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연구

        임선애,김상운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7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is an important education to educate the university together with the major education. Some universities prepare for future societies requiring convergenc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showing a tendency to strengthen liberal arts education.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often carried out by reviewing and reviewing various problems such a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opening of curriculum, professor in charge of curriculum, specialized institution, and administration. They are of organic relevance and contribute to chang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composition of curriculum for university liberal arts. First, the research trends of universal liberal arts curriculum are summarized. Second, based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presented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andards of the Korea Liberal Arts Education Foundation. The cours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As a result, the tendency of curriculum trends in liberal arts curriculum has changed from the tendency of discussing general liberal arts curriculum to liberal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uses a wide variety of names. The name that is used variously means to have self-rightness and autonomy, but it may mean that there is no philosophy about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education that enhances critic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양 디자인 교과목 현황

        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global talent to lead the 21st century knowledge fusion society. To this end,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ity that can innovatively pioneer the future by accepting and forecasting changes in the global age is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an manifest creative ability is emphasiz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design subjects that contribute not only to aesthetic style education but also to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 improvement in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 universities selected from among the top 15 universities in the total ranking of 2015 four-year university evaluations in the Joongang Ilbo. By analyzing subjects selected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selected universities, only curriculum related to design education was classified and selected to define the current state of design curriculum.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case study of th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of nin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the average number of design subjects in nine universities was 7.7 subjects and 21.9 credits. Also, in the distribution of design subjects searched through keywords, there were 47 design courses and 132 design credits. The college with the least number of open design subjects and credits is Yonsei University, with three credits and nine classes, whereas the school with the most is Hanyang University. The highest grade is Korea University. By the end of term, the first semester courses included 117 credit points in 41 curriculum subjects. In the second semester, 142 credits were opened in 50 subjects, meaning that more subjects were opened in the 2nd semester. Analysis by semester shows that the second semester has about 142 credits with 50 courses or 18% more than the 41 courses and 117 credit points of the 1st semester.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reas of core education, major-related education, selective education, liberal arts selections, and liberal arts. (Conclusions)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design education is an important field of education that distinguishes it from art. Design education is a discipline necessary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at enables creative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long with comprehensive and analytical thinking through reasoning. Considering the recent sit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and develop design curriculum with various design content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대학교육은 21세기 지식융합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창의인재를 요구한다. 또한 이를 위해 글로벌 시대의 변화를 수용하고 예측하여 미래를 창조적으로 개척할 수 있는 창의성 함양 교육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 역량을 발현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에서 미적 스타일 교육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기여하는 디자인 교과목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중앙일보에서 실시하였던 2015 4년제 대학평가 종합순위 상위 15위까지의 대학교 중에서 다수의 디자인관련 교과목이 개설된 9개교를 조사 대상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학교의 교양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목을 분석하여 디자인교육과 관련된 교과목만을 분류하여 디자인교양교과목으로 선정하여 디자인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결과) 경희대학교를 비롯하여 총 9개 대학교 교양교육 디자인교과목의 종합적인 사례분석결과, 9개 대학교에 개설된 디자인과목수의 평균은 7.7개 과목이며, 21.9학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워드로 검색된 디자인교과목의 분포에 있어서도 디자인은 47개 과목, 132학점으로 제일 많은 디자인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디자인교과목과 학점이 최소로 개설된 대학은 연세대학교로 3과목 9학점이며, 과목수로 가장 많이 개설된 학교는 한양대학교이고, 학점이 가장 높게 개설된 학교는 고려대학교였다. 개설학기별로 살펴보면, 1학기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은 41개 교과목 117학점이었다. 2학기는 50개 교과목에 142학점이 개설되어 2학기에 좀더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별로 분석해보면, 2학기가 50과목 142학점으로 1학기의 41과목 117학점보다 약 18%가 더 많이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대학마다 핵심교양, 전공관련교양, 선택교양, 교양선택, 자유이수 등 개설된 교양편성영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론) 교양교육과정에서 디자인교육은 예술 또는 미술 영역과는 구분되는 중요한 교육분야이다. 디자인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시키고 추론적 사고방식을 통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학문이다. 창의적 사고를 통한 융합형인재를 키우는 것이 중요한 최근 대학교육의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에도 디자인교양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디자인콘텐츠를 지닌 디자인교과목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의 실행을 위한 학생 인식 조사 연구 – 기초교양교육을 중심으로 -

        전종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for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detail, it was attempted to give feedback to liberal arts education by identifying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communication and foreign language basics among the basic liberal arts. These subjects are mainly required for students to take optional compulsory courses from the time of admissi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at K University, sele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2 academic year, developed survey questions based on various case studies. After conducting surveys for each a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discuss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possible to feel the instructors' efforts to manage the quality of lectures through students' perceptions of each area. At the same time, constructive opinions suggested by the students were drawn on the details of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each lectur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nd reflect the plans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students' needs for communication and foreign language basic areas, which are centrally addressed in th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계열을 고려한 세분화된 기초SW교육 방향 탐색

        김완섭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4

        Computer education in universities has been expanded and specialized from ICT-based education in recent years to software education such as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ming. Especially,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mphasized in all fields of society, software education, which is its core, is being applied as an essential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ies. In the case of basic SW education for al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iated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students because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basic SW course for general liberal arts at A-university in Seoul and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4,927 students for about 3 years, and classified the major series and searched the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for each subdivided group. Through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find characteristic groups such as business and commerce, art and sports major. Finally, six groups for basic-SW education are presented. Educational directions such as programming language and level of difficulty setting suitable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are presented for each group. 대학에서의 컴퓨터교육은 과거 ICT 활용 중심의 교육에서 최근에는 컴퓨팅적사고 및 프로그래밍 등의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그 내용이 확장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사회 전 분야에 강조되면서 그 핵심인 소프트웨어 교육이 대학에서 필수적 교양수업으로 도입되는 추세이다.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SW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학생들의 전공계열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적합한 세분화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A대학에서 교양필수 기초SW과목을 운영하고, 약 3년간 수강생 4,927명으로부터 얻은 설문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공계열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화된 그룹에 적합한 교육방식을 탐색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경상계열, 예체능계열, 자유전공 등의 특징있는 그룹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6개의 세분화된 기초SW교육을 위한 그룹을 제시하였으며, 각 그룹별로 교육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 난이도 설정 등의 교육방향을 제시하였다.

      • NCS교육과정을 통한 전문대학의 교양교과목 개편에 관한 연구 -Y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란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19 교양교육실천연구 Vol.3 No.1

        In order to create an ability-oriented society that evaluates ability, not academic background, professional universities are actively applying job-related skills such as knowledge and technology to industrial sites. By emphasizing vocational basic skills education that all professional workers should have regardless of their occupation, the school is organizing and operating vocational basic skills education courses in the curriculum reform Develop the NCS curriculum at Y junior college to review the importance of basic vocational ability corresponding to liberal arts. As a result, the ga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training demanded by industrial sites will disappear, ineffici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blems and criticism that excessive space construction is increasing re-education costs and delaying employment time. Moreover, through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learners' motivation is also judged to be high, and professors will als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class knowing the learners' requirements, which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asses. 전문대학은 학력이 아닌 실력이 평가받는 능력중심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현장에서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 직무 관련 능력을 표준화한 NCS(National Compete 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실무중심 교과로 교육하고 있다. 직무를 막론하고 모든 직업인이라면 갖추어야 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며 교육과정개편에 직업기초능력 교양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북의 Y전문대학의 NCS교육과정 개발을 통해서 교양교과목에 해당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를 각 계열별로 살펴본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계열에 알맞은 직업기초능력을 편성한다. 또한, 학습자중심의 교과과정편성을 통해 학습자의 수업에서의 의욕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교수자입장에서도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인지하고 수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수업의 질적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Moodle의 퀴즈활동 활용 방안에 관한 고찰 - 교양 일본어 수업을 중심으로 -

        조선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연구는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초급 일본어과목 수강생을 지원하기 위해 Moodle의 퀴즈 모듈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초급 일본어과목 수강생은 일본어 능력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생각할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먼저 무들에서 교수자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퀴즈 모듈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를 한 후 모든 학생들을 격려하기 위해 어떻게 퀴즈의 여러 가지 사항을 설정하고 편집해야 하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퀴즈 진행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화면을 통해 설명하였다. Moodle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게스트 아이디를 사용했으므로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교수자는 수강생의 접속 이력과성적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퀴즈 활용효과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퀴즈 모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퀴즈 모듈을 적절하게 설정한다면, 비록 퀴즈 모듈이 학습 활동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더라도 다양한 일본어 능력을 가진 수강생들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좀더 다양한 퀴즈 활동을 고안하여 교양 일본어 수강생의 일본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The paper focuses on the use of the “Moodle” quiz module to support students undertaking a basic Japanese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Notab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eaching methods that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in Japanese. First, the paper introduces the features of the Moodle quiz module pertaining to what is required of the teachers administering the module. It explaines how to generate a quiz module that will encourage all students. Screen images are shown, to illustrate how students do quizzes using the system. A guest ID is used to log in to Moodle easily. A teacher can check students’ access history and track their score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quiz module.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students’ opinion on the quiz module a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Moodle quiz module can support students with various levels of proficiency in Japanese. It is expected that the accumulation of numerous quiz modules of various designs in the future will support students undertaking a basic Japanese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 教養日本語科目でのレベル別授業-クラスのレベルと能力に差がある学習者の観点から-

        카와노 나츠코 한일일어일문학회 2014 한일어문논집 Vol.18 No.-

        2013년도 2학기에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양 기초일본어과목은 3단계로 수준을 나눈 “수준별 분반”을 실시했다. 수강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 전체의 약60%이「자신이 배우고 있는 반과 자신의 수준이 맞지 않는다」라고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자신의 실력과 수준 차이가 있는 반을 수강한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어 시작하였으며 학습 의욕, 실력향상, 만족도등 3가지 항목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및 원인에 대한 고찰을 실시했다. 학습자 능력과 반의 수준 차이(상,하)에 관계없이, 과반수이상은 실력이 향상했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자신의 능력보다 수준이 높은 반을 수강한 학습자」는 그 절반 가까이가 반의 다른 학생의 실력 높이가 플러스로 작용해서 학습의욕이 더욱 생긴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성적상의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요소의 영향으로 자신의 능력보다 높은 수준의 반을 수강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자신의 능력보다 수준이 낮은 반을 수강한 학습자」는 그것이 0수준(히라가나를 모르는 수준)의 반의 학습자이며, 자신의 능력보다 수준이 낮은 반을 선택했을 경우, 학습 의욕이 생기기 어려운 경향에 있는것 또한 알았다. 이는 수업의 난이도가 낮고, 성적면에서는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만족도는 70% 가까이에 머무르고, 자신의 능력보다 낮은 수준의 반을 수강하는 것과 만족도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고 보였다이와 같이, 자신의 능력과 차이가 있는 수준의 반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전체의 70% 가까이가 「만족」이라고 회답하고, 약80%이 「앞으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면 좋다」라고 답하며, 학습자의 만족감이나 학습의욕, 실력향상의 달성감등이 반드시 엄밀한 수준별 분반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시사되었다. 수준별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가 보다 배우기 쉬운 환경을 갖추기 위해 앞으로 다양한 시점, 대상, 어프로치에 의해 한층 더 실천 연구를 거듭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표준모델을 적용한 4년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정승원,장현수,김세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improve the liberal arts basic curriculum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this curriculum within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the division of basic education, as well as the liberal arts and literacy areas of the standard model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atio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to graduation credits, the average ratio of basic education in 132 universities was 26.2%. This is well below the minimum standard of 35% suggested by the standard model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ratio by area was analyzed to be 10.4% for basic education, 12.1%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3.6% for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by region, establishment type, and university size, the difference in ratio was not large. Due to the insufficient ratio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organiz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is curriculum between universities, the proposal of the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cannot objectively be regarded as an effective from the prerequisites. However, the division of areas in the standard model can contribute to highlighting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basic curriculum, and for suggesting improvements. The lack of an understanding of the precise goals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is revealed as the phenomenon of adjusting the curriculum within a limited proportion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goals of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should increase the ratio of formation by area and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의 ‘기초교육’⋅‘교양교육’⋅‘소양교육’이라는 영역 구분을 통해 교양기초교육과정의 편성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교양기초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출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교양기초교육 편성의 졸업이수학점 대비 비율을 조사한결과, 132개 4년제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편성 비율의 평균은 26.2%였다. 이는 「대학 교양기초교육의표준 모델」이 제시하는 최소기준인 35%에 크게 못 미친다. 또한 영역별 비율 평균은 기초교육이 졸업이수학점 대비 10.4%, 교양교육은 12.1%, 소양교육은 3.6%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권역별, 설립구분별, 규모별로 확인할 때에도 그 비율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 편성비율의 부족과 대학간 교양기초교육과정 편성의 차별성 미흡으로 인해,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모델」의 제안은 전제조건에서부터 그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 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제안과는 상반되게 영역별 구분은 현재 교양기초교육과정편성의 근본적 이유를 부각시키고, 개선의 방향을 시사하는 데에 일정 기여할 수 있다. 교양기초교육의목표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기초교육⋅교양교육⋅소양교육의 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부족하고 한정된교양기초교육 편성 비율 안에서 교육과정을 조절하는 현상으로 드러난다. 교양기초교육의 목표를 지향하고 달성하기 위한 교양기초교육과정의 개선은, 편성 비율의 확대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지만 이확대는 교양기초교육의 영역별 목표를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독립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이루어져야만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양영근,정원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In this study, we started from the worries of how can be utilized in a liberal arts education the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that utilize the policy of the state in the new dimens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not only the purpos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only foster background knowledge and basic character education is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ployment is the trouble of the largest student school, society and the actual. Therefore, the actual direction of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based on the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to order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side to supplement a liberal arts education the missing part in the education of majors,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quired by the industry and students be carried out on demand survey of the industry, to want to see is an important objec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onesty, sense of responsibility, attitude and manners, virtues of toughness that industry is required, and the like aggressiveness, human resources image associated with this, in human resources and with toughness, sense of purpose, creativity and spirit of challenge, The talent of these images, via a liberal arts education, there can be more extended subjec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train the human resources with a variety of ability and toughness if industry reform of the liberal arts have been performed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basic ability NCS professional needs. Finally, it is not a part that can only education in subjects only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mparis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of the students, I can extend subject thing more.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always necessary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critical thinking of students, to adapt to society, by creating a personality. Thus, through the changes, the change is necessary for broader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새로운 교양교육 차원에서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을 교양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하였다. 교양교육의 목표가 단지 인성교육과 기본 소양을 기르는 것에만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 학교, 사회 그리고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공교육에서 부족한 부분을 교양교육에서 보충하는 측면과 교양교육을 통해 학생들과 산업체가 요구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의 개편방향을 실제 산업체 수요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분석결과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성덕목은 성실성, 책임성, 예절과 태도, 적극성 등이며, 이에 따른 인재상은 인성, 목표의식, 창의성, 도전정신을 가진 인재로 이러한 인재상은 교양교육을 통해 보다 확장되어질 수 있다. 또한 NCS 직업기초능력의 보강을 통해 교양교과목 개편이 이루어진다면 산업체가 요구하는 다양한 인성과 역량을 가진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은 단지 교과목으로만 교육되어질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 학생들의 선호에 맞춘 비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보다 확장되어질 수 있다. 교양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배양하고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인격체를 만드는 것으로 교양교육은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변화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양교육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교양기초교육과정 운영 사례 :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남식용(Nam, Sik Yong),이병철(Lee, Byoung Chul)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21세기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에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입시에서의 대단위 모집단위의 확산과 학부제, 전공진입제 등 형태상의 변화로 표현되는 그러한 모습들과 더불어 교육적이며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몇 가지 결과를 우리 대학사회에 가져왔다. 특히,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변화는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강화라 할 것이다. 물론 과거에도 의미 있고 중요한 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공영역에 종속된, 혹은 단순히 학부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그저 편안하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가벼운 교과과정 정도로 인식되어 온 것도 사실이라 할 것이다. 다행인 것은 이러한 과거의 인식은 최근, 질적으로 우수한 교양교육이야말로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주요한 밑바탕이라는 공감대와 더불어 일정 정도 불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역시 그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교양교육의 강화를 우리 학교의 장기발전계획인 VISION2010+ 5대 전략과제의 하나로 천명하고 있으며, 그 시행과 결실의 첫단계로 2005학년도에 교양기초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 바 있다. 또한 교양기초교육을 총괄하는 교육기관으로 학부대학을 별도로 출범시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본 글을 통해 그간 이루어져 왔던 교양기초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부대학의 노력을 몇 가지 주요 특징적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의 현재 상황을 간략히 언급하고, 이어 2005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교양기초교육의 변화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로서 글쓰기(커뮤니케이션)교육의 강화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하나인 기본영어 교육의 강화사례를 살펴보고 기초영역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현황 또한 살피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담보해 낼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평가와 개편의 독특한 사례를 되짚어 보고 교양기초교육 강화의 가장 주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우수한 교수자원의 확보 및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several meaningful changes to the paradigm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It has brought several results along with such formal changes as spread of large admission units in entrance examination, faculty system, and major entry system to university society in educational and practical aspects. Especially, the most outstanding change is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n universities. The liberal arts courses exis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in the past, too.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to be subordinate to major field or to be light courses only for freshmen and sophomores. Fortunately, this old recognition is getting weak with consensus that excellent liberal art courses can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SKKU) declared that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s one of VISION2010+ 5 strategic agenda and reorganized the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completely in 2005 as the first step. Furthermore, SKKU organized University College which takes charge of liberal arts courses. We can see the efforts of University Colleg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liberal arts courses through examining principal operation cases. Current status of SKKU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will be mentioned in the first place, and reinforcement of writing(communication) education will be examined as a case. Moreover, a case of basic English education reinforcement which is one of the efforts to globaliz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differential education in basic courses will be examined as well. Finally, oper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 curriculum which ensures qualitative excellence of liberal arts courses, and professor resources procurement pla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liberal arts courses reinforcement will be examined sequenti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