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요소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

        이윤석(Yoonsuk Lee),진주현(Juhyun J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시각적 공포요소가 등장인물과 직접적으로 대치하고 물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과 달리 비가시적 공포요소는 암시와 상상을 통해 표현되며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디아더스’와 같이 공포의 주체와 피해자의 관계가 전복되거나, ‘해프닝’과 ‘파라노말 액티비티’에서처럼 신체강탈이라는 방법으로 표현된다. 관계의 전복은 갑작스러운 성격의 변화를 야기하고, 신체강탈은 타인의 신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식인행위와 연결된다. 식인행위와 성격의 변화는 카니발리즘에서 따르는 하위질서의 공식화와 비논리성에 속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인 공포요소가 지니는 의미는 유토피아적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카니발리즘의 본래의 의미와는 상반되어 보이지만 역할을 뒤집어 공포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해소되고 공포로부터 해방된다는 면에서 볼 때, 카니발의 정신인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것과 의미가 상통할 것이다. 저자는 본 연구에서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나타나는 영화의 표현과 플롯이 카니발리즘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Different from visible horror elements that confront the characters directly and do physical harms, invisible horror elements are expressed through suggestion and imagination and their realities are not disclosed. For the disclosure of the realities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they are expressed through the overturned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victim of horror as in 'The Others' or through body snatching as in 'The Happening' and 'Paranormal Activity'. The overturn of relation and body snatching are connected to cannibalism in that the former causes a sudden change of personality and the latter takes the body of others. Cannibalism and the change of personality belong to the formalization and illogic of lower order resulting from cannibalism. The meaning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in films seems to be contradictory to the original meaning of cannibalism, which is entering the sphere of utopian freedom, but considering that the reversed role resolves conflicts and tensions from terror and gives relief from fear, the meaning may be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cannibalism, namely, entering 'the sphere of freedom.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expression and plot of films showing invisible horror elements are related with cannibalism.

      • 'The Diary of a Madman': A Portrayal of Cannibalistic Society

        Bhim Nath Regmi 아시아사회과학학회 2022 Jo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8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use of cannibalism in the story ‘The Diary of a Madman’. It has an enigmatic ending that concludes with the didactic concept i.e. ‘Save the Children…’ reflects the voice of youths in which Lu Xun’s story portrays the optimistic societal values in the context of China during the first phase of early 20th century. In this story, the dehumanized characters are often described as exposing the cannibalistic feudal society of pre-revolution China. He intends to criticize the nature of feudal society through the story that reveals the social life of Chinese people. This modern story intends to show the distasteful concept of cannibalism. The issue of cannibal is an icon of primitive society that is a part of ideological strength of embryonic society. Cannibalism acts in the story as a metaphor and the insanity of madman is a break from the feudal society and states his hopefulness for the entire human beings.

      • KCI등재

        『지하철 1호선』-베를린 그리고 서울

        Gerhard Fischer,정혜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4 외국문학연구 Vol.- No.18

        Volker Ludwig's German musical Linie 1 has scored an unprecedented success by being adapted and performed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Kim Min-Gi, the director of Hakchon Ensemble, successfully adapted and performed it under the title of Line 1; and it was born again as a uniquely Korean work which surpassed the original, not as an adaptation. The success of Line 1 results from its own coloring which very well fits the Korean situation as well as its maintaining the merits of the German original. Both have the dynamic construction in common that appeals to the youth; and West Berlin and Seoul, as each work's background places, have similar experiences of the political, social and geographical situation. In addition, the Korean work reorganized the respective settings to be fitted to the Korean context; and instead of the German satirical characteristic it distinguished somewhat different value by sensitive presentation using serious and dark tone that well becomes the bottom life in Seoul. This strengthened its appeal. Then what is the reason of its unprecedented success not only in both countries but throughout the world? First of all, because it is the world drama that can arouse every generation's sympathy as well as the local one which treats West Berlin before the unification. The change in the paradigm of public thought around 68-generation also played a part. However, for the very reason of its success, the work's own aesthetic characteristic is outstanding. It is well shown by the concept of a Russian literary man Mikhail Bakhtin: 'human sympathy with the cannibal'. Firstly, through the medium of drama, that is called the highest reach of momentary art, it reflects well the historical current with which the world can sympathize. Secondly, the spectators can experience the cannibalistic popularity that makes them one through this work. Thirdly, one can experience 'cannibalistic low-class peoplization(karnevalistische Erniedrigung)' through the humorous laughter that shows true human features. Fourthly, it is this work's aesthetic that shows 'dramatic polyphony(dramatische Polyphonie)' through various characters and situational settings. This dramatic variety is reborn as harmonization by the diverse characters who appear last to build up a community. Fifthly, this work professes itself to be for the 'communitarianism (Kommunitarismus)' through the message containing the criticism on capitalism and the responsibility for nature and posterity. Sixthly, apart from religion and ideology, it delivers the message of human love. Thus, by forming the enthusiastic sympathy of everyone throughout the world, Linie 1 has completed one chapter of the history of dramatic performance and is reborn as a true 'common property of mankind'.

      • KCI등재

        간접적인 카니발리즘경험에 의한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김은지 ( Eun Ji Kim ),화지희 ( Ji Hee Hwang ),정훈 ( Hoon Ch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이 표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수행되었다. 우리는 유생의 생활사 초반에 개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종의 카니발리즘(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폴리페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의 발생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을 경험하는 그룹과 그렇지 아니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두 그룹의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HWE), 코끝부터 항문(SVL) 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HWE를 LHW로 나누어 비율을 구한 후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유생의 생활사초반에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에 노출될 경우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머리크기의 비율(HWE/LHW)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주변의 다른 개체들로부터 전달되는 화학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cannibalism and difference of phenotype in th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from March to April 2011. We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t polyphenism of larval salamander is induced as a result of indirect cannibalism in early life cycle. W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tinuously exposed to the indirect cannibalism and the other group never exposed to the cannibalism). We measured the head width at the level of eyes (HWE), the largest head width (LHW) and snout-vent length (SVL) of the each larva then calculated the ratio of the head size by dividing HWE by LHW. We found that exposure of indirect cannibalism in early life cycle cause the different polyphenism. Our result means the larval salamander responded to the chemical cue from conspecific.

      • KCI등재

        기후 위기와 식인 자본주의를 전환하는 생태-사회적 연대와 상상력 - 202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

        황지선 우리말글학회 2024 우리말 글 Vol.100 No.-

        본 연구는 생태 위기는 자연의 역습이 아닌 강박적인 성장 정책과 자원 착취가 만든 결과임을 강조하는 ‘자본세’ 개념과 그 배후에서 삶의 모든 영역과 인간의 생존조건을 파괴하는 ‘식인 자본주의’를 바탕에 두고 기후 위기 문제를 다루는 최근의 한국소설을 살피려 한다. 물질대사의 균열을 일으켜 지구 시스템을 교란한 책임이 어디에, 누구에게 있는지를 인식한 후에야 비로소 기존의 기술, 권력, 자본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생태-기술적 상상력까지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도시 소설들을 읽고 분석하여 아파트와 도시 개발이 표방하는 자본축적 및 성장 강박이 어떻게 기후 위기의 가속화와 밀접한 연관을 맺는지 살핀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지구 구성원들의 경제적 삶은 물론 생태적 삶까지 격하시키는지 분석한다. 또한 환경 재난이 일상화된 사회를 분석하여 식인 자본주의가 어떻게 이 위기를 지속시키는지를 밝혀낸다. 이를 통해 환경 문제와 사회경제적 문제는 각각의 영역에서 사유하기보다 함께 사유할 때 그 문제의 원인과 대응 방법을 찾을 수 있음을 이야기 한다. This study examines recent Korean novels that address the climate crisis based on the concept of ‘Capitalocene’, which emphasizes that the ecological crisis is the result of obsessive growth policies and resource exploitation, not nature’s retaliation, and ‘cannibal capitalism’, which destroys all areas of life and human living conditions. This is because only after recognizing where and who is responsible for the cracks in material metabolism that have disturbed the earth system, can we detect ecological and technological imagination in ways other than conventional technology, power, and capital. To this end, we will read and analyze urban novels to see how the compulsion to accumulate capital and grow, represented by apartment and urban development, is closely linked to the acceleration of the climate crisis. In doing so, we will analyze how the capitalist system degrades not only the economic but also the ecological lives of people on the planet. It also analyzes societies where environmental disasters have become routine, revealing how cannibal capitalism perpetuates this crisis. The book argues that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can be solved by thinking about them together rather than separately.

      • KCI등재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Jihee Hwnag,Eun-ji Kim,Ho-Jin Kim,Hoon Chung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포식압의 수준이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치의 냄새를 포식자 신호로 이용하여 (1) 높은 포식압- 하루 세 번의 포식압 (2) 중 간 포식압- 하루 한 번의 포식압 (3) 포식압 없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채집일로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처리하였다. 먹 이섭취로 인한 형태적 변화를 막기 위하여 실험은 기아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도롱뇽 유생은 경기도 광주, 인왕산, 수락 산에서 채집된 난괴를 이용하였다. 포식압 처리 이후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 의 머리길이(HWE). 그리고 코 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의 측정은 HWE를 LHW로 나눈 수치(HWE/LHW)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그 결과 포식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WE/LHW와 SVL 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포압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포식압 수준에 따른 증가 를 보여,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은 매우 에너지 소모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한 정적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포식압에 의하여 카니발리즘을 일으키기 유리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당조(唐朝) 장순(張巡)의 사적(事跡) 소고

        황영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 Research topics: This paper is to re-evaluate the cannibal incident at Suiyang,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Zhang Xun who is reputed as a master general and national hero of Tang Dynasty. · Research background: Zhang Xun, who blocked the rebels at Suiyang from advancing to Jianghui,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fortress, along with his colleague Xu Yuan(許遠), killed more than thirty thousand persons elderly and infirm, including concubines and old servants, and forced the soldiers to eat them. This incident had already caused a controversy in Tang Dynasty’s court at that time, but since then this incident has been little discussed among persons as a subject of controversy except in some of literary writing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is is the first thesis to explore the existing documents estimating Zhang Xun's Suiyang battle from the perpective anti-humanism. · Research method: The present writer re-estimates Zhang Xun’ histiorical activities at Suiyang Battle by the way of analyzing the records of New Tang Shu(新唐書) and Old Tang Shu(新唐書) concerning him. · Research results: to publicate a thesis in academic journal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thesis raises the awareness of the conflict between patriotic activities and anti-human barbaric behaviors in traditional societies, and provides researchers an opportunity to make them the subject of academic discussion. · 연구 주제: 본고는 당조의 명장으로 추앙받는 장순의 사적을 新唐書 와 舊唐書 의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수양성(睢陽城)에 있었던 식인(食人) 사건의 공과를 재평가한다. · 연구 배경: 당의 장순이 수양성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다는 명분으로 사람을 죽여 식용으로 먹었던 반인륜적 집단학살은 과연 정당화할 수 있는가? 인륜과 충돌되는 애국행위는 시대마다 평가를 달리하고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이 논문은 당 장순의 수양성 전투를 반인륜의 관점에서 평가한 기존의 문헌을 탐토한 최초의 논문임. · 연구방법: 신당서 나 구당서 와 같은 역사문헌에 나오는 장순의 사적연구를 통하여서 수양성에서의 식인사건을 재평가함· 연구결과: 논문으로 작성하여 학술지에 게재.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전통사회에서 이뤄진 애국적 행위와 반인류적인 행위의 충돌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이후 학술적 토론의 대상으로 삼는 계기를 제공함.

      • KCI등재

        ‘식인 자본주의’적 징후와 공포의 정동 ― 영화 <목격자>, <도어락>을 중심으로 ―

        김지연 ( Kim Ji-ye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감성연구 Vol.29 No.0

        본 논문에서는 두 편의 영화 <목격자> (2018), <도어락 > (2018)을 통해 도시인들의 일상과 개인적인 장소까지 틈입하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공포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바우만은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불안과 두려움이 일상의 어느 순간 공포가 된다고 지적을 하였고, 프레이저는 식인 자본주의적 시스템이 빚어낸 비극들이 항상적 공포가 되어 일상에서 상존하게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연구는 바우만과 프레이저가 지적한 이러한 징후들을 두 영화를 사례로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의 주요한 공포의 근원이 금융화된 자본주의 체제와 그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화 <목격자>의 내러티브를 이끌어가는 동력과 공포의 지점은 주인공의 딜레마적인 상황이다. 살인사건의 목격자인 상훈은 자신과 가족의 안전을 위해서 역설적으로 경찰 수사에 협조하지 않고, 아파트 시세 하락을 걱정한 주민들의 이기주의에도 편승하면서 살인범으로부터 익명성 속으로 숨는다. 신도시라는 공간이 주는 범죄와 안전에 대한 과도한 감각과 무너진 공권력이 결합되면서 가족의 안녕이 오로지 가장의 몫으로 남겨진 것은 한국 사회에서 느끼는 공통적 공포이다. 아파트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을 때 주민들은 자신들의 안전보다도 집값을 먼저 걱정한다. 그들에게 아파트 값이 떨어지는 것은 삶의 기반이 허물어지는 공포 그 자체이다. 영화 <도어락>은 혼자 사는 여성을 노려 그녀의 공간과 육체를 소유하려는 젊은 남성을 살인범으로 내세우는 스릴러 영화이다. <도어락>에서의 공포는 가장 안전해야 할 그녀만의 공간인 주거지 오피스텔에 도사리고 있다. 살인범인 젊은 남성에 의해 의식을 잃고 나약한 상태로 포획당한 듯한 주인공의 모습은 야수적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의식하지 못한 채 착취의 대상이 되는 비정규적 여성인 주인공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실업과 열악한 근무조건,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한국 사회의 청년 프리카리아트를 상징한다. 이 영화의 공포의 후경에는 신자유주의 사회가 갖는 근원적인 공포, 즉 불안한 지위의 비정규직인 프리카리아트가 겪는 사회적·경제적 공포가 자리 잡고 있다. 두 영화는 ‘집’이라는 공간에서 공포의 내러티브가 작동한다. 나와 가족의 보금자리에 침입자가 생기면서 오는 불안감, 우리의 울타리가 생각보다 쉽게 무너지는 것에서 오는 두려움이 두 영화의 기본적인 공포적 요소이다. 그리고 영화 속 주요 인물들은 막대한 주거지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야 했고, 다달이 갚아야 할 부채가 산적하다. 이들은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스템의 길들임과 통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두 영화를 통해서 관객들은 ‘집’이라는 표상을 통해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스템이 얼마나 잔혹하게 작동되는지를 체감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이 두 영화의 주된 공포적 요소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reality of new fears in Korean society that invade the daily lives and personal spaces of urbanites through < Witness > and < Door Lock > released in 2018. Zygmunt Bauman pointed out that the anxiety and fear of modern people living in big cities become fears at some point in their daily lives, and Nancy Fraser pointed out that the tragedies caused by the cannibal capitalism system become constant fears and coexist in everyday life. This study confirms and analyzes these signs pointed out by Bauman and Fraser through two horror film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main source of fear in Korean society today comes from the neocapitalism system and its negative effects. The driving force and point of fear in the film < Witness > is the protagonist’s dilemma. Sang-hoon, a witness to a murder case, paradoxically does not cooperate with the police investigation for the safety of himself and his family, and hides from the murderer in anonymity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selfishness of the residents who are worried about the decline in apartment prices. The excessive sense of crime and safety that the new city space provides, combined with the collapse of public authority, leaves the family’s well-being solely to the head of the household, a common fear felt in Korean society. When a murder occurs in an apartment, residents worry about the price of their house before their own safety. For them, a drop in apartment prices is the very fear of their foundation collapsing. The film < Door Lock > is a thriller film that portrays a young man who targets a woman living alone and attempts to possess her space and body as a murderer. The horror in < Door Lock > is lurking in her residential officetel, which should be her safest space. The sight of the protagonist, who is unconscious and weak, being captured by the young male murderer, evokes a beastly fear. The protagonist, a non-regular worker woman who is unknowingly subject to exploitation, symbolizes the young precariat in Korean society suffering from youth unemployment, poor working conditions, and job insecurity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Behind the horror of this film lies the fundamental fear of neoliberal economy society, namely the social and economic fear experienced by the precariat, non-regular workers with unstable positions. In both films, the narrative of fear operates in the space called ‘home(or house)’. The anxiety that comes from an intruder entering the shelter of oneself and one’s family, and the fear that our fences can collapse more easily than expected are the basic elements of fear in both films. In addi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s had to borrow money from the financial sector to cover the enormous cost of housing, and they have a mountain of debt that needs to be repaid every month. They are not free from the taming and control of the financialized capitalism system. Through the symbol of ‘home’ in both films, the audience can experience how cruelly the financialized capitalism system operates, and this is the main element of fear in both films.

      • KCI우수등재

        자본주의 비판의 다양성 - 정치적 자본주의 관리자본주의 카니발 자본주의

        이광근 비판사회학회 2023 경제와 사회 Vol.- No.140

        How do Marxists characterize the contemporary capitalism? The primary interes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ree currents of Marxist analysis on capitalism: Political capitalism, managerial capitalism, and cannibal capitalism. These recent characterizations of capitalism have already became objects of wide attention and hardhitting debates. They have their distinct perspective and focus on capitalism, but share the intellectual fervor searching for the innovation of Marxist analysis. They differ in the diagnosis of capitalism, defects of the existing Marxist analysis, and the image of its alternative, so they expose the width of the theoretical spectrum of contemporary Marxism.

      • KCI등재

        후기 식민시대 “원시 타자”에 대한 인식과 재현

        조관연(Cho, Gwan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문화적 전회 이후 문자텍스트로 정적이고 통일적이며 몇몇 개의 요인을 가지고 단선적으로 문화현상을 묘사하는 것에 대해 비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새로운 기술 또는 재현방식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정통 다큐멘터리 부분에서는 이런 변화가 상대적으로 늦었을 뿐만 아니라 시도도 많지 않았다. 데니스 오루크 감독의 <카니발 투어즈>는 문학과 인류학에서 차용한 다양한 방법과 시각들을 활용해서 서구인과 “원시적 타자”의 만남과 오해 그리고 공감과 소통부재를 꼬집고 있다. 그의 작품은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을 뿐만 아니라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글은 그가 선보인 풍자와 자기 현시 그리고 “실제 극영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을 해석한다. 이는 오래된 문화(문명)와 야만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상호 공감과 이해의 토대에 대해 재사유하게 만든다. Since cultural turn, there has been a strong criticism about describing cultural phenomena linearly with some factors which are static and unifying by character text. In response, a new description or representation have appeared. However, on the orthodox documentary part, these changes were relatively slow and not tried a lot. Cannibal Tours(1988) directed by Dennis O’rourke is pinching meetings, misunderstandings, and absence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between Westerners and “primitive Others.” His work not only opened a new horizon of documentary but also is being considered a classic. His work is interpreted focusing on satires and revelation and factual feature films shown by him, which makes people dissolve old culture(or civilization) and barbarian dichotomy and rethink the mutual sympathy and foundation of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