultural Studies’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has been dealt with through the analysis point of production, contents, and consumption, which are the process of cultural circul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study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deals with the present and every day, and that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only as a specific commodities should be avoided.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위한 이론적인 탐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은 우선 ‘문화 연구’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를 연구 방법론으로 전유하기 위한 역사문화콘텐츠에 관한 전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를 대중문화, 일상문화의 실천성, 재현의 개념들 속에서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후 본 논문은 ‘문화 연구’의 입장을 ‘경험’과 ‘구조’라는 문제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작업이다. 동시에 이것은 문화주의, 구조주의, 헤게모니의 개념을 통해 ‘문화 연구’의 지적 전통이 역사문화콘텐츠 연구에 어떻게 맞닿아있는지를 확인하는 논의이기도 하다. 역사문화콘텐츠 연구를 위한 직접적인 ‘문화 연구’의 전유는 문화의 순환 과정인 생산, 콘텐츠, 소비라는 분석 지점을 통해서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역사문화콘텐츠 연구가 현재와 일상을 다루는 것이며, 특정한 재화로서만 역사문화콘텐츠를 접근하는 관점이 지양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극예술 연구의 접점

        양근애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8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s’ was made in mid-1990s, so-called ‘the period of culture’ when the culture was regarded as the important subject of national policy project, and have used widely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trie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contents research that appeared in 21th century in Korea, and aims to consider the application aspect generated in the field of drama. Culture Contents Research so far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tivation of culture industry, education of culture contents, and criticism of artistic value about culture contents are the types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groups have the matter that they are separated discretely and don't pursue the integrated research. Especially though the field of drama has activated the concept of ‘Storytelling’ that indicates the core creative skill and strategy of culture contents, there are few attempts to seek the interface with culture contents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inherent research. But drama after digital technology identifies and extends its meaning b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or ‘Trans-’. So the approach through Culture Contents is needed for interpretation of the new drama that consists of new format. This study recognizes the inevitable transition of trend from ‘Culture’ to ‘Culture Contents’ in Korea, but also suggests the critical attitude about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aspect of Culture Contents. Even if past twenty years were dedicated to verifying the power of culture that generates the high value of our society, next step should be dedicated to critical introspection that leads the age to achieve the new value and meaning. ‘문화콘텐츠’는 문화를 중요한 국가 정책 사업으로 인식하는, 이른바 ‘문화의 시대’라 불린 1990년대 중반에 만들어진 용어로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2001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설립 이후 본격적으로 사용된 이 용어는 20여 년이 지난 지금 만화·애니메이션, 음악, 영화, 방송, 모바일, 에듀테인먼트, 게임, 캐릭터와 문화산업으로서의 관광(테마파크)과 축제 개발 등 다방면에서 전유되고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에서 등장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성화 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을 짚어보고 이와 같은 관점이 극예술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재까지 시도된 문화콘텐츠 연구는 크게 문화산업 활성화 측면과 문화콘텐츠 교육 측면,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비평적 측면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해당 연구들은 일정한 경향성이나 통합적 연구를 지향하지 않고 원자화 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극예술 분야는 문화콘텐츠의 핵심적 창작 기술이자 전략을 지칭하는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활성화 되어 있지만 이미 학제적 연구가 축적되어 문화콘텐츠학과의 접점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드문 편이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 이후의 극예술은 ‘컨버전스’, ‘트랜스-’ 등의 개념을 통해 그 의미가 확인되고 또 확장되는 만큼, 새로운 형태의 극예술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으로 문화콘텐츠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는 문화에서 문화콘텐츠로의 이행을 불가피한 흐름으로 보고 있지만 문화콘텐츠학이 점유하고 있는 산업적, 상업적 측면에 대해서는 경계해야한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지난 20년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의 힘을 확인하는데 바쳐졌다면, 앞으로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시대를 견인하는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본 해설문화와 콘텐츠 액티비즘

        유영초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Interpretation' comes within the category of cultural activities which include various subject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case of 'Contents activism' in interpretation, particularly in the area of 'nature interpretation' and 'history interpretation' which is regarded as most invigorated among the various interpretation area. First of all, I'd like to discuss how we can define interpretation as cultural contents, And then, focus on a function interpretation performs in terms of contents activism issue as a specific type of cultural contents, Interpretation can be categorized as a cultural contents created by oral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it as a source of overall cultural contents.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interpretation is to pave the way for contemplation on nature, place, history and human race according to the knowledge and impression conveyed by interpretation from each field. 'Activism' implies positive action. It consists of efforts to promote, impede, direct, or intervene in social, political, economic, or environmental reform to make changes in society. Main purpose of interpretation is to make people understand social, cultural phenomena through firsthand/secondhand experiences. In numerous cases, it contribute to establish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various fields of activism. That's why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study on interpretation as effective tool of contents activism. 'Forest interpretation' or 'nature interpretation' is often regarded as nonformal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or forestry education. Both fields aim to raise awareness of diverse environmental issues and demand responsible action in common. It has great potential to emerge as significant area of contents activism. 해설은 최근 다양한 영역으로 전파되고 정착되어가고 있는 문화 영역이다. 특히, 자연과 역사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는 해설문화를 통해서 두 가지 측면에서 ‘콘텐츠 액티비즘’을 읽어보고자 했다. 하나는 문화콘텐츠 영역에서는 해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그리고 해설이 문화콘텐츠의 구체적인 유형이라고 할 때, 콘텐츠의 액티비즘의 논의에서 해설은 어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설을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오럴 미디어’에 의해 구현되는 문화콘텐츠의 한 유형으로 범주화시켰다. 그런 점에서 해설은 문화콘텐츠 생태계에서 원천소스의 영역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해설의 중요한 역할과 기능은 자연과 역사, 문화자원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통해서 장소와 역사, 인간에 관한 사유와 성찰의 토대를 만들어 주는 일이다. 액티비즘이 사회나 인류가 처한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하여 더 나은 방향을 촉구하고 추진하는 행동주의이다. 해설은 환경과 사회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체험하게 함으로써 액티비즘의 철학적 토대를 조성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의 해설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구술을 통해 현장에서 소멸되는 해설콘텐츠 뿐만아니라, 해설에 사용되는 교구와 교재, 해설판 등의 전시성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활용미디어들은 대체로 '생태보전', '문화유산의 보전' 등의 이념적, 실천적 콘텐츠를 담고 있고, 참여자(콘텐츠 소비자)들의 직접적, 간접적 행동을 촉구하고 유발하는 액티비즘의 콘텐츠로서 작동하게 된다. 숲해설, 자연해설의 분야는 환경교육, 산림교육의 영역과 중첩되는 분야로서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해결을 위한 책임있는 환경행동을 촉구하는 콘텐츠 액티비즘의 중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수출 현황 진단과 통상법적 과제

        서재권 한국정보법학회 2018 정보법학 Vol.22 No.3

        Korea-China FTA subsequent negotiation is in progress based on Korea-China FTA Annex 22-A. Resolving diplomatic feud over THAAD deployment, both countries decided to begin a subsequent negotiation in the end of 2017. The subsequent negotiation covers Trade in Services, Investment, and Financial Service chapter only, and it is conducted based on a negative approach. Negative approach is more appropriate to widen market access than positive approach in regard that all services and investment sectors that are not listed in reservation list, by default, open to foreign service suppliers. For Korea, the subsequent negotiation is important more than ever because Korea could get over “Hanhanryung”(unofficial order to prohibit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secured market access to china’s cultural contents sectors. China recently issued the “Special Administrative Measures on Access to Foreign Investment” of the 2018 Negative list. It loosens restrictions on foreign investment in some sectors like transportation and technological services. However, it still bans foreign countries from investing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sector such as online news and information services, online publishing services, online audiovisual program services, online operational cultural products and activities. And restructured government organization, most of cultural contents affairs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paganda Department. It demonstrates china’s continued willingness to restrict foreign investment into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to strengthen oversight on the imported cultural contents. To make a constructive result in the subsequent negotiation, Korea needs to take the initiative for maximizing merit of negative approach and dissuade china from broadening reservation list of cultural contents. And Korea should also actively suggest inclusion of future MFN, insertion of agreement on broadcasting co-production, establishment of governmental consultation channel on cultural contents. 중국은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수출액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1위의 수출시장이다. 2016년 사드 배치로 인해 문화콘텐츠 對中 수출이 막혀 수출 실적이 급감할 것이라는우려와 달리 2017년 문화콘텐츠 수출액은 2016년보다 14.7% 성장을 기록했다. 다행히수치상으로 수출액이 증가하고 있지만 사드 배치 이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으로 인해 문화콘텐츠 업계와 정부가 받았던 압박감은 상당했다. 이 글은 문화콘텐츠 수출이 FTA의 시장개방을 통해서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2015년 발효된 한⋅중 FTA에서의 문화콘텐츠 시장개방 수준을 분석하고 현재 진행 중인 후속협상에서의 협상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후속협상은 서비스, 투자, 금융 분야에 한해서 진행되고 있는데, 문화콘텐츠의 수출과 관련된 서비스분야와 투자분야의 협상방식은 발효 중인 본 협정의 협상방식과 큰 차이가 있다. 이른바 네거티브 협상방식으로서 시장을 개방하지 않을 분야를 유보목록에 작성하고이 목록에 없는 분야는 모두 개방되는 방식이다. 우리는 한한령 사태를 통해 중국의규제를 들여다 볼 기회를 가졌고, 중국도 문화콘텐츠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정부조직을 개편하는 등 유보협상의 준비를 마친 것으로 보인다. 한⋅중 FTA 후속협상은 중국의 문화콘텐츠 시장규모와 성장가능성,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수출 비중, 상호 협력에 의한 시너지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우리가체결했던 FTA보다 중요도가 매우 높다. 후속협상에서는 무엇보다 중국의 문화콘텐츠관련 규제를 최대한 많이 현재유보에 담아 중국의 정책권한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중국이 미국 등 문화콘텐츠 강국과의 FTA에서 추가로 시장을 개방할 경우 그 효력이우리나라에도 미칠 수 있도록 ‘미래 MFN’ 규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방송공동제작협정상 방송물의 정의와 자국산 대우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여 집행의 실효성을 높이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긴급 접촉선을 마련하여 분쟁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

        오윤지,김치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suggest the topography of fandom’s enjoyment activities by attempting to categorize K-Pop fandom contents in YouTube. Fandom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 on YouTube includes both top-down contents derived from a higher-level structure and bottom-up contents generated by fandom, but bottom-up contents are predominant, showing dynamic and subjective fandom enjoyme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ve aspects of fandom and sought a standard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fandom contents. Using the inductive principle, 130 K-Pop fandom cont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eation structure format and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rm of ‘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 in which fandom contents were transformed based on primary contents and the form of ‘new contents creation’ newly composed by the fandom were structurally revealed. In addition, two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knowledge information’ and ‘sensory inform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➀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knowledge information ➁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sensory information ➂creation of new contents-knowledge information ➃creation of new content-sensory information, and this was exemplified through the case of fandom contents.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비평: 콘텐츠 액티비즘의 가능성

        임대근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on of 'criticism' in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First, it showed that the concept of 'contents' that emerged along with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ntents has historical inevitability. 'Contents' is regarded as a term and concept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discourse that had discussed literary art in the 20th century. That is, 'contents' appears after concepts such as work, text, intertextuality, and para-text. Furthermore, when we summarize the critical perspective of literary art in the 20th century as textualisim and contextualism, the contents should be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two, and should be perceived as a complex of text and context.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need for criticism in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It will be possible to criticize the object that was alienated in the context of the 20th century. It argues that technical criticism, policy criticism, and industry criticism should be performed in the name of cultural contents criticism. Such criticism shows potential as content activism. In order to construct cultural contents criticism as contents activism, it is necessary to set contemporary, problem consciousness and reality diagnosis, setting of subject position, and the limited goal. The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trans-media critique.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순환 구조 안에 ‘비평’의 위치를 살펴본다. 우선 문화콘텐츠라는 현상의 등장과 더불어 출현한 ‘콘텐츠’ 개념이 역사적 필연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콘텐츠’는 20세기 문학예술을 논의해왔던 담론의 확장 결과에 따라 출현한 용어이자 개념으로 간주하였다. 즉 ‘콘텐츠’는 작품(work), 텍스트(text),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파라텍스트(para-text) 등의 개념에 뒤이어 출현한 것이다. 나아가 20세기 문학예술의 비평 관점을 텍스트주의(textualisim)과 맥락주의(contextualism)으로 정리할 때, 콘텐츠는 둘을 아우를 수 있는 개념으로서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복합체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문화콘텐츠의 순환 구조 속에서 비평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그것은 20세기적 맥락에서 소외됐던 대상에 대한 비평 행위로 가능하다고 보았다. 기술비평, 정책비평, 산업비평 등이 문화콘텐츠 비평의 이름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비평은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문화콘텐츠비평이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 구성도기 위해서는 동시대성, 문제의식과 현실 진단, 주체위치의 설정, 제한된 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은 트랜스미디어 비평으로 구현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향유 지속 방안

        정혜경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Political Issues and Ways of the Activation on Regional Cultur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olitical issues on regional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of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Regional Promotion Agency and to find methods of the activation them. The results of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ntents of daily life has increased politically. Second, it has developed to strengthen loc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finding localized content. Third, according to policy changes, way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local cultural contents were transformed into web contents and various platform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it has not been enough to promote the local publicity by serving contents on the local channel. Another issues is local cultural contents a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policies and directions of investment institutions. Therefore, they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reflect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minimizing policy guidelines. Finally, they need to implement policies that consistently link local cultural content with enjoyers who have experienced local cultural content such as crowd funding by enjoyers, integrated marketing and design systems for them. If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ervice of local cultural contents politically, the enjoyers will not be able to meet the regional cultural contents in fragmented form, but will be able to enjoy them on the macroscopic network. 이 글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문제를 파악하고 향유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현재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첫째, 지역민의 참여와 생활문화콘텐츠로 그 외연을 확장하며 전통적인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념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둘째, 지역특화 융복합콘텐츠와 지역산업을 연계함으로써 지방 소멸 위기에 직면한 도시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 기술에 따른 소비문화의 변화와 웹콘텐츠 중심의 정책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생태계를 새롭게 재편하는 중이다.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지역자원이 과거와 특정 지역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소통하며 고유한 이름을 찾도록 추동하며,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지역문화콘텐츠로 포섭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관련 사업은 향유자 중심의 정책을 표방하면서도 사업자의 관점에서 출발하고 마무리된 경향이 있다. 콘텐츠 시장은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물고 역동적으로 콘텐츠의 생산과 향유를 이끌고 있지만, 지역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우 개발비를 지원하는 기관의 정책과 사업 틀에 묶이거나 콘텐츠 시장의 유행을 쫓는 한계를 보인다. 지방분권이 가속화되고 관련 정책은 Top↔bottle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지만,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중앙 정부의 정책과 흐름에 구속된 측면이 강하다. 지역문화콘텐츠 정책과 평가 방식이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가능성을 차단해서는 안 될 것이며, 지역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제작하는 일 못지않게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의 생명력을 연장하는 일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향유자 관점에서 콘텐츠의 생명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향유자에 의한 매개-생산-소비가 가능하도록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취향을 엮어 하나의 향유 라이프 사이클을 형성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술문화 전통을 활용하고 통합적 향유 로드를 설계해야 한다. 기존의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아니다. 분산된 지역문화콘텐츠를 묶고 입체화하여 향유자가 미션을 수행하듯 전국 단위의 지역문화콘텐츠를 지속해서 경험하고 관련 모험을 감행할 수 있게 하는 형태이다. 아울러 향유자에 의한 참여와 매개를 확장하기 위해 향유자 중심의 ‘지역문화콘텐츠 크라우드 펀딩 사업’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펀딩사업과 구별되게 향유자로부터 펀딩을 받아 관련 콘텐츠를 양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지역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향유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문화콘텐츠의 향유 로드를 입체적으로 디자인하고 정책적 차원에서 통합 마케팅을 실현할 것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향유 정책이 실효성 있게 전개된다면 향유자는 전국의 지역문화콘텐츠를 파편화된 형태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 네트워크를 타고 지역문화콘텐츠의 세계를 유영하며 지역문화콘텐츠의 또 다른 생산 주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과 권리·의무에 관한 고찰

        박종권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集 Vol.14 No.1

        The growth of the Internet over the decade has brought profound changes to the Internet related laws. More and more people use Internet as a communication tool and consequently, Internet acquired the power of influence.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data’, and ‘computer software’ et al. can have considerable value. The fact that the economic reward for this information has significant consequences in newly emerging digital business should be reflected on private law. The term ‘thing’ covers any substantive tangible object(§ 98 Korean Civil Code), i.e., both movables and immovables. In terms of private law, rights with regard to immaterial objects are excluded from the Civil Code. In the light of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the digital property is hard to be protected within the realm of the Civil Code and its practice which based on the traditional legal concept of thing, for the protection of this digital property, this article suggested three methods which are a novel interpretation over the thing and two ways for legislation. The latter is that independent legislation for sui generis protection or the amendment of § 98 Korean Civil Code is considering. A digital contents license agreement is not included in the typical contract ruled by the Korean civil law or commercial law. This treatise deals with legal relation between the digital contents licensor and the consumer mainly. In this treatise I would like to advance a theory to regulate legal problems rationally arising from digital contents license agreements.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legal nature of a digital contents license agreement, the 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s license agreement and the legal relation between the digital contents licensor and the comsumer after one makes a contract with the other. But licensing the digital contents has brought about new serious troubles, being caused fro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tents license contracts. At the same time, it has also increased the necessity of protecting consumers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There are also unique problems, which are caused from the conflict between copyright act and license contract, like making copyright act invalid through a license agreement or imposing the restriction on user’s right which copyright act gives them. And there are consumer protection problems like warranty or self-help provisions on click-on or shrink-wrap license, which digital contents providers offer unilaterally. But the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oriented to tangible things, so it makes serious troubles to regulat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In the near future, we need to amend the civil law or make a new law relating to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because the present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just oriented to tangible things and cannot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effectively. 미디어시장에서 디지털콘텐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지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콘텐츠가 정보인프라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면서 경제성장의 핵심역할을 수행하는데, 디지털콘텐츠는 그 특성상 동일 품질의 무한 복제가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이전이 용이하므로 디지털콘텐츠 제공자는 디지털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자구책으로서 디지털콘텐츠를 매매계약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을 거부하고 이용계약이라는 형태로 거래에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민법은 유체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직접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디지털콘텐츠 거래를 합리적으로 규율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 검토를 통해 디지털콘텐츠 거래에 적용 가능한 법규를 확정함으로써 계약내용을 해석하거나 계약내용으로 정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한 해석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은 민법상 전형계약에 관한 규정을 유추 적용할 수밖에 없고, 그 특성상 임대차계약에 가까운 것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권리를 양도하는 경우에는 매매계약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매매계약은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으로서 여기의 재산권에는 ‘재산상 이익’도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디지털콘텐츠도 창작성 유무나 저작권법상 보호여부와 관계없이 재산적 가치가 존재하는 한, 매매계약의 대상이 될 수도 있지만,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권리가 현행 법률상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디지털콘텐츠의 이용권 양도를 인정하기 위하여 디지털콘텐츠에 대해 배타적 권리로서의 이용권을 부여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려는 이용자는 일반소매시장에서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거래시장에서 활용하는 계약 형태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고 목적대상을 단지 이용할 뿐 그 외의 목적을 가지지 아니하는데, 디지털 정보 자체가 매매의 대상이 되는 것과 구별되어 다양한 정보매체의 등장으로 복제·전송이 용이하므로 개발자의 권리가 쉽게 침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기 전에 논의하던 법리를 가지고 새로운 디지털 정보를 보호하려는 경우에 개발자의 경제적 이익이 보호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산업발전에 장애가 되므로 다른 규범의 틀로써 보호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디지털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의 권리·의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컨버전스 트랜드에 근거한 모바일콘텐츠 분류체계

        유민호(Min-Ho Yoo),남경화(Kyoung-Hwa Na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3

        현재 모바일콘텐츠 분류체계는 분류원칙에 위배되는 구조적 문제와 컨버전스에 기인한 서비스의 다양화를 수용하는데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의 극복방안으로 알리스(Al Ries)의 이론을 발전시킨 대칭형과 비대칭형의 분류기준을 적용한 새로운 모바일콘텐츠 분류체계를 제시 한다. 여기서 대칭형은 융합 과정에서 변이(變異)되어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콘텐츠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비대칭형은 독립적인 속성들이 유지된 채 융합된 조합(組合)을 의미한다. 제시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현(現) 모바일 콘텐츠를 분석하면 모바일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가 대칭형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과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과거의 비대칭형 모바일 콘텐츠 역시 대칭형으로 재개발 되고 있다는 콘텐츠 산업의 경향이 도출된다. 현재 모바일 콘텐츠는 대칭적 성향과 비대칭적 성향이 공존한다는 측면에서 모바일콘텐츠 분류에 있어 대칭형과 비대칭형의 개념적 분류는 당분간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바일 분류체계는 모바일콘텐츠 관련 연구자에게 컨버전스 경향은 물론 속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동시에 모바일콘텐츠 관련 개발전략과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일정정도 방향성 및 토대를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Current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s have two major problems. One violates a principle of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reveal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a new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 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by adapting Al Ries's principle of symmetric and asymmetric transition. Symmetric mobile contents take a form of mutation in convergence process; therefore, the contents would appear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s whereas asymmetric type combines mobile contents in an autonomous way. This new system not only demonstrates a clearer classification but also implies the trend of mobile content development and services. The current suggests that symmetric type is preferable and symmetric type of mobile contents is re-developed to become a symmetric type as much as the technology can support. Nonetheless, it is found that asymmetric type would still be serviced to some extent. Thus, new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 proposed in this research, provides a more constructive understating of mobile content's directions in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and a groun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e content's development or positioning strategies.

      • KCI등재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 이해분석을 통한 공모지침 개선방안 연구

        하승용(Ha, Seungyo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의 이해분석을 통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공모지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모전 사이트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영상 콘텐츠 공모전 현황을 파악하고, 영상 전공 대학생 집단 및 비전공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제작하였으며 UCC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모 기간은 공모 주최기관의 상황 및 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영상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한다. 영상길이에 따른 공모기간 설정은 수요자에게 질 높은 UCC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학년제 기준으로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으로 연령을 구분하고 제한 경쟁방식 공모전을 시행하는 타 분야의 공모전처럼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의 공모자격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수요자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UCC 영상 콘텐츠의 이해 및 공모 참여 확대를 위해 영상 제작 교육이 필요시 되며 이는 공모전 경쟁력을 높이며 공모기획 및 취지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관 및 단체에서 일관된 공모지침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는 없으나 공모전 시행담당자가 본 연구에 대한 공감과 수용적 자세가 전제된다면 보다 나은 공모지침으로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ition guidelines for UCC video content contest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ests of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consumers. Through the competition site, the status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held in Korea in 2020,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was produced for the video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non-major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understanding of UCC video conte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conte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chedule of the host organization of the contest and should also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ideo. Setting a public offering period according to video length will provide consumers with the opportunity to produce high-quality UCC video content. In addi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f they classify and present qualifications for competition among major and non-major groups, such as contests in other fields that distinguish ages by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Finally, video production training is needed to understand UCC video content and exp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st, which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st and promote the plan and purpose of the contest. Although consistent public offering guidelines cannot be applied equally by man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mpetition"s implementers sympathize and acceptable attitude with this study, better public offering guidelines will achie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