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

        전상민(Jun Sang 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맞게 식품위해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안전한 식품 구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효성 높은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식품표시 확인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품위해불안이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표시 확인이 안전표시식품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식품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과 소비자교육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ng plans for food labeling system that can successfully cope with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enhance safe food purchase in accordance with consumer s knowledge level on safety labeling. We tested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and safe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knowledge level of safety labeling. Data obtained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were use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about safety labeling, but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Further, consumer anxiety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with purchases by those with high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more strongly affected than those with low knowledge. Lastly, food label use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but the influence of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effective operating plans of food labeling system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for protecting consumers from food hazards and ensuring food safety.

      • KCI등재

        다단계판매 구매경험자의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

        서미혜 ( Mi Hye Seo ),이승신 ( Seung Si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3

        다단계판매를 하나의 사행적 수단으로 여겨 금전유통을 목적으로 판매조직 가입을 권유하거나 상품 구매를 강요하는 판매행위로 인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불법다단계판매 및 불법피라미드 사건 및 사고와 이로 인한 피해를 접함으로써 ‘다단계판매=불법다단계판매’라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욱 부각되어 인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판매 구매경험자의 다단계판매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살펴보고자 2011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다단계판매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조사대상으로 150명에게 E-mail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소비자들의 다단계판매 정보원천 이용도를 살펴본 결과 다단계판매제품 구매경험자는 다단계판매원으로부터 다단계판매에 관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다단계판매 소비자지식에 따른 소비자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단계판매 법률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편의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단계판매 법률 관련지식이 높을수록 다단계판매 제품인지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단계판매에 대한 법률적 지식은 다단계판매를 이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위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전한 다단계판매 확립을 위한 소비자, 정부, 기관 및 단체, 기업의 기본적인 역할은 소비자의 다단계판매에 대한 객관적 정보 획득, 정부의 불법다단계판매 규제 강화, 기관 및 단체의 다 단계판매에 대한 지식 제공 및 피해예방 교육실시, 기업의 판매원 교육 및 우수 품질 개발이 필요하다. Multi-level Marketing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because the distributors in this system think that it is for currency circulation, and recommend their customers to join them or force them to purchase their products. The consumers who don``t have an accurate knowledge of the Multi-level Marketing come to recognize its negative aspects that this marketing strategy is illegal rather than positive ones as they experience some incidents or accidents caused by the illegal Multi-level Marketing or pyramid sell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the sources of consumers`` information of the Multi-level Marketing,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who have bought some products sold by the network marketers get the information of the marketing from the sellers. Upon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ve influences that consumers`` knowledge of the multilevel marketing has, when those who experienced purchasing have the knowledge of the law of this marketing system, they recognize it highly convenient and have high product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knowledge of the law of multi-level marketing is affected a positive effect. It can be summarized that to establish a healthy multi-level marketing in our country, the consumers should get th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multi-level marketing, the government increase the restrictions on the illegal multi-level marketing, the organizations and the institutions provide education and correct information about this marketing for consumers to prevent the damages from it, and the enterprises educate their distributors with high quality products development. From this research findings, the main agents can search for the ways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multi-level marketing and lead ti to healthy sales system.

      •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가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

        육묘(Miao Lu),육기(Qi Lu)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5 No.1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기업과 소비자 간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전문 블로거가 생성한 콘텐츠를 체험 관련 콘텐츠와 프로모션 관련 콘텐츠로 구분하고 소비자의 제품 정보 및 리스크 인식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의 정보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콘텐츠 마케팅 과정에서 외부 환경은 소비자 가치 및 리스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콘텐츠 유형에 따라 적절한 환경을 선택하여 소비자의 정보채택 의도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흔한 볼 수 있는 사회 현상인 사회적 크라우딩을 시각으로 휴리스틱 체계적 모델 이론을 적용하여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3가지 실험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되었다. 즉,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정보 처리 유창성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시회 크라우딩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있는 결과를 검증됐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그라우딩 및 콘텐츠 마케팅 분야의 연구를 풍부하게 되고 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즉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사회적 크라우딩 상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Social media marketing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The study focuses on categorizing content generated by professional bloggers into experiential and promotional types, considering that consumers’ levels of product information and risk perception vary, influencing their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refore, businesses should select appropriate environments based on the type of product content to enhance consumer’ willingness to adopt information. Consequently, the exploration of how to effectively increase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by selecting environments is a relevant issue. In this study, the common social phenomenon of social crowding is explored visually, applying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crowding and professional blogger content types on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validated through three experiments, demonstrating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user-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influences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Furthermore, information processing fluenc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 study also verified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 knowledge levels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oretically, this study enriches research in the fields of social crowding and content marketing, providing insights for businesses in formulating marketing strategie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ppropriate social crowding situations for various types of content marketing activities.

      • KCI등재

        제품옵션 수준의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방식 프레이밍 효과와 구매 에피소드 및 지식 수준의 조절적 역할

        전성률(Jun Sung Youl),전정배(Jun Jung Bae) 한국마케팅학회 2003 마케팅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제품옵션 수준의 선택에(예: 옵션의 업그레이드 혹은 다운그레이드 결정)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프레이밍(상향조정식/하향조정식 의사결정방식)과 구매상황에서의 에피소드(동일 구매상황에서 이미 주어진 대상제품의 특성)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들의 상호작용 및 소비자들의 지식수준에 따른 이들 효과의 차별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의사결정상의 왜곡과 휴리스틱의 사용이 옵션프레이밍 방식에 의한 옵션선택의 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부담해야하는 비용을 지각함에 있어 옵션가격을 기준제품에 대한 비율로서 상대적 지각을 하고, 옵션프레이밍 방식에 의해 제공된 옵션들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의사 결정상의 특성들이 하향조정식 옵션프레이밍 상황에서 더 많은 프리미엄 옵션을 선택하게 하는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소비상황과 같이 시간적으로 근접한 혹은 동일 목적을 가지고 소비되어지는 제품들 간에는 기능적인 유사성이 전제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나의 제품 선택결정이 다른 제품의 선택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에피소드 효과(consumption episode effect)가 제품 옵션수준 결정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옵션프레이밍과 에피소드 효과의 상호작용 역시 나타났다. 상향적 옵션프레이밍과 하향적 옵션프레이밍 간의 소비자의 프리미엄 옵션 선택에 있어서의 차이는 구매 에피소드(자원관련 혹은 목적관련 에피소드)가 제시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들은 제품군에 대해 잘 발달된 개념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은 인지적 노력으로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회상할 수 있는 반면, 초보자는 제품속성에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처리 과정에서 먼저 그 속성들에 대해 학습한 후에야 속성들을 제품과 연결시키게 되므로 전문가에 비해 요구되는 인지적 노력의 양도 더 많다. 또한, 전문가는 제품이 가진 내재적 속성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탐색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초보자는 제품평가에 활용할 충분한 지식이 없어 추가적으로 가격 등의 외재적 속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비분석적 규칙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아 초보자가 전문가에 비해 옵션프레이밍 방식과 같은 의사결정 프레이밍 및 에피소드 효과에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이 밝혀졌다. 끝으로 소비자들은 옵션프레이밍 방식과 일관된 목적의 에피소드가 제시될 경우에 더 적은 시간을 의사결정에 할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옵션프레이밍과 일관된 에피소드가 자극으로 주어질 경우 소비자들은 그들의 구매전략이나 제품옵션 평가에 대한 일관된 기준을 유지함으로써 더 적은 소요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decision framing(additive versus subtractive decision framing) and consumption episode affect consumers` choice of product option level and their potential interaction effect.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influence of consumer knowledge on the main effects of decision framing and consumption episode. Biases and heuristics in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render decision fram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judgments. Specifically, consumers` tendency to perceive an option price as a proportion of the reference product price, not as an absolute amount, together with the status quo effect results in choice of more premium options in subtractive option framing situation versus additive option framing situation. Consumption episode effect also applies to this task of product option level choice, and this effect turns out to interact with option framing effec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mium options chosen between subtractive and additive framing situation appears to be greater when no consumption episode is given versus when consumption episodes such as resource or benefit episode are give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product knowledge plays a moderating role for the decision framing and consumption episode effects since experts are more likely to rely on intrinsic product attributes for their product evaluation and judgments while novices tend to depend on extriasic attributes of a product thus more susceptible to framing effects and decision heuristics.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전통무용공연 소비자그룹 분석

        성재형 ( Jae Hyung S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전통무용공연의 소비자그룹 분류를 통한 소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무용공연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함께 인지적 특성으로서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을 설명변수로 소비자그룹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관람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인지하면서,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성도 함께 갖춘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무용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멀게 느끼는 그룹일수록 관람률이 적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전통무용공연관람 여부라는 전통무용 소비행태에 대해 교육과 경험을 통해 개발 가능한 변수인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이 인구통계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Attending performing arts received much attention as the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t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because the most of performing arts were concentrated in the western performing arts and the popular arts.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 and cognitive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on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although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had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y had not been used for analysis for traditional dance market. Note that psychological distance and level of knowledge could be developed or learned by experiences and training. That is, if the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classify the consumer groups, we could make consumers in traditional dance to be more active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atching experiences to the consumers.

      • KCI등재

        The Study on the Effect of Waiting Line on Consumers’ Perceived Quality and Emotional State

        Nan Li,송재도 한국마케팅학회 2019 ASIA MARKETING JOURNAL Vol.21 No.2

        This study examines a model which simultaneously contains two paths between waiting line and purchase intention: one tested the positive effect of waiting line through consumers’ perceived quality, whereas another one go through consumers’ emotional state to test the negative effect of waiting line on purchase intention. To further understand perceived quality, the study divided perceived quality into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The study used restaurants in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long waits in line will directly increase both consumers’ product quality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the total indirec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are still significantly positive. For consu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long waiting situations have no such effect on it. Significant results from a moderation analysis also shown that consumers in low-level knowledge settings are more influenced by waiting lines than those in high-level knowledge settings when they make the product’s quality-related judgment. However,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aiting lines and service quality.

      • KCI등재

        내추럴와인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재구매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환경관심도와 와인 지식수준을 조절효과로

        정의석,황조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3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내추럴와인 소비자의 경험적 소비가치가 재구매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관계와 더불어 와인지식수준과 환경관심도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6개의 경험적 소비가치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 내추럴와인 소비자들은 내추럴와인의 품질 우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내추럴와인을 마신다는 것은 사회적 관계에서도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고 인식하여 다소 비싸더라도 재구매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관심도는 상징적가치가 재구매의사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와인지식수준은 유희적가치가 재구매의사에, 기능적가치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추럴와인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s of natural wine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wine knowledge level and environmental concern. Six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s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consumers aged 20 and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wine consumers appreciate the high quality of natural wine and view it as a valuable asset in social relationships, hence they are willing to repurchase natural wine despite its cost. Concerning environmental impact, the symbolic value had a moderating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but not on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As for cognitive awareness, the study found that playful value has a moderating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functional value affects premium payment intention. The study draw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natural wine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its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남지연(Nam, Ji-Yeon),주세영(Ju, Se-Young),홍완수(Hong, Wan-Soo)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4

        본 연구는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외식행태, 그리고 지식수준과 그에 따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들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조사대상자의 외식행태와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관련 일반사항에 대한 문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주당 외식횟수는 7회 이상, 외식 시 1회당 비용은 1 ~ 2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은 원산지를 가장 중요시하는 식품으로 어패류이고, 육류, 가공식품 순이었다. 또한 식품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에서는 원산지표시가 가장 높았으며, 위생, 품질, 영양표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산지표시제를 보고 메뉴를 선택 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원산지표시제를 보고 메뉴를 선택할 의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관련 지식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평균점수는 6.3/10점이었다. 가장 정답률이 낮았던 항목은 ‘죽, 식혜, 떡, 면 등도 원산지표시를 해야 한다’이고,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대체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식업체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들에 대한 지식수준은 높았으나 세부적으로 물어보는 문항에서는 낮은 정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의 지식수준 (하위집단, 상위집단)에 따른 일반적 사항과 외식행태에서는 일반사항과는 최종학력과 직업에서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원산지 표시를 위한 홍보 및 보다 구체적인 사례를 포함한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에 대한 후속 연구도 같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후속연구의 결과들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식품 안보나 식품 안전성 정책 방향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추후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가 반영되기를 기대해 본다. Purpose: Because of recent global and domestic issues regarding the safety of food, there is growing concern over food safety and interest in the country-of-origin for food ingredients from restaur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consumer level of knowledge and awareness regarding restaurants and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primary survey of adults aged over 20 years old was conducted to measure customers’ knowledge regarding country-of-origin labeling for restaurants. Respondents were then divided into a lower group and an upper group based on their level of knowledge to evalu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 total of 437 of 46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knowledge score regarding country-of-origin labeling for restaurants was 6.3 out of 10.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group in terms of the final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guidelines and public relations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of restaurants.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국악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참여의사 예측요인 분석

        박현승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3 No.-

        This paper analyzes factors that affect participation intention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Gugak). It included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d of cultural arts and Korean tradition performing arts, cultural capital, social distance, attitude for Gugak, and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is the first, as for as we know, to study consumer behavior, knowledge, attitude, cognition, experience, and intention regarding Gugak.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suggest that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d of cultural arts and Gugak, cultural capital, social distance, attitude about Gugak, gender, level of income, age, and level of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toward Gugak, while level of educ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국악에 대한 참여의사를 분서하였다. 이를 위해 국악에 대한 지식수준, 문화예술교육경험 유무 및 경험시기, 국악교육경험 유무, 국악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문화자본의 보유수준(상속된 문화자본, 획득된 문화자본), 국악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소비행동으로서 참여예측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국악에 참여하고자 하는 그룹은 국악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있으며, 청소년 시기 이전 즉,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과 선호가 확립되어지기 이전에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있는 집단, 국악교육경험이 있으며, 문화자본의 보유수준이 높으며, 국악에 대해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느낄수록, 국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수록 국악에 대해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그리고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가까운 미래에 참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는 것이며,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과 선호가 확립되기 이전 시기 일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나 친근함이 높을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의사 역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는데, 향후 국악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 확대 및 친근함을 높임과 동시에 호기심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행동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국악에 대해 보유한 지식수준과 문화예술 및 국악교육경험, 문화자본의 보유수준, 국악에 대해 인지하는 사회적 거리감, 국악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인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해 소비행위로서 참여의사를 예측해 보았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