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 Ⅱ -덴마크-독일-오스트리아 방정환 탄생 120주년 기념 행사-

        송영숙 ( Song¸ Young-sook ) 방정환연구소 2020 방정환연구 Vol.3 No.-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 Ⅱ(2019.11.4.∼11.11.)는 2018년도 아테네한글학교에서 시작된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에 이어, 2019년 덴마크-독일-오스트리아에 걸친 3국 문화 교류단의 활동으로 기획된 특별 행사이다. 특히 2019년은 방정환 선생 탄생 120주년이 되는 해로, 마침 탄신일인 ‘11월 9일’에 맞춰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기념행사를 치른 최초의 일이기에 남다른 역사적 감회가 있다. ‘2019년 방정환 세계에 알리기 프로젝트’의 행사는 크게 3부로 이루어졌다. 먼저, 안데르센의 묘역과 생가, 기념관을 답사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맞춰 기획 출간한 『방정환이 뽑은 안데르센 동화』(해설 장정희)를 안데르센 묘에 헌정하고, 동 책을 안데르센 기념관에 기증하였다. 11월 9일 방정환 선생 탄생일에는 비엔나한글학교에서 1교시 ‘한글학교 책 수업’으로 11명의 작가가 참여하였다. 2교시부터 서울독서교육연구회 책고리공연단이 마련한 방정환 이야기마당극 <토끼의 재판>을 공연하였고, 이어서 참가 작가 23명과 서울독서교육연구회가 마련한 <방정환과 한국 아동문학전 120>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방정환 탄생 120주년 기념을 최초로 유럽에서 가졌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또 한국 방정환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한국 어린이운동과 아동문학의 선구자 방정환 선생의 정신이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전해질 수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Bang, Jung-hwan Globalization ProjectⅡ(2019.11.4∼11.11) to inform Bang Jung-hwan’s world is a special event organized by the activities of the trilateral cultural exchange group across Denmark, Germany and Austria in 2019 after the Bang Jung-hwan globalization event that began at the Athens Korean Language School in 2018. In particular, 2019 marked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It is the first time to hold a commemorative event overseas, not at home, in time for its birth date, “Nov. 9,” so there is a special historical feeling. The first event of the “2019 Project to Announce to the World of Bang Jung-hwan” was to visit Andersen’s grave, birthplace and memorial. We dedicated “The Andersen Fairy Tale selected by Bang Jung-hwan” (interpretation Jang Jeung-hee) to Andersen’s tomb and donated it to the Andersen Memorial Hall. The Vienna Korean Language School event consisted largely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eriod, 11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participated in the “Hangeul School Book Class.” From the second period, the ceremony was held in the auditorium to mark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The participants performed Bang Jung-hwan’s “토끼의 재판(judgment of rabbit)” The third part held the “Bang Jung-hwan and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Exhibition 120” at the Hangeul School Gallery. The event has a historical meaning that it was the first time in Europe to celebrate the 120th anniversary of Bang Jung-hwan’s birth.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Korean equation to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project so that the spirit of Bang Jung-hwan, a pioneer in the Korean children’s movement and children’s literature, can be passed on to children around the world.

      • KCI등재후보

        소파 방정환의 일본 유학 시기 활동

        성강현 ( Sung¸ Kang-hyun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방정환은 1920년 9월부터 1923년 9월까지 만 3년간 일본에서 활동하였다. 지금까지 방정환의 일본 활동은 도요대학의 유학 생활로 알려졌지만 이는 방정환의 3년간의 일본 생활의 일부분이었다. 방정환은 기본적으로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3년간의 일본 생활을 통해 본명과 필명으로 21회에 걸쳐 11편의 글을 『개벽』에 발표하였다. 천도교청년회 창립의 중심 멤버였던 방정환은 동경에 도착한 직후부터 천도교 유학생을 모아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를 조직하고 초대 지회장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하숙집인 계림사에서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의 준비모임과 종교행사를 거행하며 1921년 2월부터 동경지회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천도교의 최고기념일인 4월 5일의 천일기념일에 발회식을 가졌다. 동경지회장으로 활동하던 방정환은 1923년 어린이 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지회장에서 물러났다. 방정환은 1921년 동경연수영어학교를 다니면서 정식으로 일본의 대학에 입학하려 하였지만 민원식 살해사건으로 20여 일간 구금되어 조사를 받았다. 이 여파로 방정환은 도요대학 문화학과의 청강생으로 입학하여 조선인 유학생들과 친분을 맺고, 이들과 함께하기 방학을 맞아 국내에 순회 강연대를 조직하여 유학생으로서 학문에만 전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계몽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방정환은 1922년 3월 30일 도요대학을 자퇴함에 따라서 그의 유학 생활은 1년이었다. 그의 자퇴 이유 역시 어린이 운동에 전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정환은 일본에서 아동문학에 관해 관심을 갖고 당시 일본의 아동문학과 세계의 동화를 공부하였다. 그 결과 1921년 말에 세계의 동화를 선정해 번안한 『사랑의 선물』을 탈고하였고, 1922년 7월 국내에서 발행하였다. 『사랑의 선물』 출판은 방정환이 아동문학가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방정환은 1921년 5월 1일 천도교청년회에서 분립한 천도교소년회를 중심으로 김기전과 함께 어린이운동에 매진하였다. 또 방정환은 일본에 있으면서 색동회를 조직해 어린이 운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였다. 방정환은 어린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하고 어린이날을 제정해 어린이 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1923년에 들어와서는 『어린이』의 발간과 색동회 활동에 전념했다. 방정환은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을 계기로 국내에 정착하였다. 그는 3년간 일본에서 활동했지만 1/3인 12개월 가량은 국내에서 활동하였다. 3년간 방정환은 국내와 일본을 오가며 개벽사 특파원으로, 천도교동경지회의 지회장으로, 천도교소년회의 핵심 지도자로 어린이날과 『어린이』를 창간하고, 색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방정환은 일본 활동 시기를 통해 자신의 활동 방향을 어린이 운동으로 정립하였다는 점이 가장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Bang Jung-Hwan was active in Japan for three years from September 1920 to September 1923. Until now, Bang Jung-Hwan’s activities in Japan were known as studying abroad at Toyo University, but this was a part of Bang Jung-Hwan’s three-year life in Japan. Bang Jung-Hwan basically worked as a Tokyo correspondent for Gaebyeoksa. Through his three years of living in Japan, he published 11 articles in ‘Gaebyeok’, 21 times under his real name and pseudonym. Bang Jung-Hwan, who was a central member of the founding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gathered Chondoist international students right after arriving in Tokyo to organize the Tokyo Branch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and served as the first branch president. He held preparatory meetings and religious events for the Tokyo Branch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at his boarding house, Gyerimsa, and conducted the activities of the Tokyo Branch from February 1921. Bang Jung-Hwan resigned from the branch president in 1923 to focus on the children’s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1920, while attending the Donggyeong Language Training School, Bang Jung-Hwan tried to formally enter a Japanese university, but was rescued for 20 days due to Min Won-Sik’s murder case and was investigated. In the aftermath of this, Bang Jung-Hwan entered the Department of Culture at Toyo University as an audit student and became close with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took the lead As Bang Jung-Hwan dropped out of Toyo University on March 30, 1920, his study abroad life was one year. His reason for dropping out was to devote himself to the children’s movement. Bang jung-hwan was interest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Japan and studied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world fairy tales at the time. As a result, at the end of 1921, he published ‘The Gift of Love’, which was adapted by selecting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and was published in Korea in June 1922. The publication of ‘The Gift of Love’ made Bang Jung-Hwan recognized as a children’s writer. Bang Jung-Hwan devoted himself to the children’s movement together with Kim Ki-Jeon, centering on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which was spun off from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on May 1, 1921. In addition, while in Japan, Bang Jung-Hwan organized the Saekdong Association to foster talents who could support the children’s movement. Bang Jung-Hwan popularized the term children and established Children’s Day, leading the children’s movement. In 1923, he devoted himself to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the activities of the Saekdonghoe. Bang Jung-Hwan settled in Korea in the wake of the Great Kwandong Earthquake on September 1, 1923. He was active in Japan for three years, but he was active in Korea for about one-third (12 months). For three years, Bang Jung-Hwan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Korea and Japan, serving as a correspondent for Gaebyeoksa, as the branch president of the Chondogyo Tokyo branch, and as the core of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he founded Children’s Day and ‘Children’ and worked as a member of the Saekdonghoe. It can be said that Bang Jung-Hwan’s greatest achievement is that he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his activities as a children’s movement through his Japanese career.

      • KCI등재후보

        ‘개벽청년’ 방정환 연구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및 청년회동경지회 활동을 중심으로-

        박길수 ( Park¸ Kil-su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방정환은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선구자, 아동문화운동가, 아동교육가, 소년운동가, 언론·출판인, 천도교청년운동가, 동화구연가, 민족운동가, 독립운동가 등의 다양한 정체성을 포괄하는 인물이다. 이에 따라 방정환에 대한 연구는 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방정환과 천도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사상적 배경으로는 동학 교조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해월 최시형 선생의 어린이 존중사상, 의암 손병희의 인내천 사상 등이 주로 거론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배경으로 개벽 사상을 언급하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동학의 개벽사상이 방정환 활동의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으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정환이 전개한 활동, 즉 어린이운동(동화구연과 어린이예술-공연 활동, 강연, 소년운동협회 등 조직 활동), 문학 활동(번안, 창작, 구연) 등이 모두 ‘다시개벽운동’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나는 방정환의 천도교 수련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시절의 수업 내용과, 또 본격적인 활동이 전개되는 토대를 마련하는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 시절의 천도교(청년) 활동, 그리고 어린이 부문 이외의 청년(민족) 운동의 이력을 종합하여, 방정환을 ‘개벽운동가로서의 방정환’ 또는 ‘개벽청년 방정환’이라고 정의하고 그의 활동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는 방정환을 ‘어린이운동가(문학가)’와 ‘천도교 활동가’로 이원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 활동으로서, 그 핵심 철학이 ‘다시개벽’이었음을 밝히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방정환의 운동적 역량 강화에서 ‘김기전’에 국한되었던 영향의 자장을 박달성과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의 강사들에게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어린이 운동을 비롯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의 인내천주의의 시대적 표현인 ‘개벽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나는, 그런 점에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을 ‘개벽운동’으로 정의하고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했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로서는 이제 막 출발점에 선 셈이다. 이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할 과제와,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자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Bang Jung-Hwan is a pioneer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 child culture activist, a child educator, a activist for a boy and girl, a media publisher, a Young Men’s Cheondogyoian Association activist, a fairy tale storyteller, a national activist, and an independence activist. Accordingly, research on Bang Jung-Hwan has been conduc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various fiel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g Jung-Hwan and Chondoism also left considerable results. As for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Bang Jung-Hwan’s children’s movement, the Sicheonju(侍天主) idea of Donghak teacher Suun Choi Je-woo, Hae-wol Choi Si-hyeong’s idea of respect for children, and Uiam Sohn Byeong-hee’s idea of Innaecheon are mainly mentioned. In particular, recently, research has been published that mentions the idea of Gaebyeok as the background of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Gaebyeok ideology of Donghak should be viewed as an in-depth and essential characteristic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and present the rationale. Activities that Bang Jung-Hwan developed, namely, children’s movements (storytelling, children’s art-performance activities, lectures, organized activities such as the Youth Movement Association) and literary activities (translation, creation, oral presentation) can all be redefined as ‘Dashi Gaebyeok Movement.’ The contents of the class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where Bang Jung-Hwan’s training in Chondoism was intensive, and the Chondogyo (youth) activiti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full-scale activities, and By synthesizing the history of the youth (national) movement, I defined Bang Jung-Hwan as ‘Bang Jung-Hwan as a Gaebyeok activist’ or ‘Gaebyeok youth Bang Jung-Hwan’ and reconstructed his activities. This is not to divide Bang Jung-Hwan into two categories: ‘Children’s activist (literary writer)’ and ‘Cheondogyo activist’, but revealing that all his activities were Chondogyo activities, and that his core philosophy was ‘Dashi Gaebyeok’. In this process, the field of influence, which had been limited to ‘Kim Ki-Jeon’ in the strengthening of Bang Jung-Hwan’s athletic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In this paper, I argued tha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including the children’s movement, were based on the ‘gaebyeok ideology’, an expression of time’s of Cheondogyo’s Innaecheonism. And I argued that in that respec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need to be defined and positioned as the ‘gaebyeok movement’. In this thesis, I mainly dealt with the period that provided the driving force and foundation for Bang Jung-Hwan’s activities, namely, the period when Bang Jung-Hwan formed his thoughts and ideas, the process of initiation to Cheondoism,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and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is just beginning.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task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the power (data) to continue the research.

      • KCI등재

        방정환의 동화론 「새로 開拓되는 童話에 關하야」에 대한 고찰 : 일본 타이쇼시대 동화이론과의 영향 관계

        이정현(Yi Jung-hy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

        Bang Jung-hwan(1899-1931) is surely an indispensible writer when we look back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1920’s. Truly Bang Jung-hwan set up innumerous achievements. One of them was that he settled a genre called as a fairy tale in the modern age of Korea. In this sense this thesis will study on Bang Jung hwan’s theory of fairy tale, ‘About the Newly Developed Fairy Tale’. This thesis especially will contemplate on how Japanese writers, including theirfairy tale theory, their point of view on the fairy tale, and books about the theory of the fairy tale in Daishow Era, influenced on Bang Jung-hwan’s theory. Bang Jung-hwan went to Japan in 1920’s when children’s literatures in Japan blossomed most. In 1918 the magazine, ‘Akaitori’ was launched. From the year the fairy tale and children’s song movement as kind of Akaitori movement was in the period of the prosperity. It was the period all the magazines listing children’s song and fairy tales were sold well. Many works were written. And it proves studies on the children and fairy tales had become more active from Maysy. When Bang Jung-hwan wrote his theory, ‘About the Newly Developed Fairy Tale’, he was influenced by several Japanese writers and their works, which were Takagitosio’s Fairytale and Study(1916), Ogawa Mimei and Akita Wuzak’s theories about fairy tale in special July issue of Wasedabungaku in 1921, and Fairytale Study’s first edition 1922, 7) published in June of 1922.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texts with Bang Jung-hwan’s writing style, it became obvious that Ewaya Sazanami’s Otogibanasi and Szki Miekichi’s fairy tale were fused in Bang Jung-hwan’s work. Also Bang Jung-hwan was influenced by Takaki Tosio’s text, Ogawa Mimei and Akita Wuzak’s theories about fairy tale, and the periodical, ‘Study on Fairytale’. Mimei said , “Fairytale is not for only children but for all the people who have innocent mind.” And Wuzak said, “adult and children in their whole life become one through only fairytale world and there difference between the soul of adult and that of children disappears. We should write about the childlike characters in mankind.” Bang Jung-hwan made these two Japanese writers’ point of view about fairytale fused in his writing and he created his own point of view. Bang Jung-hwan’s theory was most detail and it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Bang Jung-hwan’s thought and knowledge about fairytale. It is regrettable that it was necessary to be influenced by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But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re exists Bang Jung-hwan’s own point of view. Moreover he created his own style with his affection on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the Chundo religion insisting all the human are created equal.

      • KCI등재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에 대한 고찰

        이정현 ( Jung Hyun Y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방정환은 1921년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를 번역, 발표한 이후 계속해서 동화를 번역하여 발표하게 된다. 1922년 7월에는 『사랑의 선물』을 간행함과 동시에 『개벽』 7월호와 9월호에 2회에 걸쳐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호수의 여왕」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중에는 「호수의 여왕」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아나톨 프랑스의 창작 동화로써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쿠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번역으로 실려 있다. 필자는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 『모한가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에서 『사랑의 선물』의 다섯 번 째 동화 「한네레의 죽음」이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실려 있는 미즈타니 마사루(水谷勝)역 「한네레노 쇼우텐(ハンネレの昇天)」을 저본으로 해서 번역한 것에 대해 논했다. 방정환은 「호수의 여왕」에도 「한네레의 죽음」과 같이 일본어 저본에 실려 있는 3점의 삽화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한네레의 죽음」의 번역에 연이어 「호수의 여왕」을 번역해 개벽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삽화는 모두 오카모토 키이치(岡本歸一)의 그림으로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킨노후네』」에서 논한 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스야마역과 방정환역의 삽화의 비교 및 내용의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쿠스야마역 「湖水の女王」을 방정환역의 저본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작업을 통해서 근대 한국에의 아나톨 프랑스의 수용에 있어서의 근대 일본의 아동문학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함과 동시에 방정환의 번역의 특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으로 고찰한 결과,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의 저본에 있어서 삽화의 일치, 그리고 내용 면에서도 완역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되어 있는 것 등의 근거로 쿠스야마 마사오역 「湖水の女王」가 그 저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필자는 쿠스야마가 사용한 저본이 아나톨 프랑스의 원작 "Abeille"가 아닌 앤드류 랑의 "The Story of Little King Loc"임도 확인했다. 방정환은 다만 쿠스야마가 제목까지 바꾸어 번역해 놓은 일본어역을 저본으로 번역을 했을 뿐이다. 내용면에서는 방정환이 1921년에 번역한 「왕자와 제비」를 결말 부분을 재화한 것과 1923년에 번역한 「성냥팔이 소녀」를 번역할 때 한국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번안한 것에 비해 등장 인물인 소인의 성격을 조금 바꾸어 묘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완역에 가깝다. 그리고 문체의 면에서는 어린이를 생각하여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전문을 한글로 표기하여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표기하는 등의 배려가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작품 뿐 아니라 방정환의 동화에 전반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초에 한국에 아나톨 프랑스의 이름과 그의 동화를 소개한 것에는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fter Bang Jung-hwan translated and announced Oscar Wilde`s fairy tale "The Happy Prince" in 1921, he started to translate more fairy tales frequently. Bang Jung-hwan published Gift of Love on July, 1922, translated and announced Anatole France`s work "Queen of the Lake" over two times in Gebyuk, July issue and September issue at once. Among Anatole France`s work, title that is "Queen of the Lake" does not exist. But this title has created by Kusuyama in Sekaidowahogyokusyu which is a translation of Anatole France`s original fairy tale. The writer discussed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the 5th story of "Gift of Love" in Mohankayeibunko` were the origin of Mizutani Masaru a part of "Hannere`s Ascension". It is conjectured that Bang Jung-hwan used the same three illustrations in "Queen of the Lake" as same as "Hannere`s death" which are from original Japanese work, After translation of "Hannere`s death" he translated "Queen of the Lake" then announced in Gebyuk. All these illustrations created by Okamoto Kiichi, and it have mentioned already in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Kinnohune, so it`s not mention in main contents. Also, I wished to investigate about that investigate about Anatole France`s effect of modern age Japanese juvenile literature in accommodation to modern age Korea through this work and at the same time Bang Jung-hwan`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Results investigating by purpose of singularity, quee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Queen of the Lake" that was translated nearly faithfully into complete version,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by Kusuyama Masao "Queen of the Lake" is an origi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And the writer confirmed Bang Jung-hwan used Andrew Lang`s "The Story of Little King Loc" as an origin not from Anatole France`s original work "Abeille". Bang Jung-hwan used original work for the translation, instead of using direct Japanese translation which Kusuyama translated. It is almost complete translation except the end part of "The Happy Prince" that Bang Jung-hwan translated in 1921 and "The Little Match Girl" that translated in 1923 which is considere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Korea and changed the personality of the part in that story. Also, used full text in Hangul readably and p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side of parenthesis for the children. Commonly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visible characteristics in Bang Jung-hwan`s animation as well as this work. Finally, we can evaluate that it was large sense to introduce Anatole France`s name and his fairy tales in Korea in early 1920s.

      • KCI등재

        방정환의 그림동화 번역본에 관한 연구

        이정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실린 두편의 그림동화 「잠자는 왕녀」와 「텬당 가는길(일명도젹왕)」이 1916년 나까지마 코토(中島孤島)에 의해 번역된 『그리므오토기바나시(グリム御伽신)』의 두 작품을 저본(저본)으로 번역한 것임을 밝히고 일본어역과 방정환의 번역을 비교 분석하여 방정환의 번역동화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므오토기바나시』는 1915년부터 후잔보(富山房)가 출판한 「모한카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시리즈 중의 한 권으로 오카모토 키이치 (岡本歸一)가 표지 디자인과 삽화를 담당했다. 방정환은 나까지마에 의해 번역된 그림동화의 스토리 뿐만 아니라 삽화까지 옮겨서 번역했다. 이러한 삽화의 일치가 나까지마역을 방정환역의 저본으로 보는 가장 큰 이유이다. 이러한 실례를 들어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방정환의 번역 동화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힘과 동시에 한국 근대의 아동 문학과 일본 아동 문학과의 영향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해 나가고자 하였다. The study of Bang Jung-hwan`s works has steadily continued. But it is true that there`s only a few studies on fairy tales that Bang Jeong-hwan translated. In this sense, I tried to find the original fairy tales in Japanese which Bang Jung-hwan translated into Korean. After then, with comparing the translated tales in Korean by Bang Jung-hwan with the original fairy tales, I have research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Bang Jung-hwan`s translated fairy tales. Moreover, through this process, I tried to exemplify the influence the modern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which indicates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Taishow) made on the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this thesis, I make a study of the fairy tales which Bang Jung-hwan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two fairy tales, which was translated by Nakagima koto and printed in Grimuotogibanasi, one of Mohankateybunko series the publishing company, Huzanbo, has published from 1915. I can assure that Nakagima`s two translated fairy tales must be the original because the illustrations shown in the story book are similar with those in Bang jung-hwan`s book. It is certain that Bang Jung-hwan put the illustrations of the original book in his book as well as translated the original story. The original fairy tales of the two stories Bang Jung-hwan translated was Nagagima`s translated two stories. Also the original fairy tales of the two in Japanese was Grim`s fairly tales, Nr. KHM50, ‘Sleeping Beauty(Dornroschen)’ and Nr. KHM192, ‘The Master Thief (Der Meisterdieb). In the translated two stories, we can see Bang Jung-hwan `s effort to give humorous laugh to Korean children who were in difficulty. Obviously, Grim`s fairy tales and Nagagima`s translated stories have no humorus aspects. People sometimes criticize his written and translated works are full of sympathetic stories. But these two stories demonstrate that his works are also humorous. Bang Jung-hwan recreated a man of heart who doesn`t appear in the original story and omitted inhumane part from the original. Through this effort, Bang Jung-hwan wanted to depict the good world for the Korean children. In conclusion, it is obvious that Bang Jung-hwan tried to portray the humane and good world through the themes such as filial devotion, affection, love for the family and laugh, which we can not see in the original stories.

      • KCI등재후보

        『학생』지에 실린 방정환의 글 텍스트와 학생운동의 방향성 고찰

        장정희 ( Jang Jeung-hee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이 글은 1929년 3월 방정환이 창간한 『학생』지의 총 18개호를 대상으로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검토하고, 방정환이 지향한 학생운동의 방향을 고찰한 논문이다. 『학생』지에 수록된 ‘권두언’ ‘논단’ ‘숙직실’에 포함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정리하였다. 또 논란이 되었던 ‘쌍S’ 필명과 관련하여 『학생』에 발표한 차상찬의 글 「조기 1년」을 주목했다. 이 글에 의하면 차상찬은 자신의 별호를 ‘송작’이라고 하고 있다. 본고는 『별건곤』에 실린 ‘송작’과 ‘쌍S’을 상호 견주어 봄으로써 ‘쌍S’가 차상찬의 필명임을 추적해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학생』지에 나타난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과 그 방법을 고찰했다. 첫째, 방정환은 ‘학생들’을 ‘어린이의 지도자’ ‘우리 사회의 준 지도자’로 인식했다. 둘째, 방정환은 ‘하기방학’ 동안 학생들이 ‘조선’ ‘민족의식’의 전파자가 될 수 있도록 『학생』지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 항목과 강습회 조직 방법, 한글 보급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셋째, 방정환의 ‘학생운동’은 그의 ‘어린이운동’에 뒤이은 자연스러운 순차적 운동 방향이었다. 총체적으로 본고는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을 3.1혁명 이후 제2의 민족적 독립운동을 준비하는 ‘총동원령’의 기초 운동으로 해석했다. 본 논의는 『학생』에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방정환 작품을 조명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어린이운동 선구자’로만 평가되어 온 방정환이 ‘학생운동’을 통해 일제강점기 전민족적 운동을 조직적으로 실행해 간 점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the magazine Student published by Bang Jung-hwan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he aims for. First, I investigated the text of Preface, Thesis, and Diligence Room. In particular, I conducted a study on the controversial nickname Double S and noted Cha Sang-chan’s < Wake up early 1Year > published in “Haksaeng(학생)”. In this article, Cha Sang-chan calls his nickname Songjak. I compared the writings of “Songjak(송작)” and “Double S” in “Byulgeongon(별건곤)” and said “Double S” was Cha Sang-chan’s nickname.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student movement of Bang Jung-hwan in the journal “Haksaeng(학생)”. First, Bang Jung-hwan recognized ‘students’ as ‘children’s leaders’ and ‘quasi-leaders of our society’. Second, Bang Jung-hwan appealed for specific implementation items, methods of organizing classes, and the need to distribute Hangeul(한글) through the “Haksaeng(학생)” magazine so that students can become propagators of “Josun(Korea)” and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ird, Bang jung-hwan’s “student movement” was a natural sequential movement direction following his “children’s movement.” Overall, this paper interpreted Bang jung-hwan’s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as the basic movem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decree” to prepare for the seco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1st Revolution. This discussion attempted to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works of Bang Jeong-hwan in the future by reviewing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Student overall. In addition,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Bang Jung-hwan, who has only been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children’s movement,”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 entire Japanese colonial era national movement through the “student movement.”

      • KCI등재후보

        소파 방정환의 삶과 동심

        안경식 ( An Gyeong-sik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2 No.-

        방정환의 어린이사상과 철학은 동심에서부터 시작한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출발점도 동심이다. 방정환의 문학과 예술, 교육도 동심을 이해하지 않으면 파악하기 어렵다. 동심에 대한 이해는 방정환의 삶을 이해하는 열쇠이자 방정환의 사상을 해석하는 관건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방정환의 동심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논문의 제2장에서는 방정환의 마음에 대한 견해를 고찰했다. 방정환은 언제, 어떠한 계기로 마음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지를 그가 남긴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방정환의 동심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였다. 그는 왜 동심에 주목했는지, 동심을 통하여 그가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동심과 예술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방정환이 예술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고찰하고, 동심이 아동예술의 본질임을 서술하였다. 결론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동심을 소환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hildren’s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Bang Jung-hwan begin with childhood mind. The starting point of the children’s movement in Bang Jeong-hwan is also childhood mind. The literature, art and education of Bang Jeong-hwan are also difficult to grasp unless they understand childhood mind. Understanding childhood mind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life of Bang Jeong-hwan and the key to interpreting the ideas of Bang Jeong-hwan. In this point, this paper chose childhood mind of Bang Jung-hwan as the subject of study.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n the mind of Bang Jung-hwan. I examined when and how he beca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the mind through a poem left by Bang Jung-hwan. In the thir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f Bang Jung-hwan’s childhood mind. I examined why he was interested in childhood mind and what message he was trying to convey through childhood mind. I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ind and art in chapter 4. After examining the reasons why Bang Jung-hwan became interested in the art movement, I explained that childhood mind was the essence of children’s art.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reason why childhood mind should be recalled again in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 -『온돌야화』(1927), 『조선민담집』(1930) 수록본을 중심으로-

        박현숙 ( Park Hyeonsuk )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글은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와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수록된 방정환이 제보한 설화 6편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방정환이 제보한 6편의 설화는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에 실린 <산과 강>, <어느 양반의 이야기>, <포도대장>, 『온돌야화』에서 57편의 설화를 추가한 『Folk Tales from Korea』(1952)에 실려 있는 <호박장군>,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실린 <개와 고양이의 구슬>, <수탉전설>이다. 먼저, 방정환의 설화 서사 구성 전략을 전통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설화 구성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서두(序頭) 공식구’와 ‘용궁 노정’ 화소의 삽입과 같은 ‘공식적 표현’의 활용이다. ② 대표적인 설화문법인 ‘대립과 과장 기법’의 사용이다. ‘대립과 과장’은 <호박 장군>에서처럼 ‘식욕’과 ‘배출’의 상황적 대립과 과장, <산과 강>, <포도대장>에서처럼 거성(巨性)과 소성(小性)의 인물적 대립과 과장으로 드러나는데 방정환은 이를 통해 설화다운 해학적이고 유쾌한 웃음의 미학을 완성한다. 개성적인 텍스트 구성의 변주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구전설화의 구성 요소를 당대의 현실성과 민족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변주한다. ② 단일서사에 다른 서사를 결합하는 방식의 ‘복합서사화’ 변주가 두드러진다. ‘복합서사화’는 핵심 단일서사의 조합, 여러 구전설화 에피소드에 창작 에피소드 병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정환은 설화의 서사 구성에서 여러 에피소드 병합의 변주를 통해 ‘인과응보’ 주제의식을 강화하여, 일제 식민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대중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③ 설화의 서사 구성에 ‘미스터리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방정환 구연 설화의 의의는 첫째, 기존의 아동문학으로 국한된 방정환의 연구 범위를 성인 향유 대상의 구술문학까지 확장하였다. 둘째, 설화 서사 구성의 변주 속에 방정환 동화에 주로 담긴 사회적 의미가 함의된 바, 방정환 구연 설화의 서사문법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방정환 구연 설화에 변주된 화소와 기법은 현대 동화 창작에서 활용적 가치가 크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which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and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The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are as follows. < The Moutains and the Rivers >, < The Story of a Gentleman >, and < The Police Marshal >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 General Pumpkin > is included in Folk Tales from Korea(1952), which added 57 folktales to Ondolyahwa. In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 Dog and Cat’s Bead > and < Legend of the Rooster > are in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text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s chosen by Bang Jung-hwan, focusing on th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folktale narrative composition. Bang Jung-hwan’s traditional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 utilizes formulaic expressions,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sertion of the ‘introductory formula’ and ‘the palace of sea kings journey’ motif. He also uses folktale grammar of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In < The Moutains and the Rivers > and < The Police Marshal >, the humorous and hilarious aesthetics of laughter of folktales are completed through the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of characters with giant and small characteristics. His strategy of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unique texts transform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oral folktales into ingredients that reinforce the reality and nationality of the time. In his folktales, a variation on making ‘multiple narrative’ of combining a single narrative with other narratives stands out. Making ‘multiple narrative’ is completed by combining a single core narrative and merging creative episodes into several oral folktale episodes.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s text, Bang Jung-hwan strengthened the theme awareness of ‘punitive justice’ through variations of the merging of several episodes, and presented hope to the public in the dismal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He also applied the ‘mystery technique’ to the text of folktale. The first significance that can be found in Bang Jung-hwan’s folktales is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Bang’s author theories and works, which were limited to children’s literature, to oral literature for adults to enjoy. Second, the social meaning mainly contained in Bang Jung-hwan’s fairy tales in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 text, confirming the narrative grammar of Bang Jung-hwan. Finally, the motifs and techniques that are varied in the folktales of Bang have great utility value in the creation of modern fairy tales.

      • KCI등재

        방정환의 민족주의와 어린이 문학교육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신정아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Cheondoky's council for children was established by Kim, Ki-joen, Bang, Jung-hwan, and Lee, Jung-jo on May 1st, 1921 but Bang, Jung-hwan was studying abroad at that time, not involving directly in it. Bang, Jung-hwan was responsible for tasks as a special correspondent in Tokyo for Kaebyeok, a comprehensive magazine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June, 1920, and for building Tokyo branch of Cheondokyo's council for youth(Feb 13th, 2921)(Yeom, Hee-kyoung, 78). Since then, he organized Saekdongheo(Coloring Council) with other Korean students who shared his thought, and held the opening ceremony. In addition, early editing for the magazine, Children(Eorinyi) was made in Tokyo. So the Japanese influences on Bang, Jung-hwan during his study in Japan truly affected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re have been quite many studies about the Japanese influences on the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se studies are dominated with the evaluation that key role of Ywaya Sazanami(hereinafter Sazanami), the father of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with regard to the Japanese influences on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in-depth analysis,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as derived from hope of salvation for Korean people to recover Korean sovereignty lost by Japan during Japanese colonial times, having clear difference from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ing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Japanese influences on it, aims at analyzing its truth, and reviewing Bang, Jung-hwan's idea o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Gift of Love and the magazine, Children(Eorinyi).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valuable study for building more accurate recognition about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어린이들을 바르게 기르고 가르쳐야 한다는 소파의 일관된 정신은 1920년 그가 일본에 유학한 시기부터 본격화되었다. 방정환이 유학 기간 동안 일본에서 받은 영향은 외국 작품을 번안하거나 전국 각지를 순회하면서 동화구연을 한 것, 그리고 개벽사의 일을 도우면서 『어린이』지를 발행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근대 일본 아동문학의 중심인물인 이와야 사자나미(栗谷小波) 혹은 오가와 미메이(小川未明)와 사상적으로 일치하는 부분을 찾기는 쉽지 않다. 당시 일본의 주요 잡지였던 『소년세계』(少年世界), 『아카이도리』(赤い鳥), 『킨노후네』(金の船) 등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유인즉 방정환의 어린이문학교육은 독립을 향한 의지와 투철한 민족주의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그의 번안 작품집 『사랑의 선물』과 소년운동의 실천적 모체인 『어린이』지에 선별된 작품은 식민지 상황과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민족의 고통을 동반한 그의 작품은, 식민지 시대를 사는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읽고 느낄 수 있는 작품을 우선시했다. 특히, 어른에게 구박을 받거나 매를 맞는 주인공이 많이 등장하는데, 식민지 조선의 어린이를 동정하고 그들에게 위로를 주는 작품을 읽히는 데 주력했다. 이것은 어린이와 어른의 관계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식민지 조선과 일본의 관계가 성립되기도 한다. 약자와 강자로 정리되는 관계는 시대적 상황으로 말미암아 이중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