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논문 : 여성 비서의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비서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의 관계

        이화진 ( Wha Jin Lee ) 한국문명학회 2015 문명연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puter self-efficacy, secretary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effect of secretary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27 female secreta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sections on three variables and background information. Data was collected by e-mail and web survey.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WIN al version. As for statistical methods,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uter self-efficacy and secretary self-efficacy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female secretaries``irmovative behavior bad been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puter self-efficact and socretary self-efficacy. Third, female secretaries``secretary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mputer self-efficacy. Fourth,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mediated the link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secretary self-efficacy.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d th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computer self-efficacy, secretary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future research, various methods other than questionnaire survey are suggested 1D get precise and objective findings.

      • KCI등재

        비서의 컴퓨터 자기효능감 수준 측정

        이화진(Lee Wha-Jin)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요소를 모색하고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작성된 측정도구로 비서를 대상으로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크게 일반적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과제 특수적 컴퓨터 자기효능감으로 구분되었고, 비서에게 요구되는 컴퓨터 기술은 워드프로세싱, 엑셀, 파워포인트, 데이터베이스, 이메일, 인터넷 등이 공통적이고, 최근의 연구에서는 웹페이지와 정보검색 등의 항목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서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는 일반적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초급기술, 고급기술, 파일 및 소프트웨어 기술로 구성하고 과제 특수적 자기효능감은 워드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이메일, 인터넷, 웹에디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은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본 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측정도구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측정도구로 조사한 결과 비서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경우 3.14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과제 특수적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2.7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효능감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는 비서 관련학과의 컴퓨터 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과 신입생과 졸업생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비교를 통해 교육의 효과성 및 학생들의 정보기술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는 중요한 측정도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측정을 통해 실제로 비서들이 취약한 컴퓨터 기술을 파악하여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도 활용 가능할 뿐 아니라 비서의 정보기술 업무에 대한 자신감의 수준을 파악하는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secretarial self-efficacy. To accomplish this purpose, computer self-efficacy and required computer skills of secretary were review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studies, the constructs of computer self-efficacy were found. Computer self-efficacy components were general computer self-efficacy and task specific computer self-efficacy. Commonly required computer skills for secretary were Word-processing, Excel, PowerPoint, Database, e-mail. internet and Web-page, searching information should further be added. The results from literature reviews shows that constructs of secretarial computer self-efficacy were divided into general computer self-efficacy(basic skills, advanced skills, file and software skills) and task specific computer self-efficacy(word-processing, spreadsheet, presentation, database, e-mail, Internet, web-editor). There are two main compon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ested by the data from questionnaire. The number of samples used for analysis were from 105 working secretarie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version. The results from empirical tests showed that general computer self-efficacy was comparatively higher level. but task specific computer self-efficacy was rather lower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will be helpful in planning a curriculum or training program for secretarial student and working secretary.

      • KCI등재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관계 분석

        강명희,이정민,구진아,윤성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4

        Many K-12 schools in Korea select digital textbooks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There are very few guidelines, however, when teachers use digital textbooks in their classrooms. When teachers use digital textbooks, they should consider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Since digital textbooks allow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could easily lose their confidence and motivation. Moreove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eaching presence,” or a learner’s perception of being present in or as a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important because learners’ accomplishments and perceptions could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teachers’ ro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ffect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presence between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were 89 fifth-grade students in D-elementary school in Incheon, Korea. They responded to the following survey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Judd & Kenny (1981)’s mediation analysis approach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is study. Finding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eaching presence mediate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but does not mediate learner'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본 연구는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기존 문헌연구에 기반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학습자특성 변인으로 교수실재감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인천 소재 D 초등학교 5학년 3학급 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 및 성취도로 측정된 학습효과 모두를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만을 예측하였다. 또한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만족도를 예측할 때에 이들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성취도를 예측할 때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사전에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준비 전략의 실행이 바람직하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학습내용의 명료한 제시와 학습촉진 전략이 디지털교과서 안에 설계를 통해 내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중 교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만족도를 성취도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전략 역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

        김명옥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0 No.-

        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 사를 통해 국내 4년제 대학 비서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총 203부의 유효한 응답을 수집하여 실증분 석을 실시하였다. 4년제 대학 비서학 전공자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컴퓨터 자기효능감에 대해 개인적 특성 학년과 수강한 컴퓨터 과목수는 유의한 집단간 차이를 야기하였다. 비서학 전공자들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증대를 위해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컴퓨터 관련 경험, 그 중에서도 컴퓨터 관련 학과목을 적극적으로 수강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진로결정 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도 컴퓨터 관련 학과목을 적극 수강하고 자격증 취득에 관심 갖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비서학 전공생들에 대한 진로지도를 전 학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강화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change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caused by the speed of improv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becoming more essential than ever for 4-year college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to be well-prepared in terms of satisfying the requirement and need coming from the current global business society. In the same context it has been also reported that 4-year college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are quite confused about career planning and decision-making regardless their years in college.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success in career management depends on the level of computer self-efficacy which represents how they are confident about themselves on problem-solving utilizing proper computer knowledge and skill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4-year college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and found that (1) year in college and the number of computer courses taken were the main two influencing personal attributes to computer self-efficacy, (2) the level of computer self-efficacy influence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3) the basic computer skill related self-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advanced computer skill related self-efficacy was the secon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류인진,유형근,조용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omputer simulation to improve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measure its effect. For this research, 5th grade students from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The developed program used is based on the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The program was implemented during th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es, two times a week, from September 3rd to October 12th; totalling 10 sessions. The test tool, ‘Career Self-Efficacy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y Park Myung-Sim and Kim Seong-Hoy(2006), amended by Kim Yun-Ju(2010), was refined for this study.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the sub area report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Search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erformance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experience reports and the observations by the counselors, this program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areer self-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results, the drawn implications are the developed computer simulation program to improve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the first time material has been provided to use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for career counseling i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 조사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분석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진술하고 하위 구성요소를 선정․조직하였다. 세 번째, 설계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활용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전체구성과 제시전략을 설계하였다. 네 번째, 구안단계에서는 회기별 프로그램의 시안을 작성하여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실험․통제집단이 아닌 제 3의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예비 적용 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1회기 오리엔테이션, 2~3회기 진로탐색효능감, 4~6회기 진로결정효능감, 그리고 7~9회기 진로수행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회기를 거쳐 마지막으로 10회기의 종결 회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의 3가지 하위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의 평균점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컴퓨터 자기효능의 조절변수로서의 필요성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정우,김사임 한국경영과학회 2004 韓國經營科學會誌 Vol.29 No.1

        While 'Computer self-efficacy is widely studied in the social science field with regard to the training effectivenes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clarifying the role of needs' in relation to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eeds to learn computer skills,' extend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 survey instrument was adopted and modified from previous studies to measure behavioral modeling, prior experience, perceived computer self-efficacy, perceived needs to learn computer skills and outcome expectations. A total of 209 practitioner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As a result, most part of the social cognitive theory was again proven to be effective, and the needs to learn computer skills' was proven to be significant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at the end.

      • KCI등재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미치는 요인연구

        강명희(Kang My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효능감과 컴퓨터 태도에 영향을 주는 교사 특성요인을 알아 봄으로써 ICT활용 수업개선을 통한 교육혁신이 지속성을 가지고 자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정보화 연수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7명의 평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태도의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컴퓨터 조작, 웹 사용, 이메일 사용의 3개 과제영역의 25개 문항으로 Kagima와 Hausafus(2000)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토대로 하였다. 컴퓨터 태도는 Loyd와 Loyd(1985)가 개발한 CAS(Computer Attitude Scale)이 사용되었는데 두려움, 좋아함, 자신감, 유용성의 4개 하위영역의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 특성요인인 성별, 학력, ICT활용수업경험, 재직년수, 교육정보화연수를 독립변인으로,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태도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 재직년수, 교육정보화연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컴퓨터 태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인은 재직년수와 교육정보화연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사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정보화연수 운영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explaining computer self-efficacy and computer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ways of operating ICT training for teachers. 197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the classroom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and two instruments. The questionnaire was about teachers" characteristics of gender, educational level, teaching years, ICT experiences, the frequency of ICT training participation. The instrument developed by Kagima & Hausafus(2000) was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computer self-efficacy and the instrument developed by Loyd & Loyd(1985) was used to examine teachers" attitude towards computers.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inear regression method were appli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gender, educational level, teaching years, ICT experiences, and the frequency of ICT training particip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teachers" computer self-efficacy and computer attitude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gender, teaching years, and the frequency of ICT training participation were predictors of computer self-efficac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 teaching years and the frequency of ICT training participation explained teachers" computer attitud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results, issues regarding the ICT training strategies enhancing teachers" computer self-efficac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컴퓨터·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진명화(Myunghwa Jin),임규연(Kyu Yon Lim)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컴퓨터ㆍ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ICT 관련 변인을 탐색하여 학습자들의 컴퓨터ㆍ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ICT 사용 경험과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 그리고 컴퓨터·정보리터러시 및 컴퓨팅 사고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국제 비교 연구인 국제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 연구(International Computer Information and Literacy Study, ICILS) 2018에서 수집된 우리나라 참가자 2,875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ICT 사용 경험으로 상정한 ICT 사용 기간,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 수업 중 ICT 관련 학습 경험과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는 컴퓨터·정보리터러시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서는 ICT 사용 기간, ICT 자기효능감, ICT에 대한 태도가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나,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과 수업 중 ICT 사용 경험은 컴퓨팅 사고력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또한 ICT 자기효능감과 ICT에 대한 태도는 ICT 사용 기간, 수업 외 ICT 프로그램 사용 경험, 수업 중 ICT 관련 학습 경험과 컴퓨터·정보리터러시, 컴퓨팅 사고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W교육에서 학습자의 컴퓨터·정보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ICT 자기효능감과 ICT에 대한 태도를 촉진할 수 있는 교수설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ICT-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software education for developing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experience in using ICT, ICT self-efficacy, attitude toward ICT,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analyzed. Panel data of 2,875 Korean participants collected in the ICILS(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iod of ICT use, personal use of ICT, academic use of ICT in class,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Furthermore, the period of ICT use,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omputational thinking, while direct effects of personal, and academic use of ICT on computational thinking are not significant. Also,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iod of ICT use, personal use of ICT, academic use of ICT in class,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al and 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ICT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ICT.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Focusing on Computer utilization subject

        고윤정(Ko, Yun-je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4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하여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특성들 가운데 H대학교의 컴퓨터 활용과목에 포함된 특성으로서 디지털 정보에 대한 컴퓨터 활용능력, 비판적 수용능력, 창조능력을 추출하였고, 이 특성들이 새로운 문제에 부딪혔을 때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기초, 학기말에 대한 상황변화에 따라 이 특성들이 자기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학기초에는 창조능력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황에 대한 조절효과에서는 창조능력이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교 1학년생들은 이미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이고 대부분 디지털화된 정보를 수용하는데 익숙하고 1인미디어나 SNS의 발달로 창조능력이 이미 갖추어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기초에는 창조능력을 갖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나, 아직 수업에 익숙하지 않고 코로나19 등 대학교에 대한 적응이 미흡한 시기이므로 이러한 창조능력에 상황의 조절효과가 오히려 자기효능감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말 실제생활에 밀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과제를 수행하면서 컴퓨터 활용능력이 향상됨으로써 비판적 수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변화와 함께 비판적수용능력과 활용능력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컴퓨터 활용과목 수업에서 주로 디지털 정보에 대한 비판적 수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활용능력 및 비판적 수용능력과 더불어 이 요인들에 대한 조절효과도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기초적인 문제부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고 비판적인 수용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학생들은 어떤 문제가 닥치더라도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디지털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능력향상에 대하여 실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능력을 갖춘 미래인재양성을 담당하는 학교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소양을 길러내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사회는 이러한 소양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을 재교육시키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computer literacy, critical acceptance, and creative ability for digital information, included in H University s computer application course and then verify the effe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confidence (self-efficacy) that they can be solved when faced with a new problem.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the end of the semes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eativity improves self-efficac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but creativity decreases self-efficacy in the moderating effect on situ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creativity is already equipped with the development of one-person media and SNS. Therefore, they have crea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improve their self-efficacy, but since they are not yet familiar with classes and have insufficient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such as Covid 19,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ituation on these creativities rather lowers the self-efficacy. At the end of the semester, it was found that critical accommodating ability and computer literacy improved self-efficacy by improving computer literacy while solving problems close to real life and performing tasks, has been shown to improve. This is because the computer utilization class mainly focuses on improving the critical accept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can do. In this subjects, since the focus is on improving the critical accepta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se factors as well as the utilization and critical acceptance ability improves self-efficacy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ctually verifie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a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that use digital information the most. A school in charge of nurturing future talents with these abilities can serve as an institution that nurtures the skills required by society, and society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re-educating people who do not have these skills.

      • KCI등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나리(Han, Nari),전지현(Jeon, Jihyeon)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진로 결정과 진로 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이 취업에 있어 중요하다고 느끼는 변인들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고찰한다. 서울?경기 소재 2년제?4년제 5개 대학 비서관련 학과의 여학생 128명으로부터 설문 자료를 수집, SPSS 13.0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영어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어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셀프 리더십 능력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집단에서는 리더십과 컴퓨터활용능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고학년 집단에서는 리더십과 영어능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4년제 대학생이 2년제 대학의 학생보다 영어능력, 셀프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변인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수준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으며 학교 유형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은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지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dur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is important.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is defined as the belief that one can successfully carry on the necessary tasks when choosing one’s career path. The variables that office administration majors consider important to their career choices are English proficiency, computer skills, and self-leadership.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at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that English proficiency, computer skills, and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Particularly, English reading (a sub-component of English ability), systems management (a sub-component of computer skills), and self-expectations (a sub component of self-leadership) demonstrated strong correlations with student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English proficiency was a more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older students than younger students. And third, students in 4-year colleges had a high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proficiency and self-leadership than students in 2-year degree program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