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Green Climate Fund

        Erica Lym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환경법과 정책 Vol.13 No.-

        녹색기후기금은 기후변화협상의 최대 성과로 평가되고 있지만 기후기금의 진정한 역할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많은 쟁점들이 미해결 상태이며 기후재정협상을 지배했던 선진국과 개도국의 반목이 기후기금을 둘러싼 협상에서도 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야 하는 녹색기후기금의 전면적이고 탄탄한 운영과 기후변화 대응력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사실, 협상 참가자들은 녹색기후기금의 재원마련을 위한 목표에 대한 협의조차 없이 2014년 6월 재원동원을 위한 최초의 회의를 끝냈다. 기후변화기금과 그리고 더 포괄적인 의미에서 현재 분절화된 기후기금체계의 목표달성을 위해 중요한 것은 기후변화협약 하 설립된 다양한 기금들의 거버넌스와 운용실태를 이해하는 것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 반복된 주요 논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들을 종합하여 담고 있다. 본 논문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재정상설위원회(Standing Committee)와 국가지정기관(Designated National Authorities)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하향식 또는 상향식 접근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적어도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기후재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reen Climate Fund has been heralded as a triumph of th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but its true role in climate finance has yet to materialize. Significant questions remain unresolved and negotiations are mired in the same developed versus developing country controversies that have stymied other avenues of climate finance. With this legacy to overcome, the Green Climate Fund’s full and robust operationalization and impact on climate change is unclear. In fact, participants left an initial meeting to mobilize resources for the Green Climate Fund in June of 2014 without so much as agreement on a target for future resource mobilization. Critical to achieving the goals of the Green Climate Fund and the broader, now fragmented, climate finance regime is a deep understanding of historical and entrenched debates as well as the governance and mechanics of the various UNFCCC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is paper provides a synthesis of this backdrop. Although it does not offer a panacea-type solution, this paper does suggest that alternative top-down or bottom-up approaches strategically employing the Standing Committee on Finance or Designated National Authorities, respectively, may at least represent pathways toward efficient and effective climate finance.

      • KCI등재후보

        신기후체제 이행을 위한 기후금융 역할 분석

        진익,김윤희 국회예산정책처 2017 예산정책연구 Vol.6 No.2

        This paper presents the necessity of having sufficient finances to implement measures contained within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NDCs). Based on a dynamic model to capture the link between emissions and government budget balance, our analysis estimates the cost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emission-reducing policy. It also measures the gap between what is likely to be funded through existing resources, and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through climate finance. For that purpos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quantify public climate finance needs for each country. Using panel data for 40 countries over the period of 1998.2012,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conomic growth and commensurate greenhouse gas emissions generate budgetary surpluses, and that these surpluses must be offset by public climate finance if countries are to reduce emissions commensurate with their NDCs. It further suggests that this is particularly a challenge for developing countries(notably, the BRIICS). The approach of this paper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actual amount of public finance required to offset the budgetary shortfall from the climate finance pledged under the Paris Agreement. It is imperative to quantify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 developing countries needs to receive international financial support. 파리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신기후체제에 대한 대응이 계획단계에서 이행단계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후금융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주요 선진국들은 기후변화대응을 새로운 성장기회로 간주하고, 다양한 방식의 개입을 통해 기후금융(climate finance)을 동원(mobilizing)하고 그 규모를 확대(scale-up)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공공 기후금융의 조성이 부족하고, 민간부문의 기후금융 참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국가주도로 추진되어온 녹색성장 및 자원외교의 성과부진, 주요 당사국의 단기적 정책 변화를 둘러싼 불확실성 등이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합리적으로 잘 설계된 환경규제(well-designed environmental regulation)는 시장의 성숙을 촉진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OECD 및 BRIICS국가를 대상으로 국민총생산, 온실가스 배출량, 재정수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뒤, 향후 파리협정 이행을 위해 요구되는 국가별 기후금융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하향식(top-down)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관측되는 양상을 참조하여, 공공 기후금융의 유인성 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큰 규모의 민간 기후금융을 조성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Improving Korea’s Climate Finance for Developing Countries: Policy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Climate-Related Development Finance (CRDF)

        Youngwoo Kim 한국국제협력단 2020 국제개발협력 Vol.15 No.2

        No country can be free of global warming and incremental natural disasters. This is true especially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the most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lthoug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greed to mobilize USD 100 billion per year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by 2020,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as transferred only about USD 58.5 billion, on average over 2015 to 2018, to developing countries. Korea, one of the OECD’s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members, h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its contribution and its target. This is due to several reasons such as the lack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s a primary public resource for developing countries, limitations of other forms of public climate finance, and the low leve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related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analyzes Korea"s climate finance, mainly climate-related development finance (CRDF)) as a part of ODA. It suggests a strategy for solving the issues faced by the Korean government with a policy analysis approach.

      • KCI등재

        녹색금융의 형성과 구조에 대한 제도적 검토

        최승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환경법과 정책 Vol.28 No.-

        As interest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rises again, green finance is being re-evaluated. For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changes in industries and energy are essential, and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for the transition. This is called green finance. Green finance is a part of sustainable finance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and focuses on climate change and carbon-neutral. To implement green finance, financial institutions need their risk management and strategies, in financial market,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target classif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is required. The measure of green finance includes loan, investment, and insurance, and the central bank's open market operation is also being utilized. The most important of these is to support the green activities of green companies by investing in stocks and bonds issued by green companies. The legal basis for green finance is limit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green finance is mainly implemented through suppor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rather than regulation. Support is usually provided through policy financing, guarantees, tax reductions, etc., and this also needs to be systematically provided on a legal basis. Accordingly, the basic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industry support act have the legal basis for green finance. In addition, a bill for the promotion of green finance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has also been proposed. The governance of green finance is important; green classification system, green bond principles, green information disclosure, etc. International efforts on green finance are focused on such governance and are being projected into related acts. The strategy for revitalizing green finance in Korea also focuses on the formation of govern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requires both regulation and support, and green finance plays a central role in that support.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면서 재조명되는 것이 녹색금융이다.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산업 및 에너지 등의 부문에서의 변화는 필수적이며 해당 전환을 위해서는 금융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녹색금융이라고 한다. 녹색금융은 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을 감안하는 지속가능금융의 한 부분으로서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에 주력하는 금융이다. 녹색금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 자체의 리스크 관리와 전략이 필요하며, 시장의 측면에서는 녹색금융의 대상 분류, 성과측정, 공시 등의 제도적 인프라가 필요하다. 녹색금융의 구현방식은 여신, 투자, 보험이 있으며,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조작도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투자로서 녹색기업이 발행한 주식 및 채권에 투자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녹색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녹색금융의 법적근거는 제한적이다. 이는 녹색금융이 주로 규제가 아닌 지원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인한다. 지원은 대체로 정책금융을 통한 자금공급, 보증, 조세감면 등이며, 이 역시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그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법,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지원법은 녹색금융에 대한 부분적 법적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녹색금융을 위한 개별법안으로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녹색금융촉진특별법안도 발의된 바 있다. 법적측면에서 규율대상 중에서는 녹색금융에 대한 거버넌스가 중요하다. 시장에서 자금이 녹색활동으로 흐르게 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녹색분류체계, 녹색채권원칙, 녹색정보공시 등이 거버넌스를 구성한다. 녹색금융에 대한 국제적인 노력은 이러한 거버넌스에 집중되고 있으며, 최근 개별 법령에 일부 투영되고 있다. 정부의 녹색금융활성화를 위한 전략 역시 거버넌스의 형성과 인프라 구축에 주안을 두고 있다.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은 규제와 지원이 동시에 필요한 부분이며, 녹색금융은 그 지원의 한 축을 담당한다. 현재 녹색금융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은 갖추어져 가고 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이다.

      • KCI등재

        글로벌 물시장에서의 기후 금융과 ODA자금 동향 조사

        김자겸,김승현,손진식 대한상하수도학회 2020 상하수도학회지 Vol.34 No.3

        ODA finance in the water sector has decreased after reaching a peak in 2012 although total ODA commitments has constantly increased according to OECD DAC data. However, climate finance in the water sector has increased so much since 2013 according to 7 MDB Joint report on Climate Finance. Water in climate change is the main issue for adaptation, especially. All the funds for water sector took a half in adaptation in 2016. However, procedures for approval and the requirements of the proposals for climate funds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development finance. Notwithstanding the changes in money flows in the water sector, most korean engineers in the water infrastructure area are not ready to win the funds relating to climate chang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 variety of sources of climate funds, characteristics, funding scale on each purpose and procedures for approval. Korean government needs to provide domestic firms the opportunities to get involved climate adaptation projects from financial support for developing PPFs, concept notes, and proposals.

      • KCI등재

        지역금융 발전을 위한 법적 과제

        정찬형 ( Chung Chan Hyung ),박철우 ( Park Cheol Woo ) 한국금융법학회 2020 金融法硏究 Vol.17 No.3

        금융산업은 고부가치 산업으로 생산성이 높고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많은 나라와 도시들이 금융중심지 또는 금융허브 구축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오늘날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금융산업을 지역성장의 기반으로 지원·육성하기 위하여 선제적으로 지역금융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에서 서울·부산 등 여러 금융특성화 도시를 지정하고 이를 거점으로 금융중심지를 개발하는 방식은, 금융산업의 집적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으나, 다양한 특성화 금융부문을 육성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지역별로 특화된 지원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특히 지역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이러한 금융중심지 도약을 위하여는 현행 금융중심지법을 금융중심지 제도와 지정절차 위주의 규정에서 제도적인 지원을 위한 규정들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세제 혜택 및 인센티브 제도를 확대하고, 지역금융기관 육성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지방은행 및 지역 비은행 예금취급기관들의 역할을 보완하고,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지원 등을 보완하는 한편,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구체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서 제3의 금융중심지를 목표로 하는 전라북도의 지역특화금융의 발전방안은 기본적으로 ‘생명·생태특화 금융중심지’로 설정할 수 있다고 본다. 여기에서 특히 ‘생태금융’은 전북지역 농림수산업 및 농어업재해보험 등과 관련된 ‘기후금융’을 배경으로 한다. 또한 생태금융은 금융혁신과 금융인프라 기반 조성을 위한 ‘핀테크산업’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가 금융중심지로 지정되기 위한 전략으로 탄소금융·녹색금융, 배출권거래 등을 중심으로 한 기후금융에 특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아울러 기후금융과 관련하여 제도를 마련하고 육성하여야 할 부문으로 날씨파생상품, 보험자의 위험을 채권시장과 투자자에게 전가하여 보험인수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대재해채권, 자연재해보험으로서 농어업재해보험 등을 들 수 있다. 핀테크산업은 크게 송금·결제, 금융데이터분석, 금융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가 이를 중심으로 특화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제3의 금융중심지로 크게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or the reason that the financial industry, as a higher value-added industry, has high productivity and can contribute to creation of employment, many countries and cities are strategically driving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financial centers or financial hubs. We think that it is very meaningful to discuss in advanc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regional finance with a view to improve the sluggish regional economy of today, and to foster the financial industry as a foundation for the regional growth. In Korea, the development approach to designate several types of finance-specialized cities, e.g. Seoul, Busan, and to develop the strong point cities into financial centers can reveal the problem that the approach could weaken the concentration effect of financial industry. But the approach also has several positive features that it can bring synergy effect by fostering many kinds of specialized finance sectors, and make use of support plans specialized by regional group. And especially it can contribute to seek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To make a leap forward to the financial hub it is needed to revise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Financial Hubs focusing on the structure and designation process of financial hubs into the provisions to institutionally support the financial hubs. At the same time it is needed to enlarge the tax benefit and incentive schemes, and make measures to foster the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authors think that it is requested to redeem the roles of the provincial banks and regional non-bank depository institutions, and the scheme and support plan to activate the small-loan finance. Also it is needed to make concrete the scheme to improve the regional finance. The authors recognized that Jeollabuk-do targeting to be designated as the third financial hub following Seoul and Busan can basically set up the development plan of regional specialized finance as the ‘financial hub specialized in life and ecology’. In this regard, specifically the ‘ecological finance’ has the background of ‘climate finance’ related to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Jeollabuk-do area, and agricultural & fishery disaster insurance. In addition, the ecological finance is related to the ‘Fintech industry’ to create the basis of financial innovation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Consequently,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to be designated as a financial hub, Jeollabuk-do can examine an action plan to specialize in the climate finance including the carbon finance, green finance, emission trading etc. Furthermore, the financial sectors in which we should build new schemes and foster related to the climate finance are weather derivatives, Cat-bonds with which an insurer can transfer its risks to the bond markets and investors, and thereby enlarge the capacity of insurance underwriting, one kind of natural disaster insurance, the agricultural & fishery disaster insurance, etc. The Fintech industry can be classified broadly into four groups: payments, financial data & analytics, financial software, platforms. So if Jeollabuk-do can focus on and specialize in this field, it will make great progress to the third financial hub of Korea.

      • KCI등재

        Determinants of Climate-Related Development Finance: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CRDF in Comparison with CRDF Trends of Japan, Germany, and France

        유정완,신동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3 No.7

        As climate change is a global agenda that requires combined and collective global efforts, each country, developed or developing, needs to mainstream climate change policies, both domestic and external, to achieve its'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targets and ultimately th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PA). For this end, climate finance, domestic or international, public or private, plays crucial role in the much-needed transitioning of carbon-intensive industries as well as adapting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within the context of Climate-Related Development Finance (CRDF) for developing countries as part of bilater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CRDF by means of empirical analyses of CRDF determinants for Japan, Germany, and France, which are one of the largest donor countries of CRDF among member countries of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for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C). South Korea should scale up CRDF to recipient countries to which export volume is comparatively higher, reflecting its economic interest, as largest donor countries do consider export volume in their CRDF allocations.

      • KCI등재

        ESG 지역금융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고찰

        이현영 한국지급결제학회 2023 지급결제학회지 Vol.15 No.2

        2023년, 인간과 지구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혁신적인 공감이 있었다. 여기에는 기후변화와 구조적 불평등,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이 포함된다. 무엇보다, 전세계 장소와 인간의 상호연결은 강력하게 실현되었다. 세계 곳곳에서 당면하고 있는 팬데믹은 인간을 별도의 분절된 공동체에 사는 존재로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우리는 모두에게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공감하는 경험과 요구에 대해 이와 같은 계몽된 인식을 활용할 수 있는가? 우리는 가장 가시적인 증상만 치료하기보다 이러한 위기의 근본원인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노력과 자원을 투자할 수 있는가? ESG나 SDG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ESG금융(ESG투자와 ESG융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ESG 대출의 한 형태이다. ESG 지역금융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는 것, 현황을 확인하는 것, ESG 지역금융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금융기관이 사업성 평가에서 ESG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현 상황을 개선하려면 정부가 ESG 지역금융의 굿 프랙티스를 로컬 벤치마크에 빠뜨리고, 개별 금융기관이 개별 담당자의 지식을 조직으로서의 지식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거래처 기업의 ESG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SDGs 달성에 기여하는 금융상품이 있다면, 그 세일즈 기회는 금융기관 섭외 담당자와 기업 간의 대화의 계기가 되어 사업성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융상품을 개별 신용금고나 신용조합이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중앙기관이 기본 설계를 하고 각 금융기관이 조정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환경파괴와 사회적 불평등 및 소외를 도외시하는 자본은 갈수록 성과뿐 아니라 평판 위험에도 취약해질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과 사회적 목표가 통합되는 투자전략을 추구하는 자본은 위험노출을 완화할 뿐 아니라 자본이 긍정적인 재정, 환경,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기회 전망도 확대한다. 기후재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넷 제로를 달성하는데 CO2 배출량 감축에만 치중하는 단일한 조치로는 부족하며 사회-환경 영향도 포함시키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합의가 늘어나고 있다. 기후변화와 이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공정하고 포용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지구와 인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공정전환이 필요하다. In 2023, there is a revolutionary consensus on the need to address the crises facing people and the planet. These include climate change, structural inequality, and pandemics such as COVID-19. Above all, the interconnectedness of place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has been powerfully realized. The pandemic we are facing around the world has proven that humans cannot be viewed as beings living in separate, segmented communities. Can we leverage this enlightened awareness of empathic experiences and needs to achieve positive outcomes for all? Can we invest the effort and resources needed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this crisis rather than treating only the most visible symptoms? As interest in ESG and SDGs increases, interest in ESG finance (ESG investment and ESG lending) is also increasing. This article is a form of ESG lending. The purpose is to organize the concept of ESG local finance, check the current status, and reveal tasks to promote ESG local fin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fail to sufficiently consider ESG factors in business feasibility evaluation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include ESG local finance good practices in local benchmarks and for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s to turn the knowledge of individual managers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If there is a financial product that increases awareness of ESG among business partners and contributes to achieving the SDGs, the sales opportunity ca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dialogue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public relations staff and the company, leading to a business feasibility assessment. It is not easy for individual credit unions or credit unions to develop these financial products. A central institution must develop financial products that have the basic design and can be adjusted by each financial institution. Capital that ignores environmental destruction, social inequality, and alienation will become increasingly vulnerable not only to performance but also to reputational risks. In contrast, capital that pursues investment strategies that integrate environmental and social objectives not only mitigates risk exposure, but also expands the prospects for capital to generate positive financial,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As interest in climate finance grow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single measures focusing only on reducing CO2 emissions are not enough to achieve net zero, and that a shift in perspective is needed to include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s. In order to address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society in a fair and inclusive way, a just transition that pays attention to our planet and people is needed.

      • KCI등재

        아세안 지속가능금융 택소노미의 검토

        최창민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2

        Our planet is facing a crisis with the changing climate. Southeast Asia is especial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SEAN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considering its economic size and growth rate. At internation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ASEAN has declared its commitment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To transform the ASEAN economy to be compatible with such commitments and the Paris Agreement, private capital must be financed for green economic activities at large scale. After the Joint Meeting of the ASEAN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AFMG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finance, four ASEAN sectoral bodies established the ASEAN Taxonomy Board (ATB). The ATB announced “ASEAN Taxonomy for Sustainable Finance – Version 1”(ASEAN Taxonomy) on November 10, 2021. The ASEAN Taxonomy aims to help issuers and investors understand the sustainability impact of projects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region and make informed and efficient decisions. This article explains the development history (Chapter II),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Chapter III), contents (Chapter IV) and applications (Chapter V) of the ASEAN Taxonomy. The main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 ASEAN Taxonomy from other taxonomies are its multi-tiered structure and traffic light system. Chapter Ⅳ explains these structural features and detailed contents of the Foundation Framework (Tier 1) and Plus Standard (Tier 2) constituting the multi-tiered taxonomy. Chapter V presents examples of economic activitie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Green, Amber, and Red according to the ASEAN Taxonomy, and reviews its attitude toward the controversial issues of natural gas and nuclear pow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EAN Taxonomy become more apparent when it is compared with other taxonom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SEAN Taxonomy, the Korean Green Taxonomy, and the EU taxonomy. Notable aspects of Singaporean and Malaysian taxonomies will also be explained as these regul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ASEAN Taxonomy. The Foundation Framework of the ASEAN Taxonomy is similar to Malaysia’s taxonomy and classifies economic activities in all sectors with a single decision tree. On the other hand, the Plus Standard evaluates economic activities in specific sectors using activity-level screening criteria like the taxonomies of EU, Korea, and Singapore. The ASEAN Taxonomy adopted a traffic light system and added the category of transition activities, which can be found in the taxonomies of Malaysia and Singapore. The ASEAN Taxonomy is different from other taxonomies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the minimum safeguards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labor. The title of the ASEAN Taxonomy includes the phrase of “for sustainable finance.” However, the Version 1 of the ASEAN Taxonomy focuses on climate change mitigation, among other environmental goals. The ATB stated that the next versions of the ASEAN Taxonomy will move on to other sustainability aspects. There are also many areas to be further developed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its classification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the ASEAN Taxonomy will solve the challenges step by step in coordination with other taxonomies in and out of the region and successfully contribute to ASEAN's respons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는 인류와 생태계가 직면한 위기이다. 특히 아세안 지역은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경제 규모와 성장률에 비춰보면 아세안은 전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세안은 국제적, 지역적, 국가적 수준에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천명했다. 아세안 경제를 이러한 공약과 파리협정에 부합하도록 전환하려면 대규모 사적 자본이 녹색경제활동에 조달돼야 한다. 아세안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지속가능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후, 4개 아세안 부문별 기구는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아세안 택소노미’ 개발 이니셔티브를 공동으로 제창하며 아세안 택소노미 위원회를 설립했다. 아세안 택소노미 위원회는 2021. 11. 10.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아세안 택소노미 – 버전 1」을 발표했다. 아세안 택소노미는 발행자와 투자자가 역내 프로젝트・경제활동의 지속가능성 영향을 이해하고 정보에 기반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 글은 아세안 택소노미의 개발 경과(Ⅱ장)와 의의(Ⅲ장), 내용(Ⅳ장)과 그 적용(Ⅴ장)에 대해 설명한다. 아세안 택소노미가 다른 택소노미와 구별되는 주요한 특징은 다층 구조와 신호등 체계라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구조적 특징과 함께 다층 택소노미를 구성하는 기반체계(Tier 1)와 추가표준(Tier 2)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Ⅴ장에서는 아세안 택소노미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경제활동의 사례를 제시하고, 특히 논란이 되고 있는 천연가스 발전과 원자력 발전에 대한 아세안 택소노미의 태도를 확인한다. 아세안 택소노미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려면 다른 택소노미와 비교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아세안 택소노미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및 EU 택소노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짚어본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택소노미는 아세안 택소노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양자의 주목할 부분도 함께 살펴본다. 아세안 택소노미의 기반체계는 말레이시아 택소노미와 유사하며 모든 분야의 경제활동을 단일한 결정트리에 따라 분류한다. 반면에 추가표준은 EU, 한국, 싱가포르 택소노미와 같이 활동별 심사기준을 사용하여 특정한 분야의 경제활동을 평가한다. 아세안 택소노미가 신호등 체계를 도입하여 전환 활동의 범주를 추가한 것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택소노미와 동일하다. 아세안 택소노미가 다른 택소노미들과 차이가 있는 부분은 인권과 노동의 측면에서 최소한의 보호장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세안 택소노미에는 ‘지속가능금융을 위한’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다. 그러나 이번에 발표된 버전 1은 여러 환경목표 중에서도 기후변화 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ATB는 아세안 택소노미의 다음 버전에서 지속가능금융의 다른 영역을 포괄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류체계의 내용에 관해서도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아세안 택소노미가 지역 내외의 다른 택소노미와 조응하며 과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고 아세안의 기후변화 대응에 성공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녹색성장과 녹색금융의 발전현황: 한국 및 일본의 비교연구

        윤일현 ( Il-hyun Yoon ),박용민 ( Yong-min Kim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본 논문은 국내녹색금융의 발전현황을 일본의 사례와 비교하여 국내녹색금융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녹색금융은 녹색성장을 위하여 친환경적인 생산·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녹색금융상품을 활성화함으로써 환경훼손의 방지와 함께 에너지효율의 개선을 꾀하고 금융기관의 수익성도 제고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청정환경보존을 위하여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이 필수적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녹색금융이 제도화되어야 함에도 최근 국내녹색금융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줄어들고 민간부문의 녹색금융이 사라졌다는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 녹색성장을 담보하는 국내의 녹색금융활성화를 위해서 첫째,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국민과 사회의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다. 둘째, 사회책임투자(SRI)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융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세제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 및 금융계의 노력뿐만 아니라 재계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식을 고취시켜 녹색성장과 녹색금융의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위해서 전문 인력 육성과 리스크관리가 가능한 관련정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vitalize green finance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e case of Japan’s development of green finance. Green financ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can be defined as what is done to prepare green financial instruments for the pursuit of green growth through eco-friendly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and reduction in environmental damage and also help to enhance the profitabi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is essential to preserve clean earth and should be backed up by green finance, it is regrettable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losing interest in green finance and green finance in private sector has almost disappeared. In order to activate the nation's green finance for green growth, this paper presents some suggestions. First, awareness and support for the government green growth policy should be raised. Second,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SRI) needs to be made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financial sector with the help of tax and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Third, business sector,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green growth and green finance. Fourth, to attain long-term and sustainable vitalization of green finance, education system for experts and infrastructure to provide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should be equip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