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케어매니저의 필요성과 인력양성 방안

        이근홍(Keun-Hong Lee)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2 한양고령사회논집 Vol.3 No.1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the necessity for care manag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o analyze plans for training of care manager. It is necessary to hire care manag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welfare of the elderly requiring long-term care and increase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are manage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act including specific roles. Second, care manager must have a bachelor’s degre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or nursing and should be selected through national examination among professionals with more than five years practical experience. Third, training of care manager should be executed to theory for more than 150 hours and practice for more than 150 hours in formal agencies with a focus on long-term care insurance, care management, etc. Fourth, it may be desirable to allow the use social welfare officials in Dong community center and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for case manager. The community-based cas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appropriat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local governments.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속적인 발전,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의 복지증진,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증대 등을 위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케어매니지먼트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케어매니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케어매니저와 관련된 조항을 신설하고 케어매니저의 구체적인 역할을 명시해야 한다. 케어매니저는 학사학위 이상의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 보건ㆍ의료ㆍ복지인력을 대상으로 관련분야 실무경력 5년 이상인 자 중에서 국가자격시험을 통해 선발해야 한다. 케어매니저에 대한 실무교육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케어매니지먼트 등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 150시간 이상의 이론교육과 150시간 이상의 실습(실기)교육을 포함하여 총 300시간 이상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접근성이 가장 강화된 지방행정기관인 읍ㆍ면ㆍ동주민센터 및 보건소(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포함)의 사회복지직공무원과 간호사를 케어매니저로 양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와 더불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지방자치단체간의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하여 지역중 심형 케어매니지먼트체계의 구축을 기반으로 하여 케어매니저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 케어매니저 제도의 입법화

        박정호(Jung Ho Park),여진주(Jin Ju Yeo) 한국사회정책학회 2008 한국사회정책 Vol.15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일본 개호보험법의 케어매니저 관련 규정, 그리고 일본 케어매니저 제도의 운영상 문제점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케어매니저 관련 규정을 입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둔다. 연구의 결과, 첫째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케어매니저의 직무를 열거하고 있을 뿐, 케어매니저가 원조 전문인이란 사실과 케어매니저의 고유한 업무에 대한 부분이 빠져 있어 이를 따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가시험에 의한 케어매니저의 자격부여가 바람직하다고 보며, 교육, 훈련에 관한 조항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신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케어매니저의 개입을 의무화하는 법조항과 케어매니저의 의무사항이나 벌칙에 대한 규정 역시 필요하다. 둘째, 케어매니저의 핵심 업무인 장기요양계획서에 대한 명확한 정의 규정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가 장기요양계획서에 기초하여 제공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첨가되어야 하며, 클라이언트의 의사(意思)와 알 권리가 존중되어야 한다. 장기요양계획서의 작성과 실시에 관해 위법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이 명시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서식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galization of care manager system in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Law through checking the problems of Japanese care manager system and the current care manager-concerned laws in Korea and Japan.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Law only explains the job descriptions of care manager without defining care managers. So meanings of a helping profession and unique jobs as cane manager should be prescribed in the Law. Care managers would be better to be accredited by national qualification tests, and regulations of education and training, re-training should be prescribed for the professional ability. Besides, care managers` interventions and duties, penalties should be regulated. Contents of care plan should be prescribed, including definitions of care plans, service deliveries based on care plans. Furthermore, clientele`s contract intention and the right to know also should be respected in the Law. Finally, the correction of the current care plan format is desired.

      • KCI등재

        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의무와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

        오수원 대한변호사협회 201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51

        로마법이나 프랑스법, 일본법에서 모두 선관의무를 과실의 전제가 되는 주의의무로 보고 선관의무를 게을리 한 것을 추상적과실이라고 해석해 왔고, 이점은 우리 민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선관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 독일민법에서는 과실의 전제로서 ‘거래에 필요한 주의’를 규정하고 있고, 이를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선관의무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는 결과발생에 대한 예견가능성과 그 회피가능성을 의미하고, 이는 결과가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뜻이지, 적극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하도록 하거나 하지 아니하도록행위채무나 작위의무 또는 부작위채무를 지우는 것이 아니어서 가상적, 잠재적이며 일반적인 의무라고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선관의무는 민법상 특정물인도채무자(제374조), 수임인(제681조) 등 주로 특별한 업무를 수행하는 지위에 있는 자에게 좋은 관리자로서 업무를 수행하라는, 하나의 업무수행방법또는 채무의 내용을 규정한 것으로, 모든 사람이 부담하는 일반적인 의무가 아니다. 선관의무와 과실에있어서의 주의의무는 개념 근거 내용이 서로 다르다. 그렇지 않고 선관의무를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와 같은 것으로 본다면 선관의무불이행 또는 그 위반은, 가령 고의에 의한 보관물방치나 직무유기와같은, 고의에 의한 것과 과실에 의한 것이 있을 수 있는데, 고의에 의한 선관의무위반을 설명할 수 없게 되며, 과실의 요건으로서, 주의의무가 아닌, 선관의무를 부담한다고 하는, 이상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또 선관의무에 대립되는, 민법상의 무상수임인(제695조)이나 친권자(제922조) 등의 자기재산동일의무의 경우에도 그 불이행이나 위반에 대한 책임이 있기 위해서는 고의 또는 과실이 있어야 하고, 그에따라 그 위반은 고의에 의한 것과 과실에 의한 것이 있을 수 있고, 과실에 의한 경우 주의의무위반이있어야 하는데, 이때 과실을 결과발생에 대한 예견가능성이나 회피가능성이 아닌, 선관의무로 본다면무상수치인이나 친권자 등도 선관의무를 부담하는 것으로 되고, 이는 자기재산동일의무를 규정한 법의취지에 반한다. 선관의무를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상법상 충실의무(제382조의 3)를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선관의무를 과실의 전제가 되는 주의의무와 같은 것으로 보는 것은 로마법 이래의 역사적 유물일 뿐이고 이는 과실에서 있어서의 주의의무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개념으로, 독일민법에서의 ‘거래에 있어서의 필요한 주의의무’와는 다른 것이다. 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주의보존의무는 행위채무이며 선관의무는 이러한 채무의 내용으로, 이때 보존의무와 합하여 독립된 하나의 채무로 된다. 이는 그 내용이 재판을 통해서 구체화되는 추상적 채무이다. In all of Roman law, French law and Japanese law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of the obligor, lack of which is seen as an abstract negligence, have been interpreted as a duty of care in negligence, and in this respect the same is true in Korean law. In German law without regulation concerning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of the obligor the duty of necessary attention to the transaction is prescribed as a premise of the negligence, and in Korea and Japan, the duty of the latter is regarded as the duty of the former. As the possibility of foresight and avoidance about the consequence, the duty of attention in negligence does not means that everyone should do something positively, but it means that everyone should be careful not to make a consequence of the inexecu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an obligation to do a particular act, but a hypothetical, potential and general duty. On the contrary,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is how to work for the person, such as the obligor to deliver specific thing(Article 374 of Korean Civil Code) or the mandatary(Article 681 of Korean Civil Code) etc., in a position to perform special tasks, not a general duty for the every body. There should be several problems if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would be regarded as the duty of attention in negligence. First, there can be an intentional or neglect inexecution of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and the intentional inexecution could not be able to be explained by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Second, it leads to a strange conclusion that not the duty of attention but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is a requisite of the negligence. Third, the breach of the duty of the same care with respect to one’s own property for a gratuitous bailee(Article 654 of Korean Civil Code) or a person of parental authority(Article 922 of Korean Civil Code) needs intention or negligence, and there should be the possibility of foresight and avoidance about the consequence in order to be a breach of the duty by negligence. In this point, if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should mean the possibility of foresight and avoidance about the consequence, the duty of the a gratuitous bailee or the person of parental authority were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But this conclusion does not match the purpose of the duty of the same care with respect to one’s own property. In sum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should not be same to the duty of attention in negligence just like the duty of loyalty(Article 382-3 of Korean Commercial Code) should not be same to the duty of attention in negligence. Regarding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as the duty of attention in negligence is one of the remains of Roman law, and the former duty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duty, which is same to the duty of necessary attention to the transaction in German Law. The duty of preservation with good manager’s care for the obligor to deliver specific thing is an obligation to act, and the duty of good manager’s care is a content of the duty of preservation. That is an abstract debt taking shape through the court.

      • KCI등재

        원격교육을 통한 치매케어매니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강인,이서영,권금주,김동환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원격교육을 통해 보다 전문화된 치매케어매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관련 기초적 수요를 조사함으로써 원격교육을 통한 치매케어매니저를 양성하는데 그 목 적 이 있다. 본 연구는 치매케어매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조사를 위하여 2007년 10월 한 달 동안 서울사이버대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서울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 를 통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144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원격교육을 통한 치매케어매니저과정의 개설이 필요하 다고 응답한 비율이 99% 이상이었으며, 원격교육을 통한 치매케어매니저 교육과정에 대한 수강의향은 ‘교육을 받고 싶다’가 82.6%로 나타났다. 또한 원격교육을 통한 e-노 후생애설계 매니저과정에서 치매케어매니저과정이 개설될 경우, ‘치매증상별 케어방 법’과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방법’에 관한 교육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치매증상 이해’, ‘치매의 의학적 특징 이해’, ‘치매노인 욕구사정방법’, ‘치매노 인의 서비스계획 수립방법’, ‘치매노인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치매노인에 대한 비약 물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수요조사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교육을 통한 치 매케어매니저 양성교육과정은 ‘치매노인케어의 이해’, ‘치매노인케어기술’, ‘치매케어매니지먼트 이론’, ‘치매노인케어매니저의 역할’, ‘치매케어매니지먼트의 실제’로 구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rain dementia care managers by distance curriculum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needs to develop curriculums for more specialized dementia care manag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graduates and Students of Seoul Cyber University and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distance questionnaire at Seoul Cyber University homepage. This data was collected on October, 2007 and analyzed by SPSS 1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re than 99 percents of respondents required the dementia care managers curriculum through distance education. Second, register intention of dementia care managers curriculum through distance education was reported that 82.6 percents of respondents want to have the education. Also, when dementia care managers curriculum through distance education opens, respondent required the education on ‘dementia symptomatical care’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elderly having dementia’ the most, following with ‘understanding of dementia symptom’, ‘understanding of dementia on the medical aspect’, ‘need assessment of the elderly having dementia’ ‘service plan for the elderly having dementia’ ‘service available for the elderly having dementia’, and ‘non-medicine therapy for the elderly having dementia’. Thu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istance curriculum for training dementia care manager into ‘understanding of the care for the elderly having dementia’, ‘the care technology for the elderly having dementia’, ‘dementia care management theory’, ‘role of dementia care manager’, and ‘practice of dementia care management’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 of needs in thi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노인 돌봄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 휴머니즘 기반 서비스의 통합: AI스피커를 활용한 대화형 에이전트와 ICT care manager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김경미,이미영 융복합지식학회 2024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 돌봄을 위해 AI스피커를 활용한 비대면 돌봄서비스와 ICT care manager에 의한 대면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 경험을 토대로 추후 디지털 기술과 휴머니즘 기반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ICT care manager로 근무 중인 12명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ICT care manager의 역할과 AI스피커 사업의 어려움 및 성과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ICT care manager는 이용자와 대면하여 기기사용 지원 및 자원연계 등의 역할을 하였다. AI스피커 사업은 노인 이용자와 사업 운영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었으나 돌봄공백 해소, 이용자의 긍정적인 정서 변화 등이 사업 성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 디지털 기술과 휴머니즘 기반 서비스의 통합, 사업 운영기관 간의 컨소시엄, ICT care manager의 업무여건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experience of providing non-face-to-face care services using AI speakers and face-to-face services by ICT care managers to care for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humanization-based services. Through this, the role of ICT care managers and the difficulties and achievements of the Happy Comminity AI speaker Project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ICT care managers provided face-to-face support for device use, linkage to resources, and emotional support. The AI speaker Project faced difficulties in the perspectives of the older adults and business operation. The outcomes of Happy Community AI Care Project were the continuous care,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y, and changing users' positive emo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humanization-based services, consortium among operating organization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for ICT care managers are necessary to provide care services for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선관주의의무의 체계적 지위에 대한 소고

        정영진(JUNG YOUNGJIN),김자영(KIM JAYO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3

        민법 제681조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선관주의의무 또는 선관의무)에 대하여 민법학계와 상법학계의 이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민법학계에서는 선관주의의무 위반을 추상적 과실로 이해하는 반면에 상법학계에서는 선관의무를 위임계약의 내용으로 이해하여, 이사는 선관주의의무에 근거하여 회사의 이윤을 극대화할 의무가 있다고 한다. 우선, 과실은 연혁적으로 로마법상 선량한 가장의 주의에서 유래하였으나, 근대사법에서 과실을 중심으로 체계화되었으므로, 선관주의의무는 과실의 한 형태, 즉 추상적 경과실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 민법에서 선관주의의무는 특정물 인도채무자의 보존의무(제374조), 이사의 직무수행의무(제61조), 유치권자의 점유의무(제324조 제1항)의 이행에도 규정되어 있고, 조합업무를 집행하는 조합원(제707조), 후견인(제956조), 유언집행자(제1103조 제2항)에게 수임인의 선관주의의무에 관한 규정(제681조)을 준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하는 채무’, 특히 수단채무에서 선관주의의무는 과실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즉, 선관주의의무 위반이 과실이다. 이에 따라 위임계약에서 선관주의의무를 적용하기 전에 수임인의 채무, 즉 의무의 내용을 확정하여야 한다. 수임인이 그 의무의 이행함에 있어서 선관주의의무를 위반할 경우 과실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선관주의의무의 내용과 그 적용의 결과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선관주의의무는 법령준수의무와 마찬가지로 수임인의 업무수행의 한계를 뜻하는 것이고, 수임인의 업무수행의무는 선관주의의무에서 파생되는 것이 아니라 위임계약의 해석에 의하여 확정된다. 따라서 이사의 법령준수의의무가 선관주의의무의 내용이라는 설명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선관주의의무를 위임계약의 내용으로 보는 통설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civil law and commercial law circles on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under Article 681. While civil law circles interpret it as an abstract negligence, commercial law circles say they must understand it as the subject of a mandatory contract, and that directors are obliged to maximize profits of their corporation on the basis of their mission. First of all, the negligence is derived historically from the duty of good father‘s care in Roman law, but since it is systematized in the modern judicial system,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obligation to observe it as a form of negligence. In the Civil Code of Korea,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is stipulated in the obligation to preserve specific goods (Article 374), the obligation to perform duties of the directors (Article 61), the obligation of possession of the lien holder (Article 324 para. 1). The managers of the partnership-ownership (Article 707), the guardian (Article 956), and the executor (Article 1103, paragraph 2), the provisions of the obligation of obligation of the adopter (Article 681)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violation of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is a negligence. Accordingly,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in the mandate contract, the obligation of mandatee, must be determined. If the mandatee violates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to perform the obligation, he / she shall judge that there is a negligenc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ntent of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and the result of its application of it.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means the limit of the performance of manatee as well as the obligation to observe the law, and the obligation of mandatee is determined by interpretation of the mandate contract, not deriving from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hat the obligation of the directors to comply with the laws is one of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In this paper, we critically reviewed the conventional position that the duty of prudential manager"s care is regarded as the contents of the mandate contract.

      • KCI등재

        국내 케어매니저 현황과 과제

        정영미,김현실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기위해 현재 정부에서 배출하고 있는 요양관리요원 양성 현황과 교육인적자원부 지원의 지방대학혁신 역량강화사업인 누리사업(NURI)의 일환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케어매니저) 양성 사업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케어매니저 교육과정 운영 및 배출상황을 살펴보는데 있다. 질 높은 케어매니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요양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충분한 요양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 이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한다. 또한 현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케어매니저에게 요구되는 주요 역할은 사정자, 계획자, 조정자, 평가자, 점검자, 중개자, 상담자, 옹호자, 교육자 등이 될 수 있다. 케어매니지먼트 체계의 조기정착을 위한 주요 제안 사항은 케어매니저에 대한 법적 규정, 자격기준, 구체적인 역할과 기능, 배치장소, 신뢰성 있는 사정도구 개발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케어매니저 양성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정 및 교육교재 개발, 케어매니저 자격관리 및 평가기준, 한국적 케어매니저 제도의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status, curriculum and subject of care manager human resource program in Korea. Care manager will be in charge of assessor, planner, coordinator, evaluator, monitorer, brokerer, counselor, advocator and educator in long-term care system. Also, to develop care manager education program, it have to construct support system for making regulation on care manager, qualification criteria, role and function, placement,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study on curriculum and text development, qualific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f care management.

      • KCI등재

        장기요양사례관리자(케어매니저) 인력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기반 노인통합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

        김진학,박지현,김정선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노인통합돌봄 분야의 전문가 양성 방안과 자격화 요구를 탐색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사례관리자(케어매니저) 인력 양성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인력 양성의 필요성, 핵심 직무역량과 역할, 교육과정과 자격기준을 전문가와의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심도있게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민간기관 24명, 공공기관 20명, 학계 6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장기요양사례관리의 필요성 3개, 장기요양사례관리자의 필요성 2개, 장기요양사례관리자의 직무역량 8개, 역할(명칭) 4개, 교육과정 4개, 자격기준 2개, 배치기준 및 처우 2개 총 25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지역사회기반 노인통합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장기요양사례관리자 연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장기요양사례관리자(케어매니저)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care case manager manpower nurturing system as an expert in the field of elderly integrated care. A total of 50 private organizations including senior citizen care workers, 20 public institutions, 6 academics, and 50 people who asked about opinions on the need for nurturing care managers, core job competencies and roles,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standar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at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open questions.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As a result, three necessities of long-term care case manager, two necessities of long-term care case manager, eight job competences of long-term care case manager, four roles (name), four curriculum, two qualification criteria, placement criteria A total of 25 themes have been derived.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nurturing the long-term care case manager in the field through the standardized theory and practice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of qualification and treatment were identified.

      • Difficulties felt by care managers in providing support for end-of-life care service clients

        EMIKO KASUYA,YUKO SHIBA,KUMIKO HAYASHI,SHIGEKO IIMORI,HISAKO HORIGUCHI 한국간호과학회 2021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Aim(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iculties faced by care managers when providing end-of-life care at home, and contribute the findings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 managers.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care managers working at 672 in home care management office in the Tokai region in Japan. An anonymous self-rating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postal services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of 2020. Comments provided in the open-ended question, “In what aspects do you feel it to be difficult when providing the end-of-life care” were organized into codes, and a qualitative and inductive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672 establishments, and 372 responses were collected. There were six categories “Problems wit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Difficulty in improving the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suited to the end-of-life stage” “Anxiety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progress of the end-of-life care period” “Difficulty in providing support for the family” “Limitations of the role as care managers” and “Difficulty in sharing information and collaborating with medical professionals”. Conclusion(s): Care managers do not think that the presen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rovide sufficient welfare services for the insured service clients at the end-of-life stage, and think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Care manag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to provide end-of-life care services suited to the progress of illnesses, but they were also aware of their lack of specific knowledge of this. In addition, despite the necessity for cooperation with medical professionals, care manag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cooperate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e to lack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limitations in providing support for service clients as care managers. These issues make care managers feel it difficult to provide service clients with sufficient services.

      •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upport needed by care manager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at home in Japan, experiences of providing end-oflife care, and acquired basic certificates

        Kumiko Hayashi,Emiko Kasuya,Yuko Shiba,Shigeko Iimori,Hisako Horiguchi 한국간호과학회 2021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Aim(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detai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upport needed by care manager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at home in Japan, the experiences of providing end-of-life care, and the acquired basic certificates. Method(s): Data collection period: August to October of 2020. Data collection method: Anonymous self-rating questionnaire survey by using postal services. Study participants: Care managers working at in-home care management office in City A, Japan. Survey items: “Demographics”, “basic certificates that are a prerequisite for acquiring a care manager qualification”, “whether or not having experience of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and “educational support needed to provide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In the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values of each item were calculated, and a chi-square test and residual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cross tabulation. Result(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672 establishments in City A, and collected 372 responses, and of these 342 (91.9%) were determined as valid. There were 308 (90.1%) care workers with experience of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The most needed educational support for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was support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illnesses”, 248 (72.5%) of all participants. For the basic certificates,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ewer than other basic certificates care managers (p < .05). The second most needed educational support needed was “pain control”, 186 (54.4%) of all participa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need “pain control” education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maller among those with experience of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p < .05). Conclusion(s): The most needed educational support for end-of-life care as a care manager was support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illnesses”. For the basic certificates,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ere statistically fewer than other basic certificates care man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