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설턴트 역량이 컨설팅 성과, 활용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용대,서원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As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MEs is changing drastic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on consulting performance, consulting utiliz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effect of consulting'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n consulting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103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54 SMEs that received technology and management consulting support from the Technology Guarantee Fund. According to the practical analysis result, knowledge(β=.377, p<.001) and attitude(β=.461, p<.001) among the consultant's competenc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R2=.623) with consulting performance, and consulting performance had positive correlation(R2=.668) with consulting utiliz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β=.817, p<.001). Participation in consulting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onsulting performance on consulting utilization. 본 연구는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컨설팅 성과가 컨설팅 활용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및 컨설팅 참여기업의 컨설팅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가 컨설팅 성과가 컨설팅 활용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기술‧경영컨설팅 지원을 받은 154개 중소기업으로부터 회수되어진 103개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컨설턴트의 능력, 지식, 태도부분으로 구분된 컨설턴트 역량 중에서 지식 부문(β=.377, p<.001)과 태도 부문(β=.461, p<.001)이 컨설팅 성과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2=.62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컨설팅 성과는 컨설팅 활용도 및 재구매 의도(β=.817, p<.001)에 정(+)의 상관관계(R2=.668)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진기업의 컨설팅 이해도는 컨설팅 성과가 컨설팅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하였으나, 컨설팅 참여도는 컨설팅 성과가 컨설팅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 컨설팅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상봉(Lee, Sang-Bong),이철규(Lee, Cheol-Gyu),서철승(Seo, Cheol-Seu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컨설팅특성과 컨설팅성과의 경영성과에 대한 직접효과와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실증연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컨설팅 성과 향상을 위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최근 3년 간 경영컨설팅을 경험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한 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컨설팅역량과 기업참여도 및 컨설팅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설팅완성도는 컨설팅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팅역량은 컨설팅성과를 통해 경영성과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컨설팅역량과 기업참여도는 컨설팅완성도를 통해 컨설팅활용도에, 컨설팅완성도는 컨설팅활용도를 통해 경영성과에 각각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중소벤처기업은 경영컨설팅에서 컨설팅특성과 컨설팅성과의 경영성과에 대한 직접효과는 물론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당초 설정한 경영 목표를 효율적․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실증함으로써 새로운 경영환경에서 중소벤처기업 경영컨설팅의 유효성을 재확인하였다. [Purpose]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d the direc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onsult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lting performance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VBs. [Methodology] After reviewing related paper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MVBs that had recently experienced management consult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by SPSS 22.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tested by AMOS 22.0 for SEM analysis. [Findings] First, consulting competency, company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consulting comple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onsulting utilization. Third, consulting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onsulting performance. [Implications] SMVBs can improve the targeted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through mediation effect of consult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direct effects of consult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KCI등재

        A Study on The Influnene of Consulting Paticipation of The Consulted Firm on Consulting Repurchase Intention

        이우진,김정렬,김상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if the consulting is started by the consulting of the company,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lting firm to operate the consulting firm Consulting perform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consulting. Although consulting firms have been studying various prior research papers in view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proceed with the sales strategy of repurchasing in mind, most of them deal with research on consulting performance on the supplier 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company has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consulting in the event of a situation or situation and consequentl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purchase consulting.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y are visibl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s ​​and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by CFA were obtain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consultant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the consulting compan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sul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the consulting repurchase intention. Since the consultant shows the result in an empirical way, the consulting company participates in the role and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hat firms should be very careful about th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nderstanding because they affect the repurchase intention of consulting firms.

      • KCI등재

        대학생 경영컨설팅 인턴의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강예지,장원섭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This study is about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community of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ir business consulting internship. We found following findings as a result of qualitative case studies. First, business consulting internship provided learning and growing experience to the students. Business consulting workplace community enabled ‘learning alone’ and ‘learning together.’ Due to the position of inter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by oneself increases learning autonomy and made ‘learning alone’ possible. Also, students agonized and solved the facing problems with the community members and practiced ‘learning together’. Second, student’s intern activity can be explained as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CoP). As CoP, the workplace of business consulting has existing culture that has been set by the workers. Like this, the participation in workplace is not just infecting propositional education but can be a learning source to achieve learning from social participation in community. Finally, internship can be explained a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e ‘legitimacy’ that group community authorizes means officially approving the status of ‘intern’ and to giving the authority to experience and learn the work. These authority helps the student to feel sense of belonging in the group and to keep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However, interns are at ‘peripheral’ place of having limitation in full participation. Intern’s peripheral position did not go through recruiting process and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not approach to the center of the group is stays in ‘incomplete legitimacy’ 이 연구는 대학생 경영컨설팅 인턴이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해 경험하는 학습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영컨설팅 인턴십에 참여한 여덟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업무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들은 경영컨설팅 일터 공동체에 참여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배움과 성장의 기회를 얻었다. 일터 선배들을 통한 비참여의 경험은 일터의 맥락을 이해하고 미래를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경영컨설팅 일터에서 인턴들은 스스로 배우기와 함께 배우기의 과정을 겪었다. 일터의 실제 상황 속에서 팀의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은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 배우도록 했고, 구성원들과 함께 직면한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면서 함께 배우기를 실천했다. 이들은 또한 실행공동체로서 경영컨설팅 일터가 가지는 공동업무, 공동자산, 호혜적 관여를 경험했다. 이를 통해 경영컨설팅 일터가 쌓아온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배울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실행공동체 참여는 불완전한 합법성의 한계를 나타냈다. 이들은 합법적인 허락에 의해 일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고, 주변적인 위치에서 다양한 층위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턴은 더 이상 조직의 중심부로 진입할 수 없었고, 완전한 참여에 제한받는 불완전한 위치에 놓여 있을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고객과 컨설턴트 간의 유대관계가 컨설팅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신뢰의 매개효과, 컨설턴트역량 및 고객의 컨설팅 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창호 ( Chang Ho Choi ),노재확 ( Jae Whak Roh ),유연우 ( Yen Yoo You ) 한국생산성학회 2013 生産性論集 Vol.27 No.3

        The competence based trust and the benevolence based trust mediated the effect of ties between clients and consultants on consulting project performance in my study. The impact of ties between clients and consultants on the benevolence based trust was moderated by the client`s participation of consulting and the impact of the competence based trust on the consulting project performance was moderated by the consultant`s competence. From the above empirical analysis, we appreciated that the building of the strong trust relationship with ties in general between clients and consultants is very important to promo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eventually maximize enterprise valu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nhence the client`s participation of consulting and the consultant`s competence for systemetic increasing effects of the competence based trust and the benevolence based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es and consulting project performance within the clients and consultants.

      • KCI등재

        중소기업의 컨설팅 참여도 및 이해도와 컨설팅 재구매 의도와의 관계 연구

        홍정훈(Hong, Jung-Hun),박상연(Park, Sang-Y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을 받은 수진기업(受診企業)들을 대상으로 컨설팅 참여도 요인이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수진기업의 당해 컨설팅에 대한 이해도가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되었던 관련 국내외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실무 담당진과의 면담을 통해 6개의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국내 중소기업의 컨설팅 참여도 · 이해도 및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컨설팅 재구매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진기업의 참여도 제고와 함께 컨설팅 이해도를 높이는 노력이 동시에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컨설팅 수진기업의 컨설팅 참여도 · 이해도 요인이 컨설팅 수행 성과 및 매출 증대와 관련하여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관련 분야의 후속연구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assessed the extent to which consulting companies have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consulting in some cases or situations, and how this affects consulting repurchases. In addition, we empirically assessed whether clients’ understanding of consulting affects the intention of consulting repurchase.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described prior literature review and we examined various researche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with strategic account. Six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ind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proven that both customer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nderstanding need to be enhanced to increase consulting repurchase. [Implications] This study can see that it is important to conduct the consulting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role and process of the client’s personnel an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nsulting.

      • KCI등재

        공공기록 평가의 책임과 권한의 분배 : ‘시민참여 평가’를 중심으로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60

        Today, the civil society plays a key role not only in criticizing and monitoring the functions of the state and the market, but also as an active producer of public services by complementing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Public records management is also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the case of appraisal and selection, which is the core area of record management, discussions about citizen participation are becoming more serious than any other areas. The concept of ‘proactive appraisal’, which has emerged as a paradigm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appraisal, reminds us that citizens themselves are the subjects of public records and are no longer alienated from the appraisal system. The problem is, while the growth of the Korean civil society about institutional participation is spreading rapidly, but citizen participation is hard to find in the field of public reco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appraisal of public records, and to debunk the rol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appraisal processes by exploring the examples in the UK, Canada, and Australia.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appraisal system of the national public records in crisis today could be largely restored through the domestic application of this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cases. First of all, this study presents a conceptual appraisal model that could reflec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record management along with the analyses of the advanced cases in some western countries.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the models of ‘appraisal documentation’ and ‘governance-based appraisal’, reflecting the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citizens’ participatory evaluation models should be settled in Korea in the future and we should urgently discuss ‘citizen participation appraisal’. 오늘날 시민사회 영역은 국가와 시장이 가진 기능을 비판하고 감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정부와 공공 부문을 보완해 공공 서비스의 적극적 생산자 역할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공공 기록관리 영역도 시민 참여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기록관리의 핵심 영역인 평가 및 선별의 경우 그 어느영역보다도 시민참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평가의 시민참여패러다임으로 등장한 ‘능동적 평가(proactive appraisal)’ 개념은 우리에게시민 스스로가 공공기록의 평가 주체이자 더 이상 평가 체제에서 소외돼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일깨우고 있다. 문제는 국내 시민력의 성장과 제도적 참여 논의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에 반해, 공공기록 영역에서 시민 참여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는데 있다. 이 글은 국내 기록 평가 과정의 시민 부재와 기능주의에 기댄 경직성을 타개하기 위해서, 영국, 캐나다, 호주의 선진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 기록 영역에서 ‘시민참여 평가’를 구현하려는 제도적 기반과 실무 차원의 다양한 방법론의 적용 사례들을 살핀다. 본 논문은 오늘날 위기에 처한 국내 공공기록의 평가제도가 이러한 능동적시민참여의 사례 적용을 통해 크게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해외 선진 사례의 분석과 함께 기록관리 현장에 시민참여가 반영될 수 있는 개념적 평가 모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능동적 시민참여를 반영한 ‘평가도큐멘테이션’ 모델과 ‘거버넌스 기반 평가’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시민참여형 평가 모델을 향후 국내에 안착해 ‘시민참여 평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급히 이끌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초등 교사들의 체육수업컨설팅 참여유형 분석

        양정모(Yang, Jeong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체육수업컨설팅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으며 그러한 유형이 어떠한 지에 대해 총체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체육 수업컨설팅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수업컨설팅 참여경험이 있는 1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 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Spradley(1979)가 제시한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을 통해 체육수업컨설팅의 참여유형으로 개념화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소통과 상생을 통해 새로운 앎에 대한 탐구와 성찰적 기회를 형성할 수 있었던 ‘줄탁동시형’, 헌신과 관망을 통해 개별중심의 형식적인 배움의 과정에 봉착하게 한 ‘절름발 이형’, 요식행위와 견마지로의 활동을 통해 배움과 상생의 간극이라는 현실적 충격과 외톨이 식의 사유를 제공한 ‘주먹구구식형’, 엉뚱한 코멘트와 외면으로 인해 발전적이고 협동적인 피드백 제공 부족과 동상이몽이라는 컨설팅의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한 ‘공행공반형’으로 체육 수업컨설팅의 참여유형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participation style of Instruction Consulting at an Elementary School and to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get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and complicated mechanism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researchers selected 16 participants by purposeful sampling.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self-reflective question, documents data, e-mail and telephone contac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is were obtained from review and triangulation with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founded that there were four styles of teacher’s participation culture of the participants at an Elementary School: ‘community of constituent teaching and learning’, ‘lame’ style, ‘Rule-of-Thumb’ style, ‘no behavior-no gain’ style between consultants and consultantees.

      • KCI등재

        소비자들의 판매원 상담 동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판매원 매력성과 소비자의 통제위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민재,박영근,배준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2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salesperson consultation which can experience only in off-line stores in spite of the emergence of on-line stores and its effect. We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s of salesperson consultation on motivation of salesperson consultati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alesperson attractiveness and locus of control of consum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salesperson consultation and participation of salesperson consultat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405 consumers that had visited department stores within 2 weeks and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21.0. As a result, purchase uncertainty, shopping pleasure and relationship strength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of salesperson consultation. In addition, salesperson attractive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strength and participation of salesperson consultation but the moderation effect of locus of control of consumers i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that salesperson consultation initiated by consum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role of salesperson is important in the consultation experience. 본 연구는 온라인 매장의 높은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판매원의 상담 행동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판매원과의 상담 동기가 판매원과의 상담 참여, 지각된가치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판매원 매력성과 소비자의 통제위치가 판매원과의 상담 동기가 상담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최근 2주 이내에 백화점을 방문한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05개의 샘플을 모집하여 SPSS 18.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판매원과의 상담 동기 중 구매 불확실성, 쇼핑 즐거움, 관계 강도는 판매원과의상담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판매원과의 상담 동기는 지각된 가치에, 지각된 가치는 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원 매력성은 판매원과의 상담 동기 중에관계강도가 판매원과의 상담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통제위치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판매원에 의한 설득 전략 없이도 소비자에 의한 판매원과의 상담 참여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상담 참여 경험에서 판매원 역할의 중요성이다.

      • KCI등재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참여 현황과 문제점 탐색: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중심으로

        이나경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1 行政論叢 Vol.59 No.3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Chang-sin and Sung-in urban regeneration leading projects and explored their problems based on this analysis. A new type of resident participation analysis framework was design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 participation. This framework was made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OECD’s types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US Transportation Bureau’s Public Involvement (PI) system. According to this framework,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 participation was analyzed in the Chang-sin and Sung-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ng-sin and Sung-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imed for a “resident-led” project, but residents did not participate enough to achieve this goal. In particular, problems such as a lack of collecting opinions from residents, a lack of resident representation in key groups, and a sporadic program for strengthening resident competency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ong-term resident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s through consultation to collect residents’ opinions, opening participation programs, and organization of groups representing the majority of residents in order to implement resident-participa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주민참여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재생사업 주민참여의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주민참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OECD의 주민참여 유형과 미국 교통국의 PI(Public Involvement) 제도 유형을 수정, 보완한 새로운 주민참여 형태 분석틀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의 주민참여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이 주도하는’ 사업을 목표로 하였지만, 실제 이 목표를 달성할 정도의 주민참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주민 의견 수렴 부족, 핵심 그룹의 주민 대표성 부재, 비연속적인 주민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목표에 맞게 시행하기 위해서 주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협의, 참여 프로그램 개설, 주민 다수를 대표할 수 있는 그룹의 조직, 주민 인식 조사를 통한 장기적인 주민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