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의 설계와 적용 효과 :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윤한나(Han Nah Yoon),김현진(Hyeonj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탐구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과 학습만족도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과학고등학교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I에서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빅데이터 활용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나리오 기반 빅데이터 활용 역량 사전·사후 검사와 학생 산출물(최종 보고서)를 수행평가 기준표로 평가하여 활용하였다. 학습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t-검정, 신뢰도 계수 도출 및 내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빅데이터 활용 역량 사전·사후 검사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빅데이터 활용 수업 전후에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 산출물(최종 보고서) 평가 결과 학습자의 문제 인식 역량과 프로그래밍 역량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만족도 설문 검사 결과 학습자는 빅데이터 활용 수업에 높은 학습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한 상황에서 새로운 경험을 통해 흥미와 자신감을 얻고 융합적 사고와 협력적 활동이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이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 함양과 학습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논의하고 교육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 competency of using big data and learning satisfaction by designing through the big data-applied inquiry instruction. Methods The big data-applied inquiry-based instruc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80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pre-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to measure students’ big data utilization competencies. Student final reports were also evaluated based o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earning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big data utilization competencies before and after the big data utilization class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tudent output (final reports), high scores were found in the area of learner s problem recognition competency and programming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learners showed high learning satisfaction in classes. They answered that this was because they gained interest and confidence through new experiences and that convergent thinking, and cooperative activities were possible in a situation wher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sing big data.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big data utilization inquiry classes can be effective in cultivating learners competencies to use big data and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고도화 방안

        나종연,이진명,구혜경,김효정,남영운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 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정부·민간에서 소비자 관련 개선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나 현재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는 행정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며,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극대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행정의 효율성과 성과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의 유형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서 보유 및 관리하는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고, 문헌고찰, 실무자 심층면접,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자문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고도화를 위한 제안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관련 정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과 한국소비자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기관의 DB를 상호 연계하기 위한 법적 근거 확립 및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빅데이터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데이터 생산자와 수요자 등 협력 가능한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소비자 빅데이터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맞춤형 데이터 어젠다를 구축하는 하향식 접근과 소비자 빅데이터 활용 협의체를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을 병행하고, 데이터 기반 문화에 대한 리더십과 지원, 데이터 자산에 대한 가치 인정 및 기술 투자 등 데이터 활용 조직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bility to utilize big dat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consumer big data analysis,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can improve consumer-related services. However, currently consumer big data is only meaningful as a statistical object and is not maximizing the actual value of the dat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big data use in the consumer sector and to propose advanced measures to increase the use of public big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was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consumer big data and the status of public data held and manag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ation, we derived suggestions for advancing the use of big data and reviewed their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advance consumer-related policies through the use of public big data in the consumer field, the data existing within the Fair Trade Commission must be integra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an analyzable form, and the database managed by the Consumer Agency must be systematized and its quality improved to increase usa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and prepare standardization guidelines to interconnect the databases of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er big data,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must clearly define stakeholders who can cooperate, such as data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consumer field, and solidify their role as a practical control tower with the hegemony of consumer big data. Based on this, a top-down approach to establish a data agenda tailored to the consumer sector and a bottom-up approach to establish a consultative body for utilizing consumer big data must be taken in paralle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prea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utilizes data, including leadership and support for a data-based cultur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data assets, and investment in technology.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빅데이터와 관련된 개념, 처리 기술 및 기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제로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을 검토한 후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으로서 2가지 즉 첫째, 교육빅데이터 인프라구축과 교육관리분석 시스템 구축, 둘째, 학습분석시스템을 통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활용방안으로서 3가지 첫째, 사회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 내용선정, 둘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구성의 적합성 검토, 셋째, 웹기반 및 웹GIS기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빅데이터 교육자 양성을 위한 강좌 신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in social studies. To do this, first check the concept of big data, analytical skills. Next, present how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First, build the educational big data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in education. Second, present the flipped classroom model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And there are three ways to utilize big data. First, to develop and select systematic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content by building big data Infrastructure in social studies. Second, to reconstruct classes by examining the Conform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nstruction through analysing big data. Third, to present elaboration of PCK by actively combining pedagogical content and method knowledge while utilizing web-based and web-GIS-bas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training course to create big data educators who will utilize this technology in future social studies classes.

      • 경기도 주택·부동산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연구

        옥진아,조무상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Big Data is a technology that creates new value that can address the challenges and issues of the future society. There are introduced for Big Data are reviewed for troubleshooting issues in various fields. The real estate market are related to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order to solve a variety of real estate problems it must be analyzed in real-time massive data. Big Data of a real estate is growing for use cases and business model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 accumulated by the big real estate portal Real Estate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Gyeonggi-do"s looking for real estate demand patterns, and to support the real estate policy of the custom demand. Real estate data for big data analysis was utilized the actual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transaction price, the log data, and SNS data. The data broken down by regional level is needed in order to analyze Gyeonggi-do real estate big data. In addition, fo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real estate policy it is important to build time-series data. The usage model for real estate policy support and service through analysis study is proposed.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advancement of the current Gyeonggi-do real estate portal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operating the proposed model. To monitor the trading price trends and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should be able to navigate the changes in the local housing market and to service. In the long term, Gyeonggi-do real estate requires a platform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real estate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of big data platform will be able to help present a new paradigm for realizing real estate polic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Gyeonggi Real Estate big data should be established Real Estate Big Data governance.

      • KCI등재후보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산업의 빅데이터 활용이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승진 ( Park Seung-ji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산업의 빅데이터 활용이 관광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다. 본 연구는 필요한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관광산업이 활성화된 수도권·경기권에 거주하며 일 년에 4회 이상 여행하는 관광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용산 KTX역, 강남터미널에서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약 8주간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4부의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유효하지 않은 응답건수 14부를 제외한 최종 25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관광객의 빅데이터 활용의 범위는 뉴스, SNS,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 게시판, 공공기관 발표자료 등 빅데이터 채널을 활용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첫째, 환경변화는 관광객의 빅데이터 활용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경변화 세부요인 중 외부환경과 내부환경은 관광객의 빅데이터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공공환경은 빅데이터 활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쨰, 빅데이터 활용은 관광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빅데이터 활용 세부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분석 및 예측, 이슈 및 위험, 정보수집 순으로 관광객 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변화의 평균차이 분석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환경변화가 컸으며, 타 연령대에 비해 20대에서 환경변화의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빅데이터 활용의 평균차이 분석결과, 연령을 제외한 성별,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객 만족의 평균차이 분석결과, 연령, 성별,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tilizing Big Data of tourism on tourist`s satisfaction. To collect the necessary data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8 weeks from February to March 2017 at Yongsan KTX Station and Gangnam Terminal with the researchers traveling more than 4 times a year and living in the metropolitan and gyeonggi areas. Among 26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final 250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ept for unsatisfactory 14 responses. In addition, the scope of utilizing big data of tourists utilized big data channel such as news, SNS, blog, cafe, homepage bulletin board, and public institution presentation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rist, environmental change has a partial effect on utilizing big data. While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environment of detailed factors of environmental chan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big data, the public environment did not influence the use of Big Data. Second, the use of Big Data has proven to affect tourist satisfaction. All detailed factors of utilizing big data have an effect and in particular, analysis and forecasting, issues and risks, and information collection have been analyzed to have a high impact on tourist satisfaction. Third, a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chang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bigger environmental change to men than women,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changes in twenties has come to a higher level comparing to other age group. Fourth, a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utilizing big data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degree, and income except age. Fifth, a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tourists` satisfaction,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ender, degree, and income.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한국과 영국간 개인데이터 활용정책 비교 연구

        윤상오(Sangoh Yun ),김기환(Kiwhan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1

        빅데이터 시대의 본격적 도래와 함께 잠재가치가 가장 크면서도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로 가장 민감하고 논란이 큰 데이터가 개인데이터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영국의 개인데이터 활용정책을 직접 비교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개인데이터에 대해 활용가치보다는 보호가치에 중점을 둔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영국은 활용과 보호 사이의 균형 관점에서 보호를 전제로 한 활용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개인데이터의 범위를 비정형 데이터까지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정책의 초점도 기업이 보유한 개인데이터를 해당 개인에게 활용하도록 하는데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업과 시민 그리고 정부가 자율적 협약에 따라 개인데이터를 공개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비규제적이고 거버넌스적인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향후 데이터 정책의 범위를 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의 개인데이터까지도 포괄하도록 하고, 개인데이터에 대한 보호와 활용의 균형 관점에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비규제적이고 거버넌스적인 정책을 수립・추진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s the big data era has emerged, personal data has become not only the most valuable in their volume, velocity, and variety but also the most sensitive in privacy problems. So far, Korean government has only pursued the protection value, not the utilization value of personal data. But U.K.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personal data utilization policy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value and the utilization value of their data. In this research, we compare the personal data utilization policy of Korea with that of U.K. and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 to develop the personal data utiliza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U.K. government defined personal data comprehensively including unfixed social media data and they have been focusing on making people use their own personal data, which are owned and offered by private companies. To do this, U.K. government adopted the non-regulative and governance-type approach based on agreement among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citizen groups. We recommend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als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non-regulative and governance-type personal data utilization policy based on the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data.

      • KCI등재

        개인정보 규제수준과 데이터 결합이 빅데이터 활용에 미치는 영향

        김상광(Sang-Gwang Kim),김선경(Su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2

        빅데이터 활용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정보 규제와 데이터 결합이 핵심요인으로 등장함에 따라, 본 연구는 개인정보 규제수준과 데이터 결합이 빅데이터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정보 규제수준의 구성요인 중 개인정보 정의 명확성, 개인정보 동의 용이성, 법령위반 적정 처벌강도는 빅데이터의 활용에 긍정적(+) 관계가 있으나, 개인정보 감독기구 통합은 기각되었다. 둘째, 데이터 결합의 구성요인 중 데이터 결합 비식별성, 결합책임성 그리고 통제변수인 데이터 결합경험은 빅데이터 활용에 긍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결합데이터 표준화와 응답자 직종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가명정보의 도입, 정보주체의 사전동의 간소화, 형사벌의 경제벌로의 전환 그리고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활성화, 결합데이터의 안전조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기각된 감독기구의 통합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컨트롤타워 기능강화가 보호 규제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며, 결합 데이터의 표준화는 지금껏 데이터 저장과 보호의 관점에서 데이터 활용관점으로 전환해야 함을 시사한다. As a factor influencing big data util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regulation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data combination on big data utiliz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among regulation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clarity of personal information definition, ease of cons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ppropriate punishment strength for violation of laws have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big data utilization. However, integration of supervisory authority of personal information was dismissed. Second, among data combination, non-identification of data combination, responsibility of data combination, and data combina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 for big data utilization, but standardization of combined data and respondent’s jobs were dismis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roduction of pseudonym informa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ubject"s prior consent, conversion of criminal punishment to economic punishment, activation of non-identification, and safety measures for combined data are necessary.

      • 조직적, 기술적, 환경적 요인이 빅데이터의 활용 및 효과에 미치는 영향

        윤희정(Yoon, Hee Jeong)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4 경영관리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과 활용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기업경영에서 빅 데이터를 도입하여 활용하는데 있어 조직적 요인, 기술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기능별 활용성과 비즈니스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적 요인에서는 ‘CEO 및 구성원의 인식’보다 ‘교육 및 인재육성’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적 요인에서는 정형/비정형과 같은 ‘데이터 유형’보다는 분석사례가 풍부하고, 프로그램이 안정적이며, 처리속도 및 제품인지도가 좋은 기술, 개발형태와 같은 ‘시스템 도입’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에서는 빅데이터 관련 투자나 실행 정도, 예산 규모와 같은 ‘투자 환경’보다는 지속적인 지원과 관리를 통해 기업 전반에 걸쳐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인프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급망 및 생산활동 분야와 같은 ‘기능별 활용성’은 고객만족도, 예측 성과 및 생산성 향상과 같은 ‘비즈니스 효과’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이 최근 2~3년이고, 빅데이터에 대한 기업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연구라고 생각된다. 빅데이터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 속에서 기업에게 필요한 진정한 가치를 찾는 것이고, 그러한 능력을 갖춘 기업이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갖게 될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for businesses to understand and adopt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the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big data and want to take advantage of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such data. The effects of the main factors are derived, and these are analyzed along with the primary advantages of big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cognition of the CEO and member of the organiz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unctional leverage effec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unctional leverage effect’. ‘System adop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unctional leverage effect’ and ‘business efficiency’. ‘Infrastructure environ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unctional leverage effect’ and ‘business efficiency’. ‘The functional leverage effec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efficiency’. Big Data will present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business management. However, though there is much social interest in big data, it is not yet clear how many business success cases can be attributed to big data. Companies that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big data will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

        개인정보 규제요인과 빅데이터 활용간의 관계에서 가명정보 결합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김상광 ( Kim Sang-gwang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3

        Recently, increasing use of big data have caused regulation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mbin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to emerge as key policy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combination as the third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ion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big data utilization.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mong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factors, definition regulation, consent regulation, supervisory authority regulation, and punishment intensity regula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ig data utilization, while among pseudonymized information combination factors, non-identification of combination, standardization of combined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responsibility of combination were also found to be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use of big data. Second, among the factors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combination, non-identification of combination, standardization of combined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responsibility of combination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regulation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big data utiliz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factors and big data utilization, the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hat each combination institution type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free-type, intermediary-type, and designated-type) would play a different role as a moderator was rej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policy alternatives of ’Good Regulation’ were proposed, which would maintain balance betwee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big data utilization.

      • KCI등재

        데이터 소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소고

        정윤경 ( Jung Yoon-kyou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5 No.4

        With the advent of the data economy era, where data serves as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all industries and creation of new values, efforts are being made to utilize data generated in each field of society and economy. Korea also recognizes that data is a key driv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as been reorganizing the legal system to promote data utilization in recent years. The size of the domestic data industry market was actually found to be 14.3 trillion won in 2020, up 14.3% from the previous year,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cently announced that it would expand the market size to 43 trillion won by 2025. However, as the scale of data production and transaction increases and the application and complexit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ata-related legal disputes increases. Among the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flicts of opinion as to who is the legitimate right holder of the data analyzed and processed by various experts, that is, who is the main owner. In the case of data, it is difficult to treat it in the same way as ownership under civil law due to non-uniformity, non-rivalry, and non-specificity. In this paper, in this regard, the methods for protecting data ownership were reviewed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and the revised law (to be implemented in April 2022) and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application wer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