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Wee)클래스 담당자의 자살위기업무 경험에 관한 CQR-M 연구

        이민정,김진선,정윤경,신주연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ee class counselors's experience of suicide crisis work and to explore the support and improvements suggested by the Wee class counselors in carrying out suicide crisis work.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Wee class counselors at schools where suicide crisis cases were reported to the city ministry of education in Region A, and the response data from 34 Wee class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collected through a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was appli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ive areas: performance of suicide crisis tasks, difficulties in suicide crisis tasks, competencies for suicide crisis intervention, collaboration with the Wee Center, and support for the stress of suicide crisis tasks, and hence 32 categories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suicide crisis work experienced by Wee class counselors at school sites and the support and improvements they suggest. Based on this, it was established that Wee class counselors could provide effective suicide crisis work, and we sought specific ways to do this. 본 연구는 위(Wee)클래스 담당자의 자살위기업무의 경험과 자살위기업무 수행에 있어 위(Wee)클래스 담당자가 제안하는 지원 및 개선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지역 시 교육청에 자살위기사안이 보고된 학교의 위(Wee)클래스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위(Wee)클래스 담당자 34명의 응답자료는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자살위기업무의 수행, 자살위기업무의 어려움, 자살위기개입에 대한 역량, 위(Wee)센터와의 협업, 자살위기업무 스트레스에 대한 지원으로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3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위(Wee)클래스 담당자들이 학교현장에서 경험하는 자살위기업무의 경험과 그들이 제안하는 지원과 개선방향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위(Wee)클래스 담당자가 효과적인 자살위기업무를 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강점 탐색 -CQR-M을 중심으로-

        이유라,유인화,황재호,안소현,최수미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ength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m. For this study, 4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a semi-structured open online questionnaire,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M).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domains and twenty categories were derived as strength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first domain ‘personal strengths’ is with 6 categories: ‘gentleness and innocence’, ‘honest self-expression’, ‘maintenance of fundamental habits’, ‘pureness and optimism’, ‘brightness and cheerfulness’, and ‘responsibility’. The second domain ‘learning strengths’ is with 7 categories: ‘curiosity about specific interests’, ‘receptive attitude toward teacher guidance’, ‘persistence in not giving up learning’, ‘interest and talent in arts and sports activities’, ‘educational interest in children of nurturers’, ‘display of ability in individual learning’, ‘active request for help and imitation for learning’. The third domain ‘social strengths’ is with 7 categories: ‘affinity’, ‘good family relationships’, ‘kindness’, ‘cooperation’, ‘effort to understand the point of view of others’, ‘conformity to teacher authority’, and ‘a sense of humor’. Finally, the mean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강점을 탐색하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강점기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개방형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한 후,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강점으로 3개의 영역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개인강점’은 ‘온순하고 순수함’, ‘솔직한 자기표현’, ‘기본생활습관을 잘 유지함’, ‘해맑고 낙관적임’, ‘밝고 명랑함’, ‘책임감’의 6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학습 강점’에서는 ‘특정 관심사에 대한 호기심’, ‘교사의 지도에 수용적인 태도’, ‘학습을 포기하지 않는 끈기’, ‘예체능 활동에 대한 관심과 소질’, ‘양육자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 관심’, ‘개별학습에서 능력 발휘’, ‘학습을 위한 적극적인 도움 요청 및 모방’의 7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사회적 강점’은 ‘친화력’, ‘좋은 가족관계’, ‘친절을 베풂’, ‘협동심’,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려 함’, ‘교사의 권위에 순응함’, ‘유머 감각’의 7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상담에 대한 노인들의 내적 지각 탐색 - CQR-M 방식을 활용하여 -

        김단비,주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지각 및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장벽, 상담에 대한 기대를 노인들의 직접적인 보고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거주하고 있는 56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 수정본(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민거리에 대한 대처 방법, 상담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상담에 대한 동기, 상담이 꺼려지는 이유, 상담자에 대한 기대, 상담효과에 대한 기대라는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례관리 및 상담영역의 확대, 진정성 있는 인간적 관계 형성, 활동을 병행한 상담 방식 고려, 전문성 강화 등 노인의 상담 숙고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노인상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how seniors cope with adversities, how they perceive the counseling and what they expect from it, including the difficulties and barriers when us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direct reports of the seniors. Data was collected from 56 elderly people living in Gyeonggido throug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QR-M method. The result yielded 6 domains, which are the ways to deal with adversities, feelings or thoughts about counseling, motivations for counseling, why peoples mind getting counseling, expectations for counselor, expectations for counsel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consideration for counseling by the elderly are suggested including case management, the expansion of counseling areas, the formation of sincere relationships, the consideration of counseling methods with activities and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 KCI등재

        지방대학생이 인식하는 마스터 내러티브 및 대안 내러티브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을 중심으로

        김용희,남혜라,정지선,유순화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7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이 인식하는 마스터 내러티브와 대안 내러티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지방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한 후,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영역과 9개의 범주, 2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지방대학생이 인식한 마스터 내러티브는 ‘지방대학생은 열악한 환경에서 대학에 다니는 학업능력이 부족하고 무시 받는 존재로서 졸업 후 진로가 제한된 사람’으로 나타났으며, 대안 내러티브는 ‘지방대학생은 일반적인 대학생으로서 학업에 전념하고 지역을 대표하며 고유한 강점을 가진 인재’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사고와 행동을 제약하는 마스터 내러티브와 지방대학생의 가치를 드러내고 이들의 손상된 정체감을 회복하기 위한 또 다른 기준인 대안 내러티브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ster narratives and alternative narratives perceived by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100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an open-ended online questionnaire,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As a result of the study, 4 domains, 9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summary, the master narrative perceived by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was that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are people who lack academic ability, are disrespected as they attend university in poor environments, and have limited career paths after graduation’, while the alternative narrative was that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are talented individuals who are dedicated to their studies, represent their local regions, and possess unique strengths just like any other university stud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revelation of the master narratives that constrain the thoughts and behaviors of regional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alternative narratives that highlight the value of these students and provide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restoring their damaged identities.

      • KCI등재

        병사가 지각하는 군 생활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 : CQR-M 분석을 중심으로

        류진아 한국교육치료학회 2018 교육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병사가 지각하는 군 생활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78명의 병사가 작성한 개방형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CQR-M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가 지각하는 군 생활 적응행동 영역은 업무능력과 책임수행, 사회성기술, 선후임 및 간부와의 관계, 심신 건강, 자기관리 순이었다. 둘째, 병사가 지각하는 군 생활 부적응행동 영역은 심신 건강, 사회성 기술, 업무능력과 책임 수행, 선후임 및 간부와의 관계, 자기관리 순이었다. 셋째, 각 영역의 가장 비율이 높은 범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눈치 있게 전우의 입장을 잘 파악하고 배려하여 대처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이었으며, 의지가 약하고 우울해 하고 행동이 느린 것이 가장 부적응적이었다. 넷째, 군생활 부적응행동 중 가장 반응이 높았던 심신 건강의 하위영역은 대부분 우울장애와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related on the military life of youth solder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open ended questions wa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from 78 solders. The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CQR-M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s of adaptive behaviors in military included task ability and responsibility fulfillment, social skill, relationship with colleagu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elf-management. Second, the areas of maladaptive behaviors in military were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al skill, task ability, and responsibility fulfillment, relationship with colleague, and self-management. Third, the most important adaptive behavior was consideration for colleague using a bit of tact and the important maladaptive behaviors was not doing hard with excuse and acting slowly with having a weak mind. Lastly, symptoms of depressive disorder were related with the most important maladaptive sub area of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비자살적자해 상담에 대해 학교상담자가 인식한 어려움과필요한 역량 및 지원방안에 대한 CQR-M 연구

        조항,김신애,금창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자들이 비자살적자해 상담장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요구되는 역량및 지원방안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상담 현장에서 비자살적 자해학생을 상담한 경험이 있는 39명의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담전공 교수 3명으로 구성된 합의팀이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자살적 자해 상담 시 대처하기 어려운 상담 내적 상황6개의 범주, 상담 외적 상황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학교상담자에게 요구되는 비자살적 자해상담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영역별로 각 4개의 역량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셋째, 효과적인 비자살적 자해상담을위한 외부, 환경적 지원의 경우 내담자를 위한 지원방안 3개와 상담자를 위한 지원방안 4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자들의 비자살적 자해상담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상담교사 양성교육과정 및 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재용,권정현,차영경,오주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using the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M), 53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records and interview data of 1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CQR–M, a total of 294 responses, 21 categories, and five areas were derived. The five areas derived were ‘experience before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schoo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educationa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and ‘education experienc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Pre–elementary teachers were able to reflect on classes and life guidance at the level of individuals, schools, and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actice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proces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about the competencies they should have as pre– 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y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al pract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is, we will be able to carry out practical educational training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re–elementary teachers.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육실습 체험기록53편과 예비교사 10명의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으로분석한 결과, 총 294개 반응, 21개 범주, 5개 영역을 도출하였다. 코로나19의 상황에서 교육실습에참여한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다섯 가지 영역은 ‘낯섦과 새로움을 마주하기(교육실습참여 전)’, ‘어려움과 고민 속에서 기회 발견하기(교육실습 참여 중 개인 차원)’, ‘다시 만난 학교와 교실 바로 보기(교육실습 참여 중 학교 차원)’, ‘교육의 의미 새롭게 포착하기(교육실습 참여 중 제도 차원)’, ‘교사의 길을 향한 마음 다지기(교육실습 참여 후)’이다. 각 영역의 하위범주를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육실습을 통해 수업, 생활지도, 교직생활에 대해 개인, 학교, 정책 차원에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대해 성찰하였고, 초등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교육실습이 갖는 의미와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래형 교육실습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초등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을 의미 있게 실행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코로나 블루와 대학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조지혜,이영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ovid Blue,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support requirements at the university leve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Google questionnaire for four-year private university college students and 9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Q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areas: Meaning of Covid Blue, Impact of Covid 19, and Requirements for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First,‘the Meaning of Covid Blue’,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restrictions on romantic college life and activities, lack of reality in college life due to online classes, Isolation and depression due to interpersonal restrictions, and expansion of worrie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Second,‘The Impact of COVID-19,’8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the absence of college life and experience, disconnection of human relationships in college life, 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cademic maladjustment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Third, 9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University-level support requirements’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specialized customized service and scholarship support, and tuition reduction. The frequency and results of each area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코로나 블루와 코로나19 영향, 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서울, 충청권 4년제 사립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구글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96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코로나 블루의 의미’,‘코로나19의 영향’,‘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 사항’3개 영역에서 9개 범주, 2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코로나 블루의 의미’영역에서는‘낭만적인 대학 생활과 활동의 제약·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대학 생활의 실재감 부재·대인관계의 제한으로 인한 고립감 및 우울·취업 및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 확대’등 10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코로나19의 영향’에서는‘대학 생활 및 경험의 부재·대학 생활의 인간관계 단절·가족 갈등 및 심리적 불안정·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업 부적응’등 8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 사항’에서는‘비대면 수업 환경개선 및 질 관리·전문화된 맞춤형 서비스·장학금 지원 및 등록금 감면’등 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블루, 코로나19 영향, 지원 요구사항을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들에게 필요한 현실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초점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터의 경험 탐색 : CQR-M을 중심으로

        이혜은(Lee Hye Eun),박지인(Park Ji-in),김은진(Kim Eunjin),김준영(Kim JunYoung),정태욱(Chung Tae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대학의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터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일반적인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1학기~2019년 2학기 A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 주관의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생 튜터 1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수정된 합의적질적연구(CQR-M)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 분석을 통해 4개 영역(피어튜터링 참여 동기, 피어튜터링의 주요활동, 피어튜터링의 성과, 피어튜터링의 참여 소감), 16개 중영역, 26개의 하위영역, 4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둘째, 주요 참여동기는 ‘누군가를 도와주고 싶은 마음’과 ‘가르침을 통한 자기 성장’으로 나타났다. 셋째, 튜터는 ‘학습 촉진을 위한 조력 활동’과 더불어 ‘학습 외 학교생활에 대한 조력 활동’을 하여 학업뿐 아니라, 학업 외 부분에 대한 전반적인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넷째, 튜터링 활동의 성과는 ‘튜티’와 ‘튜터‘의 학업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튜터의 사회, 인지, 정서적 측면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활동소감은 ‘긍정적인 참여 소감’이 높은 응답을 보였고 특히 튜티 뿐만 아니라 튜터 자신이 함께 성장함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의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시 튜티의 학업향상에만 초점을 두기보다 튜터의 성장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e university s peer tutoring programs for analyzing their general experiences. We collected data for 116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s(2018-1~2019-2) organized by the CTL of the A Univ.,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QR-M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4 top-level domains, 16 second-level domains, 26 third-level domains, and 42 categories were developed. Second, the main participation motivations of tutoring were ‘the desire to help someone and ‘self-growth through teaching others . Third, the tutor performed ‘assistance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tutees learning and ‘helping for the tutees outside of school life , acting as overall helpers for not only academics but also non-academic aspects. Fourth, regarding the tutoring outcomes, they were considered to be high both tutors and tutees ’ academic learning outcomes. Lastly, as for feelings about the tutoring activities, the ‘positive feelings of participation’ showed high responses, and in particular, not only the tutees, but also the tutors themselves were considered that they experienced growt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s well as the tutees, it was confirmed that tutor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learning competencies, teaching skills,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leadership. This implies that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for peer tutoring programs at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s so that tutors can also grow together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utees’ academic improvement.

      • KCI등재

        상담전문가를 희망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CQR-M방식으로

        이훈민(Hoon-Min Lee),김희수(Hee-So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상담전문가를 희망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진로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집단상담을 통해 집단원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내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총 14회기에 걸쳐 집단상담을 진행하고, 매 회기 후 집단상담에서 느낀 점과 알게 된 점을 만족도 조사지에서 설문으로 받았다. 이 내용을 CQR-M 방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3개 영역, 18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역은 집단상담을 통한 자기이해로 4개 범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집단상담을 통해 상담전문가 직업에 대한 인식변화는 9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 영역은 집단상담프로그램에서의 영향 요인으로 5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를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이 집단상담에 참가한 뒤 구성원들이 느낀 경험을 밝혀냈다. 이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에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f career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counseling experts, and aims to find out what group members actually experience through group counseling. To this end, nine high school students held a total of 14 rounds of collective counseling, and after each session, they received a survey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on what they felt and learned from the collective counseling. The analysis of this content using the CQR-M method resulted in three areas and 18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rea was analyzed into four categories due to self-understanding through collective counseling. Through the second area, collective counseling,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professions was analyzed into nine categories. The last area was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as a factor of influence in group counseling programs.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is study revealed the experience that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ed to become counselors felt after participating in collective counsel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then discu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to subsequ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