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유광훈(聖諭廣訓)의 만주어 연구

        김주원 ( Ju Won Kim ) 한국알타이학회 2013 알타이학보 Vol.0 No.23

        This paper investigates various editions of Shengyuguangxun (聖諭廣訓; Enduringge tacihiyan be neileme badarambuha bithe in Manchu; first published in 1724), including the Manchu edition, the Manchu-Chinese edition, the Manchu-Mongol edition, the Manchu-Mongol-Chinese edition, and the Chinese edition. A special focus is given on the Manchu- Chinese edition that was newly discover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Central Library. On its bibliographical side, I show that the SNU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Manchu-Chinese editions found in the other libraries, in that the interlinear Chinese translation was added later at the time of reprinting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monolingual Chinese readers. On i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I demonstrate how the Manchu language has been modified by means of a thorough comparison of the different editions. The reason for modification is mainly attribu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nchu language that w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the edict by the Emperor Qianlong issued in approximately 1750.

      • KCI등재후보

        근대 척독집 연구 : 김우균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을 중심으로

        홍인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한문 편지쓰기의 교본인 척독집이 근대시기에 대량 출판, 유통된 상황에 주목하고 이 자료군의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으로 쓰였다. 이를 위해 근대 척독집의 자료군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가장 자주 언급되는 대표적인 근대 척독집인 『척독완편』을 중심으로 지은이와 서지사항, 책의 체제와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근대 척독집은 1900년대에 출판되기 시작하여 1920~30년대까지 활발하게 소비되었다. 그중 김우균(金雨均)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은 190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신문 광고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판본의 다양성 면이나 현존하는 책수 면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책이다. 이 책은 1899년 출판된 이후 1905년, 1908년, 1912년, 1920년 등 여러 해에 걸쳐 새롭게 편찬되었으며, 『척독완편(尺牘完編)』, 『신찬척독완편(新撰尺牘完編)』, 『증보척독완편(增補尺牘完編)』, 『증보자전척독완편(增補字典尺牘完編)』의 네 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척독완편』의 서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최초의 『척독완편』이 출간된 것은 1899년경이지만 이 판본은 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현재 남아있는 『척독완편』은 서발문, 권책수, 목차, 부록 등을 고려할 때, 『척독완편』 계열, 『신찬』 계열, 『증보자전』계열의 세 개로 나눌 수 있다고 정리하였다. 『척독완편』의 체제상 특징으로는 ‘주제별분류’를 중시하였으며, 후기 판본으로 갈수록 보수적 성격이 강화되는 특징을 드러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척독완편』의 의의는 첫째, 조선후기 간찰교본과의 연관성을 직접 드러내고 있다는 점, 둘째, 여러 번의 개수를 통해 한문 글쓰기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 셋째, 이후 근대 척독집 유행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thesis intends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in the modern period. The books aim is to help people write Chinese letters. The study starts to explain why they were published and consumed on a massive scale in this period. In order to explain the textbooks’ popularity, the study introduces their reference materials and reveals their authors, bibliographi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he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were first published in the 1900s and then vigorously consumed into the 1930s. ‘Chukdokwanpyun(尺牘完編)’, written by Kim, Woo Kyun(金雨均), was one of the textbooks found most in newspaper advertisements. It holds a dominant position among other textbooks due to its diversity and number of edition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Since its first publication, ‘Chukdokwanpyun’ was revised several times in 1905, 1908, 1912, and 1920. Its four editions are ‘Chukdokwanpyun’,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新撰尺牘完編)’,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增補尺牘完編)’,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Dictionary(增補字典尺牘完編)’. The first edition of ‘Chukdokwanpyun’ was published around 1899, but has not been found. Other editions handed down to the present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Dictionar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ukdokwanpyun’ are it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its tendency toward conservatism, which becomes stronger through the several publications of its new editions. There are three important point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Chukdokwanpyun’. First, it had direct relevance to the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writing in Chinese thorough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Lastly,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t became a catalyst for the huge popularity of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 KCI등재

        표제어 대역 한자어의 탄생과 『한불자전』의 가치

        하강진(Ha, Kang-Ji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80

        제6대 조선교구장을 지낸 프랑스 신부 리델(F. C. Ridel)의 『한불자전(韓佛字典)』은 최초의 본격적인 대역사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사전은 1864년 착수해 1880년 일본에서 출간되기까지 무려 17년이나 걸렸다. 리델로부터 간행 위임을 받은 코스트(Costé) 신부가 도일(渡日)한 해가 1878년이었으니, 일본에서조차 두 해를 힘들게 보냈다. 사전 발행자는 레비(C. Lévy)로, 발행소는 그가 운영하던 ‘레코 듀 쟈퐁(L’Écho du Japon)’ 신문사였다. 그런데도 이제껏 사전 발행자를 발행소로 잘못 알고 학계에서 이를 재생산해 왔다. 사전학에서 일차문헌에 대한 실증 작업이 그만큼 중요함을 알게 한다. 『한불자전』은 사전 편찬사에서 또 다른 중요한 위상이 있다. 첫째, 대역(對譯) 한자어를 병기(竝記)한 ‘표제항 구조’는 근대기 이중어사전으로서는 최초의 시도이자 이와 같은 사전 발간 전통의 기원을 이룬다. 여타 사전과는 달리, 이 사전의 표제항은 ‘한글 표제어, 로마자 발음 정보, 한자어 정보, 프랑스어 뜻풀이 정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편찬자는 한글 표제어와 이에 대응하는 프랑스어 번역 사이의 의미 차이를 최대한으로 좁히기 위해 대역 한자어를 표제항에 병기한 것이다. 둘째, 표제항에 당대 생활세계의 특성을 반영한 어휘를 대거 수록하고 있다. 담배와 법률의 범주에 속하는 어휘가 대표적이다. 이는 편찬가가 천주교 신자를 포함해 기층 민중의 현실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선교사들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담아내려는 의도를 반영한 결과다. 셋째, 대역 한자어는 표제어가 한자어인 경우 그 한자를 그대로 가져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의미나 발음 정보가 유사한 한자로 대체했다. 리델의 뛰어난 언어 감각과 문자 지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비규범적 조어와 독자적 용법은 종래의 한자어는 물론 중국어와도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번역 행위였다. 넷째, 대역 한자어의 선택이 구어 외에 조선의 주요 문헌을 두루 참조한 결과라는 점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이다. 이를 속담 자료와 조선후기 조재삼의 『송남잡지(松南雜識)』 사례로써 확인했다. 또한 리델은 한국 고유한자에 주목해 관련 어휘를 다수 등재해 대역사전의 개성을 더욱 확보했다. 마지막으로, 일부 대역 한자어에서 보이는 한자 표기 오류는 인쇄단계 직전까지 거르지 못한 데서 발생된 사소한 것이기는 하나 사전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韓佛字典』) from French priest Riedel(Felix-Clair Ridel) is the first full-fledged bilingual dictionary. This dictionary was launched in 1864 and it took 17 years to be published in Japan in 1880. Priest Costé received the delegation of the publication from Riedel went to Japan in 1878. In other words, even it took two years in Japan. Dictionary publisher was Levi(C. Lévy) and the dictionary publishing office was the record producer Echo of Japan(L’Écho du Japon) newspaper that he had been operating. But it had mistaken the dictionary issuer to the publishing office, even academic circles has been reproduced on this fact. It shows that empirical work on the primary literature in lexicography was so important.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is an important phase in the lexicography. First, the title structure is the written(竝記) bilingual edition(對譯) of Chinese character, which was the first attempt as a bilingual dictionary and it became the origin of the dictionary published. Unlike other dictionaries, dictionaries of this title structures are arranged in ‘Hangul headwords, roman pronunciation information, Chinese character information, the meaning of French’ order. Unlike other dictionaries, the title of the dictionary are arranged in Hangul Headwords, roman pronunciation information, Chinese character information, the French interpret information procedure. Compilers are meant to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nch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gul Headwords to the fullest, the bilingual edition was recorded as Chinese character in the title section. Second, many vocabulary words are included in headwords and thos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fe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 words have relevance to the category of tobacco and a legal. These results reflect lexicography’s intentions to depict the life of Catholics and people vividly and capture the desperate situation facing missionaries. Third, If Headwords a Chinese character,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was recorded as Chinese. Otherwise,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information was replaced by a similar Chinese characters. non-normative grammatical particle built on excellent knowledge of the language from Ridel was the act of translating the Chinese character and traditional Chinese in his own unique way. Fourth, the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i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as it referred to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oroughly. A major source of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was Songnamjabji(『松南雜識』) of JoJaesam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focuses on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 it has a characteristic as it recorded many related vocabulary. Finally, the clerical error of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requires careful attention when you use the dictionary.

      • KCI등재

        ≪現代漢語詞典≫ 제5판과 제6판 비교 -새로 증가된 어휘를 중심으로-

        맹유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With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China's politics,economy, culture and social structures, the Chinese people's language habits are also undergoing unprecedented changes. With this trend,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is constantly being revised and improved, and so far, it has been revised up to the sixth edition. Analysis on the vocabulary changes included in this dictionary, is not only to grasp the overall trend of Chinese vocabulary changes, but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life changes of Chinese people and society. The 6th edition of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contains more than 3,000 new vocabularies and over 400 new lexical meanings. This thesis based on over 3,000 words included in the 6th edition of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analyzing new words, lexical meanings, heterograph, changes of vocabulary entry, common language increase, ancient words reproduction, word explanation changes and other aspects. The analysis will play a majoy role in the use of Modern Chinese Dictionary in studying and teaching Chinese.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구조 등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언어와 생활은 역시 전례 없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現代漢語詞典≫은 또한 이런 추세에 따라 계속해서 수정되고 보완되어 지금까지 일곱 번째 수정판까지 나왔다. 이 사전에 수록된 어휘들의 변화를 주의 있게 살펴보면 중국어 어휘의 전반적인 변화 추세는 물론 중국 사람들의 생활 변화도 읽을 수 있다고 본다. ≪現代漢語詞典≫ 제6판에 신조어를 포함한 어휘 3000여 개와 새로운 의항 400여 개를 새로 수록하였다. 이 중에 언어, 특히 어휘가 끊임없이 발전해 가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3000여 개 어휘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어휘학과 사회언어학 각도에서 ≪現代漢語詞典≫ 제5판과 ≪現代漢語詞典≫ 제6판을 대조해서 이 3000여 개 어휘를 일일이 찾아내어 두 판본에서 수록된 어휘의 변화를 통해 중국어 어휘의 발전 추세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자고 한다.

      • KCI등재

        The Pilgrim’s Progress의 中譯本과 韓譯本의 版本 및 韓國傳播와 影響 考察

        오승일,오지석,오순방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Tyeon Ro Ryeok Dyeong(텬로력뎡) of 1895 and various version of Chinese translations to find out the source text of Korean edition. In this paper, we examined a total of 52 Chinese translation editions translated into Chinese from original source of The Pilgrim’s Progress of John Bunyan(1628~1688) with the length of Section 5. We also examined the ways to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of Cheon Ro Yeok Jeong(천로역정) from chinese text. I have overview the various text source of Chinese text as well in Korea. Finally, I looked at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translations on the text.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Pilgrim’s Progres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hinese Written Language, Mandarin Dialect, and Dialectal translation. The translation of the Chinese Written Language spreaded to Korea is William Chalmers Burns (1815~1868) version of Tian Lu Li Cheng(天路歷程) which was transmitted in 1894 and 1907 and intermission version of Eulmyo year (乙卯). It will be divided into Shanghai version and Hongkong version according its publication place. It is estimated that the Mandarin version would have flown into Korea, but unfortunately it has not been discovered yet and a copy of the English Oxford Bodleian Library was imported. The dialectal version is a copy of the Gwangju (廣州 羊城) version of 1871. The Korean version of Tyeon Ro Ryeok Dyeong(텬로력뎡) begins with James Scarth Gale (1863 ~1937) and his wife Harriet (E. G. Harriet, 1860~1908) translation. It has been translated by 62 translators, and 61 translations are available since then. The Chinese version was influenced on these Korean translations and the most influential version were the first edition of Gail and Harriet. The Chinese Written Language of Tian Lu Li Cheng(天路歷程) was influenced the form of poetry, and the Mandarin version influenced prose as well as poetry. In the illustration section of Tyeon Ro Ryeok Dyeong(텬로력뎡) was directly affected to Dialectal translation. After Gale, many Korean translators translated The Pilgrim’s Progress, which included a total of 61 signatures entitled Cheon Ro Yeok Jeong(천로역정). This tells us that Burns’ Tian Lu Li Cheng(天路歷程) influenced not only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yeon Ro Ryeok Dyeong(텬로력뎡) but also all the later Korean texts in general ways. 본 논문은 韓譯本 《텬로력뎡》의 저본 연구를 위한 中譯本과 韓譯本 판본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한국에 전래된 각종 中譯本과 1895年刊 《텬로력뎡》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韓譯本 《텬로력뎡》이 발간된 이후 학계에서는 저본에 대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저본 의혹의 중심에는 中譯本에 대한 철저한 조사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미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두 5절의 편폭으로 존 번연(John Bunyan, 1628-1688)의 영어원작 The Pilgrim’s Progress가 중국어로 번역된 中譯本 판본을 종합적으로 조사 고찰해 보았고, 이들 中譯本 《天路歷程》이 韓國에 傳播되고 所藏된 상황을 상세히 검토해 보았다. The Pilgrim’s Progress의 中譯本은 크게 文言譯本, 官話譯本, 方言譯本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에 傳播된 文言譯本은 윌리엄 찰머스 번스(William Chalmers Burns, 賓爲霖, 1815-1868)의 《天路歷程》인데 年代順으로 1894년, 1907년, 乙卯年 刊本이 소장되어 있는데, 刊行地로 분류하면 上海版本과 홍콩판본으로 나누어진다. 官話譯本이 한국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까지 발견되지는 않았고 최근에 영국 옥스퍼드대학 판본이 입수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文言譯本 18종, 官話譯本 23종, 方言譯本 11종 등 52종의 중역본 서지사항을 구체적으로 조사 소개하였는데, 그중에 方言譯本은 1871년 廣州 羊城版本이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최초의 韓譯本 《텬로력뎡》의 번역과정에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는 乙卯年 판본의 구체적인 간행연대를 聖經中譯史의 논거와 中譯本의 특징을 토대로 1915년 간본임을 밝혀내는 등 한국에 전래되어 소장된 中譯本의 국내 각도서관에 소장된 현황을 처음으로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韓譯本은 제임스 스카스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부부가 1895년에 번역 출판한 《텬로력뎡》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韓譯한 역자는 62명이고 번역본은 61종이 있다. 이러한 한역본에 대해 中譯本은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게일 부부가 번역한 初刊本에 가장 크게 나타나 있다. 文言譯本은 《텬로력뎡》 중 詩歌의 형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官話譯本은 詩歌뿐만 아니라 散文에도 영향을 미쳤다. 《텬로력뎡》의 揷圖부분에서는 方言譯本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中譯本의 영향관계는 1910年 再版本, 1919年 三版本, 1926年 四版本까지 지속되었다. 게일 이후에 많은 한국의 번역가들이 The Pilgrim’s Progress를 번역하였는데 오천영과 주요섭은 16종을 출판하면서 서명을 모두 《천로역정》이라 하였고, 그 외의 번역자들을 합하여 61종의 書名에 모두 “천로역정”이란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번스의 《天路歷程》이 초간본 《텬로력뎡》뿐만 아니라 후대의 모든 韓譯本에 두루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 KCI등재

        『태평광기(太平廣記)』 언해본(諺解本)에 삽입된 한시(漢詩)의 기능 고찰

        김근태 ( Geun Tai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4 No.-

        『T`aipinkwanchi』 is the book collecting the various stories spread in China from Han dynasty to Song dynasty and it has been called as a treasure house of Chinese tale and novel literature. It was introduced to our country in Corea Dynasty and many people enjoyed it until Chosun dynasty. However, its content was so huge and it was written in Chinese that summarized version and vernacular edition were published for the general public in the mid-Chosun dynasty. In this Thesis, we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inserted Chinese poems in it, especially in the vernacular edition. It seems that there are wrong translated parts in the vernacularized Chinese poems in it. We can say that there are five functions in the Chinese poems inserted in it. First, they took a role as a mediator connecting the hero and heroine. But, they are different from Korean novel as in the emergence of the character who doesn`t have poetic ability. Second, the Chinese poems inserted in the work can express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intensively through forms of Chinese quatrains. Third, the Chinese poems can add to the cheerful atmosphere overall utilizing the existing song, (Ak-Bu). Fourth, they can be effective in making possible for readers to understand weird stories as a foreshadowing factor in story development. Finally, it can be possible for the work 『T`aipinkwanchi』 to have full suggestion through ending the story with Chinese poems. Simultaneously, the inserted Chinese poem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narrator to make readers solve the suspicions in the work.

      • KCI우수등재

        판본별 티베트대장경에서의 삼장명에 대한 고찰

        최종남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7 No.-

        Tripitakas (Sūtra, Vinaya, Abhidharma) in Buddhism were recorded in Sanskrit and Pāli, which were the original languages, in Tibetan and Chinese, which were translated language, and i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ed from Chinese versions. With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ripitakas were translated and studied into these languages in different kingdoms throughout the history, and were engraved and published in Pāli, Tibetan and Chinese except Sanskrit. Tibetan Tripitakas and Chinese Tripitakas were mostly engraved and published several times in each age by the king’s command or at need of Buddhist priests or believers. Among Tripitakas by language and xylographic edition, Tibetan Tripitakas are different between xylographic edition in the kind, volume and arrangement of Tripitakas. In particular, the names of Tripitakas recorded in xylographic edi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ir types are as follows. The names of Tripitaka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e notation of suffix, the notation of long syllables, the notation of particles, the gender of nouns, the notation of indefinite particles, etc. In addition, there are omission or addition of a part of words, different notation of the borrowed spelling Sanskrit, abbreviated names of Tripitakas in some xylographic edition, errors in notations in some, etc. All these show that the names of Tripitaka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fferent xylographic edition of Tibetan Tripitak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se problems in the names of Tripitakas centering on Peking Edition(P.), sDe-dge Edition(DU., DT.), which are most commonly utilized among Tibetan Tripitakas. This research studied 426 Tripitakas translated into Tibetan out of 1514 Tripitakas found in Koreana Tripitakas. The names of the 426 Tripitakas are listed in two parts of Tibetan Tripitakas, which are bKaḥ ḥgyur and bsTan ḥgyur. Among the 426 names of Tripitakas, 70 Tibetan names indicate different types of Sūtra and Abhidharma names between xylographic edition. For most of them, it is impossible to compare and verify them with the original versions. Accordingly, it is hardly possible to rectify and restore the names of Tripitakas to the perfect state. Nevertheless, this study corrected them close to the original versions by comparing relevant literature and the contents of Sūtras and Abhidharmas.

      • KCI등재

        <九雲夢> 漫考

        정규복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6 고전과 해석 Vol.1 No.-

        본고는 필자가 정년 이후 <구운몽>에 대한 보완연구를 진행하면서 부딪친 몇가지 문제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1977년, 필자는 구운몽 원전의 연구 를 출간하고 ‘한문본설’을 제시하여 학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아왔다. 그런데 근래에 필자의 학설에 대한 이견과 비판이 나오면서 ‘국문본 원작설’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한문본설’을 거듭 확립하고, 기타 문제에 대해서도 필자의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4의 김만중 항에 대한 기의’는 필자에 의해 유지된 구운몽 ‘한문본설’원작설과 배치되는 ‘국문본설’이 당시 정신문화연구원의 편집자들의 실수보다는 고의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제2항 ‘老尊B본의 大覺 장면에 대하여’는 부셰 박사와 지연숙 박사가 老尊B본을 서울대학본의 번역본으로 보는 가설을 근원적으로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3항 ‘老尊B본의 皇太后 七步詩 評釋文’은 기왕에 주장된 부셰․지연숙 박사가 제시한 ‘서울대학본 원전’설을 부정하기 위한 주요 논거이다. 제4항 ‘전성운의 한중소설 대비의 지평 에 대하여’는 구운몽 연구사가 잘못 정리된 것을 바로 잡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항 ‘Gale의 九雲夢 英譯本에 대하여’는 장효현 교수에 의해 九雲夢 英譯本의 텍스트는 한문본이라는 의견이 제기된 데 대하여 한문본 癸亥本․乙巳本․老尊本 중 乙巳本이 위주가 되고, 국문본 李家源本계도 함께 참고가 되면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In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of Ku-un-mong(九雲夢 原典의 硏究) published in 1977, I proposed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of Ku-un-mong written in Chinese and my proposal have been supported by many scholars. Nowadays, however, some scholars propose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Korean. So I am going to emphasize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Chinese and present some comments on this subject.1. In Korean Grand Encyclopedia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韓國精神文化硏究院) in 1988, I wrote three articles on 'Kim, Man-jung(金萬重)' 'Seopomanpil(西浦漫筆)' and 'Ku-un-mong(九雲夢)'. But, on the contrary to my opinion, the original text was explained to be written in Korean in this encyclopedia. Chapter 1 is to put the mistake straight. And now, in Korean Grand Encyclopedia which was served on web site, this mistake was corrected.2. Chapter 2 is to refute the argument of Dr. Bouchez and Dr. Chi, Yeonsook that Nojon B edition(老尊B本) is a Chinese version of S.N.U. edition.3. Chapter 3 is the principal evidence to refute the argument of Dr. Bouchez and Dr. Chi, Yeonsook.4. Chapter 4 is to correct the error in Prof. Chun, Seongun'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Stories(한중소설 대비의 지평).5. A few years ago, Prof. Chang, Hyohyoun presented the argument that James S. Gale translated a Chinese version into English. Chapter 5 is to present three arguments of Gale's translation - First, Chinese versions used by Gale were Gyehae(癸亥), Eulsa(乙巳) and Nojon(老尊) edition. Second, Nojon edition was the principal in three Chinese versions. Third, Gale referred to the interrelated Yi, Gawon(李家源) edition.

      • KCI등재

        金屬活字本 印出用 墨汁의 實驗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1) 금속활자본의 묵적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과학적 분석은 현시점에서는 불가능하다. 2) 금속활자본 인출용 묵즙의 구성 성분: 유성 연매 재료․용매 재료인 아교액 5%․기능성 첨가제 등을 포함하였다. 3) 금속활자본 인출용 묵즙의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와 비율: 곡류의 풀 10%와 아교액 10%가 유용하였다. 4) 금속활자본 인출용 묵즙의 구성 성분별 비율: 유성 연매 재료 5∼10%, 용매 재료 90∼95%, 여기에 기능성 첨가제를 1:1로 혼합한 묵즙이 유용하였다. 5) 기능성 첨가제의 중요성: 금속활자본 인출용 묵즙은 연매 재료보다 기능성 첨가제가 절대적으로 중요하였으며, 찹쌀풀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1) At the present it is impossible to conduct a scientific analysis of functional additives contained in ink traces on metal type edition. 2) Components of chinese ink for metal type edition: Oil soot carbon, 5% of glue as the solvent material and functional additives are included. 3) Types and proportion of functional additives in chinese ink for metal type edition: 10% of grain paste or glue were effective. 4) Proportion of components in chinese ink for metal type edition: Combining the mixture of 5-10% of oil soot carbon and 90-95% of solvent material with functional additives in a ratio of 1 to 1 was effective for chinese ink. 5)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additives: Functional additives were far more important than soot carbon in chinese ink for metal type edition, and glutinous rice paste was most effective as the functional additive.

      • KCI등재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연구

        김영옥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7 No.-

        본 논문은 1915년에 편찬된 崔南善의 『新字典』 내에 있는 揷圖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신자전』 이후 편찬된 한국의 한자자전 내 삽도에의 영향 및 동시기에 편찬된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한국 근대시기 자전에 대한 연구는 편찬의 동기 및 영향 관계, 구성 방식, 수록한 한자의 형・음・의 등에 대한 고찰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이에 더하여 자전 내에 수록되어 있는 삽도에 대해 주목하여 그것의 유래와 특징을 고찰하고 영향 관계를 검토한 본 연구도 또한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근대시기에 한국에서 간행된 자전 중 처음으로 삽도를 활용한 경우로, 표제자 아래에 삽도하였다. 둘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동시기 중국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삽도에서 영향을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삽도의 기능에 대한 인식, 동일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삽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최남선 편 『신자전』의 삽도는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영향을 받은 것이나 陸爾奎 主編 『신자전』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崔南善 편 『신자전』 내 삽도는 王圻의 『三才圖會』, 聶崇義의 『三禮圖集注』와 유사한 경우도 있었다. 1915년에 편찬된 최남선의 『신자전』 내에 있는 삽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한 본 연구는, 이후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더불어 향후 동아시아 서적 교류 연구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to analyz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in Korean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compiled after 『Sinjaje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s compiled at the same time were identified. Research on the dictionary in Korea was mainly conducted on the ‘motiv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compilation’, ‘organizing method’, and ‘shape, sound, and meaning of recorded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focused on the illustrations in the dictionary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illustration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the first Korean dictionary to use illustrations, and was introduced under the Chinese character. Second,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the illustrations of China's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at the same time. Third, the illustration of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However, it was not necessarily the same with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ere similar to Wang-Qi’s 『Sancaituhui』 and Nie-Chong Yi’s 『Sanlitujizhu』.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nflu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book exchanges in East Asi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