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rends in Christian Bibliotherapy in Korea: With a Focus on the Papers Published in 2003-2022

        Jungmee Heo J-INSTITUTE 2022 Protection Convergence Vol.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Christian bibliotherapy related paper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apers extracted with the topic of Christian bibliotherapy from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3 to 2022 and the papers published in specialized academic journals.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searched and collected with the topic of ’Christian bibliotherapy‘ for the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s well as the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3 until 2022 via the database within the search site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co.kr). They were also included in the cases where bibliotherapy was performed with the Bible in addition to the Christian bibliotherapy.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on Christian bibliotherapy needs to increase the studies on clinical bibliotherapy targeting various age groups, clarify the specific process of bibliotherapy, and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training Christian bibliotherapy experts.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hristian bibliotherapy related studies, and will further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Christian bibliotherapy researchers.

      • KCI등재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관련 인식·현황 조사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백재은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3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raditionally a strong field of book and reading, can be said to play a leading and central role in bibliotherapy that heals human emotions, situations, and pathological symptoms through books and reading process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bibliotherapy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a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 to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bibliotherapy. First, the perception survey surveyed 200 students taking LIS - related classe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n five topics (books, bibliotherapy, curriculum, libraries, and others) using keywords related to bibliotherapy. And then, the current status of bibliotherapy in the field of LIS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it into a curriculum related to bibliotherapy and bibliotherapy activities in the library to examine it from an educational and practical perspective. Bibliotherapy related curriculum status survey explored and analyzed through bibliotherapy related keywords based on 32 universities with LIS departments among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bibliotherapy programs and reading lists were analyzed for 1,104 public libraries in Korea.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the direction for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bibliotherapy in the field of LIS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otherapy participants and operators. 전통적으로 책과 독서에 강한 분야인 문헌정보학은 도서와 독서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정․상황․병리 증상 등을 치유하는 독서치료에 있어 주도적이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와 매우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진 문헌정보학 분야에 학문적․실전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인식조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수업을 듣는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여 5개의 주제(도서, 독서치료, 교과과정, 도서관, 기타)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현황은 교육적․실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서치료 관련 교과과정과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독서치료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국내 4년제 대학 가운데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32개의 대학을 바탕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통해 탐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 현황은 국내 1,10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독서목록을 각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독서치료 참여자와 운영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불교설화의 독서치료 활용에 대한 고찰

        이덕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various ways to utilize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First, we asked which Buddhist Tales would be appropriate if we followed the selection criteria for existing bibliotherapy materials. To answer this question, we analyzed the currently available books on Buddhist Tales with three evaluators using the selection criteria for bibliotherapy materials. Second, we attempted to find psychodynamically oriented questions that could be used in counseling scenes based on the Buddhist Tales “The Mango Tree is My Friend” by Ahn,DoHyun.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when selecting Buddhist Tales as materials for bibliotherapy. Texts centered on Buddhist scriptures that contain difficult sentences or specialized Buddhist terms can hinder the faithful contact with the principles of bibliotherapy and make the process of bibliotherapy difficult to occur natural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categorized by topic reveals that they contain general topics, influential topics, and topics with positive emotions,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by writing style show that they have excellent potential as bibliotherapy materials in terms of rhythm, imagery, metaphor, and length. Furthermore, there is sufficient potential for utilizing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as suggested by the process of bibliotherapy in the counseling scene.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value as the first attempt to utilize Buddhist Tales in bibliotherapy. However, it is limited by the absence of prior research and the lack of a comprehensive list of Buddhist Tale bibliotherapy materials, which hinders the exploration of broader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therapeutic purposes, target groups, and age divisions. Addition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limited amount of data compared to the vast quantity of Buddhist Tales availabl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의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준에 따라 불교설화를 선정한다면 어떤 불교설화가 적절한지를 묻고, 이 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는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불교설화에 관한 책들을 구입하고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정자 3명의 자문을 구하였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발문을 찾기 위해 안도현 시인이 들려주는 불교동화 1 의 「망고나무는 내 친구」라는 불교설화를 토대로 심리역동적 발문 찾기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의 자료로 선정하기 위해서 다른 자료보다 우선으로 자료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았다.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한 문학으로 어려운 문장이나 전문적인 불교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는 텍스트는 독서치료 원리에 충실한 접촉을 방해하고 독서치료의 과정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불교설화는 독서치료 자료의 주제별 분류로 볼 때 일반적인 주제, 영향력 있는 주제, 긍정적 정서의 주제를 담고 있었다. 그리고 문체별 분류 기준으로 분석결과 리듬, 이미지, 은유, 길이에서 독서치료 자료로서의 활용이 용이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독서치료 과정에서의 발문에 대한 제안으로 독서치료에 불교설화가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서치료에 불교설화의 활용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다만, 선행 연구가 전무하고 불교설화 독서치료 목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치료목적별, 대상별, 연령 구분과 같은 다른 분류 체계를 폭넓게 다루지 못하였던 점, 방대한 불교설화의 양에 비해 지극히 한정된 자료로 연구된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다양한 불교 설화가 독서치료 자료로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대에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문학으로 폭넓게 응용 번안·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불교설화 독서치료 목록을 작성하는 연구가 선행되고, 이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고용남,이명우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bibliotherapy conducted in Korea from 2001 to 2008 using a method of meta-analysis. Eighty-five theses for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were collected from the on-line database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http://www.nanet.go.kr) and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http://www.riss.kr). The computer search used the following terms: ‘bibliotherapy’. ‘bibliotherapy program’,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group bibliotherapy’,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otal, Eighty-five theses for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were analyzed and one hundred thirty two effect sizes were produc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group bibliotherapy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1.42. The implies that if the average size of effects of the controlled group is 50 percentile in normal distribution, the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group bibliotherapy would become 92.21%. As it were the latter supasses the former by 42.21% percentile. Second, the group bibliotherapy was most effective when it was implemented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ES=1.56). The effect size was highly effective when the groups formed with the mixed gender(ES=1.56). Third, When stud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group size, the most effective group size was 20-29 people(ES=1.90). Those studies that were grouped according to 11-12 sessions reported an average effect size of 1.61. The effect size of the duration of a session lasted 45-50 minutes was 1.64. The most effective total hours of sessions was 8-10 hours(ES=1.90). Fourth, group bibliotherapy was most effective when it was implemented for self-identity(ES=2.20). But in the more than 10 cases, group bibliotherapy was most effective for ADHD(ES=1.74). Fifth, group bibliotherapy with no bibliotherapy model(ES=1.56)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a bibliotherapy model. In sum, this study has its meaning when it used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and to analyze theses for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collected from 2001 to 2008 in the field of group bibliotherapy.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group bibliotherapy is 1.42, it is very effec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unselors and other psychotherapist should make greater use of group bibliotherapy as a treatment for many different psychological problems. 본 연구는 집단상담 분야에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가 된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물 85편에서 추출된 132개 사례들을 메타분석으로 전체 평균효과크기를 구한 최초의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또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전체 평균효과크기, 집단구성원의 특성별(성, 연령, 일반인/내담자, 크기), 집단 실시 특성별(총진행회기 수, 주당 회기 수, 1회기 당 진행시간), 종속변인별, 진행 방법별(독서치료 모델) 등 관련 변인별로 효과크기를 구하고 비교했다. 그럼으로써 향후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85편의 연구논문에서 132개의 사례들을 추출했고 메타분석으로 구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42이다. 이는 정상분포 곡선에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를 50%라고 했을 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평균은 통제집단의 분포에서 92.21%임을 의미한다. 즉, 실험집단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은 사람은 통제집단의 92.21%보다 좋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해석되며, 반면에 통제집단의 7.79%만이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이상을 얻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통제집단의 평균을 50%로 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평균이 92.21% 상승되었음을 의미하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42.21% 만큼 향상되었음을 뜻한다. 둘째, 집단구성원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봤을 때 집단구성원의 특성별(성) 평균효과크기에서 혼성의 평균효과크기가 1.56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구성원의 특성별(연령) 평균효과크기에서는 중학생의 평균효과크기가 1.56으로 가장 컸다. 집단구성원의 특성별(일반인/내담자) 평균효과크기에서는 일반인과 내담자의 평균효과크기가 1.42와 1.46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행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집단구성원의 특성별(크기)에서는 ‘20~29명’의 집단이 1.90으로 가장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집단 실시 특성별(총 진행회기 수)에서는 ‘11~12회기’에서 1.61로 가장 높았다. 집단 실시 특성별(주당 회기 수)에서는 ‘주 3회’가 1.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집단 실시 특성별(1회기 진행시간)에서는 ‘45분 초과 50분 이하’가 1.64로 가장 높았다. 넷째, 종속변인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봤을 때 종속변인별에서 자아정체성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례 수가 10개 이상인 종속변인들 중에서는 ‘ADHD 및 자기통제력’이 1.74로 가장 높았다. 다섯째, 진행 방법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진행 방법별(독서치료 모델) 평균효과크기에서는 모델이 없는 경우의 평균효과크기는 1.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Watson 모델로 평균효과크기는 1.43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현황 및 개발방안에 대한 연구

        백재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4

        감정적, 심리적 상처와 문제를 독자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독서치료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책(치유서)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자가치료법이다. 일반인과 다르게 장애인은 책이 아닌 대체자료를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실시한다.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소외감, 불안감 등 여러 심리적인 상처를 받거나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 장애인의 독서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장애인도서관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활성화 단계라고 볼 수 없다. 독서치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에의 접근을 도와주는 독서치료 목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대부분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 대체자료 목록, 혹은 병리증상 혹은 상황에 따라 카테고리화된 대체자료 목록은 별도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와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 그리고 앞으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Generally, Bibliotherapy is aimed to cure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wounds by using books for common users as self-treatment. But,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is carried out by alternative formats instead of a book. In library for the disabled, it is developing various bibliotherapy programs, but not yet activated. In order to carry out bibliotherap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ibliotherapy catalog preferentially. However, most Bibliotherapy catalogs are created for the common users, not for disabled people specially. How to make the special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catalog of alternative formats according to pathological symptom or situation is still a big problem. Basing on this premise, the author examined the necessity of bibliotherapy catalog for disabled people,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bibliotherapy.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plans of bibliotherapy for how to build the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 KCI등재

        전자책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동화와 독서치료를 중심으로

        최준호 ( Jun Ho Choi ),최원태 ( Won Tae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의 개념,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독서치료에서 전자책의 기능과 서비스를 구분하고 어떻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전자책은 디지털로 변환되며 개인화, 저작기능,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연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독서치료에 전자책을 활용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독서치료에 종이책을 대신하여 기존에 출판된 전자책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보관과 휴대의 용이, 개인화된 독서 환경 지원, 사전 및 검색 지원 등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독서치료에 전자책이 가지고 있는 개인화 및 저작,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연계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용자에게 적합한 독서 환경 지원, 멀티미디어 기술 활용, 상호작용을 통한 내용의 전개,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의 공유 등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독서치료를 위한 전자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자책에 적합한 독서치료 모델과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전자책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및 장비뿐만 아니라 시스템 및 솔루션이 함께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program of bibliotherapy and provides an overview of how bibliotherapy can utilize e-books` functions and services. E-books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formats and have features such as personalization, authoring, multimedia, interaction, and connectivity functions. In bibliotherapy, the application of e-book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existing e-books can replace the paper books as the tools in bibliotherapy. Bibliotherapy can take advantage of e-books` features such as the ease of storage and portability, personalized reading experience, dictionary, and search features in e-books. Second, in bibliotherapy, e-books will offer features such as personalized reading environment and authoring, multimedia, interactivity, and connectivity functions. Users can enjoy features such as personalized reading experience, advantages of multimedia technology, interactive content development, and specific interest or activity sharing. Third, the development of e-books for bibliotherapy requires changes to the model and program of bibliotherapy to be compatible e-books. Also, it requires an in-depth research into the bibliotherapy model and program, as well as various possibilities and future role of e-books. A wide variety of contents and equipments, as well as with systems and solution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various functions of e-books.

      • KCI등재후보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현장적용 독서치료

        서기자(Seo, Gi-Ja)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성장기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 들을 위한 독서치료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그에 대한 방법으로 시와 동화 그리고 영상매체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방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를 선정할 때는 참여자의 수준에 맞고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대변해주고 공감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참여자의 눈높이, 흥미, 관심을 관찰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상황에 필요한 주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자료를 선별하여 그에 맞는 독서치료 방법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독서치료를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는 지름길이다. 우리의 미래인 아동과 청소년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래에 대한 긍정적 비전을 갖고 세상에 따뜻한 시선으로 한 걸음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the bibliotherapy metho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t the period of growth. The methods using poems, fairy tales, and visual media were suggested as bibliotherapy.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materials for bibliotherapy before applying the methods.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materials,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e materials should be the ones that are proper to the levels of participants, speak for them in their place and can be sympathized.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level and interest of participants, various methods must be applied to bibliotherapy according to that. A shortcut which can effectively lead bibliotherapy is to set up the topics necessary for the situation of the subjects, to sort out the proper materials according to that, and to make a plan for programs by organizing the bibliotherapy methods well.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constant studies on the bibliotherapy methods so that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our future, may get close to the world with a positive vision and attention about the future through bibliotherapy programs.

      • KCI등재후보

        우울증에서의 자기관리(Self-Help)의 효과 : 독서요법과 운동을 중심으로

        손명하,우종민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2 우울조울병 Vol.10 No.2

        Self-help has been suggest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sub-clinical and mild depression. The authors performed a review to find evidences and practical methods of bibliotherapy and physical exercise, which had shown more robust data than other various self-help methods. The strength of bibliotherapy is cost-effectiveness, high accessibility, and enhancement of self-efficacy. Bibliotherapy is composed of fictional biblio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bibliotherapy. Fictional bibliotherapy is originated from psychodynamic psychotherapy, but has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 results. Recently, self-help bibliotherapy for depression using non-fictional book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has been used to understand the patients’ problems and change their behavior.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bibliotherapy for sub-clinical and mild depression is established by various meta-analyses. Exercise is a structured physical activity with a recommended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creased body temperature, endorphin, monoamine, growth factors, and self-efficacy has been suggested to explain the antidepressant mechanism of physical exercise. Many studies reported a significant benefit from exercise for depression. In conclusion, self-help for depression is a useful tool to alleviate depression. To provide optimal use of self-help modalities, further research to develop specific clinical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are needed.

      • KCI등재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독서치료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최숙기(Choi, Sook Ki),김세화(Kim, Se Hwa)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국내 독서 치료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20년까지 KCI에 등록된 학술지 게재 논문 총 309편을 대상으로 LDA 기법을 활용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고, 2004년부터 2020년까지 토픽의 연도별 토픽 추세 분석을 위해 시계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독서 치료 연구는 총 9개의 연구 토픽으로 분류되며 이들 분류를 통해 ① 유아, 초등, 중등, 대학에 이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 정체성, 자아 존중감, 대인관계 형성 등에 관한 발달적 독서 치료에 관한 연구, ② 우울증, 자존감 저하,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정서 문제를 대상으로 한 독서 치료 연구, ③ 자기 서사를 기반으로 한 문학 치료가 독서 치료의 범주 내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유아, 초등, 중등, 대학에 이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 정체성, 자아 존중감, 대인관계 형성 등에 관한 발달적 독서 치료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청소년, 대학생 대상의 발달적 독서 치료 프로그램(토픽1)과 유·초중등 학령기 학생 대상 독서 치료 (토픽9)는 전체 연구 주제 중 연구 비중이 상위에 분포하였고 연도별 상승과 하향을 반복하는 연구 토픽이었다. 셋째, 우울증, 자존감 저하,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정서 문제를 대상으로 한 독서 치료 관련 토픽3, 토픽 7은 하향 연구 토픽이었다. 넷째, 자기 서사 기반의 문학 치료(토픽 4)와 내러티브나 현상학 등의 독서 치료의 질적 연구(토픽 6)은 상승 연구 토픽이었다.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domestic bibliotherapy field, this stud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DA method on a total of 30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with KCI from 2004 to 2020, using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A time serie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topic trends by year from 2004 to 202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omestic bibliotherapy research is classified into a total of 9 research topics. Research on bibliotherapy, ② bibliotherapy for negati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low self-esteem, stress, and ③ literature therapy based on self-narratives were mainly studied within the scope of bibliotherapy. Second, with regards to research on developmental bibliotherapy on self-identit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for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university students, Topics 1 and 9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earch among all research topics. It was distributed at the top, and it was a research topic that repeated upward and downward trends by year. Third, research topics related to bibliotherapy targeting negati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low self-esteem, and stress (Topic 3, Topic 7) were top-down research topics. Fourth, self-narrative-based literary therapy (Topic 4) and qualitative research on bibliotherapy such as narrative or phenomenology (Topic 6), were synergistic research topics.

      • KCI등재

        한국독서치료학회지 『독서치료연구』의 2004(창간호) ~ 2020년 간의 연구동향

        강은주(Grace Eunjoo Kang)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독서치료학회지인 󰡔독서치료연구󰡕에 창간년도(2004)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독서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미래의 독서치료 연구방향을 예견하기 위함이다. 수집된 117건의 자료를 연도, 발달단계, 연구방법, 연구주제, 학문영역, 학술등급, 연구대상자 수, 치료회기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도별 게재논문을 분석한 결과, 등재지, 등재후보지, 전국규모 일반학술지 등급 기간 순으로 연간 게재논문수가 높았고 연간 게재호수도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발달단계로는 중년기, 아동기, 유아기, 청소년, 청년기 순으로 높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질적, 양적 연구 순으로 높았다. 연구 주제로는 치료적 접근, 치료매체/기법, 심리정서, 자아, 사회성, 가족, 장애/질환, 텍스트, 학업관련, 프로그램 순의 빈도를 보였다. 치료회기는 1~50회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보였으며, 빈도는 12회기, 10/8회기, 4회기 순이었다. 참여자 수는 6-10명, 2-5명, 60명 이상, 11-20명 순으로 높았다. 연구 결과, 양적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가 미확보된 연구물, 다양한 표현예술치료적 접근과 독서치료와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 부재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분류체계인 복합학으로서의 독서치료의 학문적 특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Bibliotherapyl” published by the of Korean Association of Bibliotherapy, to explore and analyze past and present academic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related research, and to foresee the direction of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the future as well. In this study 114 articles and 3 book review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Bibliotherapy during 2004-2020,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criteria: of publication year, developmental stages of subjects/participants, methods, themes, academic areas of ​​researchers, number of the subjects/participants, and sessions for group bibliotherapies. Annu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frequency was in descending order of academic levels by selected registered candidates, and non-registered journals. The research frequency of developmental stages of subjects/participants we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middle-aged, school aged, preschoolers, adolescence, and youth. The research methods of literatu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ere list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Research topics included the following: diverse expressive arts therapeutic approaches, treatment media/techniques, psycho-emotional issues, self-related, sociability, family related, disability/disease, text related, academic achievement, and diverse programs. As for treatment sessions, the researchers usually implemented their treatment in series of 12, 10 or 8, and 4 sessions, in the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Treatment sessions showed a broad-spectrum range of 1-50 sessions. Quantitative research without a minimum number of subjects was found and examined. In qualitative studies, participant groups of 2-5, 6-10, 11-20, and 60 or more we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as group counseling members for bibliotherapy. Correlation between various expressive art therapeutic approaches and bibliotherapy should be fundamentally considered and discussed to help balance and integrate characteristics of bibliotherapy into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With these ideas in mind “Complex science”, a new classification of bibliotherapy since 2014, needs to be further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