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을 위한 BIM 템플릿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 건축물 관련 BIM 모델 생성을 중심으로 -

        홍사철,김석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BF인증 의무 대상 범위의 확대로 큰 규모 건축설계에서 인증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부의 정책으로 BIM 또한 범위를 확대하여 건축설계의 많은 부분에서 BIM 적용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BF인증 업무 수 증가와 많은 양, 동일 업무의 반복으로 효율 저하와 비용이 발생하므로 효율을 높이는 제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인증 업무는 일정한 항목의 설치와 기준의 준수다. 따라서 항목과 기준을 미리 준비하고, 쉽게 선택하고, 사용이 가능한 템플릿으로 제공한다면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더불어 현시점에서 BIM 체계의 프로젝트는 BF인증 업무가 발생하므로 인증 업무의 효율을 높이며 빅데이터 융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BIM 템플릿 파일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BIM 템플릿 파일 생성 프로세스는 먼저 BF인증 평가항목과 기준에서 객체의 추출과 적용되는 기준들을 분류하고 준비한다. 그 후 추출된 객체를 BIM 체계의 시스템객체와 외부객체로 분류하고, 시스템객체는 내부 유형으로 준비하고, 외부객체는 외부 모델링 파일로 준비한다. 추가로 정리한 인증의 기준들은 객체에 적용하여 유형과 속성으로 분류하고, 이렇게 생성된 객체와 유형들을 모아 BIM 템플릿 파일을 구성한다. 좀 더 유용한 템플릿 파일이 되도록 준비한 객체와 유형들은 인식이 쉬운 명명과 적절한 상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각 객체의 조합을 그룹 체계를 통해 구성한 후 외부 파일로 제공하고 링크를 통해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결과) 연구에서 제공한 BIM 템플릿 파일을 사용하여 BF인증 업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BIM 템플릿 파일에 내장된 각 객체 외부 파일과 유형에 쉽게 접근 및 편집으로 지속적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또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가 직접 외부 파일을 BIM 파일 다운 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새로운 BIM 템플릿 파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BF인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BIM 객체정보와 내부 유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BF인증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 것에 일조할 것으로 판단하며, 추후 각 사용자에 맞추어 객체 및 상세 추가와 유형의 개발, 객체 조합의 추가 링크가 이루어지면 더욱 유용한 BIM 템플릿 파일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expansion of the mandatory scope of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certification work is now required in large-scale architectural designs. Additionally, as part of government polic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also been expanded, leading to active BIM adoption in many aspects of architectural design. Given this situation,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proposals to increase efficiency due to the increased workload of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and the efficiency decrease and cost arising from the large volume and repetition of similar tasks. Certification work involves the installation of specific items and compliance with standards. Therefore, it was anticipated that efficiency would increase if items and standards were prepared in advance, easily selectable, and provided as readily usable templates. Furthermore, at the current stage, since projects in the BIM system involve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work, it wa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ertification work and foster a big data integration environment by providing BIM template files. This led to the initiation of research. (Method) The process of creating BIM template files begins by first classifying and preparing the criteria extracted from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Next, the extracted objects are classified into system objects and external objects of the BIM system. System objects are prepared as internal types, while external objects are prepared as external modeling files. Additionally, the organized criteria of the certification are applied to the objects, classifying them into types and attributes. These generated objects and types are then combined to form the BIM template file. Objects and types prepared to create a more useful template file are structured with easy-to-understand naming conventions and appropriate details. They are then provided as external files through a grouping system and configured for use via links. (Results) By using the BIM template files provided in the research,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work. Users can easily access and edit each object, external file, and type embedded in the BIM template file, allowing for continuous customization. Moreover,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 users can also download external files from BIM file download sites and create new BIM template files directly.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formed into digital-based BIM object information and internal type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work. It is anticipated that by further tailoring objects and details to individual users, developing types, and adding additional links for object combinations, even more useful BIM template files can be created.

      • KCI등재

        BF인증 평가 항목 개선을 위한 연구 - 수원교구 가톨릭 성당을 중심으로 -

        김찬용,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 배경 및 목적) Barrier Free(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이하 BF라 한다)는 Universal Design과 동일한 배경으로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하여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국내의 경우 다른 나라들보다 늦게 도입되었으며 1997년 4월에 시행된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회적 약자들의 시설 접근과 이용에 관하여 편의증진을 실현해 왔다. 그러나 시설의 이용자들인 사회적 약자들의 실제 경험에 따르면 여전히 이용에 불편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므로 아직도 건축물들이 장애물을 제거했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2021년도 이후 BF인증제도가 의무화되었지만, 아직도 BF인증 현황에서는 본인증을 취득한 건축물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BF인증 제도의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종교시설 중 천주교 성당건물의 설치 현황을 조사하여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해 향후 BF인증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 제안 및 설계계획 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BF인증지표 중 건축물인증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로 범위를 한정하였고 인증지표와 종교시설의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건축물로 「장애인 등 편의증진법」 제정 이후 신축 성당이 가장 많은 수원교구의 성당 중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당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BF인증 건축물 평가지표 중 종교시설에 해당 항목의 세부지표에 대한 설치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천주교 성당마다 항목별 평가 배점을 산출하고자 한다. 또한 산출된 평가 배점을 분류하여 종교시설에 적합한 BF인증 건축물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현황 조사를 통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기준 8개 대상 건축물 중 2000년대 1개소, 2010년대 2개소 등 우수 기준을 만족하는 건축물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증제도 자체평가표의 24개 항목 중 10개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미설치를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대상 건축물의 요소별 설치 및 관리 상태 등은 준공연도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평가지표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만 자세한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을 뿐 건축물별 용도에 따른 현실적인 항목의 부족으로 이용자를 위한 시설의 평가라고 보기 어렵다. (결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는 사회적 약자들의 시설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제도가 시행된 후 매년 설치율과 적정 설치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회 발전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제도적으로 필수 인증시설의 대상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교시설의 경우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자율 및 권장 사항에 해당하여 그 설치가 미흡함을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준공된 건축물 중 미설치 항목을 제외하고 우수등급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변화로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제도의 경우 24개의 중간분류 항목 중 8개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조사 대상 건축물의 설치 부재를 확인하였고, 일부 항목은 건축물의 특성과는 관련 없는 평가항목으로 구성이 되어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Barrier Free (BF) shares the same roots as Universal Design, originating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70s and later spreading to Europe. In Korea, it was introduced later than other countries, in line with the Act on Ensuring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Elderly, Pregnant Women, etc., enforced in April 1997. This legislation aimed to enhance access to and the use of facil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the primary users of such facilities–revealed persistent inconveniences, indicating that obstacles have not been fully eradicated from buildings. Although a BF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mandatory since 2021, no buildings have yet obtained BF certification. Hence, this study aimed to scrutinize the installation status of Catholic cathedrals among religious facilities, based on the BF certification system evaluation criteria. The goal was to use the data as a foundation to pinpoint issues in future BF certification systems, suggest enhancement strategies, and offer insights for design planning. (Method)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building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within the BF framework. It selected a cathedral in Suwon City within the Diocese of Suwon, known for having the highest number of new cathedral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The cathedral serves as a focal point for evaluating certification indicators and amenity installation status in religious facilities. Specifically, we assessed the installation status of each BF-certified building evaluation index item in religious facilities and computed evaluation scores for each Catholic cathedral. These scores were then categorized to derive improvement strategies for BF-certified building evaluation indicators tailored to religious facilities. (Results) The study revealed a positive trend among the eight targeted buildings for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 with an increasing number meeting excellent standards, including one from the 2000s and two from the 2010s. However, the self-assessment table of the certification system exposes deficiencies in installation, with 10 out of the 24 items lacking. Overall, although compliance has improve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within legal boundaries hinder facility evaluation for users because of the absence of realistic considerations for each building's usage. (Conclusions)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strives to ensure that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face no obstacles in facility usage, with installation rates consistently rising since implementation. Societal development demands an increase in certified facilities that cater to diverse needs. However, religious facilities, with a few exceptions, operate voluntarily or based on recommendations. A positive development is that constructions post-2010 are eligible for excellent ratings, with the exception of uninstalled items. In the certification system, 8 out of 24 intermediate classification items lacked installation in the surveyed buildings, with some items unrelated to building characteristics.

      • KCI등재

        휠체어를 이용하는 학생을 위한 대학교 캠퍼스의 배리어프리 환경에 관한 연구 - 일본 후쿠이대학 분쿄(文京) 캠퍼스를 중심으로

        배민정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24 의료·복지 건축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barrier-free environment at Fukui University's Bunkyo Campus, focusing on the mobility of students using manual wheelchai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architectural plans, barrier-free facilities, and class schedules at Fukui University’s Bunkyo Campus. Measurements included step heights, slopes, and the accessibility of classroom furniture for manual wheelchairs. Mobility was assessed by timing the movement between 19 classrooms us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during breaks and summer vacation.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at while Fukui University’s Bunkyo Campus has some barrier-free buildings, significant improvements are needed. Issues include inadequate elevators, hand operated doors, and multi-purpose restrooms, as well as inefficient classroom's furniture layouts for wheelchair users. To enhance accessibility,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reducing elevator wait times, automating doors, and optimizing classroom designs. Implications: The study indicates that Fukui University’s Bunkyo Campus need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arrier-free accessibility.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detaile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Enhanced campus accessibility and better classroom designs are crucial for equal learning environments. Similar issues may exist at other Japanese universities, warranting broader investigation.

      • KCI등재

        노인 주거시설의 위생공간을 중심으로 고령자의 건강과 무장애 생활환경을 위한 인증 방법에 관한 연구

        홍사철(Hong, Sa-Chul),백진경(Paik, Jin-Kyung),김석태(Kim, Suk-Ta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3

        Promoting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is necessary in residential facilities on which senior citizens rely most of their lives. Safety of elder people can be reassured by 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existing barrier-free certification program in public facilities. The range of certification does not cover all living area, but is limited to the bathroom, which is a sanitary space. Given the nature of BIM modeling, an existing multi-family building was selected and modeled, as the certification process requires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various viewport. BIM modeling of the bathroom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ertification for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removal of thresholds, larger doors, better selection of finishing materials, sufficient room for a wheelchair, larger space next to the toilet, and the availability of an emergency bell and grab bars. Such information supports the potentials of BIM modeling, and it is expected that an automated certification system would be established in the foreseeable future.

      • KCI등재

        문화유적지의 무장애 관람환경 조성방안 연구

        류상오,이규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2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7

        As Korea enters a rapidly aging society, the issue of universal tourism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While preserving the speci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sit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heritage site, and to create a universal environment such as a barrier-free space that can be used by all citizens beyond disability, age, and gend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to create a barrier-free space that can be used by everyone, such a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of palaces, tombs, and Jongmyo Shrin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problems of space movement and access, and the level of various human services through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universal viewing environment of cultural heritage facilities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ircular viewing path so that you can move and view the entire cultural heritage site, and it is important to remove all steps in the movement path. It is desirable to install ramps and wheelchair lifts in consideration of materials and colors that do not feel different from cultural properties, such as stone or wood,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damage the cultural property landscape. Various sensor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responding to various disorders such as vision and hearing. Conveniences such as hand-touchable miniature models, audio guides including easy commentary, and professional human services such a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hould be provid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uidance system for informatio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access methods of various services, and the scope of convenience provision.

      • KCI등재

        BIM을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 케어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고령자 무장애 생활환경을 위한 일반 공동주택 개조를 중심으로 ‑

        홍사철,이종렬,김석태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As the structure of society changes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government-led car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is approach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imits, and community care centered around the local communit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is on the rise because of the convenience in managing the household and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lthough elderly housing is at the center of home care, most multi-family housing is design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 This study started with basic research to prepar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community care by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needed for realizing welfare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barrier-free liv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evaluated as the most well-organized quantitative barrier-free standard to dat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as used to establish and evaluate the information system of data operation. Results : The data for certification criteria that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of barrier-free housing was applied to home renovation was extracted and defined as a BIM object. The suitability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was evaluated by gathering BIM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of the type of residential unit that is most common in general multi-family housing before evaluating and grading.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general multi-family housing where the elderly currently reside requires massive housing renovations, particularly bathroom remodeling. 연구배경 : 사회구조의 고령화에 따라 정부주도로 추진된 전문시설 및 전문인력 위주의 고령자 케어가 질적, 양적 한계를 보이며, 이에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 케어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리상의 편의와 농어촌 인구의 감소에 따라 공동주택 거주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주거는 재가 케어의 핵심이지만 대부분의 공동주택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고령자를 위한 별도의 주택개조가 필요하며, 이에 무장애 노인주택의 표준화 및 인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 현재까지 가장 잘 정리된 정량적 무장애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는 무장애 생활인증제도를 바탕으로 고령자 복지실현에 필요한 요건을 파악하여 커뮤니티 케어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연구에서 시작하였다. 정보운영 정보시스템의 구축과 평가는 BIM을 활용하였다. BIM정보는 도면조사와 실제 답사를 필요로 하는 재래의 인증시스템에 비하여 복지수준의 예측, 정량화, 자동인증 등, 시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 무장애 주택 개조 적용을 위한 내용 인증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BIM 객체로 정의하였다. 가장 보편적인 일반공동주택의 실내공간 주거유닛의 BIM정보를 구축한 후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무장애 인증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 고령자가 거주하고 있는 일반 공동주택은 욕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주택개조를 요구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모델링 데이터에서 실제 개조공사에 필요한 도면과 견적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기반 고령를 위한 주택개조 지원사업 운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안된 BIM정보를 이용한 무장애 생활환경 실행 프로세스는 일반 공동주택의 개조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공사내역과 도면을 추출하는 등 실행에 필요한 정보까지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비대면으로 원격인증과 검토가 가능한 BIM의 장점을 활용하면 고령자의 장애정도와 특성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케어의 근본이 되는 고령자 주택개조 정부 지원사업을 운영하는데 유용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 당사자관점에 기초한 베리어프리 전시감상환경 연구

        김선희,엄명용,이의빈,조준동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barrier-free exhibition-appreci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perspectives.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Researchers conducted a couple of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visually impaired persons. Yin’s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analysis revealed nine sub-themes in two sections: three from ‘accessibility within the exhibition room’; and six from ‘demand for immersive exhibi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we need to provide quality information appropriate for artworks-appreciation; secondly, to ensure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to appreciate the culture and arts without any barrier, we need to extend certif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to exhibition-appreciation area. Finally, to facilitate these two tasks we need to encourage the convergence research among science and technology, humanities and society, and culture and arts.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당사자관점에 기초한 베리어프리 전시감상공간 조성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으로 중증시각장애인 4사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한 후 Yin의 사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시실 내부 접근성(3개 주제)과 몰입 가능한 전시 요구(6개 주제)에서 총 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학문적 제언을 한다. 첫째, 시각장애인이 감상에 몰입할 수 있는 작품에 대한 정보의 질을 확보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문화향유권 증진을 위해 베리어프리 생활인증제가 문화예술영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정책개편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적․정책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문화예술 융합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고령자 주거환경 개선방안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 분석

        이창수 ( Lee Changsu ),이상훈 ( Lee Sanghoon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3 建設技術論文集 Vol.42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고령화 사회 도래에 따라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관련 법규와 제도, BF(Barrier Free) 인증제도와 UD(유니버셜 디자인)를 분석하고자 한다. 각국의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BF와 UD가 적용된 사례를 조사함으로서 노령화 인구에 적합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후 아파트단지의 개선 및 리모델링 사업에 유용한 지침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래된 주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리모델링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방법을 연구하여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고령화 사회와 주거환경 개선에 중요한 이슈를 다루고 노후 주택의 질과 지속가능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lated laws and systems, as well as the BF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and UD (Universal Design), to suggest a direction for remodeling old apartment houses in response to the advent of Korea's aging society. By examining the support systems of each country and investigating cases where BF and UD have been applied, we aim to help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aging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and ideas for improvement and remodeling projects in Korea's old apartment complexes. Continuing to improve older homes and increase energy efficiency through remodeling can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By researching sustainable remodeling methods, we can promot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ergy conservation, build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address important issues in improving the aging socie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old housing. You can contribute.

      • KCI등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 분석을 통한 유니버설 환경디자인 평가 속성의 체계화

        조현주 ( Hyunjoo Cho ),한창호 ( Changho H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복지시설과 공공시설 공간 환경의 개선을 위해 보건복지부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를 통해 이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기인하여 물리적 사용편의, 보호, 분리를 중심으로 한 베리어프리 디자인을 적용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제도는 공간의 크기, 규격 등 물리적 기준을 통한 평가를 적용함으로서, 유니버설 환경 조성을 위한 총체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 시설 인증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환경디자인을 위한 평가속성의 체계화를 위하여 현행 BF생활환경 인증을 위한 시설 내 공간 구분인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을 대상으로 한 평가항목에 내재된 디자인속성을 추출하였다. 공평성, 안전성, 사용융통성, 포용성, 직관성, 쉬운 인지성, 물리적 효용성, 크기 적정성이 디자인 속성으로 추출되었으며 시설 이용자의 정서적, 소통 니즈를 반영하기 위한 평가 속성으로 커뮤니케이션 효율성, 심미성, 친근성, 쾌적성의 평가가 내재된 평가항목을 추가를 통해 유니버설환경디자인의구현을 위한 평가체계가 성립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제시된 유니버설환경디자인의 평가속성은 BF생활환경 인증제가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서 유니버설 디자인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인증제도로서 확장적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연구자는 판단한다.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facilities, Welfare has been applied to a barrier-free design around the physical ease of use, protection, separation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user through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However, the current system is by applying the evaluation by the amount of space, dimensions and physical criteria, the overall user experience provided a composition facility for universal authentication environment is limited. Therefore, for the systematic evaluation attribute for Universal Environmental Design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Facility for authentication within the space separation of intermediate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to extract the design properties inherent in evaluating entries to the destination. Fairness, safety, use flexibility, inclusiveness, intuitive, easy to recognize gender, physical usefulness, size, adequacy of emotional extracts were facility users to design attributes, communication efficiency rating attribute to reflect the communication needs, esthetics, friendliness, comfort evaluation.

      • KCI등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 척도 개발과 평가 -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을 사례로 -

        김영오,구정화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 and scale for evaluating the service environments of archives and to assess the physical service environment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and then to suggest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designed three research phases: first, to develop the indicator and scale to measur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by merging universal design indicators and various standards of NAK for establish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second, to evaluat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f NAK with the newly developed scale; finally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current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findings. The study found that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f NAK have critical limits on the areas and facilities to provide direc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such as reference service desks, showrooms, education rooms, seminar rooms, et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and further studies for making barrier-free service environments of archive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들이 동등한 수준으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고,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즉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 본원, 대통령기록관, 서울․대전․부산기록관(분원)의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계측하여 평가하고; 셋째, 그 평가 결과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새로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실제로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계측한 결과, 일반적이고도 간접적인 서비스 환경 공간인 진입영역과 공용영역에서의 서비스 환경은 우수한 반면, 이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정보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인 일반서비스 영역과 확장(부가가치)서비스 영역의 환경은 낮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인과 장애인 모두 어떠한 장애물 없이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