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국시기 상하이불교거사림 설립과 재가불교운동으로서 그 역할

        김영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In 1920, the Shanghai Buddhist Laying Association(Shanghai fojiao jushilin)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This organization is a typical Buddhist laity group in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This organization was later divided into the World Buddhist Lay Association(shijie fojiao jushilin) and the Shanghai Pure Land Buddhist Practice Association (shanghai fojiao jingyeshe). This Association did not belong to any temple. And any Buddhist monk did not even lead this Association. It was an organization entirely composed of Buddhist laymen. This Association has its own worship space and faith activities and practices. It also organized a board of directors and chaired the board of directors and management. They built an operating system similar to that of modern foundations. They continued traditional activities such as Buddhist practice and scripture study, and also engaged in various projects such as missions, philanthropy, publishing, and education. This activity was clearly a different Buddhist role from the pre-modern era. It was an activity for Buddhism to secure its status in modern society. We can confirm the birth of a definite Buddhist subject called ‘jushi’. At this time, it is a modern Buddhist laymen. 1920년 중국 상하이에서 성립한 상하이불교거사림은 민국시기 대표적인 불교 거사단체이다. 그것은 이후 세계불교거사림과 상하이불교정업사로 분리됐다. 이 단체는 특정한 사원에 속하지도 않았고, 특정한 승려에게 지도 받지도 않았다. 순수한 재가 신중이 주체였다. 사원이 아닌 곳에 독자적인 공간을 마련했고, 그곳에 불전(佛殿)과 염불당을 갖추어서 독자적인 신앙생활을 했다. 또한 이사회를 조직하여 이사장과 운영진을 선출하는 등 현대의 재단 운영과 비슷한 근대적인 조직 운영 체계를 구축했다. 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이나 경전 공부와 같은 전통적인 활동을 했을 뿐만 아니라 포교, 자선, 출판, 교육 등 다양한 방면의 사업을 진행했다. 이런 사업은 전근대시기와 분명히 다른 불교도의 역할이었다. 이는 사회사적으로 보면 근대사회에서 불교가 자리를 잡는 과정이었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근대적인 시민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것이 근대시기 재가불교운동의 내용을 만들었다. 불교에 한정해서 보자면 재가불교운동은 불교계 내에 ‘불교거사’라는 분명한 불교 주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이때 불교거사는 근대적인 개념이다.

      • KCI등재

        일제하 조선불교청년회의 지회결성과 활동

        김경집(Kim, Kyung-Jib)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조선불교청년회의 지회활동은 일제시대 한국불교 청년운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한국불교 청년운동에 있어 중앙과 지방의 연계활동을 구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20년 6월 20일 창립된 조선불교청년회는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다. 청년회의 창립이념에 동조하는 사찰과 지방에서 활동하던 불교청년들에게 지회 가입을 권유하였다. 일제시대 발간된 신문을 토대로 지회 설립을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41곳에 이르고 있다. 그 가운데 1920년과 1921년에 8곳씩 16곳이 결성되어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1922년에 6곳이 결성되어 3년이 안 되는 사이 22곳이 결성되었다. 비율로 보면 53.7%에 해당한다. 그런 현상은 조선불교청년회가 창립된 1920년 6월에서 유신회로 전환하여 활동하던 1922년 무렵 각 지방에서 적극적으로 가입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초기 지회결성이 열정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불교청년회 지회의 명칭으로 볼 때 사찰에 소속된 불교청년회가 많았다. 지역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불교청년회를 조직하고 참여한 경우도 있었다. 청년들은 물론 유지들이 대거 가입했으며, 지회 발전과 회관건립을 위한 후원금이 답지하였다. 지회가 펼친 중점 활동은 간친회, 강연회, 토론회, 구제활동, 학교와 야학활동, 고아원, 활동사진, 체육, 연극, 음악, 그리고 웅변 등이다. 당시 사회 계몽운동과 관련이 깊은 내용들이 전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계몽운동이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받은 것으로 볼 때 지회활동 역시 항일정신이 깃들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선불교청년회 지회활동을 통해 지방에서 일어난 한국불교 청년운동의 전모를 파악하는 일은 일제시대 불교청년운동과 항일운동에 대한 지평을 확대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The branch of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very important topic in understanding the Korean Buddhist youth movement in modern times. Because it is possible to know the linkage activiti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movement. The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on June 20, 1920. The branch of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nationwide. Buddhist youth who were active in the local area joined. 41 sit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In 1920 eight branch of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ere built. In 1921 eight branch of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ere built. The number of branch circuits built in the year is the largest number. In the first three years, 22 branches were established. The ratio is 53.7%. The establishment of the initial branch was very enthusiastic. The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the most active in the period from 1920 to 1922. It was the result that the Buddhist youth people of the local actively responded. Many donations were collected for branch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hall. The branch emphasized the social enlightenment movement. The branch held a lecture to raise public opinion. Education activities have been raised to raise the intellectual level. And variety of athletic and artistic activities have raised cultural capacities. It was thought to resist the Japanese imperialism. It was under Japanese surveillance and oppression. The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branch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youth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평양불교청년회의 설립과 활동

        김경집 ( Kim¸ Kyung-Jib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1911년 6월 사찰령을 제정한 일제는 한국불교를 30본산 체제로 재편하며 식민지 통치에 유리하도록 통제하였다. 일제의 지원을 받은 일본불교의 종파들은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런 이중고 속에서 한국불교는 포교당을 세우고 근대적 활동을 모색하였다. 일제강점기 북한지역 제일의 도시는 평양이었다. 그곳의 본산은 영명사였다. 경제력이 약해 포교에 적극적이지 못했다. 이런 문제점을 파악한 유점사는 평양불교의 발전을 위해 1914년 포교당을 세웠다. 포교당 책임자와 젊은 불자들이 1918년 평양불교청년회를 조직하였다. 청년회는 평양 불자들의 신행을 바꿔나갔다. 화복을 비는 신앙에서 민중행복과 사회 안녕을 인도하는 사회적 불교를 추구하였다. 1920년 6월 20일 서울에 조선불교청년회가 설립되자 조선불교청년회 평양지회로 가입하였다. 평양지회는 중앙의 노선을 따라 청년 불자들의 계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양지회 역시 조선불교청년회의 항일적인 의식을 계승한 탓에 활동 가운데 항일적인 내용이 많았다. 당연히 일제의 감시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평양지회는 1923년 2월 말 다시 평양불교청년회로 회귀하였다. 개편 직후 평양의 모든 청년 불자와 포교당 대중들을 포용하기 위한 신행증진의 불사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불자들의 호응은 물론 포교당 내 여러 신행단체가 설립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나아가 이교도가 불교로 개종하는 성과를 올렸다. 평양불교청년회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직업이나 위치에서 행한 활동과 청년회이름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였다. 먼저 개인적인 활동으로는 자신들의 직업이나 위치에서 전개한 노동운동과 1920년 말에서 30년대에 진행된 공공기관 설립에 참여한 예를 들 수 있다. 다음 청년회 이름으로 참여한 사회활동은 다른 청년단체 및 타종교 청년회와 연계한 사회참여였다. 이와 같은 평양불교청년회의 사회활동은 불자를 포함한 일반시민들에게 불교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그 결과 불교신도가 증가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In June 1911, Japanese colonial rule enacted laws governing Korean Buddhism. Korean Buddhism became the 30 headquarters system. The Japanese Empire used Korean Buddhism for colonial rule. Japanese Buddhism showed outstanding activity in Korea. The Korean Buddhist denomination has made plans to build a temple for missionary purposes. Pyongyang was the largest city in North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14, Yujeomsa built a temple for missionary work in Pyongyang.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organized there in 1918. In June 1920, joined the Pyongyang Branch of the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The Pyongyang branch carried out activities for the enlightenment of young Buddhists along the central line. The Pyongyang branch inherited the anti-Japanese spirit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t was the subject of Japanese colonial surveillance. The Pyongyang branch became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again in February 1923. Immediately after the reorganization, the immortality of new progress was promoted to embrace all young Buddhists and the public in Pyongyang. As a result of such activities, several new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temple. Some people of other religions practiced Buddhism. Pyongyang Buddhist youth members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at their positions. First of all, personal activities include labor movements in their professions or positions, and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late 1920s and 30s. The next social activity in the name of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social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youth groups and youth associations of other religions. Such social activities of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aise awareness of Buddhism among ordinary citizens, including Buddhist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Buddhists increased.

      • KCI등재

        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 경허ㆍ만공의 행적

        조을규(Joe, Eul-gyu)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본고는 개항 이후의 근대에 활약한 경허성우(1846-1912)와 그의 제자 만공월면(1871-1946) 두 선사의 행적에 대하여 근대불교개혁 운동의 관점에서 평가를 시도한 글이다. 한국불교사에서 근대는 국가·사회적 격변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불교에 큰 충격을 주었던 시기였다. 또한 조선 초 이후 장기간 지속된 숭유억불정책으로 불교 내부적으로는 활기를 잃어가고 있던 시기였으며, 특히 깨달음을 얻기 위한 불교의 수행전통은 매우 미약해진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허는 홀로 간화선 수행법을 통하여 깨달음을 이루었으며, 이후 자신의 체험을 기반으로 참선법을 확산시키고 정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승속을 구분 없이 동참시킨 결사운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영향으로 영호남의 여러 사찰에서 참선을 위한 결사운동이 진행되었다. 경허의 법을 이은 만공은 제자들에 대한 참선지도 외에도 선학원운동 등을 통해 일제강점기에서도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을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경허와 만공은 참선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이루는 일만이 정법의 전통을 지키는 최우선의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이들을 통해서 힘을 잃었던 간화선 수행법이 다시 복구되고 널리 확산되었으며, 이후 한국불교에서는 이들의 제자들이 다수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참선수행 외의 다른 문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었다. 경허는 무애행이라는 미명하에 비윤리적 일탈행을 자행하였으며, 만공 역시 승려들에 대한 불교 교육이나 계율 준수 등을 경시함으로써, 승단의 자질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경허는 당시 조선말의 국가적 위기상황에서도 극단적인 사회적 무관심으로 일관하였으며, 만공 역시 일제강점기 하에서 자주적인 불교종단의 설립이 매우 중대한 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사회·정치적인 활동을 전개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 인식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경허와 만공의 행적을 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들은 수행법의 정립문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대안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으나 교육이나 지계, 불교의 사회적 위상 제고, 불교 자주화 등 다른 주요 과제를 경시함으로써 여러 가지 부정적 측면이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contribution is an attempt to re-evaluate the activities of the two Seon masters Gyeong-heo Seong-u (1846-1912) and Man-gong Wol-myeon (1871-1946) in early moder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reform mo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modern era is a crucial period which caused a profound concussion in Buddhism because of the abrupt and sudden transform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which itself confronted Buddhism from without. Also the early modern era is the era in which Buddhism had already suffered a loss of internal energy and livelihood because of the policy of Appraising Confucianism and Rejecting Buddhism,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the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 which ought to have lead to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turning out to be in a state of obvious weakness. Under such conditions Gyeong-heo achieved enlightenment solely by the precepts of Ganhwa Seon practice. Thereafter Gyeong-heo made efforts to spread this kind of meditation rules for the benefit of maintaining the true dharma. Moreover he founded and developed an association movement in which monks and laymen stood united without discrimination. His influence caused and supported the initiation of such associations for the promotion of meditation in various temples in the Jeonra and Gyeongsang provinces. Gyeong-heos’ dharma successor Man-gong endeavored the protection of Korean Buddhism’s traditional pract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example by means of the Seon Hakwon(Academy) Movement and the Seon instruction he provided his students with. Gyeong-heo and Man-gong regarded the protection of the true dharma tradition, by whose means alone the meditation training could lead towards enlightenment, as their foremost duty. Their activities raised the strength of the weakened Ganhwa Seon tradition and furthered its distribution, furthermore their students later became the majority within Korean Buddhism. But still they can be held responsible for a number of various negative or problematic developments, because they considered issues other than those concerning the field of meditation practice unimportant. Gyeong-heo displayed an immoral and socially deviant demeanor by keeping up the attitude euphemistically called Muaehaeng, and Man-gong likewise showed little respect towards Buddhist education and the abidance by Buddhist monastic rules. Thus their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problem of the successively low qualification of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Additionally, neither did Gyeong-heo show any serious social interest or engagement during the times of national crisi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nor was Man-gong able to act meaningfully in social or political matters, although the initiation of an independent Korean Buddhist community would have been an immensely important issue in those days. The narrowness of their social perception in these things becomes quite obvious. It seems jus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Buddhist reform movement to state that both Gyeong-heo’s and Man-gong’s activities offered a number of positive directions for development concerning the “right” Buddhist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revealed serious shortcomings in view of other aspects such as the important challenges of education, the adherence to Buddhist rules, the social position of Buddhism and its independence in Korea, to name but a few examples which they treated with little esteem.

      • KCI등재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의 재검토

        김순석(Sun Seok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6

        일제강점기 불교계는 일본의 식민통치에 저항하는 항일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식민통치에 협력하기도 하였다. 항일운동은 발굴해서 현창하고, 친일행위는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점에서 두 분야 모두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1919년 3·1운동은 식민지 시대 최대의 항일운동이었다. 3·1운동의 여파는 해외로, 해방이 되기까지 기념식이 이어졌다. 1919년11월 15일 중국 상해에서 대한승려연합회 대표자 12명의 이름으로 발표된 「대한승려 연합회선언서」에 관해서는 몇 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의 필자들은 각기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의 기초자를 달리 보고 있는데 신상완·이종욱·백초월로 추정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필자는 백초월이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를 집필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백초월이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를 집필하였다는 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 선언서가 무엇을 주장하였으며 그것이 불교의 어떤 사상과 맥이 닿고 있는 지를 언급한 논문이 없었다. 선언서에 담긴 내용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선언서는 일제강점기 식민통치를 부정하고 독립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어떤 연구에 의하면 독립선언서는 103종이나 된다고 한다. 선언서는 발표 주체와 기초자에 따라 담기는 내용이 다르다. 독립선언서는 식민 치하의 일본의 학정을 규탄하고 독립이 되는 순간까지 투쟁을 결의하는 내용이 담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불교계에서 발표되었기 때문에 일제에 대한 투쟁을 넘어서 세계평화를 주장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not only anti-Japanese movements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also pro-Japanese actions which helped colonial control of Japan in Buddhism circle. In case of the anti-Japanese movements, they must be found out and stood out clearly. However, the pro-Japanese actions should be taken as chances of reflection. At this point, it is beyond question that two parts`` studies should be activate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was the first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colonial time. The after effec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led to overseas. The anniversary has lasted until the liberation. Several research papers were issued about 「The Declaration of Korean Buddhist Monk Association」 announced by 12 representatives of Korean Buddhist Monk Association in Shanghai, China on November 15, 1919. When some papers are examined respectively, they have different views about the drafter of the declaration. At this point in time, we need some explanations why this situation has occurred. The writers of these thesis insist on the drafter of 「The Declaration of Korean Buddhist Monk Association」differently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this situation I need to sum up these theories. I think that the drafter of 「The Declaration of Korean Buddhist Monk Association」is Bae Cho-wol. I would like to provide the authority. Furthermore, there were no papers on what this declaration suggested and what this has in common with philosophy of Buddhism.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real contents of the declaration because this includes the contents that denies Japanese colonial rule and insists on the justification of Korea``s liberation. According to other researches, there are 103 kinds of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declarations`` contents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ain agents of the announcements and the drafters. The Independence Declarations`` contents usually contain denunciation and resolution of struggle against Japan under the colonial control. But, since 「The Declaration of Korean Buddhist Monk Association」 was issued in the Buddhism circle, it contains the suggestion of world peace beyond the fight against Japan. I, the writer take notice of this sort of point and try to arrange previous debates concerned with the drafter of this declaration. And, I try to review the main ideas represented in the declar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한동민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김구하(1872~1965)는 한국 근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사찰인 경남 양산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그는 1911년 통도사 주지로 부임한 이래 10년간 통도사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다. 재 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학교와 강원을 개설하고 각지에 포교당을 설 치함으로써 통도사를 새롭게 변모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여성과의 스캔들과 공금횡령 등의 비리를 저지른 비리 승려로 지 탄을 받으며 1925년 주지직을 사임하였다. 이러한 공금횡령 사건의 배 후에는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청년승려들에게 독립운동 자금 지원 때 문이라는 것이 김구하의 주장이었다. 따라서 ‘친일과 항일을 넘나든 비리 주지’로 낙인찍힌 김구하에 대한 역사적 평가의 잣대 가운데 하나가 13,000원의 독립운동 자금지원의 진 실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지주나 유력 인사들은 상호보험적인 측면에서 일회적이고 한시 적으로 독립자금을 지원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김구하는 독립운동 관 련자 10명에게 자금을 지원한 점과 정확한 기억과 진술의 일관성, 그리 고 13,000원이라는 거금이라는 점에서 좀더 적극적인 독립운동 지원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1920년 5월 김구하가 주도한 동아불교회(東亞佛敎會)의 조직은 친일적 성격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신상완 등 청년승려들과 연결된 항일운동적 불교단체라 할 수 있다. 또한 불교개혁을 주장하는 불교유신회의 청년승려들과 입장을 같이한 총무원(總務院)을 이끌었던 통도사의 김구하는 조선 총독부와 본산 주지 의 입장을 강화하는 보수적인 교무원(敎務院)과 갈등관계였다. 따라서 1924년 총무원이 교무원으로 흡수 통합될 때까지 김구하는 친일적인 행 태를 보였다고 보기 어렵다. 동시에 김구하는 대본산 통도사 주지로서의 권위와 권력에 의해 점차 보수화되어 간 것도 사실이다. 3.1운동 이후 사찰령 체제와 절대적 권력 을 향유하는 본산 주지에 대한 비판이 본인에게도 해당한다는 사실을 망각한 점이다. Kim, Gu-Ha(1872-1965) is a figure who represents Korean modern Buddhist's community. He was the abbot of Tongdosa, Yangsan, South Gyungsang Provi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Korea, and he took the lead at managing Tongdosa for 10 years since he was appointed as the abbot of Tongdosa in 1911. He has been evaluated that he newly transformed Tongdosa by securing finance stable and founding schools and Buddhist Lecture Halls and establishing Dharma Instruction Centerat various places. On the other hand, he resigned the position of the abbot in 1923 by being criticized as a corrupt monk who committed irregularities such as scandals with women and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His claim was that the case of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was to support finance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monks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criteria for historical evaluation on Kim, Gu-Ha who has the sigma of 'a corrupt abbot crossing over pro-Japanese and anti-Japanese'lai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13,000won for independence movement.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independence fund was for once and temporarily supported in the mutual insurance aspect of landlords or important figures at that time. However, Kim, Gu-Ha can be said that he offered a more active support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that he supported finance to 10 persons rel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with his exact memory and consistency of his statement, and it's a fortune as much as 13,000won. Besides, the organization of Dong-A Buddhist Association at which Kim, Gu-Ha took the lead in May, 1920 has been understood that it had the feature of pro-Japanese but it can be said to be Buddhist organization with the nature of anti-Japanese connected with young monks such as Shin, Sang-Wan etc.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addition, Kim, Gu-Ha of Tongdosa who led Headquarters of the Order in the same side of young monks of Buddhist Association for reunification of Revitalizing Reform that claims the renovation of Buddhism had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with conservative Buddhist Clerks that reinforced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f the abbot of head temple. Therefore, until Headquarters of the Order was merged into Buddhist Clerks in 1924,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im, Gu-Ha showed pro-Japanese behavior. Simultaneously, it is also the fact that Kim, Gu-Ha wag gradually conservatized by the authority and power as an abbot of Tongdosa which is the main temple of a Buddhist sect. Sinc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e forgot the fact that the criticism for the system of Temple Act Promulgated and for the abbot of the main temple that enjoys the absolute power corresponded to himself as well.

      • KCI등재

        이일선과 제주불교연맹

        한금순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이일선은 1930년대 중반 이후 제주불교 활동의 중심축에 있었던 인물이다. 이글은 1920년대 조선불교청년회 활동에 참여하였던 이일선의 청년기 인식에 대해 살피고 다음으로 근대 제주불교 활동의 정점을 이루었던 1939년 제주불교연맹의 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일선의 글 「조선불교청년제군에게」를 분석하면 불교 위상에 대한 인식과 조국과 불교발전을 위한 실력배양이라는 그의 현실인식이 드러난다. 이일선은 청년들의 각성과 어른들의 현실참여를 통한 적극적인 노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식민지 체제가 장기화되면서 1930년대에 들어서 일제정책에 호응하여 심전개발운동에 참여하였다. 제주에 내려온 이일선은 제주불교연맹 활동 등 심전개발운동 포교사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 속에서도 실력과 발전이라는 명제 하에 시대상을 인식시키고 대중을 계몽하고자 하는 활동을 지속하여 조국과 불교발전을 위한 실력배양이라는 명제하의 일생을 살았다. 제주불교는 관음사의 창건이후 제주불교협회 활동과 제주불교의 자생적이고 토착적인 노력으로 불교확장을 위한 성숙된 의욕을 키워가고 있었다. 이러한 의욕은 1936년에 들어서 심전개발운동으로 흡수되었다. 심전개발운동실시 이후 기도회 · 신도회 등의 증가와 볍화산림 등 불교사상 정립을 위한 꾸준한 노력, 그리고 사찰의 증가 등 활성화된 활동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활동은 제주불교연맹이 일제의 정책을 시행하는 단체였음에도 불구하고 제주불교의 내적인 힘을 결집하고자 하는 욕구로 태어났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간의 의욕을 결집하여 탄생한 연맹은 제주불교를 대표하는 단체로서의 활동을 하였다. 일제정책의 실행이라는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불교협회 부진 이후의 제주불교의 자생적 의욕을 결집 관음사의 오이화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 자체적인 대중적 기반을 바탕으로 근대에 들어 가장 활성화된 활동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Lee ll-sun had been the centra1 figure for the activities of Jeju Buddhism since the mid-1930s. He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Chosun Buddhism Y outh Association in 1920s. π1Ï study focuses on his roles and the activities of Jeju Buddhism Association in 1930, which was at the clirnax of modem Jeju Buddhism activities. The ana1ysis of his writing “ÛTo the Chosun Buddhism Youths revea1s that he keenly realized that strengthening power is essentia1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Buddhism and develop the nation. He emphasized that the youth should perceive the reality and ad띠s should actively engage in the reality. As the colonia1 ru1e lasted longer, he participated in the Menta1 Enlightenment Movement in concert with the Japanese policy in 1930s. When he came to Jeju,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activities as a Buddhism nnsslOnary worker. He devoted his life to enlightening the folks and having people perceive the reality with the motto of strengthening power and developing buddhism and the nation. Since the foundation of Kwaneum Temple, Jeju Buddhism had been growing the mature motivation of propagating buddhism through spontaneous and native effort of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This motivation was merged into the Menta1 Enlightenment Movement in 1936. Since the operation of the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Buddhistic service meetings and Bud빼ン피t meetings began to form, the number of temples increased, some buddhist meetings such as Bubhwasanlim tried to establish the ideas of Buddhism and a variety of activities thrived. These activities reflects that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tried to concentrate interior power to play its own role of developing the nation and propagating Buddhism even though the organization put the J apanese policy into practice. In this regard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could stand stately as the representative of Jeju Buddhistic organizations. Even though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helped the Japanese policy to be practiced, it is more meaningful that the Jeju Buddhism Association concentrated spontaneous motivation with Oh Ihwa as the main figure and maintained public support by popularizing Buddhism and arousing nationa1 consciousness among people.

      • KCI우수등재

        3・1운동기 한국 불교계의 역동성과 현재적 반성

        김순석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2 No.-

        The year 2019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March 1st (Sam-il)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ligious group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ovement which was led by the leaders of the Chondoist, Christian and Buddhist communiti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lso the religious organizations were greatly used in spreading the movement from the center to the provinces. The March 1st Movement of Buddhist community also developed in this wa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March 1st Movement is that the struggle took place even in prison. Manhae Han Yong-un composed Reasons for Korean Independence" (Joseondongnip-eui-seo) as a response to the official investigation into his engagement, at the Seodaemun Prison. The article explains in logical detail why Joseon (now Korea) should be independent. Jo Ji-hoon, a contemporary prominent poet, praised it as a great writing of the time. On November 15, 1919, the 12 high-profile Buddhist monks in Shanghai announced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Monks Association. Existing studies have interpreted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Monks Association as a declaration of struggle against Japan, a sign of gaining independence through bloody warfare rather than seeking peace and practicing mercy. However, in reality, the declaration aimed at world peace beyond the struggle through a bloody war against Japan for independence. 2019년은 3・1운동이 발발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사의 주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3・1운동은 준비과정에서 천도교・기독교・불교계 지도자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중앙의 만세시위를 지방으로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종교 조직이 크게 활용되었다. 불교계의 3・1운동 만세시위 현상 또한 이와 비슷하게 진행되었다. 불교계 3・1운동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옥중에서도 투쟁이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들은 종로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열람하고, 종로경찰서로 연행되었고, 이후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되었다. 한용운은 1919년 7월 서대문형무소에서 일본 검사의 요구로 옥중에서 집필한 「조선독립의 서」를 집필하였다. 이 논설은 조선이 왜 독립되어야하는지에 대해 논리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조지훈에 의해서 당대 명문으로 평가되었다. 1919년 불교계 3・1운동은 그 해 11월 15일 상해에서 불교계의 고승 12명이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를 발표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불교계가 일제에 투쟁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선언서는 평화를 지향하고 자비를 실천하는 모습보다는 혈전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어왔다. 이 선언서는 독립쟁취를 위해 일제에 혈전을 선언한 투쟁을 넘어 세계평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물론 국외에서 3・1운동의 여파는 해가 바뀌어도 해마다 3월 1일이 돌아오면 해외에서 3・1운동기념식 거행되었고 만세 시위도 이어졌다. 그런 까닭에 3・1운동은 민족해방을 쟁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3・1운동에서 불교계 만세시위만을 검토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범위를 사찰과 포교당 등에서 승려들과 불교인들이 모여서 논의되고 결행되었던 것으로 한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을 요구하였던 불교계 3・1운동을 어떻게 현창하고 계승해야하는지를 함께 검토하기로 한다.

      • KCI등재

        안봉려관과 근대 제주불교의 중흥

        한금순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4 No.-

        1908년 관음사를 창건한 안봉려관은 일제강점기 제주불교의 항일이력으로 인한 일제의 통제를 이겨내고 1930년대에 이르러 제주불교 인물들의 주도적 활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1907년 대흥사에서 출가한 안봉려관은 1908년 제주도로 내려와 운대사인 김석윤에게서 가사를 전수 받는 등의 도움을 받으며 관음사를 창건하였다. 1910년 용화사에서 안거 중이던 김석윤과의 인연으로 용화사의 영봉화상과 안도월이 용화사의 불상과 탱화를 관음사로 이운 봉안하여 관음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이 결행됨으로 인해 관음사는 1930년까지 일제의 통제를 받게 되고 안봉려관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무단한 노력을 하게 된다. 1924년 일제의 문화정치의 일환으로 종교활동이 관리되면서 제주불교협회가 결성된다. 안봉려관은 제주불교포교당을 신설하여 제주불교협회 활동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안봉려관과 관음사의 노력은 제주불교협회 활동의 중심이 되었고 그 노력에 힘입어 1930년대에 이르러 관음사는 제주불교를 주도하게 되었다. 안봉려관과 관음사의 노력은 곧 제주불교 활동의 근간이 되었다. 관음사는 불교활동은 물론 불교활동과 관련 없이도 제주도민들이 이용할 정도로 사회에 인식되어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안봉려관은 관음사를 창건하였다는 것만으로의 가치가 아니라 근대 제주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운 인물로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제주불교사 더 나아가 제주도 역사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Annbongryogwan who has founded ‘Gwan Eum Temple’ in 1908 was incessantly oppress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ecause of his anti-Japanese movement as a Buddhist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y establishing ‘Gwan Eum Temple’ in 1908, he finally created sturdy basis of Jeju Buddhists’ major activities in 1930s. He finished his practice in ‘Daeheung Temple’ and became a Buddhist monk in 1907. Next year, he moved to Jeju-island. He met great master Woon, in other name Kim Seok Yoon. Annbongryogwan established ‘Gwan Eum Temple’ in virtue of Kim’s supports such as robe succession. Kim stayed in Yonghwa Temple for his practicein 1910, it enabled him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Yonghwa Temple’s Yeongbong and Andowal Yeongbong and Andowal helped to enshrine their statue and altar portrait of Buddha in GwanEum Temple. It paved the way for foundation of ‘Gwan Eum Temple’. In 1918, as Bup Jeong Temple’s anti-Japanese movement carried out, Gwan Eum Temple became under controll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ntil 1930s. Annbongryogwan had continuous efforts to resist Japanese imperialism and resolve repressions. In 1942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control religious activities as a part of culture repressing reign. Jeju Buddhist Association was founded against suppression. Annbongryogwan newly established Jeju Buddhist Mission which enabled setting up a base of their activities. Annbongryogwan and Gwan Eum Temple’s efforts led a main stream of activities. Being indebted to his effort, Gwan Eum Temple played a key role of Jeju Buddhism in 1930s. Gwan Eum Templ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nd opened to public. Whether related to Buddhism or not, Gwan Eum Temple offered places for public activities. To be focused on these point of view, Annbongryogwan’s contributions for foundation of GwanEum Temple and renovation of modern Buddhism should be noticed. He is a major figure who contributed to history of Jeju Buddhism moreover he is taking some part of history of Jeju-island.

      • KCI등재

        일제하 조선불교 청년운동의 양상과 조직 변경 -1928~1931년『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를 중심으로-

        신치호 ( Chi Ho Sh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7

        근대 불교의 최종 목표는 조선 불교의 정통성 및 자주성 회복이었다. 1930년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 불교계에서 민족적 성격을 띤 단체는 조선불교청년회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이다. 혁신계 청년 소장세력이 불교청년 운동의 통일기관으로서 조선불교청년회를 설립해 활동하였고, 조선불교청년회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불교청년회는 불교계혁신세력의 통일단체로서 30본산 제도와 주지들의 전권에 반항하면서 정-교 분리와 사찰령 폐지, 불합리한 법규의 개폐, 사회적?대중적 불교의 건설 등으로 대내외 투쟁을 주도하였다. 『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선불교청년회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으로 대표되는 이 시기의 조선불교 청년운동은 종단과 일제 통치기관, 언론사에 맞서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더욱이 조선불교 청년단체로서 국제행사에서 당당히 그 모습을 드러내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대내외에 과시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Korea`s modern Buddhism was to recover its orthodoxy and sovereignty.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l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synthesized the evolution of the Korea`s national Buddhism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Buddhism in 1930s. What attempt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ncluded the secularized Buddhism, the abolition of Sachalryeong(寺刹令), the revision of the unreasonable regulations of Jongheon(宗憲), Jonghoi(宗會), which earned them quite a popularity. According to the Filed Document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日帝京城地方法院編綴文書』), the Buddhist Youth Movement at the time, represented by the Joseon Buddhist Youth Association and the Joseon Buddhist Youth Un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s Buddhism by resisting the colonial rules from the governing political entities and media. Furthermore, the Korea`s Buddhism was clearly recogniz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en these representative Buddhist youth group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