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고등학교 문법 수업 목표 분석

        김진희 ( Jin Hee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 Ⅰ·Ⅱ’ 교과서에 진술된 ‘문법’영역의 수업 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분류하여, 그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절차는 총 8종의 ‘독서와 문법Ⅰ·Ⅱ’ 교과서에서 ‘문법’영역의 수업목표 266개를 도출하여 학년별, 내용 체계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문법’영역의 수업목표를 학년별, 내용 체계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영역의 수업 목표를 학녀별로 분석한 결과 대체로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의 수업 목표 모두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다’의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또한, 고등학교 3학년 ‘문법’영역 수업 목표가 고등학교 2학년의 수업 목표에 비해 지식 차원에서는 ‘메타인지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적용하다’가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고등학교 3학년의 ‘문법’영역이 보다 이전에 학습한 문법적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하고 활용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둘째, ‘문법’영역의 수업 목표를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국어와 앎’과 ‘국어의 삶’, 그리고 ‘국어와 얼’에서는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국어의 규범’에서는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적용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examine the aspects of ``grammar`` stated in ``Reading and Grammar I and II`` of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study extracts 266 instructional objectives of ``grammar`` from 8 different kinds of ``Reading and Grammar I and II`` textbooks,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re analyzed and tbe findings are suggested as follows by school year and content.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grammar`` part by school year show that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 overwhelm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both 2nd and 3rd grade of highscbool. In addition, ``meta-cognitive knowledge`` takes more proportion in knowledge dimension and ``apply`` in cognitive process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grammar for 3rd grade than for 2nd grade of highschool. lt can be understand in the way that ``grammar`` of 3rd year of highscbool is based on the previously learned grammatical knowledge and focused on applic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grammar`` part by school year show that ``conceptual knowledge`` in knowledge dimension and ``understand``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akes more proportion in ``Korean Language and Knowing``, ``Korean Language and Life`` and ``Korean Language and Spirit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conceptual knowledge`` in knowledge dimension and ``apply``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akes more proportion in ``Korean Language and Norms``.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목표 분석

        이은영 ( Eun Young Lee ),신명경 ( Myeong Kyeong Shin ),최취임 ( Chui Im Choi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was to extend understanding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as well. The written objectives of two curriculum of Wise Life were divided into two,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jor activity subjects presented in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were dominantly the basic inquiry activity types. I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that the ``factual`` knowledge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understand``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ook a large proportion of the revised Wise Life 2007 objectives. The ``meta-cognitive`` knowledge was increased. ``Remember``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decreased and the high level objectives as ``analyze`` and ``create``,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increased from the 7th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 cognitive`` knowledge were engaged with ``understand``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were engaged with ``apply``. The ``meta- cognitive`` were engaged with ``create`` is the ``procedural`` knowledge in the revised Wise Life 2007. ``Remember`` was decreased. ``Create`` was increased in the basic inquiry activities. It was analysed in zero percent of ``Observing``, ``Investigating and Presenting``, and ``Making``.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학습목표 분석

        강대중,박행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unit,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analyzed 59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ceptual knowledge exceeded majority from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Subsequently meta-cognitive knowledge accounted for 40.0%, while there was no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ccounted for only 5.0%. Second, the item ‘Understand’ was shown the most common from ite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bsequently items ‘Create’, ‘Apply’, and ‘Remember’ followed in the order, while there was no learning objectives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item ‘Analyze’. Third,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sixth-grad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rom two dimensions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was as follows.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and creating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eta-cognitive knowledge followed in the order. This showed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given too much importance for some criteria out of 24 analysis criteria in total.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ubject, practical arts, needs to increase the ratio of learning objectives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higher order thinking by requiring solutions rather than correct answers to a problem, and to open a training program that help raise the ability of a teacher so that one can reconfigure the learning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발전적인 진로교육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목표 59개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유형 중에서 개념적 지식 유형이 절반을 넘었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유형이 40.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사실적 지식 유형은 없었고 절차적 지식 유형은 5.0%에 불과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의 유목 중에서 ‘이해하다’ 유목의 학습목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창안하다’, ‘적용하다’, ‘기억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분석하다’ 유목과 관련이 있는 학습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체계에 따른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학습목표를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 즉 이차원적 분류 관점에서 분류한 결과, 개념적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을 ‘창안하다’, 메타인지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석 준거 24개중 소수의 분석 준거에 학습목표가 편중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실과 교과의 진로교육은 정답보다는 해답을 요구하는 다양한 고등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 비율을 높이고, 학습목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 분석

        김정수(Kim Jung Soo),백수진(Baek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를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의 하위범주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과서에 제시된 364개의 차시별 수업 목표를 Bloom의 교육목표인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심동적 및 정의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목표⋅과정중심 교육과정 개념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는 심동적 영역 198개(54.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인지적 영역이 124개(34.1%), 정의적 영역이 42개(11.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Bloom의 지식 차원 중 ‘사실적 지식’이 53개(42.7%)’, 인지과정 차원 중 ‘기억’이 91개(73.4%)’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동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개인적 발달의 주요개념인 생리적 효율성 중 ‘신경근육 효율성’이 59개(2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의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개인적 발달의 주요개념인 심리적 안정성 중 ‘자기 이해’가 29개(1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 수업 목표 구성 시 인지적 영역의 강화, 심동적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정의적 영역의 확대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draw meaningful insights and provide suggestion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364 lesson objectives provided in the 2015 curriculum-based PE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cognitive, psychomotor or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cognitive domain was performed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and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ncept frame of the objectives and process centered curriculu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hree domains by Bloom’s taxonomy, which are ‘cognitive’, ‘psychomotor’ or ‘affective’,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psychomotor domain was the highest in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n the cognitive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lated to ‘factual knowledge’, which is the lowest level in the knowledge dimension,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remember’, which is the lowest level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psychomotor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efficiency of neuromuscle’,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physiological efficiency’ in the concept of personal development domain, was the highest. Forth, in the affective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joy of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four elements of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concept of personal development domain, was the highes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cognitive domain should be increased and that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iversified in th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domain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박윤정(Youn-jung Park)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교육목표로 강조하고 있는 지식과 인지과정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사회과 전체 학교급 총 64개의 성취기준을 차원별 단일 분석 및 이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비중이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높았고,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사실적 지식’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모든 학교급에서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편중되어 있었고,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서술 동사의 사용이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식 및 인지과정의 이차원적 분석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이해하기, 절차적 지식의 적용하기, 사실적 지식의 이해하기 연결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상호 결합의 비중이 고르지 않았다.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에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의 특징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emphasized as educational goal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goal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 single analysis and two-dimens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64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ntire school level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nouns and verb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the proportion of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all school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factual knowledge’ de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Seco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bias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t all school levels, and the use of verbs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es was limited. Third, in the two-dimensional analysi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applic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factual knowledge’ was high, and overall the proportion of mutual linking was uneven.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개정 7학년 기술·가정교과서 분석 - 가정 영역을 중심으로 -

        이민정,이경숙,유태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2010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07 개정 7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지식차원 및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가 어떻게 서술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한 교과서 분석을 위해 3권의 교과서를 선정하였으며, 학습목표-본문내용-활동영역-평가영역으로 분석 대상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습목표와 평가영역은 이차원적 분석을 하였으며, 본문내용은 지식차원, 활동영역은 인지과정 차원으로만 분석을 하였다.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해 연구자를 포함하여 전문가 4명을 coder로 선정하였으며, 우선 코더들이 개별적으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교과서의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주요유형과 주유목 및 하위유형과 인지과정으로 분석하였고, 불일치 판정 부분에 대해서는 3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해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한 교과서 분석에서 2007년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식차원은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차원의 범주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인지과정 차원은 ‘이해하다’ 범주차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 사고에 해당되는 ‘메타 인지 지식’은 전혀 없었으며,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범주차원은 아주 낮은 비율을 보이거나 없는 영역도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2007년 개정 7학년 기술·가정교과서가 단편적 지식을 기억하거나 이해하는 하위사고 범주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이 반영된 교과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in what category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are described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revised 7th grade home economics textbooks. Three textbooks were selected to analyze a textbook, Areas of analysis were reconstructed into learning objectives, body contents, activity, evaluatio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went through a two-dimensional analysis, the body contents was analyzed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activity was analyzed in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Four experts were selected as a corder for reliabl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nowledge dimension in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was focused on the categories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in textbook analysis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ategory dimension of 'understand' showed to be the most for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Moreover, there was no 'meta cognitive knowledge' that conforms to a higher-order thinking and the category dimension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e' took very low proportion or did not exist.

      • KCI등재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이경숙,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revised 10th grad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6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9). Two experienced coders performed initial analysis based on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had subsequent conferences to reach an agreement on different results between coders. For knowledge dimen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Future Family Life」unit are mainly consisted of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here as those of 「Family Life Culture」unit are consisted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both 「Future Family Life」and 「Family Life Culture」units are solely in a factual knowledge major type.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of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all into ‘a specific facts and knowledge component’. F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ning objectives are focused on ‘understand’ and ‘analyze’. Those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analyse’ in the 「Future Family Life」unit and ‘understand’ in the 「Family Life Culture」 uni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do not adapt any meta-cognitive knowledge, higher order thinking, and cognitive process.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준거하여 2007 개정 10학년 교과서 6권과 성취기준을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차원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분석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2명으로 코더(coder)를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1차 분석을 한 후 2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해서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지식차원의 주요유형은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범주에,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범주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성취기준에 진술되어 있는 「미래의 가족생활」단원과 「가정생활문화」 단원 모두 사실적 지식에 해당하는 하는 학습목표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교과서와 성취기준에서 지식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관한 지식(AB)이 가장 많았다. 인지과정차원의 주유목은 교과서에서는 ‘이해하다’와 ‘분석하다’의 범주에 집중되어 있었고, 성취기준에서는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분석하다’ 범주로만,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이해하다’ 범주로만 진술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와 성취기준은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과 고차적 인지과정의 활동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고등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목표 재진술이 필요하고, 성취기준은 중단원보다 더 세부적인 소단원 및 내용요소별로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제시하여야 하며,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는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고려한 학습목표의 진술이 요구된다.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 분석

        박진영,이보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are cognitive domain,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o analyze’, ‘remember’, and ‘understand’ appear high, but ‘to evaluate’, ‘create’, and ‘apply’ appear low. Third, the way of combin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combined in various ways, but the distribution style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either side. Educational consensus on achievement-based vocabulary and clear standards for educational verbs are requir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 ‘메타인지지식’이 가장 높고,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다’, ‘기억하다’, ‘이해하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는 낮게 나타난다. 셋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분포양식은 하부 지식 차원이나 하부 인지과정 차원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성취기준 어휘의 교육적 합의와 교육적동사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필요하다.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이현숙(Hyeon-Suk Lee),강현석(Kang Hye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과 성취 기준을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2007 개정 국어 10학년 성취 기준은 29개, 2009 개정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은 각각 15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로 분류된 성취 기준의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Ⅱ는 국어Ⅰ의 연계 과목으로서 위계성을 지녀야 하지만 국어Ⅱ가 국어Ⅰ에 비해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셋째, 국어과 내용 영역을 분석해보면 특정 영역에서의 편중 현상이 드러났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성취 기준에 2개 이상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요구하는 성취 기준이 증가하여 교육 내용의 감축, 성취 기준의 축소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성취 기준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하였을 때 명사와 동사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 여섯째, 성취 기준에서 일부 동사의 사용 비중이 높고 의미가 매우 모호하여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해설서로도 보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고른 발달을 위해 다양한 범주를 반영한 성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타당한 수업목표로 재조직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의 진술이 보다 명확해야 하고 해설서를 통해 포괄성과 모호함을 보완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29 achievement standards in High School Korea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high school Korean subject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Korean for the 10thgrad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n Korean I and Korean II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Korean II should have hierarchical properties as an associate subject with Korean I. But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the latter has more profound contents than the former. Third, in the grammar section, most achievement standards are in the understand category. Fourth, the 2009 version has increased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quire more than on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of cognitive course for each item, and no substantial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Fifth, the analysis of verbs us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eals that there are a lot of part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nouns and verbs is vague. Sixth, it is difficult to exactly underst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they contain a high frequency of the occurrences of some verbs and have very vague meanings.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broadly develop a cognitive course, we are required to provid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diverse categories. Teachers also by themselves should not apply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ncentrated on only some categories, but need to make effort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sider learners’ levels to reorganize class goal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강은영,강은영,홍희원,홍영숙,이영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proposed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2024, and further presented a view of how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ll be used in the school field. To this end, a total of 684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ntire knowledge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process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in ‘remember’ and ‘apply’. Secon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subject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subjects except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hile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the highest. In the case of cognitive process types, ‘remember,’ ‘apply,’ and ‘understand,’ and as a result of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the ‘realistic knowledge-remember’ typ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Thir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grade group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grade groups, followed by procedur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type of achievement standard cognitive process by grade group, the ‘remember’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until elementary school group, however the ‘applying’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in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nd the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actual knowledge-remember’ type statement in all grade groups. Overall, like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lthough there is a biased distribution of specific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es in achievement standards, it is significant in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types were highly distributed due to curriculum characteristics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