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노다운,서윤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meaning-making in the interpretive community of young children in the context of reading metafiction picture books in the classroo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 five-year-old children from N Kindergarten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video recording, audio recording, researcher field notes,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In the research findings, during the process of reading metafiction picture books, children within the interpretive community shared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picture books. Ultimately, they deconstructed the picture books and creatively crafted new plots for the stories. The metafictional elements of the picture books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the interpretive community to read the books repeatedly. It also provided an experimental space enabling various inferences about the story of the picture books. Children actively engaged as participatory reader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metafictional picture book stories, thereby broadening the horizons of interpretation. The process of reading metafictional picture books within the interpretive community unfolded in a cycle, starting from encountering unfamiliar situations in the picture books, sharing diverse interpretations, refining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s, and gradually entering into the ambiguous narrative. This cycle continued as the participants collectively became co-authors within the interpretive commun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preschoolers' literary understanding of metafictional picture books.

      • KCI등재

        고려 무신집권기의 불서 간행과 불교계 동향

        박용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4 石堂論叢 Vol.- No.88

        본 연구는 무신집권기 불서 간행의 분석을 통해 불교계의 동향과 그 특징을 살핀 것이다. 최충헌 집권기(1196~1219년)의 간행 불서는 약 20건의 현전 자료가 확인된다. 이 가운데 화엄종의 『해동고승전』, 밀교 경전이나 다라니류 등을 제외하면 15건 이상이 선종 계통의 불서 간행이다. 화엄종은 개경의 영통사가 중심이 되었고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유가종은 침체되었고 금산사에서 1218년에 『범자대장』이 간행되었다. 선종계의 불서 간행은 1205년 이후 수선사계는 송대 신경향의 선종을 수용하여 선적을 간행하며 전통적인 구산선문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불교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사자산문과 법안종의 전통을 가진 법맥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왕사 지겸이 『종문원상집』을 간행하였다. 최충헌 집권기에는 교종계의 불서 간행은 일부이고 대부분 선종계 불서가 간행된 점으로 미루어 수선사를 중심으로 선종의 활동과 영향력이 확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최이 집권기(1219~1249년)의 간행 불서는 37건의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화엄종과 천태종이 8건, 유가종이 1건, 선종이 8건, 개인 간행이 11건이었다. 이 시기는 최충헌의 집권기에 수선사계의 선종 불서 간행이 주류를 이룬 것과 달리 대몽항전기이자 고려대장경을 조성하면서 불교계의 역량을 결집하는 가운데 화엄종을 중심으로 천태종, 선종 등 불교계 전반에서 불서 간행이 이루어졌다. 개인의 불서 간행은 최이와 정안이 관련된 간행이 9건으로 대장경 조조의 조직과 인력을 활용하였다. 최항-임유무 집권기(1249~1270년)의 간행 불서는 22건으로 화엄종이 6건, 선종이 12건으로 다수에 해당한다. 최항의 집권기에 들어 재조장의 조성이 완료되면서 대장도감 및 분사도감의 조직과 인원을 활용한 불서 간행이 증가한다. 화엄종은 수기를 중심으로 재조장을 조성하는 한편 천기는 균여의 저술을 찾아내어 고려 화엄종의 전통을 재현한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들은 의천계와 달리 고려 화엄의 전통을 재발견하였으며, 특히 선종에 대한 종파적 대항 의식도 찾을 수 있다. 천태종의 간행은 『법화전홍록』, 유가종의 간행은 『금광명경』 등 일부에 그쳐 종세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종은 분사도감을 통해 『선종유심결』 등 4종을 간행하여 종파적 전적을 유통하였다. 이 시기 수선사는 정권의 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불서를 간행하였고, 가지산문계는 『중편조동오위』를 간행하는 등 선종에서는 굴산문계 수선사와 가지산문계가 중심이 되어 불서를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기타 개인 발원 불서 간행도 다수 확인된다. 당시 집정 무신 최씨와 관련된 불서 간행이 다수이고, 분사도감의 운영에 참여한 정안의 불서 간행, 지방관이 집정자나 사원과의 관련을 통해 다양한 불서를 간행하였다. 특히 밀교 관련 불서 간행은 종파를 특정할 수 없고, 집정자의 수복 무강, 외침 종식, 국태민안을 발원하는 등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reign of the era of Goryeo military regime through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by the Gyo-jong and Seon-jong. During ChoeChung-heon's regime(1196-1219), approximately 20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only a small number of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by the Gyo-jong, and most of them were Buddhist books of the Seon-jong. This is assessed as the spread of the activities and influence of the Seon-jong, centered around Suseonsa. During Choi-yi's regime(1219-1249), 37 Buddhist texts were reviewed. Among these, 8 were from the Hwaeom-jong and Cheontae-jong, 1 from the Yuga-jong, 8 from the Seon-jong, and 11 were privately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in response to the Mongol invasion, the country gathered the capabil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to publish Tripitaka Koreana, and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throughout the Buddhist community. There were 9 individual publications of Buddhist books involving Choi-yi and Jeong-an, utilizing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of Tripitaka Koreana engraving. During the regime of Choi-hang and Im Yu-mu (1249-1270), 22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6 by the Hwaeom-jong and 12 by the Seon-jong. During the regime of Choi-hang, the engraving of Tripitaka Koreana was completed, and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using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of Bunsa-dogam increased. Hwaeom-jong’s Su-gi engraved the Tripitaka Koreana, and Cheongi discovered Gyun-yeo's writings and rediscovered the tradition of the Hwaeom-jong of Goryeo.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by the Cheontae-jong and the Yuga-jong is small, reflecting the trend. In the Seon-jong, Suseonsa continued to publish Buddhist books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Gajisanmun also published Buddhist texts. During the era of military regime, many Buddhist books proposed by individuals were published. At the time,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ruling military official, the Choi clan, and Jeong-an, who participated in the engraving of the Bunsa-dogam, published Buddhist books, and local officials published various Buddhist books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governors and temples.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cannot specify the sect, and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such as the longevity of the ruler, the end of invasions, and the petition for national peace.

      • KCI등재

        독서지형도의 형성과 청각공동체의 구성 - <책읽아웃>을 중심으로

        안상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targeted <Book Reading Out>, a program by channel YES, run by a large Internet bookstore “YES24.”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dult readers no longer seem as interested in liberal arts essential books used unilaterally in middle-school, high-school, and university classrooms. Those who freely choose various book-related programs in the form of services are now referred to as subscribers. This study reviewed the reading topography of the subscribers of <Book Reading Ou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y community they form. Chapter 2 examines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authority of exis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by the host of the book program. Most of the hosts are book-related experts with published books to their name; however, instead of advocating their authority, they introduce their favorite books those they consider compelling and create an aura around intimacy by unraveling the author and the host’s own life experiences. Chapters 3 and 4 revealed that <Book Reading Out> appeals to learning-oriented female readers and is building a community that inculcates empathy-knowledge and self-development-care. The hosts mentioned that although they knew a new world and induced others to recognize the subsciber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heterogeneity could weaken in that they repeated empathy, the hosts took a conservative and elite-centered approach to self-development and care, simplifying the level of women’s labor. The limitations are the fact that the positivity of the discussion has not been supplemented by statistics and that related activities have not been reviewed further; however, this will be supplemented with follow-up studies 이 연구는 대형 인터넷 서점 YES24에서 운영하는 채널YES의 오디오 북클립 프로그램 <책읽아웃>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디지털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성인독자들은 중고등학교 교실이나 대학 강의실에서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교양필수도서를 더이상 만나지 않는다. 다양한 도서 관련 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는이들은 이제 구독자라는 명칭을 얻었다. 이 글은 <책읽아웃>의 구독자들이 어떤 독서지형도를 그리며, 그들이 형성하는 청각공동체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도서 프로그램의 진행자가 기존 교육기관의 권위를 대체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진행자들은 대부분 책을 출판한 도서관련 전문가들이지만 그 권위를 내세우는 대신, 자신들이 좋아하는 책이나 관심을 기울이게 된 책들을 소개하고 저자와진행자 자신의 삶의 경험을 이야기로 풀어내면서 친밀감을 중심으로 아우라를 형성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책읽아웃>이 일하는, 학습지향적인 여성독자들에게 어필하며공감-앎의 공동체이자 자기계발-돌봄의 공동체를 구축하고 있음을 밝혔다. 새로운세계를 알고 타인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게 유도했으나 공감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이질성이 약화될 수 있음을, 자기계발과 돌봄을 다루면서 다분히 보수적이고 엘리트 중심으로 접근하여 여성노동의 층위가 단순해졌음을 언급했다. 논의의 실증성이 통계로 보완되지 못했던 점, 관련 활동을 좀 더 검토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꼽으며이를 후속 연구로 보완코자 한다.

      • KCI등재

        국내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선정책에 관한 연구

        윤정옥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ocument the current state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campaign (Hereafter called ‘One Book’ reading campaign), launched in 2003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books. For this research, the homepages, news and reports of a total of 1,170 public libraries and their local government, and several major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reading and culture were analyzed with th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Also, online catalog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729 titles and 1,179 volumes of books selected in 57 ‘One Book’ programs, as of 2021. The analysis of 57 ‘One Book’ programs and those selected books shows the selection of more than one books in different age groups in more and more ‘One Book’ programs, lack of consistency in themes of those selected books, and preference for young adult books, new publications and bestselling novels. This trend has weakened individual ‘One Book’ programs’ concentration on one book or one subject, but helped invite a diverse group of people with various interests. More in-depth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book selection and its appropriateness with the stated goals of ‘One Book’ programs are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현황을 정리하고, 특별히 책의 선정과 관련된 경향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1,170개 공공도서관 및 지자체의 홈페이지, 주요한 독서 및 문화관련 기관, 단체의 홈페이지, 지자체와 도서관의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등을 내용분석 및 문헌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립어린이청소년 도서관의 온라인목록을 검색하여, 2021년 기준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 및 그동안 ‘한 책’ 프로그램들에서 선정된 책 729종 1,119권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과 이들이 2003년부터 2021년 사이 선정한 책들의 분석은 점점 더 많은 ‘한 책’ 프로그램에서 연령별 책의 분산 선정, 책들 간 주제적 연관성 결여, 청소년수준 책, 신간 및 대중적 화제작 문학책의 선호 등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책의 선정 경향은 한 권의 책을 중심으로 한 집중성 결여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연령층의 지역주민에 대한 가시성 증대 및 관심계층의 확산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었다. 향후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책 선정의 과정, 목표와의 부합성 등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The Big Read’ 독서 이니셔티브 10년과 선정 책의 분석

        윤정옥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oks selected for ‘The Big Read’ community reading initiative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from 2006 to 2017 and its relation with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A. An analysis of 1,407 TBR programs and 745 participating communities, and 56 books from TBR Library shows that TBR expands and complements ‘One Book’ reading campaigns, and confirms the sustenance of this innovative model. TBR Libray books were selected with TBR’s own criteria, but their features are generally very similar to those of 1,102 books selected for ‘One Book’ programs. They often reflect some interests in such universal values as coming of age, justice, integrity, etc. and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and life. The outcomes of ‘One Book’ and TBR cannot be qualitatively measured, but their sustainable value of communication through one selected book has been well proved.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미국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가 지원하는 ‘The Big Read(TBR)’ 지역사회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특성 및 ‘One Book’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2017년 12월 현재 NEA의 TBR에 참여한 1,407개 프로그램과 745개 지역사회, TBR Library 선정 책 56권을 분석한 결과는 TBR은 ‘One Book’ 독서운동을 확장 및 보완하고 있으며, 이 독서운동 모형의 지속가능성을 확증하였다. TBR은 책 선정에서 독자적 지향점을 갖지만, 주제적 특성은 ‘One Book’ 책 1,102권의 축소판과 같은 유사성을 가진다. 성장, 정의, 관용과 같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 및 미국 내 다양한 민족과 문화 경험과 삶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One Book’과 TBR의 가시적 성과는 계량하기 어려우나, 한 권의 책을 통한 소통의 가치는 지속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생애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장노현 ( Now Hyun Jang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4

        I intended to discuss the need for community storytelling. The objective of community storytelling is to build up and strengthen local culture community. This community storytelling can help local residents discover their common concern and value and solve the problems which the local community is facing. To perform and enjoy of community storytelling, storyteller needs lots of story resource. Life history could be a good story resource for community storytelling. That is more adequate to community storytelling than tale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or information of the local history. The project of Story Books by Seongnam Culture Foundation was planned to collect and organize life history which was dictated by local residents. Five volumes of Story Book are published through the project. Those can help local residents write down and restore their passing life. However Publishing Story Book is not sufficient to spread enjoying community storytelling. Story community is needed to help local people perform of storytelling in everyday life. There could be two different forms of story communities. One is face to face community, and the other is on-line community. People in story community discover story resource, make seed stories, and share and spread it. By doing so, local culture community could be built up and strengthened. Moreover it can bring side effect of literature expansion.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박은주,박선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ropriat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for infants through collaborativ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infants’ responses to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3 times a week for 8 weeks (24 sessions in total) from March 25 to May 16, 2019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G district in S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ree infant teachers and 15 infants under their ca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udio recordings, transcripts, observation records, and reflective journals. Data analysis was based on seventy-four A4-size pages of transcripts, 4,800 minutes of audio recordings, online discussion materials,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field observation records. Transcripts for each session were reviewed on the day so that the meaning of their content was clearly underst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for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with infants, the teachers had the preconception that wordless picture books were an unfamiliar medium and had mixed feelings of concern and anticipation. However,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ble to grow as interactive communicators instead of being a conveyer or transmitter throu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They were finally able to discover the pleasure of freedom offered by wordless picture books from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Second, as for the infants’ responses to the teachers’ guidance with wordless picture books, they became more fluent in naming things as the teachers paid attention to their verbal responses. They also showed responses such as self-centered naming or representation through body movements when assimilated to the content of the book. In addition, the infants and the teachers were able to create new stories based on the teachers’ attentive listening and expan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s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expertise i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wordless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infants, an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on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 읽기를 통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영아의 반응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 없는 그림책 8권을 선정하고, 선행연구들로부터 추출해낸 교수전략을 토대로 S시, A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의 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각자 5명씩, 총 15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읽어주며 나타난 반응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글 없는 그림책 읽기는 낯선 매체에 대한 걱정과 기대감으로 시작하였으나 교사는 학습공동체 경험을 통해 이전의 그림책 읽기 방법에 대해 자기반성을 하며 글 없는 그림책에 친숙해졌다. 즉, 공유가 주는 자기반성을 통해 교사들은 단순한 전달자가 아닌 상호작용자로, 질문이 아닌 귀기울임의 접근으로 변화해 갔고, 틀린 반응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며 마침내 글 없는 그림책이 주는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찾아내며 친숙해지게 되었다. 교사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영아의 반응으로는 첫째, 그림을 단어로 명명하기, 그림의 자기중심적 명명하기, 그림에 동화되어 신체적 표상하기, 교사의 경청과 확장으로 ‘함께’ 이야기 만들어 가기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새로운 매체 활용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학습공동체가 교육실천에서 나아갈 방향의 참조점을 찾게 해주는 중요한 지지가 됨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사례연구(3) - One City One Book: San Francisco Reads -

        윤정옥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3

        이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공공도서관이 주관하는 ‘One Book’ 지역사회 독서운동인 ‘One City One Book: San Francisco Reads’ (이하 OCOB라 부름)의 사례연구로 진행하며, 2005년부터 2024년까지 추진한 목표, 선정 책들의 특성 및 주요 행사와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OCOB는 전도시를 북클럽으로 만들어 독서와 토론을 촉진하는 전형적 ‘One Book’의 목표를 지향하면서, 샌프란시스코의 도시 정체성을 중심으로 문화적 및 인종적 다양성을 반영한 책들을 선정하였다. 시민들은 적극적 프로그램 참여 및 선정 책 대출 증대 등으로 반응하였다. OCOB는 다양성의 이해 및 지역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지속성, 일관성, 자율성 및 독립성을 보여주며, SFPL의 ‘비전 2030’을 위한 ‘문화적 확장자’ 및 ‘커뮤니티 촉매자’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에도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One City One Book: San Francisco Reads’ (Hereafter OCOB), which is an ‘One Book’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sponsored by San Francisco Public Library in California. In this research, the objective of OCOB as ‘One Book’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books, and major programs and events from 2005 to 2024 were examined. OCOB, while sharing a typical objective of ‘One Book’ campaign, which pursues to form a city-wide book club and promote reading and talking about ‘One Book’ among citizens, selected books which reflected cultural and ethnic diversities of San Francisco and its civic identity. San Franciscans reacted to the efforts of OCOB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programs and events and borrowing the selected books. For the past 20 years, OCOB has demonstrated the continuity, consistency,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as a ‘One Book’ program, which pursues to better understand diversities and integrate communities, and is expected to continue as an important initiative, which is a strategic part of ‘Cultural Amplifier’ and ‘Community Catalyzer’ for ‘Vision 2030’ of SFPL.

      • KCI등재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선정 책의 현황 분석

        윤정옥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wide reading campaig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selected during the past fifteen years. According to the list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Promotions Projects’ available from the website of the Library of Congress, the Center for the Books, a total of 1,037 books were selected by 2,220 ‘One Book’ program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278 books(26.8%) and 759 books(73.2%) were selected by more than two ‘One Book’ programs and one program, respectively; Second, three most popular books were To Kill a Mockingbird(chosen in 84 programs), Fahrenheit 451(in 53 programs), and The Kite Runner(in 50 programs); Third, with the wide diffusion of ‘One Book’ campaigns, the selection of unique books by individual ‘One Book’ programs has increased, and the impact of the books selected by ‘Seattle Reads’ and ‘One Book, One Chicago’ has gradually decreased.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계량적 특성에 나타난 성장과 변화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이다. 1998년부터 2013년 6월까지 15년간 미국의회도서관 도서센터 웹사이트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에 등록된 2,220개 프로그램 선정 책 1,037종을 중심으로 연도별 선정 분포와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다. 선정 책들의 연도별 프로그램 분포, 선호된 책의 연도별 추이,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같은 선도적 ‘한 책’ 프로젝트들이 책 선정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발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37종 중 2개 이상 ‘한 책’ 프로그램 선정 책은 278종(26.8%)이며, 단 1개 프로그램 선정 책은 759종(73.2%)이다; 둘째, 최다 선정 책은 To Kill a Mockingbird(84개 프로그램), Fahrenheit 451(53개), The Kite Runner(50개)로 나타났다; 셋째, ‘한 책’ 독서운동의 확산에 따라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독자적 책 선정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넷째,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선정 책들의 영향은 점차 축소하는 경향이다.

      • KCI등재

        ‘한 권의 책’으로서 『화씨 451』에 관한 연구

        윤정옥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Fahrenheit 451 by Ray Bradbury as the second most favored ‘One Book’, and the goals of the communities which selected this particular book. A total of 53 ‘One Book’ programs from 2001 through 2014 and 136 TBR programs from 2007 through 2015 selected this book as ‘One Book’ to read. In this study, 270 programs in TBR 2008/09, and more than 240 programs in TBR 2014/15 and several ‘One Book’ proj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confirm the significance of book discussions and movie showing, the focus on such subjects as censorship, banned books, and freedom of expression, etc., a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y of programs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y members.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과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The Big Read(TBR)’에서 Ray Bradbury의 『화씨 451』이 보여주는 ‘한 권의 책’으로서의 가치, 이 책을 선정한 지역사회들의 지향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은 2001년-2014년 53개 ‘한 책’ 프로젝트 및 2007년-2015년 136개 TBR 지역사회가 택함으로써, 역대 두 번째로 많이 읽을거리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책을 최초 선정한 ‘One Book, One City L.A.’ 등 주요한 ‘한 책’ 프로젝트들 및 TBR 2008/09의 270개 프로그램과 TBR 2014/15의 240여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들에서는 독서토론과 영화 상영의 중요성, 검열, 금서, 표현의 자유 등 주제에 대한 관심, 지역사회 구성원의 협력과 프로그램 다양성 간 긴밀한 상관관계 등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