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주 복암리 목간 출토의 고고학적 의의

        김혜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In 2008, the oldest wooden tablets, in the Baekje area, were uncovered from the Bogam-ri site in Naju. This paper defines wooden tablets to as objects with inking inscriptions. Of 65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excavation report of this site,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13 tablets with inscriptions written in ink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tablets found in the Baekje area. All tablets were unearthed from Pit Feature No. 1, a large-scale feature, at this site. Vertical stratigraphy of the feature is divided into 43 layers; but it seems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chronological order, since unearthed artefacts, including wooden tablets, pottery, and roof tiles, turned out to be produced at the same age. Wooden tablets were not found in other features, and intentionally buried in this featur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den tablets indicate that the pit was the secondary refuse place. The in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labeled ‘gyeongonyeon(庚午年)’ and the radiocarbon dates of them indicate that these tablets were created in the early 7th century AD, centered in 610 AD. On the basis of contents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se are classified into six documents, six tags, and one tablet for other purpose. Total 89 pieces of wooden tablets have been unearthed in the Baekje area. Except tablets found in Naju and Geumsan, all have been collected in palaces, royal gardens, and templ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abi Capital. The significant wooden tablets of Baekje, which can be compared with tablets from Bogam-ri, were unearthed at from the Gwanbuk-ri site, the Gungnamji site, and the Ssangbuk-ri 280-5 site. Comparative studies on wooden tablets have revealed that the place name during the Wungjin Commandery Period, the status marking method standardized in the order of place name, official rank and person's name, the fact that Baekje operated the system of prefecture(郡), and Bogam-ri was one of the places where prefecture was established, and the evidence of family register system. Wooden tablets at Bogam-ri record the documented date (610 AD), the documented place (Duhilseong where the prefecture established), and the writers (advisors and staffs of the prefecture). The recorded contents of them are invaluable data showing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of Baekje, such as the status marking method, the means of description, the family-register system, and the land surveying system. 2008년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백제지방 최초로 목간이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목간을 묵서가 있는 목제품으로 정의하고 복암리유적 발굴보고서에 수록된 목간 65점 중 묵서가 확인된 13점을 대상으로 백제 목간 출토현황과 비교하여 복암리 목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복암리 출토 목간은 모두 대형의 1호수혈에서 일괄 출토되었다. 수혈 내부 토층은 모두 43개의 층으로 세분되나 출토된 목간을비롯한 다수의 목제품, 토기, 기와 등 유물의 시기적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목간은 다른 유구에서는 출토되지 않았으며 수혈에 일부러폐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목간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2차 폐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간지명 묵서 ‘경오년(庚午年)’이 확인된 목간과 C14 연대측정 결과 등을 토대로 610년을 중심연대로 7세기 초반으로편년된다. 출토된 13점의 목간을 묵서 내용과 형태적 특징을 토대로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문서목간 6점, 부찰목간 6점, 기타목간 1점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목간은 총 89점으로 출토 지역은 나주와 금산을 제외하면 모두 부여에서 출토되었고, 사비도성 안팎의왕궁지, 궁원지, 사찰 등으로 다양하다. 복암리 목간과 비교되는 주요 백제 목간으로는 관북리 목간, 궁남지 목간, 쌍북리 280-5번지목간 등이다. 이들 목간과의 비교를 통해 웅진도독부 시절의 지명에 대한 검토, 지명+관등+인명 순으로 정형화된 신분표시 방식, 백제에서 군제가 실시되었고 복암리는 군이 설치된 지역이었다는 단서, 정중제 실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작성시기(610년), 작성지(군이 설치된 두힐성), 작성주체(군좌, 지방관 등)가 확실하며 기록된 내용은 백제 목간의표준화된 신분표시 방식, 서사방식, 정중제와 양전제의 실시 등 백제 지방사회의 지배에 대한 일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자료라할 수 있다

      • KCI등재

        나주(羅州) 복암리(伏岩里) 출토 목간으로 본 사비시대 두힐(豆?)

        김근영 ( Kim Geun-young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8

        본고에서는 복암리유적에서 출토된 5점의 목간을 통해 현재 다시면 일원인 사비시대 豆?을 살펴보았다. 복암리목간은 <목간 11>의 `庚午年`이라는 묵서를 통해 7세기 무렵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사공간이 넓은 목간이 주로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문서행정에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검토 대상인 5점의 목간(목간1, 3, 4, 10, 12)에서는 得安城, 半那, 毛羅, 前巷 등의 지명과 奈率, 德率, ?率 등 관등명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豆?과 주변지역과의 연계가 있었으며, 지방 지배에 관련된 관료층이 머물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암리 유적은 목간과 함께 발견된 `豆?舍`銘 장군과 `官內用`銘 壺를 통해 官의 성격을 가진 豆?舍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었다. 豆?舍는 목간에서 郡과 관련된 묵서 군장의 관등 덕솔 등으로 보아 郡의 관청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豆?舍에서는 郡으로써 쌀을 걷어 관리하고, 도망한 出背者를 추포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반남면 일대인 半那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郡의 治所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7세기에 보이는 豆?의 위상은 5세기 중·후반 무렵부터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 일대에 정촌고분, 복암리 3호분 `96석실이 조영되며 복암리를 중심으로 다시면은 부상되었다. 이는 지리적으로 영산강에 인접하며, 교역에 유리한 위치라는 내부적 원동력에서 비록되었다. 더불어 백제의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점은 삼포천 일대의 반남 세력을 능가하는 세력으로 자리잡는데 영향을 미쳤다. 나주 다시면 일원은 사비기 方郡城 체제 아래 豆?郡으로 편성되며 水川, 實於山, 半奈夫里를 영속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Duhil(豆?) during the Sabi period, which is the Dasi-myeon(多侍面) area now through five pieces of wooden tablets excavated in the Bogam-ri site. From the wooden tablets, in Wooden Tablet No. 11, an ink writing of `Year of Gyeongoh(庚午)` was found, so it was noted that the Bogam-ri wooden tablets reflect the situations of the 7th century. In addition, in that wooden tablets with a wide space for writing were excavated, it was assumed that they had been mainly used for document administration. In the examined five pieces of wooden tablets (Wooden Tablets No. 1, 3, 4, 10 and 12), place names such as Deukanseong(得安城), Banna(半那), Mora(毛羅) and Jeonhang(前巷) and official names such as Nasol(奈率), Deoksol(德率) and Hansol(?率) were found.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Duhil had an associa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s and that bureaucratic class related to regional ruling stayed there. Through a tin with an inscription of `Duhilsa(豆?舍)` and an urn with an inscription of `For official use` found with wooden tablets,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Duhilsa with the character of an official. It was assumed that Duhilsa was a government office, judging from the facts that ink writing related to Gun(郡, district) was found and that official ranks of the chief of Gun like Deoksol were found.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Duhil was a Gun, which had roles of collecting and managing rice and arresting fugitives who were running away. Along with this, this affected Banna, which is Bannam-myeon(潘南面) area, too,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a ruling place of Gun. The status of Duhil in the 7th century became noticeable around the mid to late 5th century. As Stone Tomb No. 96, Bogam-ri Tomb No. 3, Jeongchon Tomb were built in this area, Dasi-myeon came to the fore centering around Bogam-ri. This was caused by the internal driving forces including its geographical adjacency to the Yeongsan River and its location advantageous for trade. Along with this, the fact that it was active for Baekje`s advancement affected its settlement as a force with a power exceeding the Bannam force around the Sampo-cheon River. This made Sucheon(水川), Silleosan(實於山) and Banna settled as this was organized as Duhil-gun under the Bang-Gun-Seong system(方郡城體制) during the Sabi period.

      • KCI등재

        삼국시대 나주와 영산강 유역 세력의 동향

        정재윤 ( Jae Yun Chu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본고의 목적은 삼국시대 나주를 중심으로 영산강 유역 세력의 동향을 살피는데 있다. 그 결과 백제의 남정 이후 영산강 유역 세력이 대두되며, 특히 나주 지역에는 적어도 군 이상의 관청이 설치될 정도로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 진출 이전에 전남 일대는 가야, 왜로 이르는 교역로가 중시되어 서남해안 일대에 위치한 신운신국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중국 군현의 교역로가 붕괴됨에 따라 영산강 하류 지역과 밀접한 신미국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산강유역 일대를 통합하면서 교역을 주도할 수 있는 위치였기 때문이다. 백제 근초고왕의 남정 이후에는 백제 중심의 교역로로 재편되면서 영산강 하류 지역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영산강 유역 세력의 성장과 이들을 통한 백제의 지배 정책이 서로 부합된 것이다. 영산강 유역에서는 처음 초입에 해당하는 영암 지역이 부상하였다. 이어 영산강 상류와 연결되는 나주 지역이 중시되면서 반남 지역으로 중심권이 이동하였다. 다만 반남은 삼포천 중심의 영암과 나주 지역의 통합에 불과하였다. 이에 영산강 본류 지역인 복암리 일대가 점차 부상하면서 영산강 유역 전체를 통괄하기 시작하였다. 백제 또한 복암리 세력을 통해 영산강 일대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 지원하였다. 이처럼 복암리 세력은 영산강 유역권의 성장과 통합, 그리고 백제의 필요에 의해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비시기인 7세기 초반 복암리 지역의 위상은 이곳에서 출토된 목간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 백제시대 두힐이라 불린 복암리 지역은 반나와 군나를 관할하는 군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두힐은 백제 때현 단위가 관아가 있었던 기록도 있고, 웅진도독부 시절에는 대방주의 치소였다. 이를 통해 州治와 郡治, 縣治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이동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사비시기 복암리 지역은 최소한 군치가 확인되는 위상이 높은 곳이었으며, 백제의 영산강 유역 지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end of forces located at Yeongsan river basin around Najoo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t can be found that as the forces at Yeongsan river became influential after the southern conquest of Baekje, Najoo areas were emphasized enough to establish a government office, at least above an gun(郡) level in them. Before Baekje advanced, the whole place of Jeonnam gave an emphasis on some trade routes, so Sinunsinguk located at the coast of the southwest was a center in it. Then, Sinmiguk which was close to the downstream of Yeongsang river became stronger. After the southern conquest by Guenchogo-king, as the trade routes were rearranged around Baekje, the hegemony for the downstream of Yeongsan river was acquired by it. In the basin of Yeongsan river, as the Yeong-am, the entrance of the river became prominent and the Najoo area which was gradually connected with the upstream was emphasized, the center shifted to the Bannam area. Next, as the whole place of Bogam-ri, the mainstream of Yeongsan river was gradually developed, entire basin of the river began to be governed by it. Baekje also actively supported the Bogam-ri forces, because it could indirectly dominate the whole place of Yeongsan river through them. The status of Bogam-ri called Duhil at the early 7th century, the period of Sabi can be found through some wood tablets excavated in the area. They are analyzed to find that Ban-na and Gun-na fell under the jurisdiction of an army established in the Bogam-ri area. Thus, it can found that the status of Bogam-ri area in the period of Sabi was high in that at least the control by army is verified in it, and that Baekje was closely related with dominance for the basin of Yeongsan river.

      • KCI등재후보

        나주 복암리 구석기유적 고토양층 생성과정과 문화층의 의미 연구

        이헌종,정철환,심영섭,장대훈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9 島嶼文化 Vol.0 No.33

        The late Paleolithic flakes and cobble tools were discovered from the Upper Pleistocene in Bogam-ri Site, Naju. These stone tools seem to correspond approximately to 12,000-15,000 yr BP. For a detailed process of the archaeological site, radiocarbon dating(AMS), OSL dating and grain size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laeosol of Bogam-ri Site ranges from 74,700±6,800 yr BP to 12,840±110 yr BP in age. Grain size analysis shows that the palaeosol consists of diverse size of grains including sand, silt and clay. Based on vertical variation of grain size, sorting and roundness of grains, the interval lower than 3 m in depth is considered to have been deposited in floodplain with intermittent influence of alluvial fan. The interval between 3 and 2 m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oxbow lake or cutoff channel. The uppermost 2 m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in swamp along with influence of periodic flood supplying fine sediments.

      • KCI등재

        나주 정촌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과 특징

        윤지현,한우림,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나주 정촌 고분군 1호 석실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편 19점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관찰과 화학 조성 분석을 통해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 이를 기초로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과 비교함으로써 마한·백제권 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촌 고분군의 유리구슬은 감청색, 옅은 감청색, 벽색, 녹색, 감청색과 자색의 혼합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늘인 기법과 주조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복암리 3호분도 청색 계 위주로 두 고분군에서는 모두 적색계 유리가 출토되지 않았다.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에서 정촌 고분군과 복암리 고분군에서는 공통적으로 소다유리군과 포타쉬유리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밖에 정촌 고분군에서는 알칼리혼합유리 군, 복암리 고분군에서는 납바륨유리군이 확인되었다. 두 고분군의 유리 문화를 살펴보면 나주 정촌 고분군에 비하여 복암리 3호분이 색상별로 다양한 유형의 특성을 지녔다. This study revealed the mater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19 glass fragments excavated from stone chamber No. 1 of Jeongchon Tomb in Naju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and observations.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fragments excavated from No. 3 tomb of Bogam-ri in Na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glass of the Mahan-Baekje period. The glass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Jeongchon Tombs can be classified into purplish blue, light-purplish blue, greenish blue, green, and mixture of purple blue and purple, based on their color. These beads were made using a drawn and casting technique. In addition, blue glass fragments were primarily excavated form No. 3 tomb of Bogam-ri. However, red glass fragments were not excavated from either of the tombs. According to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soda glass group and potash glass group were common in both the tombs. Additionally, alkali mixed glass group and lead barium glass group were excavated from Jeongchon Tombs and No. 3 tomb of Bogam-ri, respectively. The glass fragments excavated from No. 3 tomb of Bogam-ri have more color variations than those excavated from Jeongchon Tombs.

      • KCI등재

        羅州 伏岩里 出土 百濟木簡의 判讀과 用途 分析 -7세기 초 백제의 지방지배와 관련하여-

        윤선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丁’,‘中’, ‘小’ and ‘兄’, ‘婦’, ‘妹’.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Register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ablet no.5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the cow, and the land to cultivate of a household. Baekje Household Register was composed of that many factors. Tablet no.3, no.4, no.10, and no.12 are important. The administration-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those. The people of ‘半那’ and ‘軍那’ under the control of ‘豆肹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hose tablet.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그리고 ‘郡-城’의 행정체계에 관한 매우 획기적인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어,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복암리 목간에 대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암리 <목간11>에 기록된 ‘庚午年’은 610년으로 추정되며, 내용상 호구파악이나 군-성의 행정 관련 문서목간들이 대부분이어서, 복암리 목간은 7세기 초에 백제 지방관부가 작성한 목간으로 이해된다. 둘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戶籍’과 기층사회의 존재양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2>와 <목간5>를 통해 백제 戶籍의 서식도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의 戶는 복합세대로 구성되었고, 세대별로 독립기술되었다. 그 각각에 中口, 小口 등 그 예하 子女가 남녀 구별 없이 나이순으로 기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는 현존하는 西魏의 大統 13년(A.D.547) 戶籍이나 日本의 西海道戶籍(A.D.702)과 서식이 매우 유사하다. 결국 西魏 계열의 서해도호적기재양식은 7세기말 망명한 백제계 지식인들에 의해 고대일본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郡-城 지방행정체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4>의 ‘郡佐’나 <목간10>의 ‘郡得分’처럼, 복암리 목간에는 백제의 ‘군-성’ 행정과 관련된 목간이 여러 개 확인된다. 또 ‘軍那’가 기록된 荷札과‘半那人’들의 역역편성 관련 문서목간 등이 확인되고 있어, 목간이 출토된 복암리 지역, 즉 豆肹城이 7세기 초 당시 군나, 반나 등을 예하에 거느린 郡置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복암리 목간을 전후한 시기 영산강 유역 지역권력의 변화과정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유역은 반남고분군으로 상징되듯이 전통적으로 ‘半那’가 지역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백제는 6세기 이후 영산강유역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반나의 기존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현재 다시면 복암리 일대인 ‘豆肹’ 지역의 세력을 후원하였다. 복암리고분군은 이를 상징한다. 이후 백제의 중앙집권제 하에서 豆肹城은 郡으로써 영산강 유역의 半那, 軍那, 布賢(發羅) 등의 각 城을 관할하였다. 이러한 郡-城의 행정관계는 唐이 帶方州를 설치하였던 도독부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키고 영산강 유역의 기존 권력구조를 약화시키기 위해, 백제 때 눌려 지냈던 반나 지역을 군으로 승격하고, 두힐은 현으로 강등하여 발라군의 예하로 편성하였다. 이때 두힐이 기존에 관할하던 군나도 분리하여 무안군으로 소속시켰다. 이를 통해 백제 때 두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권력구조는 신라에 의해 완벽히해체되었다.

      • KCI등재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단조박편의 미세조직을 통한 단야 공정 기술체계 연구

        송정일 ( Jung Ii Song ),우기도 ( Kee Do Woo ) 대한금속재료학회 ( 구 대한금속학회 ) 201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0 No.8

        The microstructure of a hammer scale excavated from the Bogam-ri was examined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iron technologies applied in the manufacturing of an iron forging process technology. The microstructures of oxide layer in the hammer scale were found to have crucial information about the ancient iron forging process treatment. The microstructure observed in the hammer scale can be distinguished by the forging process. First, the microstructure of the oxide layer in the hammer scale created by the forging process is Wstite (FeO) in the form of leaves. Latterly, the microstructure of the Wustite (FeO) in the hammer scale is observed to be in the form of a flat shape formed by a repeating forging process.

      • KCI등재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금동관의 원형과 의미

        이건용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3

        This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of the gilt-bronze ornamental pieces unearthed fromthe east part of the third wooden coffin in the Naju Bogam-ri Jeongchon (NBJ) tombs. The gilt-bronze ornamentalpieces were all small, measuring less than 3cm in size and about 0.2cm in thickness, and only 19 or more small pieceswere identified. In each piece of gilt decoration, a circular perforation, convex pattern, leaf-shaped spangle (瓔珞), 2 small holesfor attaching spangles and gilt-bronze thread, 2 small holes for unknown purposes, and a continuous dot pattern ofabout 0.05 cm can be observed.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gilt-bronze pieces excavated from the NBJ No. 1 chamber were part ofthe Headband Crown . Therefore, type 1 and type 3 of the gilt-bronze pieces were determined to be part of theHeadband , and type 2 to be part of the Vertical Ornaments. Based on previous results, two types of restorationwere proposed for NBJ No. 1 tomb gilt-bronze ornaments. In the first restoration proposal, there are wave-shaped dot patterns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crown, andthe middle decoration is a spangle, circular perforation and spangle and a convex-pattern. In the second restorationplan, one row of convex patterns was added among the decorations in the middle of the first. The same type of vertical ornament was found in the Sochang (小倉) collection crown, but the overall structureand shape of the crown were completely different.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small holes of unknown use, asseen in the crown, was presumed to represent holes for fixing to a cap of organic matter. The restored NBJ No. 1 tomb gilt-bronze crown is characterized by circular punch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find an analogy in the other Three Kingdoms-period crowns. Unlike the existing halls in Gaya, Mahan, and Baekje,each district has a unique shape and decoration.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NBJ No. 1 tomb is thought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 KCI등재

        나주(羅州) 복암리(伏岩里) 출토 목간(木簡)연구의 쟁점과 과제

        김창석 ( Chang Seok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0 No.45

        나주 복암리 목간은 610년 무렵에 작성된 백제의 유물이다. 백제의 都城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생산되고 소비된 목간으로서 그간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으므로, 지금까지 밝혀진 부분과 앞으로 해명해야 할 연구 과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목간 2는 판독에 어려움이 있으나 正丁, 婦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목간은 친족관계 호칭과 연령등급이 나오므로 백제 지방사회의 친족 구성을 살필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이다. 戶籍類를 작성하는 방식과 절차도 이를 통해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목간 1은 판독에 큰 이견이 없다. 出背者의 실체와 그들을 감독·포획한 監이 어느 관부 소속인지가 밝혀져야 한다. 목간 3은 앞면과 뒷면의 기록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서 복암리 지역의 행정체계와 인력 동원방식을 고찰할 수 있다. 某毛羅와 前巷의 위치, 낮은 관등을 먼저 쓴 이유도 밝혀져야 한다. 목간 4는 완형으로 발견된 최대의 목간이라는 점, 몇 글자의 판독에 대한 이견 때문에 용도와 내용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백제의 基準尺이 얼마였고, 이것이 지방의 문서행정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규명되어야 한다. 뒷면의 내용 파악도 미진한 상태이다. 목간 5 역시 앞·뒷면의 관련성 파악이 내용 이해에서 관건이 된다. 뒷면의 ``在``자가 분명하다면 이 목간은 豆?城 휘하의 촌락에서 인력과 축력을 동원하여 어떤 토지를 경작한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이 목간에서는 밭에서 어떤 작물을 재배했는지, 形의 면적이 어느 정도인지가 앞으로 밝혀야 할 과제이다.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in 610 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that material.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and subjects of the former researches. Even though tablet 2 has a few vague letters,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正丁" and "婦".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kinship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t view on the reading of tablet 1. It should be brightened what the "出背者" are and which office "監"s controlling and supervising them are belong to. For tablet 3, the relation of front face and its back is important. The administral 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it. The location of "某毛羅" "前巷" and the reason the lower grades are, the forer they written are cleared, al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ablet 4 which is the longest one among those discovered so far and various opinions of reading on several letters.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much long the standard scale was and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Even if there are many confusing factors in tablet 5, it can be told that this one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and a cow of the village under the control of "豆?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on the land to cultivate some crops, on the condition that character ``在`` is sure. And the subjects of this tablet are which crops were raised in this farm and how much "形" was wide in Baekje society.

      • KCI등재

        영산강 유역의 古墳 祭祀와 그 변화 -나주 복암리 3호분을 중심으로-

        박중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7 No.-

        Excavated votive potteries of the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shows a continued tendency of the decreasing usage of bowls[wan] and increased use of certain pottery types such as shallow mugs with cover, small wide mouth jars with hole[yugongkwanggusoho], and bottles. The increased use of such ceremonial potteries that were not practical for daily use indicates that the actual amount of the votive food for the burial ceremony was reduced. Instead, the symbolism of it became more important. Bogam-ri Tomb No.3 also demonstrates the changes of the ritual spaces. Jar coffins[Ongkwan] were put into a new type of burial structure, namely, stone chambers. Consequently, the offering tradition of the jar coffin custom, where the offerings were put inside and outside of the coffin, was adjusted into a new one, in which the offerings were placed outside of the coffin. Moreover, from each buri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five different phases of spatial separation of the ceremony of offering burial goods and offering of the burial food. In the Stone Chamber 96, the food offering and burial goods offering ceremonies were done within the chamber together. However, the stone chambers of the later period demonstrate that the burial goods were put inside the stone chamber with the coffin and the food offering ceremony was done outside the chamber in the passageway. Such custom becomes a norm of the later period. Compared to the examples from Japan, the changes of Bogam-ri Tomb No.3 have a distinctive character that the offering ceremony inside the chamber and in the passage were clearly differentiated. In the later period, it is visible that the food offering ceremony was only taken place within the passageways outside the burial chamber. The burial goods used in rituals of the tomb sites could be adopted as the evidence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deceased. There are burials like Burial No. 10, of which the majority of the burial goods were iron arrowheads. On the other hand, Burial No. 7 yielded a number of beads as its major burial goo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Burial No. 10 was dedicated to a person who was associated with arrows and bows, possibly a warrior, while No. 7 could have been dedicated to a woman. Burial No. 15, which yielded a bowl[wan] containing cinnabar as a votive goods and where some mica was also detected, could have been devoted to an individual who took charge in religious rituals. 영산강유역에서의 고분 공헌토기는 壺의 지속적인 사용과 완의 감소, 그리고개배・유공광구소호・병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토기의 비실용성이 높아지는 현상인데 이러한 현상은 공헌음식의 量이 축소되고 그 상징성을중시하는 방향으로 고분 제사가 바뀌어 갔음을 말한다. 3세기 전엽으로부터 약 400 년의 시간을 거치는 동안 복암리 3호분의 여러 매장시설에서는 제사의 공간 즉 祭 場이 바뀌는 변화도 있었다. 옹관이 석실이라는 새로운 매장공간을 만나면서 옹관묘 고유의 기물공헌 방식인 관내외 공헌 전통으로부터 관외공헌 방식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또 각 매장시설에서 기물공헌의례와 음식공헌의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가는 5단계의 변화도 발견할 수 있다. 96석실의 경우 현실 내부에서 기물공헌과 음식공헌이 모두 이루어졌지만 후기의 늦은 석실묘에서는 현실 내에 棺과 함께기물을 공헌하고 난 뒤 그 밖으로 나와서 연도에서 음식공헌 의례를 지내는 방식으로 정형화된다. 복암리 3호분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고분제사와 비교하면 현실에서의 공헌의례와 연도에서의 공헌의례가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갔다는 특징이 있다. 후기에 이르면 연도부에서 치러진 제사에서만 음식 공헌의례가 이루어지게 된다. 고분제사에 쓰인 공헌품의 구성 내용이 피장자를 이해하는 자료가 될 가능성이 있다. 피장자를 상징하는 기물로서 그의 무덤 공헌품을 자손들이 선택했다고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공헌품 내에서 철촉의 비중이 큰 10호묘나 무기류는 거의 없고 91과에 달할 정도로 구슬이 많이 묻힌 7호묘의 경우가 그러하다. 10호묘의피장자는 활쏘기에 능했던 武士로서의 삶을 살았던 사람으로, 7호묘의 피장자는여성으로 추정할 수 있다. 朱砂가 담긴 완이 공헌되어 있고 운모가 검출된 15호묘는 종교적 의례를 주관하는 일에 종사했던 사람이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