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說文解字』 ‘足’部 한자의 자형과 의미유형 小考

        김계화(Kim, Kye-Hwa)(金桂花)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0 No.-

        『說文解字』 ‘足’部에는 85개의 한자와 4개의 重文이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足’部 한자 중 重文을 제외한 85자를 살펴보고자 하며, 문자학적 관점과 의미학적 관점, 그리고 현재까지 상용되는 ‘足부 한자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자학적 접근에서는 造字 방법에 따라 관련 한자를 육서의 개념으로 분류해보고, 한자 訓釋에서의 특징, 字義 해석과정에서의 특징으로 나누어보며, 의미학적 접근에서는 ‘足’부 한자를 크게 명사와 동사로 쓰이는 경우로 나누어 분류해 본다. 현대한자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는 현대한자에서의 통용여부, 이체자로 분류된 자형과 간체자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 및 의미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足’부 한자들의 자형과 의미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The 說文解字 the ‘足’ section contains 85 Chinese characters and four 重文, and this thesis targets 85 Chinese characters except for 重文. Mainl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ree main sections: the literal view, the semantic view, and the ‘足’ Chinese character, which is used to date. First of all, from a literal perspective, I classified ‘足’ Chinese characters into the concept of 六書, before classifying th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訓釋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interpretation. Next, I divided the Chinese characters into nouns and verbs in a semantic perspective. The Chinese characters used as nouns include human or animal feet as body parts, foot disorders, barefoot conditions or frozen feet, and further include footwear and walking track. In the case of Chinese characters used as verbs, most of the foot movements were included: sitting, walking, running, stepping, kicking, crossing, hesitating, falling, uncomfortable foot movements, and punishment on the feet. Lastly, in approaching moder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modern Chinese characters, I looked through the general usage in modern Chinese characters and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currently used as simplified characters. As for the change of meaning, I compared the meaning of 說文解字 with that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and found that the more common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the more diverse the meaning was derived as dividing characters with derived meanings and with displaced meanings. The above study shows that the Chinese characters involved in the ‘足’ section not only include human feet and related movements but also animal feet and movements, indicating that the study of the ‘足’ Chinese characters is widely recognized from the static to the dynamic parts of the foot. Therefore, I think that the study of the ‘說文’ Chinese characters can expand the range of the perspectives of ancestors on feet and the cultural phenomena revealed through them.

      • KCI등재

        한국사회에 유입된 한자 음역어의 시기별 유입과정 분석

        박영애(Park, Youngae),모정열(Mo, Jeongyeol)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우리말의 어휘 체계 중 대부분을 한자어가 차지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적 관계나 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에 중국이 自國의 발음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 썼던 한자 음역어가 우리국어 속에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며, 상당히 부끄러운 일이다. 게다가,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우리민족은 중국이 한자로 음역한 어휘를 주체적인 순화과정 없이 고유어 속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였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한자 음역어를 문제 삼는 근본 이유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한자 음역어들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항상 명확한 기준이나 구분 없이 통째로 용례를 나열하는 정도에 그쳐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기존의 한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어 속에 수용되어 있는 복잡한 한자 음역어들의 유입과정을 유입된 시기와 유형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현재 우리 국어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어휘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The Chinese Character(漢字) had been introduced 漢字 into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During the long period, Chinese Character has been naturally converged and assimilated into Korean language with passing time, so now Chinese character roughly consists more than 2/3 in the lexicon of Korean.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the new word has been introduced with introducing of foreign culture indiscreetly causing rapidly changing of structure of Korea society during the historical disordered time of Korea. Th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introduced during thatperiod, has been affecting a lot on our Korean language.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n vocabulary is mostly consist of Chinese chracterter when we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s maintained in long period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However, it is very disgraceful that thos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till remains in Korean language. Moreover, even ‘Hunminjeongeum(Korean script) ’was created which is the our own character system of Korea, Koreans have been thoughtlessly taking the word which is based on chinese character without any filtering.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the author takes issue with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eriously.

      • KCI등재

        학술용어 관점에서 ‘한국고유한자’ 명칭과 분류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한자계문자’를 제안하며

        허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Academic terms are the most basic tool in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s well as ordinary people who accept related research. Thus, academic terminology is a common commitment of all users, and while including precise implications, it should eliminate as much room for mis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ing as possible. This research have a main aims to review the tersm and classifications of the Some Han-Character, which has long been used uniquely in Korea, and to come up with new suggestion about term. As the preceding study shows, the terms associated with this issue are not only ‘俗字’, ‘朝鮮異體’, ‘異體’, ‘韓俗字’, ‘韓國漢字’, ‘朝鮮漢字’, ‘借字’ and ‘吏讀’, but the definitions are also not widely separated from consultation. Categories also vary from researcher to researcher. Although the set area between 固有漢字 and 國音字, 國義字, 俗體字, 略體字 and 異體字 is different, these terms are confuse using in this study. This study presented the term “漢字系文字(Han-Character system)”, “漢字系文字” refers to all letters and symbols used within each country and nation of the Han-character culture spher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Han-characters. It has broad meanings including the character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漢語漢字, 韓語漢字, 日語漢字, and 越語 漢字, and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hitan, which adopted Han-Characters style, and the symbols used by omitting or modifying parts of Han-characters. 학술용어는 연구자들 뿐 아니라 관련 연구를 수용하는 일반인들의 소통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교제 도구이다. 따라서 학술용어는 사용자들 모두의 공통된 약속이며, 이 약속은 정확한 함의를 포함하면서도 오해나 몰이해의 여지를 최대한 없애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살펴볼 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국고유한자’라는 명칭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 특수하게 사용된 일련의 한자군과 관련한 명칭은 연구자에 따라 ‘俗字’, ‘朝鮮異體’, ‘韓國固有漢字’, ‘異體’, ‘韓俗字’, ‘韓國漢字’, ‘朝鮮漢字’, ‘借字’, ‘吏讀’ 등 다양하게 명명될 뿐 아니라그 정의와 분류 또한 다기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다기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한자가 중국어를 기록하는 문자부호라는 협의적 혹은 전통적인 한자의 정의를 인정하고, 그와 다른 원인이나 현상으로 인해 조자, 혹은 사용된 한자를 대척점 혹은 변별점으로 삼아 그 특성에 주안을 둔 용어를 제안하고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곧 우리는 한자를 중국문자, 혹은 중국어로 표기하는 문자로 인식하고, 그와 다른 특수한 상황에서 우리의고유성을 강조한 나머지 변별성을 강조하는 태도이다. 이로 인해 현상은 하나이지만 분석과 명명이 달라진 多 名一實한 학술용어가 사용됨으로써, 한자와 관련된 학술 연구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한자에 대한 이해에도 여전히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동아시아 전체 한자문화권의 문자 생활과 그로 인해 파생된다양한 문자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다기한 현상 전체를 아우르는 명칭으로 “漢字系文字”의 재정의를제안하였다. 본고에서 정의한 “漢字系文字”는 한자로 지칭되는 문자시스템의 특성과 그 영향을 수용하여 한자문화권 각 국과 민족 내에서 수용, 변용, 참고하여 제작 혹은 사용하였던 모든 문자 체계와 부호를 지칭한다. 이에 따라 개별 언어의 영향 아래 형성된 漢語漢字와 韓語漢字, 日語漢字, 越語漢字 등은 물론이요, 이 용어를통해 표의 기능이 아닌 시각 기호로서의 한자의 문자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製字된 거란과 여진 등 주변국의여러 문자 체계와 시각적 한자 형태의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한 특정 기호와 부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이 용어를 통해 지금까지 한자로 통칭되는 특정 문자 시스템을 특정 언어에 귀속하여 설명하려는 관점에서 벗어나, 한자문화권에서 보편·특수로 사용되었던 여러 문자체계와 부호체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