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원이용자에게 인식되는 설계자 설계의도에 관한 연구 ― 서울숲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희 ( Kim Young-hee ),김현진 ( Kim Hyun-jin ),유미 ( Yoo Mi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09 한국경관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공원 만족도와 설계의도 파악 정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공원이용자와 설계자 간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 설계의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용자에게는 현재 공원이 주는 의미뿐 아니라 설계자의 설계의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질적으로 발전된 공원경험기회를 제공하고, 설계자에게는 공원계획 및 관리 시 이용자의 인식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조성된 공원 중 설계자의 의도가 뚜렷하다고 판단된 서울숲을 대상으로 이용만족도와 부분 장소 4곳(경마장, 거울연못, 체험학습원, 동물방사)의 설계의도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표본을 추출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분산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여러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숲의 전체 이용만족도(5점 척도)는 3.84, 전체설계개념의 실현 정도(5점 척도)는 3.42~3.72 수준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가 내려졌다. 그러나 부분 장소 4곳의 설계개념의 인식 여부는 전체 설계개념의 실현 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자의 설계개념에 대해선 '좋음, 참신함, 특이함, 역사성, 의의 있음' 등 긍정적으로 나타나 설계자의 계획의도를 이용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설계의도의 인식경로는 가족과 친구의 소개가 월등히 높았으나, 이는 앞으로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공원설계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설계개념의 전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설문대상이나 사례지가 제한되어 결과의 일반적인 적용에 다소 한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계절적인 이용이나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수 등 다양한 설계의도 관련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fundamental study to find the way that grasp the cause of perception gap of between the park user with the designer and design intention effectively through using park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degree analysis of design intention. User will be provided experience chance of the park which was developed qualitatively as well as mean that park gives, also designer will be provided design data that considered recognition of user through analysis about designer's design intention. In oder to do this, Research was executed about using satisfaction degree and design intention of 4 represents a place (Ascot, Mirror Pond, Experience studying place, Animal emissions place) in the Forest of Seoul where was judged that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is clear. Extracting available sampling through technique statistical 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tersec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derived correlation relation among multipl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est of Seoul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comparatively in the whole using satisfaction level (5point criterion) is 3.84, in realization level of the whole design concept (5point criterion) is between 3.42 to 3.72. But, whether to recognition of design concept in 4 selected areas was lacked the realization level of the whole design concept rather than understanding about partial place relatively. Designer's design concept appeared as positive reaction being good, originality, being unique, historicity etc. Accordingly, designer's design concept has a necessity to be delivered for user. Second, recognition path of design intention frequency was high extraordinarily by introduction of family and friend. it means that goes over the personal dimension and more aggressive deliver of design concept is necessary. This study was limited research object and case zone. So it thought that it has some limit common application of result. Also, th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because various relation fact of design intention was not included seasonal using or following change of time variable etc.

      • 불완전연성설계의 특성을 갖는 사이드미러 액추에이터의 개념설계에 관한 연구

        최준호(Jun Ho Choi),이건상(Kun Sang Lee)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4

        본 논문에서는 같은 기능을 하는 부품들을 통합된 부품으로 설계하기 위한 부품통합설계 가설을 정립하기 위해 이 가설을 공리적 설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비연성설계의 특성을 갖고 있는 전동식 사이드미러 액추에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부품통합설계 가설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부품통합설계 가설에 의해서 도출된 개념설계는 연성설계의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설계 중에서 불완전연성설계의 특성을 가지며, 비연성설계의 특성에 접근하는 설계일수록 더 나은 설계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represents an analysis on design hypothesis of parts integration from the viewpoint of axiomatic design and also has the purpose that will set up design hypothesis of parts integration. That is the parts with same functions will be integrated into a single part. For the analysis a Motor Actuator of Outside Rear View Minor with type of uncoupled design was used. The parts within an actuator are checked about the parts integration possibility by design hypothesis of parts integration. The concept design by design hypothesis of parts integration is type of the coupled design. In coupled design, the concept design that has the type of incomplete coupled design and approaches the type of uncoupled design would be a better design.

      • KCI등재

        개념설계단계에서 설계주제와 설계개념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연구

        이정만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form generation proces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me and concept of design. For the purpose, definitions and roles of the two subjects were developed by examining writings and projects of architectural design. Realization of design themes through design concepts can be the goal of design works. Design themes are thought to be generated by architects' understanding of given issues and their viewpoints toward the role of architecture. Design concepts are basic frameworks of architectural form or seeds of created forms. Themes are repeatedly thought over through design process, while concepts are initiated by imagination and developed toward final forms. Themes are described in languages encompassing the wide realm of human thoughts required for architecture, while design concepts are formal diagrams generated by and transformed from themes and thoughts of designers, which are developed to architectural forms through concept design process.

      • 부품통합 설계가설에 의한 개념설계의 연성설계에 관한 연구

        최준호(Jun-Ho Choi),이건상(Kun-Sang Lee)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This paper represents a study on design hypothesis for integrated part and the concept design. This hypothesis says that the components which are included in one product and accomplish the same function could be substituted by one component. The concept design by the design hypothesis of integrated part is the coupled design. But the concept design may be accepted. In case of this concept design named the incomplete coupled design. And in other case, the concept design named the complete coupled design. This hypothesis is applied to concept design of outside rear view mirror motor actuator.

      • KCI등재

        불완전연성설계의 특성을 갖는 사이드미러 액추에이터의 개념설계에 관한 연구

        최준호(Jun Ho Choi),이건상(Kun Sang Lee)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4 No.12

        본 논문에서는 같은 기능을 하는 부품들을 통합된 부품으로 설계하기 위한 부품통합 설계가설을 정립하기 위해 이 가설을 공리적 설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비연성설계의 특성을 갖고 있는 전동식 사이드미러 액추에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부품통합 설계가설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부품통합 설계가설에 의해서 도출된 개념설계는 연성설계의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설계 중에서 불완전연성설계의 특성을 가지며, 비연성설계의 특성에 접근하는 설계일수록 더 나은 설계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design hypothesis of integration of parts from the viewpoint of axiomatic design. In parts integration, parts with the same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part. For the analysis, a motor actuator of an outside rear-view mirror with the type of an uncoupled design was used. The parts within the actuator are checked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y adopting the design hypothesis of integration of parts. The design hypothesis of integration of parts is based on a type of coupled design. However, the type of incomplete coupled design that resembles the type of an uncoupled design would be better than the type of a coupled design.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통합수업의 개발 및 적용

        방담이(Bang Da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integrated concept and to practice it to explo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The backward design was introduced to develop teaching strategy. The first step is to chose integrated concept and to develop essential questions. The ‘evolution , equilibrium , and cycle were selected and guided by essential questions which made students consistently focus on integrated concept. Second step is to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as students achievement and to develop assessment criteria. The writings and presentations were chosen to evaluate students activities, which were analysing disciplinary concepts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and synthesizing them to get deep understanding about integrated concept. Final step is to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consisting of collecting data about disciplinary concept, synthesis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understanding of integrated concept, and application. After the practice of developed instruction, the number of category of discipline which includes disciplinary concepts listed by students and the consilience competency were increased.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의 교양교육 강좌에 적용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수업 개발을 위하여 백워드 설계의 단계를 활용하였다. 백워드 설계의 첫 번째 단계는 바라는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화’, ‘평형’, ‘순환’을 수업설계를 위한 통합개념으로 선정한 후 통합개념에 대한 집중과 학습을 안내할 본질적 질문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수행과제와 평가의 준거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학문 분야에 나타나는 통합개념 관련 학문내 개념을 종합하여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통합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에 도달하는 전 과정에 대한 글쓰기 및 발표를 학생의 수행과제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 준거를 설계하였다. 마지막 단계는 학습활동 계획단계로서 학문내 개념에 대한 자료의 수집, 학문내 개념에 대한 종합과 분석, 통합개념에 대한 이해, 통합개념의 적용과 심화의 과정의 단계로 학습활동을 설계하였다. 개발한 수업 방안을 적용한 결과 통합개념에 포함 가능한 학문내 개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개념이 속하는 학문 범주의 수가 확장되었으며, 통섭역량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 KCI등재

        턴키 설계 작품분석을 통한 건축 기본설계 개념 특성에 관한 연구

        남궁진,이상호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not only to clarify the proces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concept made by the established architects but also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specifying the Architectural design concept and problems through the case studies in the Turn-key design competition which already have been finished. Moreover, on the basis of these analysis, I'd like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which might be helpful to specify the way to make the concept design of the Turn-key process.This study directs the attention to the Keyword of architectural concept in Turn-key projects completed in 2001 to 2006.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architectural concept is classified into concept keyword, project keyword, massing concept, and the distinctions of each divisions are classified by typology.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reference of the fundamental framework initiating the architectural concept during the process of Turn-key design.

      • KCI등재

        지진격리교량과 강재받침교량의 연성파괴메커니즘에 의한 비교내진설계

        국승규(Kook Seung Kyu)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6 No.1A

        지진격리교량은 내진설계가 도입된 이후 실무에서 많이 설계, 시공되고 있으나 현재 실무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결괴는 불필요하게 높은 기능수행수준과 취성파괴메커니즘으로 내진설계개념에 부합하는 설계라 할 수 없다. 이는 기존의 설계관행인 하부구조의 과다한 강성과 내진설계방식의 인식부족에 기인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설계관행에 의해 설계된 지진격리교량을 선정하고, 통일한 교량에 격리받침 대신 강재받침을 사용한 강재받침교량을 설정하여 비교내진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내진설계에서 요구되는 성능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각 교량의 내진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 강재받침교량에 비해 지진격리교량은 시산법과 반복해석을 적용해야 하는 복잡한 설계절차가 요구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기능수행수준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강재받침교량도 하부구조 강성을 조정하면 요구되는 기능수행수준을 만족할 수 있으므로, 연성파괴메커니즘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지진격리교량을 대안설계로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인 내진설계과정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Many isolated bridge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eismic design. However those bridges designed in engineering fields have unnecessarily high serviceability limit and brittle failure mechanism, which do not satisfy the seismic design concept. Such design results are due to the excessive substructure stiffness of the conventional design method as well as the misunderstanding of the seismic design method. In this study an isolated bridge designed with the conventional design method is selected and the same bridge with steel bearings is modelled for the comparative seismic design. From the comparison, the seismic design procedures satisfying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s are provided for the two bridges. It is confirmed that the isolated bridge requires more complicated design procedure with trial and error methods and reanalyses but provides higher serviceability limit compared to the bridge with steel bearings. However, because the required serviceability limit can also be obtained by adjusting substructure stiffness, it is a resonable seismic design process that an isolated bridge is to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design when the ductile failure mechanism is not obtained with a bridge with steel bearings.

      • 가변사이클엔진 성능과 형상 통합 설계 절차 연구

        김명호(Myungho Kim),유경원(Gyongwon Ryu),권민찬(Minchan Kwon),황기영(Kiyoung Hwang),민성기(Seongki Mi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2

        가변사이클엔진(VCE) 성능과 형상 설계를 통합하고자 엔진 구성품을 정의하고, 사이클 성능 모델과 기본 설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사이클 성능 결과는 구성품 설계 요구 조건을 설정하고, 구성품 설계 결과에 따라 사이클 성능 모델을 재설계하였다. 구성품 형상은 엔진 형상 개념 설계 정의에 따라 해당 위치에 배치하고, 그 외 유로는 사이클 성능 모델 결과와 사용자 설계 변수를 반영하여 가시화하였다. 통합 설계 절차는 엔진 성능과 반복설계를 고려하여 설계 흐름과 데이터, 형상 정보 처리로 구분하여 정립하였다. To integrate the performance and geometry design of variable cycle engine(VCE), the engine components were classified and the cycle performance model and the preliminary design programs were proposed. The design requirements of VCE components were fixed by the cycle performance results and the engine cycle model was redesign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onents design. The engine geometries by the component design were arranged through the concept of VCE geometry. The rest of duct and bypass geometries were visualized using the cycle performance design and user defined properties. In this paper, The procedure of integration design of VCE performance and geometry was established and divided by the design flow path, design and geometry properties in consideration of the engine performance and design iterations.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위한 설계기법들의 개념적 특성에 관한 고찰

        민상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인증제라는 제도권에 반하는 친환경건축에 있어서 공기대류현상에 의한 자연순환방식에 국한한 5가지 설계기법의 유형을 소개하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개념적 특성과 대표적인 사례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했다. 결론과 관련하여 친환경건축설계는 일반적인 건축설계와 비교하여 계획의 출발점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이와 관련하여 현행의 제도적 틀 내에서의 항목별 적용에 의한 요소설계를 넘어서 진정한 친환경설계의 메커니즘 측면에서 본다면 공학적 측면의 정확한 과학적 상세계획을 요구하는 바 이와 관련한 설계기법의 지속적 개발은 친환경건축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현행 인증제 중심의 친환경정책과 평가항목 중심의 설계방식으로는 친환경건축물이 지녀야 하는 본질적 가치로서의 ‘자연순환체계에 의한 살아있고 숨쉬는 건강한(Vibrant & Breathing Healthy Architecture) 친환경건축을 실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공기에 의한 대류순환체계의 구축을 토대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패시브 디자인(Passive Design)과 관련한 친환경건축설계기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EFA), focusing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esign techniques by investigating the key design tools out of cases of the foreign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The design techniqu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mainly divide into passive design and active design. Passive design only will be considered to extract the expected result from the case study. It shows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develop with the design techniques related to emerging tools and details. With five building examples,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key design techniq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arly design process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First of all, it is explained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s related to design techniques and tried to describe how the conceptual techniques is applied to the system design based on the natural convective circulat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specially related to the passive design. The design techniques, which are selected for the case analysis, also will be significant methodological tools in order to lead and develop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