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기독교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이비기독교인 학생의 가치관 형성에 미친 영향-E여대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의미 탐구

        남은경 ( Eun Kyong Na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여자대학교가 표방하는 교육이념이비기독교인 학생의 가치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파악하고자함이다. 이를 위해 ‘여성지도자 양성’과 ‘기독교정신’이라는 두 축을교육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E여자대학교와, 그곳에 재학하고있는 무종교인 학생 두 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E여대가전교생의 ‘기독교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공식적 커리큘럼에 포함시킨필수 프로그램은 <기독교와 세계>라는 교과목(3학점)과, <예배>(8학기 이수)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 두 여학생과 2개월간 6회에걸쳐 심층면담한 그녀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내용의탐구 및 분석이다. 어렸을 적 교회에 잠시 다닌 경험이 있는 K학생과 L학생은대학교에서의 학업, 독서, 동아리 활동, 그리고 친구관계를 통해직 · 간접적으로 ‘여성으로서의 자존감’과 ‘기독교적 가치관’의 영향을받고 있었다. K학생은 예술적 형식으로 진행되는 채플, 수평적 관계에서 학문의 자유로운 토론, 그리고 기독교인 친구의 신앙심을 통해나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지평을 확장하면서 청소년 시기부터질문해 왔던 진리 추구를 계속하고 있다. 한편, L학생에게는 기독교문화권인 유럽에서 살았던 경험과, 인생의 위기를 두 번 겪으면서얻은 교훈이 그녀의 종교적 가치관 형성의 자원이 되었다. 그녀는가족과의 솔직한 대화, 권위적이지 않은 기독교인 교수와의 인격적관계 속에서 소통하면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삶의 가치관을 재정리해가고 있다. 이상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우리는 기독교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은 주로 비공식적이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서비기독교인 학생의 신념이나 태도에 암묵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발견할 수 있었다. 어떤 이념이나 가치는 학교가 의도하지 않았을지라도, 각 학교의 고유한 문화풍토에 내포되어, 학생들이 은연중에 배울수밖에 없는 교육의 자연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대학교의 교육적 과제는 비기독교인 학생이 대학생활을 통해 숭고한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적합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일이다. 특히 가치관 형성에 작용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실존적이며 종교적인 질문들이 생겨나도록 도전하고, 그 해답을 학생 스스로발견할 수 있도록 영적인 안내를 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the Christian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ideology impacts the development of values within the student. For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wo non-Christian students studying at “E” Women`s University, where “Cultivation of Women Leaders” and “Christian Spirit” are two pillars of educational ideology. “E” Women`s University has in fact included in its official curriculum courses such as “Christianity and the World” and “Chapel,” in order to cultivate Christian spirit within the student body. We approached this study through holding 6 in-depth conversations with the two students within a time frame of 2 months, and then analyzing their narratives on their respective campus life experiences. Students “K” and “L”, who had briefly attended church in their youths, were being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in their self-esteem as women and Christian values, through their academics, readings, group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t university. “K,”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arts of the chapel, horizontal conversation-driven academics and relationship with a Christian friend whose faith has helped her achieve extended understanding of others, is continuously in searching for the truth she has been pursuing since her adolescence. On the other hand, for “L,” her past experience with Christian culture (living in Europe) and the lesson she had learned by going through two crises in her life, has become the sources for the formation of her values. She is continuously reforming her values through frank conversations with her family and her non-authoritative Christian professor. The results of this nar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Christian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ideology exists informally within hidden curriculum, impacting the non-Christian student`s thoughts and behavior implicitly. Although the school may not have intended so, certain ideologies and values are imbedded in the school`s unique culture, and absorbed by the students naturally. Therefore, the challenge of Christian universities is to crea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non-Christian students to discover noble values through campus life. In fact, it is important for the school to challenge the students with existential, religious questions that are greatly influential on the formation of one`s values, and let the student find his/her own answers through spiritual guidance.

      • KCI등재

        『신생활』의 기독교 담론 재독(2)

        정한나(Hanna Ch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이 논문은 김명식의 「김익두의 미망을 논하고 기독교도의 각성을 촉(促)하노라」(『신생활』 제6호) 발표 이후 기독교계와『신생활』 사이에서 오간 논전을 분석함으로써 1920년대 초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분기의 과정에서『신생활』의 변곡점에 놓인 매체였음을 보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장은 「김익두의 미망을…」을 향한 반박과 김익두 옹호론을 독해하며 그 문제점을 짚어본다. 『기독신보』의 강제모와 김경하는 기독교의 특수성을 강조하면서 결과적으로 기독교 공동체 외부와의 소통을 기하는 글쓰기에 실패한다. 『매일신보』에 게재된 양하엽의 글은 당대 조선의 기독교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여주었으나 이 성찰은 결국 김익두의 장점을 부각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그친다. 김익두라는 상징적 인물을 옹호하는 데 주력한 이상의 논자들은 대안적 기독교 담론을 구성해내지 못한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이들의 논리가『신생활』에서 비판, 극복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최상현은 강제모의 글을 논리적으로 반박했을 뿐 아니라, 기독교계를 향한 비기독교인의 비판을 진보된 사회로 향하는 첫걸음으로 인식하고 사상운동의 일환으로서 토론을 독려한다. 유경상은 조선 기독교의 당파성, 사대주의를 비판하고 남녀평등, 평민주의, 노동주의 등이 현재 조선에 필요한 기독교의 진리라 주장한다. 박희도는 김익두를 제거되어야 할 ‘종양’에 비유하는데, 이는 김익두 개인과 조선 기독교 전체를 동일시하는 강제모, 김경하의 논리와 대별된다. 이들의 논의는 김익두 비판과 옹호라는 극단을 넘어 대안적 기독교 담론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때에 『신생활』은 이를 가능케 한 공론장으로 기능했다. 마지막장에서는『신생활』에서 사회주의적 색채가 강화되면서 기독교가 비판의 대상으로 전화하는 장면을 간략히 스케치한다. 이 논문은『신생활』이 대안적 기독교 담론의 지면이 되었음을 보임으로써 사회주의 잡지로 인식되었던『신생활』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that “New Life” was a medium placed at the inflection point during the divergence of socialism and Christianity. In addition, this work analyz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Christian community and “New Life” after the publication of Myung-sik Kim's “Discussing Kim Ik-doo's Delusion and Promoting a Christian Awakening” (“New Life” No. 6). Chapter Ⅱ reviews the rebuttal to “Kim Ik-doo's Delusion” and the defense of Kim Ik-doo of Christian Community, and points out the logical limits. In “The Christian Messenger,” Kang Jae-mo and Kim Kyeong-ha emphasized the specificity of Christianity and consequently failed to communicate with non-Christian communities. Yang Ha-yeop's writing in “Maeil Shinbo” critically reflected on the Korean Christianity of the day; however, this reflection ended up highlighting Kim Ik-doo's strengths. These three writers, who focused on defending the symbolic figure of Kim Ik-doo, failed to construct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Chapter Ⅲ examines the process of the argument being criticized and overcome in “New Life.” Choi Sang-hyun not only logically refuted Kang's writing, but also recognized non-Christians' criticism of Christianity as the first step toward a civilized society and encouraged discussion as part of an ideological movement. Yu Gyeong-sang criticized the partisanship and flunkeyism of Korean Christianity and argued that gender equality, the common people, and laborism were the Christian truths needed in Korea. Park Hee-do compared Kim Ik-du to a tumor that must be removed, which departed from the logic that identified Kim Ik-du with the entirety of Korean Christianity. Their discussion surpasses the narrow perspective of criticizing and defending Kim Ik-doo and formed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New Life” functioned as a public sphere that made this possible. In the last chapter, as the socialist tone was strengthened in “New Life,” the scene where Christianity turned into a target of criticism was briefly sketched out. This thesis is significant because it suggests a new reading method for “New Life,” which was recognized as a socialist magazine, by illustrating that “New Life” became the site of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 KCI등재

        로마서에 나타난 반복과 지연을 통한 윤리적 권면

        이재현(Jea Hyun Lee)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1

        본 논문은 롬 12:1-2를 중심으로 신자의 삶에 대한 바울의 윤리적 접근을 고찰한 연구이다. 롬 12:1-2는 거시적 직설법-명령법 구조에서 명령법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바울의 이전 논의를 반영하고 있다. 특별히 ‘몸을 드리라’는 내용은 롬 6:13과 인지 영역(‘마음을 새롭게 하라, 분별하라’)을 담은 롬 8:5-11의 연결을 통해서 두 영역 구원 개념 속에서 신자의 삶의 모습, 그리고 그 시작점이 되는 성령으로 인한 새로운 사고 체계를 강조한다. 바울은 이런 자신의 강조점을 반복과 지연이라는 효과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전달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Paul’s approach to the ethical exhortation in Rom 12:1-2. As an entrance to the imperative part in the macro level of "indicative-imperative" structure, Rom 12:1-2 reflects Paul"s previous arguments in Romans. The expression "to offer one"s body" in Rom 12:1 is reminiscent of what Paul links indicative and imperative within the two-realm framework in Rom 6:13. The cognitive languages ("to renew one"s mind," "to test and approve") in Rom 12:2 are connected to the content of Rom 8:5-11. In this sense, Paul describes one"s living toward God in new salvific realm as a proper Christian life in Rom 12:1-2. He also demonstrates that the renewed mind-set by the Holy Spirit is the beginning point of the Christian life in the new realm. Such interests of Paul are delivered to his readers through rhetorical devices of repetition and delay. Even though Paul commands his readers to live toward God in the new realm in Rom 6:13, only in Rom 8:5-11 he introduces the renewed mind-set by the Spirit as the first step toward such life. Also, only in Rom 12:1-2 Paul exhorts his readers to have such mind-set and use it. It reflects his strategy that the additional explanations in each step are important, and his readers should acknowledge them before moving into the topic of Christian life. Moreover, the repetitive nature of Rom 12:1-2 also indicates that Paul wants to stress the content of Rom 6:13 and 8:5-11. After all, through the devices of repetition and delay Paul delivers his ethical views to his readers in Rom 12:1-2. It includes the concept of salvation in two-realm framework, an integrity of one"s being a Christian and living, a serving life toward God, the importance of reassuring the bases of Christian life, and the renewed mind-set as the beginning point of Christian life.

      • KCI등재

        생명신학과 사회복지선교

        박영환(Park, Young-whan) 한국선교신학회 2009 선교신학 Vol.20 No.-

        Jong Hyun Jang proclaimed “Life Theology” through the Baekseok University under the name of Baekseok theology.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ity is undergoing a difficult time. Especially the social welfare mission became due to statistics and evaluations more focused on capacity and results than the way of Jesus Christ. Jong Hyun Jang's “Life Theology” revived the Gospel in that sense. Although his work seems like the “Life Theology” of Alfred Jaeger, however he focuses on a much more pragmatical way on becoming more like Jesus Christ. He shows a crossroad in which “Life Theology” and Social Welfare Theology meet. Social Welfare Mission is the fastest way to actually do the work of Jesus Christ and spread his word as he did. “Life Theology” is the center of the Social Welfare Theology in which we live and serve as servants. This is why “Life Theology” is the future of the Social Welfare Theology. Thus, “Life Theology” with the aid of Social Welfare Theology will be able to revive and encourage people in desperate need to a new way of life. The background of this can be described in three points. 1) the center of the Social Welfare Theology-Christianity- Jesus Christ centered, 2) the framework of the Social Welfare Theology-church theology-the member and the leader of a community 3) the context of the Social Welfare Theology - Kingdom of God - behavior and attitude. These 3 components are important parts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Theology. Since today Social Welfare Mission took a variety of forms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itself in a dynamic changing society. Social Welfare Theology has more non religious factors (financial support, management, etc.) than ordinary mission itself. Thus it lead to arguments of the purpose of the mission and its meaning itself. The Social Welfare Mission also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in a secular and diverse society. Such difficulties now stand before the "Life Theology" to achieve a core meaning centered around Jesus Christ. Thus, not something which just looks like spreading the good word, but doing it like Jesus did is the main idea of the Social Welfare mission. Jong Hyun Jang’s “Life Theology” has been proven through the Baekseok University to work hand in hand with the social welfare mission. It remains subject to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to see how Jong Hyun Jang’s Life Theology establishes itself in the future.

      • KCI등재

        기독교연합봉사회: 1950년대의 기독교 연합사업 연구

        김흥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3 No.-

        Foreigner's social work in Korea began by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come to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ity. In 1946, professional relief organizations such as Catholic Relief Service and Church World Service began to work in South Korea for the poor people who came south from North Korea and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In this situation, an interdenominational mission conference, meeting in Seoul in 1948, stressed the great need for social work and leadship training for rur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conference, five missions working in South Korea decided to organize a cooperative project to be called,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to be located in Daejeon.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Methodist Mission, Salvation Army, United Church of Canada, and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joined in the cooperative project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Missionaries thought that in Daejeon, of all places in South Korea, there was the most favorable environment to make a great demonstration before the Korean people of the Christian unity of the missionaries. The Constitu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1950) stated the purpose of the Center as “To provide a practical demonstration of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to the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of Korea and to train men and women to be leaders in service throughout Korea.” In the spring of 1953 the organiza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completely formulated. Mr. Dean Schowengerdt, agriculturalsit, of the Methodist Mission, was assigned to work in the Center. Rev. Pai Min Soo bagan to work for training rural leaders. The Board of Directors approved the establishment of four separate projects within the overall programs: Amputee Rehabilitation under the Rev. R. A. Torrey, Rural leaders Training under the Rev. Pai Min Soo, Farm Demonstration under Mr. Schowengerdt, and Orphange under the Salvation Army. In 1955 a Tuberculosis Rest Home and a Baby-fold was added.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had an link, both financially and personally, with pre-war Pyengyang Statio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in this point it may be said as continuation of the rural work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Center was different from other Christian voluntary agenc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that it was organized in Korea by missionaries who had worked in Korea and had experienced Korea. 1945년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사회는 남북분단과 전쟁으로 구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대거 발생하고 있던 시기였다. 이 상황에서 기독교 배경을 가진 외국원조 단체들이 내한하고, 일제말 한국을 떠났던 선교사들도 다시 내한하여 선교활동을 재개하였다. 선교사들은 새로운 선교과제를 찾는 과정에서 선교부간 연합사업을 구상했는데, 그것이 기독교연합봉사회(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의 설립으로 구체화되었다. 1948년 교파를 초월해 모인 선교사들은 사회사업과 농촌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이 회의의 결과로서 1949년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었다. 이 사업에 북장로회 선교부, 감리회선교부, 구세군, 캐나다연합교회선교부, 남장로회선교부가 참여하였다. 다양한 교파의 선교부가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를 세우기로 한 것은 이 지역이 남한의 어느 지역보다도 한국인들에게 선교사들의 일치된 모습과 연합사업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원래 대전 지역은 감리교와 장로교의 선교지역 분할협정시 감리교 선교지역이 된 곳이었는데,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참여하는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면 연합사업의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으로 보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교회와 민족의 분열이 가시화되고 있던 시기의 연합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기독교연합봉사회 헌장(1950년)은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을 한국국민 일상생활에 적용할 것을 실지로 보이며, 이 봉사사업에 지도자가 될 기독교 남, 여 신자를 훈련함”을 목적으로 하고 농촌사업과 구호 및 보건사업을 구체적인 사업으로 삼았다. 이 사업들은 1952년 가을 이후 농업 및 구호사업 전문가가 기독교연합봉사회 사업에 가담함으로써 가시화되었다. 수족 절단자 재활 사업은 세계기독교봉사회의 토리가, 농촌 지도자 훈련은 배민수가 책임을 맡았다. 감리교 선교사 딘 쇼웬거트는 시범농장 사업을 담당했으며, 고아원은 구세군에서 맡았다. 1955년까지는 결핵요양원과 영아원 사업이 추가되었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농촌사업과 구호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계획했으나 자금의 부족으로 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치중하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 부지에서 활동하는 구호단체들은 스스로 또는 연합봉사회의 모금으로 건축비나 운영자금을 마련했다. 기독교연합봉사회와 그 안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관계는 기본적으로는 전자가 사업 부지를 제공하고 후자가 이사회에 사업을 보고하는 관계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이미 한국선교 경험을 가진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한국에서 공동 설립한 기구라는 점에서 외국에 본부를 두고 한국에 파견되어 활동한 응급구호 중심의 외원단체들과는 성격이 달랐다. 재한 선교부들이 새로 설립한 단체이면서도 농촌사업의 인력 및 재정에서 북장로교 평양선교부와 연관된 점에서 이 사업은 일제시기 한국교회 농촌사업과 역사적 연관을 가지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기독교 농촌계몽 잡지, 『농민생활』을 통해 본 채필근의 종교와 과학관

        김태연(Tae-Yeon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본고는 일제 강점기 기독교 지식인 채필근(1885-1973)이 『農民生活』에 농민 독자들을 향해 쓴 에세이를 중심으로 그의 과학관과 종교관에 대해 살펴본다. 그는 일반적으로 자유주의 신학자로 분류되기에 종교와 과학에 대한 입장이 개방적일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유주의'라는 편의적 분류 가운데 신학자들을 바라볼 경우, 각 사람의 고유한 사유방식을 간과하게 된다. 본 연구는 그러한 분류식과 선입견을 벗어나는 시도로서, 채필근이라는 인물이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속에서 종교와 과학의 담론을 어떻게 펼쳤는지를 추적한다. 여타 신학, 기독교 전문 잡지나 신문에 실린 그의 글과 달리, 『農民生活』에는 흥미롭고 삶에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 내용의 글이 담겨있었다. 합리적, 도덕적 삶을 위해 구습을 벗어나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나아가야 한다고 호소하는 글에서 우리는 과학과 종교에 관한 그의 이해 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그의 글을 살펴보면서 종교와 과학에 대한 학문적인 논쟁보다, 일제 강점기의 한 기독교 지식인이 당시 구체적 삶 속에서 종교와 과학의 가치에 대해 일상생활에 가깝게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하는지, 양자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먼저 과학관이라는 주제하에 채필근이 조선인의 습관, 관성 중 합리화될 점을 논한 대표적 글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1930년대 초반의 글들을 주요하게 살피지만 필요하다면 같은 시기 다른 잡지에 실린 그의 글을 참조하여 사유방식을 해명하도록 한다. 이후 그가 종교관과 기독교 비판 내용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그의 종교관과 과학의 도전에 직면한 종교의 미래를 논의하는 글들을 고찰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그가 종교 현상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하더라도 과학은 반드시 연관된다. 당시 어떠한 현실적 상황을 염두에 두며 주장을 펼치는지 살펴본다. This paper explores Chae Pil Geun’s perspective on religion and science through his essays from the 1930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Farmer’s Life prior to his pro-Japanese activities. Unlike his other writings in theological and Christian publications, these essays contain practical content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daily life. Chae Pil Geun’s essays discuss the need to abandon outdated customs and keep up with modern trends in order to live a rational and moral life. Through this lens, we gain insight into h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how a Christian intellectu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sented the value of religion and science in everyday life.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nvolves an intensive review of Chae Pil Geun’s writings on science, with a focus on his essays that emphasize rational thinking and the rejection of old customs and superstitions. While the primary focus is on his writings from the early 1930s, we can also say that his way of thinking remained consistent even after this period. To provide further context, we reference his writings published in other magazines at the same time. Next, we examine Chae Pil Geun’s writings on religion, including his discussions of Christianity and the future of religion in light of the challenges posed by scientific views. Throughout his discussions of religious phenomena, there is always a connection to scie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context in which he was writing and how he constructed his arguments.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1)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여성문학연구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of women's poetry in the literary community of the 1950s, examine how those poems tried to overcome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feminine writing attempted in those poems based on the work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In literary works whose main theme is war, female figures often represent victims. Such an image of female figures continued in the poetry in the 1980s under the structure of "absent father vs. oppressed mother and sister" or "father as an authoritative figure vs. woman as a victim." In the gender topography of Korea's literary history, the poem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have significant topographical meanings. Their poems succeeded in depicting female figures as the representation of salvation and tried to heal and overcome the wounds after the Korean War by uncovering positive values such as "the breath of life" and "life." The late modernism poets were overwhelmed by an idea that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war should be regarded as ruins, that everything must be destroyed, and that there should be a new start on a clean slate. Contrary to that tendency, women's poetry in the 1950s led by Kim and Hong demonstrated a will to treat and overcome the wounds of the war with maternal force and a tree's life force. Common to Kim's and Hong's poems, universal imagination also deserves attention. Involving such heavenly bodies as the sun, the earth, the moon, and stars, universal imagination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two poets' works in the 1950s and differed from natural-universal imagination common to traditional lyric poems. In their works, universal imagination makes the current suffering seem like a trivial earthly matter and further helps to cope with the dismal situations after the war dominated by the dark shadow of death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life. Thus universal imagination in the poets' works contains meanings not recognized in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and deserves reevaluation. While Kim employs a tone of confession and praying, which later settled down as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writing, in her poems, Hong often uses a tone of determination and order that's rather exceptional. Their feminine writing in the 1950s provides clues to feminine writing later through their tones. Feminine writing in general is deconstructive writing to rebel against "male-father- language," and its buds are found in Kim's and Hong's poems in the 1950s. The tone of confession in their poems requires more detail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ne writing. In particular, Hong's attitude of ruminating upon the war's meanings through memory deserves definite attention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in that it adopts an ethical point of view to open a door to the treatment and conquest of the wounds of the war, which was waged in the name of father, and that it allows for intellectual reflections of the meanings of war.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를 대상으로 1950년대 문단에서 여성시가 어떤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시가 전쟁의 상흔 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시도된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논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서 여성 형상은 희생양의 표상으로 등장하곤 했다. 이러한 여성 형상의 이미지는 이후 ‘부재하는 아버지와 핍박받는 어머니-누나-여동생’, 또는 ‘권력의 표상 으로서의 아버지와 희생양으로서의 여성’의 구도로 1980년대의 시에까지 계 승된다. 이런 한국문학사의 젠더적 지형 속에서 1950년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가 갖는 지형적 의미는 적지 않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는 구원의 표상으로서의 여성 형상을 그려내는 데 성 공했으며, ‘목숨’과 ‘생명’이라는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전후의 상처 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전후의 한국 사회를 폐허로 인식하고 모든 것 을 파괴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식이 후반기 모더니즘 시인들 에 의해 팽배해 있었다면, 김남조․홍윤숙을 필두로 한 1950년대의 여성시는 모성의 힘과 나무의 생명력을 토대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하 는 지향을 보여준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 또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태양, 지구, 달, 별과 같은 천체가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이 1950년대의 두 시인의 시에서 자주 펼쳐지곤 했는데, 이는 전통 서정시에 일 반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우주적 상상력과는 차이가 있다. 우주적 상상력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 일차적으로는 고난의 현재를 하찮은 지구상의 일 로 보게 하는 기능을 하고, 더 나아가서는 생명이라는 주제의식과 관련을 맺 으면서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전후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나타나는 우주적 상상력의 의미는 1950년대의 시사 속에서 주목되어오지 않은 특징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조의 시에서는 이후 여성적 글쓰기의 특징으로 정착되는 고백과 기구 (祈求)의 어조가 주로 나타나고, 홍윤숙의 시에서는 여성시로서는 다소 예외 적으로 의지와 명령의 어조가 자주 발견된다. 어조를 통해 드러나는, 1950년 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적 글쓰기의 단초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성적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아버지-언어’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해체적 글쓰기이지만, 1950년대의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도 그 단초가 발견된다. 이들의 시가 지니는 고백적 어투에 대해서는 여성적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좀더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 다. 특히 홍윤숙의 시에서 기억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태도 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자행된 전쟁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할 가능성을 열어 주는 윤리적 시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전쟁의 의미에 대한 지적 성찰 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1950년대 시사 전체의 구도 속에서도 눈여겨보아 야 할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바울 이해에 대한 비교 연구

        천세종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mparatively the writings of Ar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by focusing on Paul’s lfie and theology. The study examines their presentations of Paul’s identity and message, the function of Christ’s resurrection, and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s such as “in Christ” and “new creature” in 2 Corinthians 5:17. Pierson who has a passion for world mission highlights on Pausl’ role as an evangelist. In Pierson’s opinion, Paul has become a partner of God by participating in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KyungChik Han who was a senior pastor of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has paid a special attention to Paul’s life and message instead of his theological issues. Han thinks that Paul had a particular goal in his mind: to live as “a genuine C hristian.” Han regards Paul as a role model for modern Christians and church leaders. About the resurrection of Christ, Pierson believes that the resurrection has become a proof of the incarnation, a foundation of justification of the believers, and a basis for world mission. According to Han, the resurrection is a theological affair that guarantees the believers a future resurrection. At the same time, it is a socio-cultural event that brings a victory to life over death, truth over falsehood, love over hatred, and justice over injustice. For Pierson the expression, “in Christ” is an essential theological concept in understanding Paul’s thought. By being in Christ a believer experiences being separated from the old realm and entering inot a new domain of existence and life. While Pierson emphasizes a theological aspect of the phrase, “in Christ,” Han accentuates Paul’s expression, “new creature.” Han explains his congregations the meaning of the arrival of a new generation. He wants them to be prepared for the new era by becoming a new person in Christ. As a senior pastor of a mega-church Han underscores a communal aspect of Paul’s theology and a socio-cultural value of it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eing a new person and a new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바울에 대한 이해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와 저술들을 살펴보면서 바울의 정체성과 삶에 대한 이해, 부활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와 “새로운 피조물”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피어선과 한경직이 가지고 있는관점과 삶의 자리가 바울 이해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관심 있게 살펴본다. 세계 선교에 지대한 관심과 열정을 가졌던 피어선은 복음 전도자로서의 바울의 삶을 강조하면서, 세계 선교에 동참하는 것이 하나님의 동역자로 살아가는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평생 교회 담임목회자였던 한경직은 바울의 신학적측면보다는 신앙인으로서의 바울의 삶과 메시지에 관심을 집중한다. 한경직은바울이 가졌던 삶의 목표가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었다고 설명하면서, 바울을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본받아야 할 모범으로 제시한다. 피어선은 기독교의 가장 근원적인 두 가지의 기적을 성육신과 부활로 이야기 하면서, 부활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전개한다. 피어선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성육신의 증거가 되고, 죄인을 의롭다고 인정하시는 칭의의 기초가 되며, 세계 선교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한다. 한경직에 있어 그리스도의 부활은 믿는 자들의 미래적 부활을 보증하는 신학적인 사건인 동시에 “생명, 진리, 사랑, 정의”가 승리하는사회·문화적인 사건으로 이해된다. 바울이 사용하는 “그리스도 안에”와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표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두 지도자는 차이를 보이는데, 피어선에게 “그리스도 안에”라는표현은 바울 신학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이전의 세상과의 이별을 의미하며 믿음을 통해 새로운 삶과 존재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선계 선교와 복음 전파에 큰 관심을 가졌던 피어선이 복음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그리스도 안에”라는 표현을 통해 바울의 신학적 측면에 집중하였다면, 한경직은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구절에 초점을 두면서 급변하는 세상 속에 살고 있는 교인들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설명하고 새로운 존재가 되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한국의 대표적 장로교회의 목회자로서 한경직은 믿는 자 개인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와 민족도 새롭게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바울신학의 공동체성과 사회·문화적 측면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연합봉사회 : 1950년대의 기독교 연합사업 연구

        김흥수(Kim Heung-S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3 No.-

        1945년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사회는 남북분단과 전쟁으로 구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대거 발생하고 있던 시기였다. 이 상황에서 기독교 배경을 가진 외국원조 단체들이 내한하고, 일제말 한국을 떠났던 선교사들도 다시 내한하여 선교활동을 재개하였다. 선교사들은 새로운 선교과제를 찾는 과정에서 선교부간 연합사업을 구상했는데, 그것이 기독교연합봉사회(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의 설립으로 구체화되었다. 1948년 교파를 초월해 모인 선교사들은 사회사업과 농촌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이 회의의 결과로서 1949년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었다. 이 사업에 북장로회 선교부, 감리회선교부, 구세군, 캐나다연합교회선교부, 남장로회선교부가 참여하였다. 다양한 교파의 선교부가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를 세우기로 한 것은 이 지역이 남한의 어느 지역보다도 한국인들에게 선교사들의 일치된 모습과 연합사업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원래 대전 지역은 감리교와 장로교의 선교지역 분할협정시 감리교 선교지역이 된 곳이었는데,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참여하는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면 연합사업의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으로 보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교회와 민족의 분열이 가시화되고 있던 시기의 연합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기독교연합봉사회 헌장(1950년)은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을 한국국민 일상생활에 적용할 것을 실지로 보이며, 이 봉사사업에 지도자가 될 기독교 남, 여 신자를 훈련함”을 목적으로 하고 농촌사업과 구호 및 보건사업을 구체적인 사업으로 삼았다. 이 사업들은 1952년 가을 이후 농업 및 구호사업 전문가가 기독교 연합봉사회 사업에 가담함으로써 가시화되었다. 수족 절단자 재활 사업은 세계 기독교봉사회의 토리가, 농촌 지도자 훈련은 배민수가 책임을 맡았다. 감리교선교사 딘 쇼웬거트는 시범농장 사업을 담당했으며, 고아원은 구세군에서 맡았다. 1955년까지는 결핵요양원과 영아원 사업이 추가되었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농촌사업과 구호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계획했으나 자금의 부족으로 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치중하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 부지에서 활동하는 구호단체들은 스스로 또는 연합봉사회의 모금으로 건축비나 운영자금을 마련했다. 기독교연합봉사회와 그 안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관계는 기본적으로는 전자가 사업 부지를 제공하고 후자가 이사회에 사업을 보고하는 관계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이미 한국선교 경험을 가진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한국에서 공동 설립한 기구라는 점에서 외국에 본부를 두고 한국에 파견되어 활동한 응급구호 중심의 외원단체들과는 성격이 달랐다. 재한 선교부들이 새로 설립한 단체이면서도 농촌사업의 인력 및 재정에서 북장로교 평양선교부와 연관된 점에서 이 사업은 일제시기 한국교회 농촌사업과 역사적 연관을 가지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Foreigner's social work in Korea began by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come to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ity. In 1946, professional relief organizations such as Catholic Relief Service and Church World Service began to work in South Korea for the poor people who came south from North Korea and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In this situation, an interdenominational mission conference, meeting in Seoul in 1948, stressed the great need for social work and leadship training for rur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conference, five missions working in South Korea decided to organize a cooperative project to be called,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to be located in Daejeon.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Methodist Mission, Salvation Army, United Church of Canada, and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joined in the cooperative project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Missionaries thought that in Daejeon, of all places in South Korea, there was the most favorable environment to make a great demonstration before the Korean people of the Christian unity of the missionaries. The Constitu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1950) stated the purpose of the Center as “To provide a practical demonstration of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to the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of Korea and to train men and women to be leaders in service throughout Korea.” In the spring of 1953 the organiza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completely formulated. Mr. Dean Schowengerdt, agriculturalsit, of the Methodist Mission, was assigned to work in the Center. Rev. Pai Min Soo bagan to work for training rural leaders. The Board of Directors approved the establishment of four separate projects within the overall programs: Amputee Rehabilitation under the Rev. R. A. Torrey, Rural leaders Training under the Rev. Pai Min Soo, Farm Demonstration under Mr. Schowengerdt, and Orphange under the Salvation Army. In 1955 a Tuberculosis Rest Home and a Baby-fold was added.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had an link, both financially and personally, with pre-war Pyengyang Statio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in this point it may be said as continuation of the rural work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Center was different from other Christian voluntary agenc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that it was organized in Korea by missionaries who had worked in Korea and had experienced Korea.

      • KCI등재후보

        30대 기혼 여성 그리스도인의 교회생활 인식조사를 통한 교육목회적 접근 방안 모색

        최동규 ( Choi Dong Kyu ),신승범 ( Shin Seung Beo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4 No.-

        교회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삶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삼십대 기혼 여성들이 있다. 그들은 청소년 졸업과 장년부 진입의 틈새에 끼인 채 교회사역의 대상에서 쉽게 제외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삼십대 기혼 여성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교회생활을 하고 있고, 그들의 필요는 무엇이며, 교회는 그들의 필요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대부분은 결혼 전부터 그리스도인이었으며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고 공적인 예배와 개인적 예배를 지속하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의 약 40% 정도는 예배 외에 다른 교회활동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참여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과 직장생활로 인한 시간의 부족 때문이었다. 셋째, 결혼 후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약 76%가 육아문제(자녀양육)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신앙생활이 직장생활, 가사, 육아에 도움이 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약 90%정도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응답자의 약 74% 정도는 일, 가정, 교회 중 가정에 가장 우선순위를 둔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교회가 신앙생활을 배려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약 50% 정도는 보통이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자녀를 위한 안전한 놀이시설, 쾌적한 자모(예배)실, 휴식공간 등의 설비를 교회가 갖춰 주기를 기대하였고, 자녀 돌봄 프로그램, 부부 성장학교, 가정신앙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연구자는 마리아 헤리스가 제시한 교육목회의 다섯 가지 현장, 즉 코이노니아,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케리그마, 디아코니아를 이용하여 삼십대 여성 기혼 그리스도인을 위한 교육목회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church has married women in their thirties who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life changes. They are easily excluded from the ministry of the Church,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graduation of the young adult and the entrance of the elder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demonstrate how married women in their thirties are doing church life, what their needs are, and how the church is responding to their need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Christians from before marriage, had the assurance of salvation, and continued public worship and personal worship. Second, about 40% of the participants did not participate in other church activities other than worship.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was due to the burden of child rearing and lack of time due to work life. Third, about the greatest difficulties after marriage, about 7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child care. Fourth, about 9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faith is helpful for working life, housework, and childcare. Fifth, about 7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the highest priority in the work, home, and church family. Sixth, about 5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hurch has consideration for their faith. Finally, they expected the Church to equip facilities such as safe play facilities for children, a pleasant room for worship, and a resting area, and would like to run programs for child care programs, marital growth program, and faith transfer training. On the basis of this, the researcher proposed a educational ministry approach for a 30s female married Christian using the five ministries of education ministry suggested by Maria Harris: Koinonia, Leiturgia, Didache, Kerygma, and Diako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