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음(觀音)신앙의 구조(構造)와 신행체계(信行體系)

        이기운 ( Lee Ki-w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대승불교가 발생하여 전파되는데 있어 觀音信仰의 역할은 적지 않아 보인다. 그것은 관음사상이 가지고 있는 폭넓은 구제사상과 다양한 관음신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을 설하고 있는 경전은 법화경을 비롯하여, 화엄 반야 정토 밀교 삼매 經典類와 疑經에 이르기까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경전들 중에서 법화경은 보문품에서 관음보살을 설하고 있어 관음신행의 근본 경전으로 여겨져 왔다. 이 경은 일찍부터 전역되어 관음신앙 유포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觀音經』으로 別行 유포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수많은 관음관계 경전들이 함께 신행되므로써 관음 신앙을 한층 풍부하게 하였다. 첫째는 관음이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중생이 당면한 실생활의 苦難과 惱亂으로부터의 해탈을 이루어 주고, 중생들이 祈求하는 소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구제사상이다. 둘째는 관음이 應身하여 法을 설해주어 불도에 이끌어 들인다는 대승 보살도를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이러한 구제사상이 관음의 因行시 서원과 보살도에 근거한 대자비의 실천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제사상은 중생들의 절실한 삶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利他行], 불도에 들도록 인도한다[自利行]는 점에서 대승보살도의 모범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은 중생들의 생사고난에 대한 해탈의 祈求가 있고, 이에 관음은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應하여 법을 설해 주며, 이러한 應現說法은 관음의 因行시 誓願과 菩薩道에 의한다는 重層構造를 보여준다. 관음의 신행 역시 이러한 관음의 구제사상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신행 체계는 중생이 관음의 명호를 일심으로 칭명하고, 관음의 주(呪)를 誦念하며, 禮懺하고, 경을 독송하는 등의 수행에 의하여 삼매에 들면, 중생이 感하고 관음이 應하여 救濟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행 방법들은 중생들로서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각자의 근기에 맞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어서, 관음신행의 성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본다면 올바른 관음신행은 중생들이 당면한 고난의 해탈 뿐만이 아니라, 보살도를 실천하여 불도에 나아가는 수행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role of Avalokitesvara belief has had a notable role in the rise and propagation of Mahayana Buddhism. This began from the wide ideas on compassion within Avalokitesvara’s beliefs and the diverse Avalokitesvara practices. Scriptures that expl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s ideas compri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tus Sutra, Avatamska, Prajna, Pure Land, Vajrayana, and Samadhi. Among these scriptures, the Lotus Sutra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of Avalokitesvara practices that explains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scripture was completely translated from early on and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Avalokitesvara belief, and was even circulated separately as the Sutra of Avalokitesvara. Additionally, numerous scriptures related to Avalokitesvara were practiced together, making Avalokitesvara belief even more abundant. Avalokitesvara belief in these texts mainly features ideas on compassion. Avalokitesvara’s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is composed primarily of perspectives. First, Avalokitesvara is an idea of compassion that delivers mankind from the suffering and confusion of the present life through benevolence and prestige, and one that fulfills the wishes and hopes of mankind. Second, is the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which Avalokitesvara appears in order to save mankind, and explains the edicts to guide them to Buddhism. Third,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the practice of benevolence founded on vows and Bodhisattva at the time of Avalokitesvara’s Inhaeng(因行).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an exemplary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e sense that they resolve the earnest problems of life and guide one to Buddhism. The practice of Avalokitesvara takes place in a variety of manners by Avalokitesvara’s ideas of compassion. That practice system mankind reaches Samadhi by practices such as calling Avalokitesvara’s name, reciting Avalokitesvara’s wishes, venerating Avalokitesvara, and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Mankind feels, Avalokitesvara answers, and compassion takes place. These practices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mankind, and each can carry them out according to their own perseverance. Thu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alence of Avalokitesvara practice. In this manner, the correct Avalokitesvara practice is not just for the deliverance of man from immediate suffering, but also is a practice that fulfills Bodhisattva and leads to Buddhism.

      • KCI등재

        현신성불에 투영된 신라 관음신앙의 특징현신성불에 투영된 신라 관음신앙의 특징

        박미선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valokitesvara belief in Silla through the role and character of Avalokiteshvara Bodhisattva appearing in the legend of ‘Accomplishing Buddhahood in Present Lifetime’. As a result of examining articles on the Avalokitesvara faith included in Samkuk Yusa, researchers' opinions about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manifest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ere disagreements about the concept of the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and related tales. It refers to those who have attained Buddhahood in their current bodies, and if they have attained Buddhahood prior to rebirth, they should be regarded as Accomplishing Buddhahood in present lifetime. In the Samguk Yusa, there are 5 tales that correspond to this, and among them, Avalokitesvara Bodhisattva appears in 3 cases. The wife of Gwangdeok, the woman who appeared in front of Budeuk and Bakbak, and the monk who supervised the congregation of praying to Buddha during 10,000 days, in which Ukmyeon participated in her previous life, were the incarnation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Avalokiteshvara Bodhisattva assisted in the ascetic practices of Eomjang and Budeuk and led them to attain Buddhahood. Ukmyeon did not attain Buddhahood in his previous life, but she did in this life. It is thought that the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her previous life played a role in informing Ukmyeon of her lack of practice. In this way, the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the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took on a worldly character, such as actively intervening in practice. Through the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it can be reconfirmed that Avalokiteshvara faith in Silla has a strong temporal character. 본 논문은 현신성불 설화 속에 등장하는 관음보살의 역할과 성격을 통해 신라 관음신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관음신앙 기사를 검토해 본 결과, 현신성불 속 관음보살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 차이가 가장 컸다. 뿐만 아니라 현신성불의 개념 및 관련 설화에 대해서도 이견들이 존재하였다. 현신성불은 현재의 몸으로 성불한 것을 말하며 정토왕생, 현실왕생과는 다르다. 비록 정토왕생을 염원하고 성취했다고 하더라도 왕생보다 성불이 먼저 이루어진 경우 ‘현신성불’로 봐야 한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해 볼 때 삼국유사 속 현신성불에 해당하는 사례로 5가지 설화가 있으며, 이중 관음보살이 등장하는 경우는 3가지이다. 광덕의 처, 부득과 박박 앞에 나타난 낭자, 전생에 욱면이 참여한 만일염불회를 주관한 승려가 관음보살의 화신이었다. 이 관음보살은 엄장, 부득의 수행을 도와 성불하게 이끌었다. 욱면의 경우 전생에는 성불하지 못했으나 현생에서 만일염불회에 참여하여 성불하였다. 전생의 관음보살은 욱면에게 수행의 부족함을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현신성불 속 관음보살은 현재 수행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현재적 성격의 모습을 띠고 있었다. 한편 현신성불의 주인공이 일반 백성인 점도 특징이다. 이들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왕생을 염원하는 경우도 많았다. 왕생을 위해 수행을 해야 했고, 수행 방법을 알려줄 존재가 필요했는데, 그가 바로 관음보살이었다. 수행을 도와준 존재가 관음보살이라는 점이 그들을 성불로 이끈 것이 아닐까. 이처럼 현신성불은 현신왕생이 아니며, 왕생에 앞서 성불을 이루었고, 성불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현실에서 관음보살의 도움 때문이었다. 현신성불 속 관음보살을 통해 신라 관음신앙이 현세적, 현재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토함산 석굴암의 종교 상징적 의미 연구 - 십일면관음의 위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

        배금란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4 No.-

        Seokguram, the Pantheon of heavenly beings and Saints symbolically embodies the Dharma Assembly of the Avatamsaka Sutra. Wonhyeongdang (圓形堂), which enshrined the main statue, embodies the Buddha realm. The walls of the main room and the front rooms embody the world of sentient beings. Functionally, as seen in the Sejumyoeompoum of the Avatamsaka Sutra, it can be understood as a practicing place to worship, walking around the main Buddha. This is the case for Hwaeom monks who want to attain samadhi.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an incarnation of the main Buddha embraces the realm of Buddha (本尊; object of vereration), embraces the realm of Buddha and sentient beings. This is clearly revealed in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the statues of Seokguram. In this sense, Seokguram can be seen as a shrine of Avalokitesvara. The fact that the mountains are adjacent to the East Sea, there is a cave at the location where water flows, and the original name of Mt. residence ― symbolized by the sea, water, and the moon. Seokguram is symbolic of the process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the world, through Avalokitesvara, the incarnation of the Buddha. Toham was Wolham (⽉含) supports that Seokguram was Avalokitesvara’s 천부중(天部衆)과 성중(聖衆)의 판테온인 석굴암은 『화엄경』의 천상설법회, 구체적으로 도리천회의 형상화로 이해할 수 있다. 본존을 봉안한 원형당은 무위(無爲)의 불계(佛界)이다. 성중의 세계인 주실 벽면과 천중이 배치된 전실 그리고 이하의 신라국토는 유위(有爲)의 중생계(衆⽣界)로 상정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화엄경』 「세주묘엄품」에 묘사된, 요불(繞佛)이나 관불(觀佛)을 통해 삼매를 성취하여 법계에 수순(隨順)하는 화엄행자의 수행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신앙적 측면에서 석굴암은 관음보살 영장(靈場)으로서의 성격을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 조상(彫像)의 특징, 존상(尊像)들의 배치 구도에서 십일면관음은본존과 불이(不⼆)의 권화(權化)로서 불계와 중생계를 통섭(統攝)하는 존격(尊 格)을 보여준다. 관련 신앙의 내용이 기자(祈⼦), 재난구제, 천도 및 왕생이라는 점도 석굴암이 관음보살의 가피를 희구하는 신앙 공간임을 뒷받침한다. 지형적으로도 『화엄경』에 관음보살의 주처로 제시된 보타낙가산과 유사한특징을 갖추고 있다. 현장이 『대당서역기』에 묘사한 관음성지와 흡사한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동해에 인접한 산, 물이 용출하는 위치에 건립된 석굴, 토함산의 옛 지명이 월함산(⽉含⼭)인 점 등은 바다, 물, 달로 수식되는 관음영장을 충족하는 훌륭한 외연이다. 즉 석굴암은 화엄세계관을 토대로 본존 법신 비로자나불의 위신력이 십일면관음보살을 통해 일체의중생과 세계를 섭화하는 화엄 구제론의 정수를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대한불교 천태종의 정체성 형성 과정

        강돈구 ( Don Ku Kang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1967년 상월(1911-1974)에 의해 중창된 한국 천태종의 정체성 확립 과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상월은 젊어서 천수다라니 주송 기도를 비롯해서 불교 이외의 다양한 수행법도 이용하여 수행을 하였다. 그의 중요한 종교체험은 두번에 걸쳐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수행중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체험이고, 두 번째는 이후에 석가모니의 대각에 견줄 수 있는, 스스로가 부처라는 것을 자각하게된 체험이다. 상월은 자신의 깨달음에 토대를 둔 새로운 종단을 세우면서, 이 종단의 정체성을대내외에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상월은 이 때 새로운 종단의 전통성과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의 종단이 지의가 창종한 중국 천태종과 이를 이어받은 의천의 고려 천태종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표명하였다. 그리고 초선 초기에 그 맥이 끊긴 고려의 천태종을 자신이 중흥하여 새로운 종단을 세웠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자기의 천태종은 중국의 천태종과 고려의 천태종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 아니고 현대에맞게 수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현대 한국의 천태종은 현재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상월의 천태종이 지의와 의천의 천태종과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 것이다. 같은 점을 찾는 노력은 상월의 천태종이 전통성과 정통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점을 찾는 노력은 상월 천태종의 또 다른 존재 이유를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상월에 대한 종단의 내적 인식과 외적 인식의 괴리를 정리하는 것이다. 현대 한국 천태종의 두드러진 특징은 관음신앙과 조사신앙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둘 가운데 조사신앙이 보다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월은 종단내적으로 또 다른 부처로 인식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어 있다. 이 점은 현대 한국 천태종이 지니고 있는 매우 중요하고,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한국 천태종 나름의 차별성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 사실을 종단 외부에 공개적으로 표명할 경우 현대 한국 천태종에 대한사회적 인식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역사적으로 실존해 있던 인물을 또 다른 부처로 신앙하는 종단을 과연 불교의 한 종파로 간주할 수 있는냐 하는 문제가 제기될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현대 한국 천태종은 한편으로는 전통성과 정통성을 확보해야 하면서,또 다른 한편으로는 나름의 차별성을 획득해야만 하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 두 가지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현대 한국의 천태종은 나름의정체성을 확보해 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for establishing identity in the Cheontae Order, founded by Sangwol(1911-1974) in 1967. Sangwol experienced various Buddhist practices in his youth, such as the Thousand-hand Dharani. Hewitnessed other non-Buddhist religious practices as well. He had to transformative religious experiences: he met Avalokitesvara personally and he found enlightenment. Sangwol practiced byhimself with no teaching master and had to seek out his ownopportunities to attain Buddhist Knowledge. When Sangwol founded his new Buddhist order, he needed toshow the identity of his own Cheontae Order to the world. In orderto gain legitimacy, he declared that the Korean Cheontae Orderfollowed the “Cheontae philosophy” from Ji-eui (the Chinese monkwho created the first Cheontae Order). He also cited influence from Eui-cheon (the Koryo Dynasty monk who established the Koreantraditional Cheontae Order). However, Sangwol didn`t view the newKorean Cheontae Order as identical to these older manifestations; but rather, it was an updated movement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There are two serious problems with the modern Korean Cheontae Order. First, the modern Korean Cheontae Order should clarify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older Cheontae Orders. The differences should be grounded in the needs of modern Korean Buddhist believers. Second, the contemporary Korean Cheontae Order should recognize Sangwol`s instructions of inner change and outer expression.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eontae Order are bodhisattva-belief and master-belief. Of the two, master-belief precedes boddhistattva-belief. In the contemporary Korean Cheontae Order, Sangwol is the other Buddha to the laypeople. This is a very important point in regards to the order`s identity in the religious world. But if Cheontae Buddhists reveal this belief to people, they will be open to censure and criticism from others. And the traditional Buddhism community could pose aproblem to the contemporary Korean Cheontae Order. The contemporary Korean Cheontae Order should establish tradition and orthodoxy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clear itsdifferences with other Buddhist orders. When the Korean Cheontae Order solves these problems, it will have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