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청소년의 정서지능의 관계: 모-자녀 의사소통 매개효과

        장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6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pen communication between a mother and child and the influence that it has on the level of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goal, we recruited 391 middle school students (189 boys and 202 girl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We used relevant assessment tools to measure mothers’ empathy skills, adolesc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As a resul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dolesc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Open communication was verifie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as a result of them perceiving the level of their mothers’ empathy skills as high and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ith respect to youth counseling and parental edu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청소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중학교 학생 391명(남 189명, 여 2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공감능력척도, 청소년의 정서지능척도, 모-자녀 의사소통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공감능력, 청소년의 정서지능, 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 대상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방형 의사소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하위요인(인식표현, 감정이입, 사고촉진, 지식활용,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인식표현, 사고촉진, 지식활용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고촉진, 지식활동, 정서조절 간의 역기능 의사소통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이 어머니의 공감능력을 높게 지각하고,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지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달 단계에 따라 역기능 의사소통은 정서지능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연구의 의의와 청소년 상담과 부모교육에서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 연구 : 7~10세 아동을 중심으로

        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면담, 비디오 촬영을 활용하여 7~10세 아동과 어머니 간의 의사소통 형태 및 유형을 연구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를 거친 후 총 80건의 어머니-자녀 짝 중에서 총 19건의 사례를 최종 선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 주도의 의사소통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바람직한 의사소통은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어머니-자녀 간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어머니가 상황에 몰입하고 아동을 존중하며 함께 문제해결을 하고 심화/확정적 반응을 보이며 상상력 및 창의력을 촉진할 때 나타났다. 반대로 부정적인 의사소통은 어머니가 지시적/무관심하고 훈계적/교훈적이고 과잉보호하고 아동과 어머니 각자 독백을 하는 상황에서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에서 어머니의 영향력이 지대하였다. 따라서 어머니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술 및 훈련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7 to 10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ith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fter the pilot study with 4 cases, 19 child-mother pairs were finally selected among 80 case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interview and video-tapping of the natural child-mother communication in the cases of storytelling and play with Lego blocks. The result showed that communication was necessary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quantity as well as in quality, and in most cases mothers had lead their conversations. Positive communication was shown when mothers were deeply involved in the play situation, when they respected their kids' opinions, when they solved problems with kids together, and when they initiated and allowed imagination and creativity to kids. However, negative communication was also shown when mothers were directive/indifferent to their children, when they pointed a moral/message, when they were overprotective, and when mothers and kids talked to themselves. The study pointed that mothers are needed to improve communicative skills in diverse situations since they're very influential in communication with their kids.

      • KCI등재후보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정현민(Jeong, Hyun Min),전상신(Jeon, Sang Sh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틱 장애로 진단된 만 6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 2회 총 16회의 독서치료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이 가정내 독서활동을 통하여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치료자가 독서활동을 계획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총 5회기의 모-자간 독서활동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영역에서 의사소통훈련 실시 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틱 장애 아동의 심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아동의 틱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느끼는 불편감은 의사소통훈련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틱 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심리적 편안함의 증가는 틱 증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틱 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시 부모 의사소통훈련을 통해 양육태도와 의사소통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의미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때 독서치료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on mother and child with tic disorder. Metho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wice a week, a mother of 6 - year - old child diagnosed with tic disorder was administered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In addition, the therapist planned the reading activity so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could have time to communicate through the reading activity at home. Based on this, the author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five sessions of mother - child reading activities and provided feedback on them. Result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improved in affection, rejection, and autonomy than before communication training. Second, there wa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child with tic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discomfort felt by the mother about the child"s tic symptoms was reduced than before the communication train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hild with tic disorder had higher levels of self-expression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showed that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mediator. Therefore in psychotherapy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s, it is a meaningful approach to bring about changes in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tyle through parent communication training

      • KCI등재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들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오영순,안연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of mothers and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through STEP(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17 mothers who had fully 3-year-old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dopting the program.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8 weeks(each program's duration was 100 minut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mothers i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positive communication of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and negative communic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mothers in the comparative group. 본 연구는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 3세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100분간 총 8주에 걸쳐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결과 첫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은 비교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둘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은 비교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긍정적 의사소통은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부정적의사소통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의미 들여다보기

        서현(Seo, Hyun),서경희(Seo, Kyung-Hee),정은숙(Jeong, Eun-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머니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해 서로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와 N시의 어머니 14명과 교사 15명이었으며, 개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의사소통의 의미는 ‘교사와 파트너가 되는 시간’, ‘간접적인 기능으로서의 역할’, ‘형식적 청취자로서의 기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의사소통의 의미는 ‘어머니는 지원자가 되는 수단’, ‘연결고리로서의 기능’, ‘어머니의 태도로 인한 불편한 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와 교사 간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between toddlers’ mothers and thei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each other’s viewpoi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14 mothers and 15 teachers in G City and 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viewed from the mothers’ side were ‘time to be a partner with the teacher’, ‘role as indirect function’, and ‘function as a formal hearer’. Second,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viewed from the teachers’ side were ‘means for mothers to be supporters’, ‘function as a link’, and ‘time uncomfortable due to the mother’s attitude’.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developing strategies to promote desirabl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 KCI등재

        장애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요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어머니와 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9명과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6명이었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소통, 둘째,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소통, 셋째, 신념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소통으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성공적인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을 위한 부모와 교사들의 요구는 첫째, 어머니의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 둘째, 교사의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은 특별한 요구를 가진 장애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 어머니와 교사의 성공적인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parent-teacher communication of the mother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daycare center through analyzing experiences and demands of mothers and teachers o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For this qualitative study, 9 mothers and 6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daycare center were interviewed with the face to face method 10~12 times per mother and 8~9 times per teacher. The meanings of experiences of mothers and teachers o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3 themes by the procedure of qualitative date analysis. First, the mother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at parent-teacher communication give them the chance that be able to building friend relationship, obtain expert knowledge, establish their belief in the good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daycare center. Second, the demands of mothers and teachers o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for successful parent-teacher communication in special daycare center were categorized into the demands of mothers o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the demands of teachers o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for mother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