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단 내 갈등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방호진(Bang, Ho-Jin) 대한경영학회 2014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과업갈등(task conflict)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집단 내 갈등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relationship conflict)으로 구분되는데(Jehn, 1995), 상대적으로 과업갈등의 효과가 모호한 상황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견의 불일치가 집단의 창의성과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예, Amason, 1996; Jehn. Northcraft & Neale, 1999), 일부 연구에서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과 유사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하고 전반적으로 집단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기도 하였다(예, Amason, 1996; Amason & Sapienza, 1997; Jehn, 1997; Jehn & Mannix, 1997).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과업갈등의 특성이 모호하게 나타나는 이유로 과업갈등의 주효과가 비선형적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집단의 다양한 특성과 상호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제조업 161개 팀(9,369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과업갈등은 집단성과에 대해 비선형적(∩형)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1을 기반으로,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가설2, 과업갈등과 직무요구(job demand)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3을 도출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성과는 동일방법편의를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기업의 실제 팀 성과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직무요구는 팀원이 아닌 팀장을 대상으로 별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종속변수로서 실제 집단성과 이외에 인지된 집단성과를 추가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갈등의 인지적, 정서적 영향력에 대한 보다 명확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다차항회귀모형 및 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한 분석결과, 실제 집단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가설들은 모두 지지되었으나, 인지된 집단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경우 과업갈등의 주효과와 과업갈등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 효과가 기각되었다. 이후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d hypothetical relationships between task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with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demand. Past research shows very little consistency on the effect of task conflict. Some research suggested positive effect of task conflict through constructive discussion and debates between group members(Amason, 1996; Jehn. Northcraft & Neale, 1999), but others suggested negative effect of task conflict through negative aspects of cognition and emotion followed by conflict(Amason, 1996; Amason & Sapienza, 1997; Jehn, 1997). By reviewing antecedent literature I draw hypothetical conclusion that the inconsistent effects of task conflict mainly result from the non-linear aspect of task conflict and group variables which interact with task conflict within group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I collected data from 9,369 employees(161 teams) in a large Korean manufacturing company in semi-conductor industry and examined research models with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and response-surfa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However,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demand between task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afterwards.

      • KCI등재

        평화적 갈등해결 기제로서의 선거: 선거를 통한 생활갈등의 해결 모색

        고경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4

        Korea is becoming a “society with daily life conflicts” as conflicts began to intrude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s article starts with a basic awareness that elections can be effective means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era of daily life conflicts.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role of an election, and its utilization as a conflict-resolution mechanism, in order to explore ways to more effectively resolve daily life conflicts. For this research, first, diverse existing conflict-resolution mechanisms are reviewed and analyzed, within which the status of an ‘election’ as a conflict-resolution mechanism was examined, followed by a case examination of each type of mechanism. Then, an election’s potential as a conflict-solving mechanism is analyzed, focusing on frequently occurring recent cases. Finally, the resultant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utilizing an election as a conflict-solving mechanism have been classified and summarized. 갈등이 일상의 ‘생활세계’로까지 확산되면서 한국 사회가 “생활갈등사회”가 되고 있다. 이 글은 ‘선거’가 생활갈등의 시대에 유효한 갈등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기본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 글은 선거를 통해 효과적인 생활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갈등해결 기제로서 선거의 역할과 활용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은 기존의 다양한 갈등해결 방식들을 수렴하여 유형화하고, 그 속에서 갈등해결 기제로서 ‘선거’의 위상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갈등해결 방식에 따른 유형별 사례들을 검토한다. 이어서 갈등해결 기제로서 선거의 활용 가능성을 최근 빈발하고 있는 생활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갈등해결 기제로서 선거를 활용하기 위한 함의를 정리했다.

      • KCI등재

        간호사가 지각하는 의사와의 갈등 전이: 전이 형태와 정서의 매개역할

        이병주,장재윤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flict transformation pattern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s in nurse-physician conflicts. Nurses experience relatively heavier amount of relationship conflict compared to physicians. Relationship conflicts are known to have adverse effects on team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Using a five-day diary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nurses in large hospitals. The respondents selected the physicians with the most frequent interaction, and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at specific interaction while most existing studies used the information elicited from the interaction with the most conflicts. Several HLM analyses on conflicts scales showed that there were conflict transformation from task conflict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that positive emotion mediated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other words, once task conflict wa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 decreases, and the decrease leads to the increase of relationship conflict the following day. However, the emotion itself did not carry over to the next day. This result suggests that nurses are capable of psychological detachment, which buffers the emotional association for two consecutive days.

      • KCI등재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 및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임동진,윤종설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reign and domestic conflict database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nd doing research with conflict databa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conflict database from four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with three foreign conflict databases (KOSIMO, Germany; SCAD, Africa; and PCD, Europe). The research implications a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conflict databases in Korea are mainly focused on public conflicts inside Korea, foreign conflict databases target social conflicts and international disputes in African and European countries. Second, each conflict database in Korea needs to be differenti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blems of generalizability occurring in the field of conflict databases in depth.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diverse methods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flict databases. Fifth, the transparency of database references should be improved by opening the code book of conflict databases. Sixth, it is necessary to searching diverse coding methods using new computer programs in database coding conflicts. Seventh, the categories of conflict type need to be further subdivided. Eigh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nness and utilization of conflict data. Finally, more detailed construction and active utilization of conflict databases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주요 갈등DB 구축방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갈등DB 구축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4개 기관 갈등DB와 국외의 3개 기관 갈등DB(독일의 KOSIMO 갈등DB, 아프리카 사회갈등 갈등DB(SCAD), 유럽 시위 및 진압갈등DB(PCD))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에 따른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갈등DB는 주로 국내의 공공갈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갈등DB는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 국가들의 사회갈등이나 국제분쟁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갈등DB별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갈등DB도 갈등DB 구축시 나타나는 일반화의 문제 등 DB 구축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갈등DB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갈등DB 구축시 갈등코드북을 공개하여 갈등DB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갈등DB의 코딩방식을 새로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일곱째, 갈등DB 유형구분을 보다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덟째, 국내 갈등DB 자료 공개와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구축된 갈등DB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갈등예방 및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허영석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혁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간의 갈등 속에 드러난 갈등 양상과 갈등 구조를 파악하 기 위해 장애학생 2명과 일반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 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면담, 참여관찰, 연구자 메모를 통해 갈등 경험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 인 NVivo 10을 통해 입력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학생간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면, 통합학급 학생간 주요 갈등 양상으로는 첫째, 일 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의한 갈등 양상인 나는 너희랑 같아 VS 넌 우리와 달라, 둘째, 장애학생의 자기중심적 태도와 일반학생의 낮은 공감 수준으로 인한 갈등 양상인 나를 위한 학급 VS 우리 들의 학급, 셋째, 일반학생의 만만한 행동과 장애학생의 특이한 행동에 의한 갈등 양상, 넷째, 소수의 약자 로서 장애학생이 겪는 침묵과 인내의 고통과 일반학생의 도움과 배려의 의무에서 오는 갈등 양상, 다섯째, 장애학생을 사이에 두고 벌어지는 일반학생간 갈등 양상인 막 대하지마 VS 뭐 참견 하지마, 마지막으로 갈 등을 통해 공감수준이 높아지고 통합학급의 가치를 발견해 가는 긍정적 갈등 양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겪는 갈등의 구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통합 학급 학생의 갈등 촉발 요인으로는 신체적, 언어적, 행동적, 심리적, 인지적 요인을 토대로 표면구조와 심층 심리구조로 갈등 층위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통합학급 학생의 갈등 관계도에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질성에서 오는 반복적 대립과 갈등의 악순환으로 인한 중심 갈등이 나타났다. 더불어 갈등 당사자인 일 반학생과 장애학생을 옹호하는 일반학생간의 파생적 갈등이 나타났으며, 교사의 개입에 의한 영향도 중요 한 변인으로 드러났다. 또한 통합학급의 갈등 참여 형태로는 방화군(放火群), 소화군(消火群), 기자군(記者 群), 행인군(行人群)으로 갈등에 참여하여 통합학급의 갈등 조정과 재통합의 역할을 수행하여 갈등 해결능 력을 습득하고 통합학급의 안정성과 조화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ith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our common students as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llected data on conflict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researcher's memo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various conflicts that the subjects experienced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Collected data were entered and analyzed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gram called NVivo 10. The data entered in the program were encoded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conceptualized as nodes in the analysis system, and categorized into the upper and lower category of similar concepts. Firs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x major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m: the first one was “I am like you” vs. “You are different from us,” a conflict pattern derived from common students'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one was “the class for me” vs. “Our class,” a conflict pattern caused by the self-centered attitud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ow sympathy level of common students; the third conflict pattern stemmed from the soft behavior of common students and the uniqu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ourth conflict pattern was caused by the suffering of silence and patienc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weak minority and the duties of assistance and consideration among common students; the fifth one was “Don't treat them badly” vs. “Don't meddle,” a conflict pattern o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common students; and the final one was a positive conflict pattern to raise the sympathy level and discover the values of inclusive classes through conflicts.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The factors to trigger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were physical, verb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ones in a conflict hierarchy of superficial and deep psychological structure. The diagram of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highlighted central conflicts caused by repetitive confrontations due to heterogeneity between them and the vicious cycle of conflicts. There were also derivative conflicts between common students that were involved in the concerned conflicts and common students that advoca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fluence of teacher interference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hey participated in conflicts in the forms of the arson, extinction, reporter, and passerby group, acquiring the abilities of solving conflicts and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inclusive classes by regulating conflicts and promoting reintegration in those classes.

      • KCI등재

        갈등 대응 양상에 관한 인식과 인성교육적 함의

        김재봉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7 No.-

        This study explores how sixth-graders recognize patterns of responses to conflicts and how we can use the conflict response patterns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lso how they perceive conflict response patterns when analyzing facto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onflicts that also play a positive role in human life include such types as ‘access-access conflict’, ‘avoidance-access conflict’, and ‘avoidance-avoidance conflict’. And conflict responses that prior studies suggested include ‘competition, harmony, avoidance, compromise and integration’. Second, when conflict response is focused on key issues, the conflict response patterns, in the order of preference, are ‘avoidance>competition>harmony’. Third, in order to overcome avoidance, we should first choose ‘access-access conflict’ and then education on personality that emphasizes ‘harmony’, ‘compromise’, or ‘competition’ should follow. Forth, in order to overcome competition,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first be selected prior to the education on avoidance-avoidance conflict emphasizing ‘compromise’ or’ harmony’ Fifth, in order to overcome harmony,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ighlight ‘access-access conflict’ followed by the education emphasizing ‘competition’ or ‘avoidance’. Sixth, respondents recognize ‘negotiations’, ‘avoidance and integration’, ‘harmony, avoidance, and compromises’, ‘competition, avoidance and compromises’ as conflict responses in addition to competition, harmony, avoidance, compromise and integr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갈등 대응 양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인식한 갈등 대응 양상을 어떻게 인성교육에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요인분석을 했을 때 갈등 대응 양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삶에서 긍정적인 역할도 하는 갈등에는 ‘접근-접근 갈등, 회피-접근 갈등, 회피-회피 갈등’과 같은 유형이 있고,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갈등 대응 양상에는 ‘경쟁, 조화, 회피, 타협, 통합’이 있다. 둘째, 갈등 대응 양상의 인식에서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할 때의 갈등 대응 양상은 ‘회피>경쟁>조화’와 같은 선호도를 보인다. 셋째, ‘회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접근-접근 갈등’ 유형을 선택한 다음 ‘조화’나 ‘타협’ 또는 ‘경쟁’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회피-회피 갈등’ 유형을 선택한 다음 ‘타협’이나 ‘조화’를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해야 한다. 다섯째, ‘조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접근-접근 갈등’ 유형을 선택한 다음 ‘경쟁’이나 ‘회피’를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해야 한다. 여섯째, 응답자들은 ‘경쟁, 조화, 회피, 타협, 통합’ 외에 ‘협상’, ‘회피와 통합’, ‘조화와 회피와 타협’, ‘경쟁과 회피와 타협’을 갈등 대응 양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 KCI등재

        재난예방정책 추진 상의 갈등영향요인 및 수준에 관한 연구 : 한탄강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희(Kim, Do Hee),김민정(Kim, Min J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재난예방사업인 댐 건설 정책추진 전반에 걸친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사례를 토대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갈등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사례는 한탄강댐 건설 사례이다. 이 사례는 최초로 중재기법을 통해 오랜 기간 첨예하게 대립되어 온 갈등을 해결한 사례로 갈등해결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한탄강 댐 건설 사례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단계에 이르기까지 추진단계별 갈등 발생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으로는 공공갈등에서 주민참여, 법적준수, 상호신뢰 등이 갈등영향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주민참여, 상호신뢰에 대한 영향수준은 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법률 개정을 통한 사전검토협의회 운영의 의무화 및 활성화 방안, 중재자 선정과정의 투명성 확보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공공갈등사례에서 갈등해결의 방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응방안 모색에서 기존의 법·제도상 개선되어야 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primary conflict-influencing factors on the basis of a conflict case which has occurred over the whole process of implementing a dam construction policy as a disaster prevention project and to analyze their impact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Hantan river dam case. The Hantan river dam case is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arbitration scheme through which a long-lasted conflict involving sharp confrontation has been solved,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nsight in conflict resolution. We analyzed how conflict has evolved along the implementation steps ranging from the planning to the completion stage of the Hantan river dam construction and analyzed primary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of residents, compliance to legitimate procedures, and mutual trust are important as conflict influencing factors in a public conflic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mutual trust showed high impact levels.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mandatory operation of a preliminary review council, activation plan thereof, and a method for securing fairness in selecting an arbitrator through law amendment are needed. Through this research, we propose a basis for a directio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or solving conflicts in public conflict cases.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mplications on what should be improved for the existing law system in pursuit of active countermeasures.

      • KCI등재

        제주사회의 갈등과 도민통합 미래제주를 위한 제언

        신행철(Heaeng Chul Shin)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39 No.-

        이 글은 사회통합의 저해요인으로서 사회갈등에 대해 살펴보고 제주사회에 있어서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어낼 것인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제주사회에서 대표적인 갈등 사례들은 공공갈등인데 이들 공공갈등들은 정책갈등으로서 가치갈등과 이익갈등이 복합된 복합갈등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공공갈등(정책갈등)중에서 전국화 되는 경우도 있는데 민국복합형 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건설 , 투자개방형 의료법인(영리의료법인)병원 허용 , 4·3 사건 관련 사업추진에 관련해서 그러하다. 도민들은 제주사회의 모든 정책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민참여가 보장되지 않은 사업의 일방적 추진 이라고 보고 있다. 보다 더 중요한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갈등관리의 프로세스상의 문제점 이라는 지적이 있다. 말하자면 제주사회에 발생하는 갈등들은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여 일어난다는 것이다. 제주도에는 사회통합. 갈등 관리시스템으로서 사회협약위원회가 공적 기구로 조직, 운영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사회협약위원회의 권한과 기능 강화를 독립적인 갈등조정기구로의 전환 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사회협약위원회는 도지사에 부속된 자문기구, 위계제 속의 심의기관이 아니라 도지사로부터 독립되어 자기 결정권을 갖는 합의제 의결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가져야 할 것이다. 사회통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지적했듯이 제주 공공기관이 낮은 청렴도는 투명성의 결여를 초래하고 이어서 신뢰 상실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런 점에서 제주의 공공기관의 청렴도를 제고함으로써 신뢰의 기반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신뢰도에 더하여 도민통합에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일반 도민의 의식이요 태도이다.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conflict as a detrimental factor for social integration and suggests how to overcome current social conflicts to integrate Jeju society. Public conflict, which has been a main type of conflict in Jeju since 2000 s could be considered as policy conflict in which value conflict and interest conflict are mixed. Some public conflicts (policy construction of Jeju naveal base, permission of for-profit medical corporation, the April 3rd Treagedy related projects. Jeju people perceive the unilateral pushing forward with projects without residents particip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very policy conflic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problems in conflict resolution process are more important causes for the conflicts. The lack of systematic resolution of conflicts seems to be the main cause of those conflicts. The Social Agreement Committee was organized and are operating as an public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conflict and social integration in Jeju. Some experts suggest that this committee needs to be given more authority and empowerment for its transformation in to an independent conflict managing organization. The Social Agreement Committee should be Independent from the governor and become a decision-making system. Trust, a social capital, is most important for social integration. The low level of integrity in Jeju public agencies produces the lack of transparency, and it in turn leads to the low level of trust. Therefore, Jeju public agencies need to improve their integrity and strengthen the base for trust. In addition, Jeju people s consciousness and attitude are important for the integration of Jeju society and it is necessary to abandon the dichotomy of view and respect the diversit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갈등사례와 해결방안

        김재광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6 No.-

        The solutions to the conflicts in terms of local government–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or residents, or between residents–are as follows. First, the solution of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as follows. (1) In case of stopping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special sacrifice of ‘risk acceptance for public interest’ by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due to suspension of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2) In the case of high-level disposal site selection, residents need to be assured of safety before considering reimbursement, which should ensure that the hazards of the disposal site are minimized not only for future generations, but also for themselves. In any case, the compensation of money is important, but the confidence of the residents on the site safety is more important than compensation. and should be done in advance. Secon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border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mediation which the conflicts between city, county and district are mediated by metropolitan organizations, and inter-city conflict is done by the government. The new laws should include all of the provisions for special organization adjusting boundaries, the principles and criteria for the boundary adjustment, the subject of the boundary adjustment, the boundary adjustment procedure,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ion, and loss compensation. etc.. Thir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conflicts i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the permission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should head to reduce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damage to the mountain area, over development, and speculation of real estate that business could result in. Fourth,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residents is as follows. The case of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inviting Samcheok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implicates that it can be solved smoothly with trying constant communication and improvement efforts on facts that cause conflicts. 지방자치단체의 갈등사례–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의 갈등, 주민과 주민 간의 갈등 –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전건설 중단사례의 경우 대안 없는 탈원전정책은 원점에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가 원전건설 중단을 강행한다면 지금까지의 원전건설에 있어서 주민 간 극심한 찬반 갈등을 겪다가 국익을 위한 주민들의 대승적 결단으로 원전건설이 결정된 경위를 감안하면 정부의 일방적인 원전건설 중단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공익을 위한 위험의 인수’라는 특별한 희생에 대한 손실보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입법을 통해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2) 고준위방폐장 부지선정사례의 경우 주민들은 보상을 고려하기 전에 안전에 대한 확신이 필요로 하는데, 이는 방폐장의 위험이 미래세대 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도 최소화가 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우리의 경우에도 유치지역 지원을 위한 금전보상도 중요하지만 부지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확신이 선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단체 간 관할구역 경계 갈등사례의 경우 시ㆍ군ㆍ구간 갈등은 광역단체가, 시ㆍ도간 갈등은 정부가 중재에 나설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법률에는 자치단체 경계조정을 위한 전담기구, 경계조정의 원칙 및 기준(고려사항), 경계조정의 대상, 경계조정절차, 협의체의 운영, 손실보상 등에 관한 규정들이 모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발전사업 갈등사례의 경우 태양광발전사업허가가 산지훼손, 난개발, 부동산투기 등 역기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주민과 주민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유치를 둘러싼 주민 간 갈등사례의 경우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환경훼손문제의 해결을 토대로 마무리된 것처럼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요소에 대한 부단한 대화와 개선노력 등이 더해진다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지역사회 갈등과 갈등 해소를 위한 민원배심제 운영

        김선영(Sun Young Kim),신경섭(Gyeong Seop Shi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4 사회융합연구 Vol.8 No.2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갈등과 갈등조정에 관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대구시 수성구의 갈등양상 이해를 위해 LDA기반 토픽모델링 분석과 갈등조정사례로 민원배심제 운영을 분석하였다. 이는 약 10년 간(2011.4.28.-2019.7.3.)의 민원배심회의록과 유사기간의 뉴스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야기되고 있는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갈등이해를 통해, 지역사회 갈등관리 기제로서의 민원배심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민원배심제의 주요 개념은 세 가지로 구성되는데, 먼저, 이해가 상충하는 갈등당사자, 그리고 양 갈등당사자의 의견이 공유되는 소통 공론장으로서의 민원배심회의장, 마지막으로 갈등당사자 간의 합의를 유도하여 갈등을 축소하거나 해소하도록 하는 중립적인 제3자 집단인 민원배심원의 조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공론장에서의 민원배심제 회의 과정은 갈등 양 집단의 극단화 방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제3자의 합리적인 조정과 갈등 공론장에서의 정보 공유를 통한 합리적인 무지의 극복, 민원배심원의 자발적 참여와 배심 판정에 대한 이행 등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확충 등 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 이상의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community conflict and conflict mediation and performed empirical study with LDA-based topic modeling to understand conflict patterns in Suseong-gu, Daegu, and then analyzed cases of conflict mediation through the civil jury system. It was conducted based on analysis of civil complaint jury minutes for about 10 years (April 28, 2011 - July 3, 2019) and news data from the same period. From this, the implications of the civil jury system as a community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 were present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flicts in the community. The main concepts of the Citizens' Jury System identified in the study consist of three components. Firstly, there are conflicting parties seeking understanding, followed by the forum of communication, which could be referred to as the “public sphere,” created through complaints arbitration meetings to facilitate dialogue. Lastly, there is the neutral third-party group who mediate to induce agreement among conflicting parties and thereby reduce or resolve conflicts. The process of the Citizens' Jury meetings not only prevents the polarization of conflicting groups but also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beyond the institutional aspect of conflict resolution, including rational mediation by a third party well-versed in local community affairs, overcoming/solving rational ignorance through information sharing in the conflict public sphere, voluntary participation by complaints arbitrators, and compliance with arbitration decisions, contributing to the augmentation of social capital and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