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수영의 松政 - 안면도를 중심으로 -

        김명래(Kim, Myung-Rae)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4 군사 Vol.- No.130

        충청수영의 책무는 충청도의 해방(海防)이었지만 조선후기 평화시기에는 송정(松政) 업무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게 작동되었고 그 개연성이 여러 정황에서 나타난다. 송정은 국가에서 필요한 船材와 건축용재 및 관곽용 소나무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한 산림 정책이다. 조선시대 안면도에는 71곳이 봉산으로 지정됐는데 ‘안면송전’이라고 통칭되었고, 섬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면적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소나무는 ‘도송’이나 ‘안면송’으로 불리며 유명하였다. 이러한 안면송전에 대한 송정 관할권을 위임받은 충청수영은 220여 년 동안 안면도를 군정으로 다스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면도라는 고립된 섬에서 집행되었던 충청수영의 송정수행의 실무 내력의 조명은 수군사로서 가치가 충분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안면송전에 대한 송정을 수행했던 충청수영의 운영 방식과 그 성과 등을 세심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안면송전의 규모와 상태를 분석하였고, 안면송의 조달 규식과 조달 규모를 파악하면서, 송정에 따른 부수입원으로써 수영의 재정충당 방법을 추적 하는 등 송정과 관련하여 파생된 각종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송정을 군영(軍營)에서 집행토록 한 제도는 일사불란한 조직력에 의한 효율성이 있었지만 군사작전처럼 송금 위주의 강압적인 운영은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도외시한 결과, 백성들의 저항감을 불러일으키며 괴리되어 갔는데 이는 전국적인 현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청수영은 안면도의 송정을 220여 년 동안 수행하면서 충청수영의 필요 선재는 물론이고 어떤 때는 경기수영과 궁궐용 건축재를 비롯하여 일부는 전라도의 조선과 군선용 선재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전국적으로 송정의 기본인 심고 기르는 육림은 등한히 하면서, 관속들의 부패와 결탁된 도벌과 남벌이 자행되자 송전의 황폐화는 더욱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안면송전 만큼은 선재의 품질은 저하됐으나 그런대로 조달기능이 유지됐던 것으로 보인다. By the late Joseon Dynasty, Chungcheon Suyeong Fortress had jurisdiction over the policy for pine trees (松政) on Anmyeondo Island. The policy for pine trees was a forest policy for procuring pine trees for timber (船材), construction materials (建築用材), and inner and outer coffins (棺槨用). The pine trees from Anmyeondo Island were renowned, as they became known by the common nouns ‘島松’ (Pine Trees in the Island) or ‘安眠松’ (Pine trees in Anmyeon Island) and had been protected, being used as timber and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royal court even in the Goryeo Dynasty. 71 places were designated as Bongsan (封山) in Anmyeondo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se were collectively called ‘the pine forest in Anmyeondo Island (松田),’ which accounted for 80% of the area of the island. Chungcheon Suyeong Fortress took full charge of the management of pine trees in the island beginning in 1669 (10th year of the reign of Hyeonjong of Joseon). As the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Chungcheon Suyeong Fortress operated the forest, there was efficiency and consistency in its management. Yet, as it ignored residents living convenience by focusing on an oppressive ban on pine trees (松禁) like military operations, it caused resistance from the people and became divorced from their needs. As Chungcheon Suyeong Fortress implemented the policy related to pine trees in Anmyeondo Island for more than 220 years, it supplied construction materials for Gyeonggisuyeong Fortress and the palace as well as the timber required for it, as well as some timber for shipbuilding (漕船) and armed ships (軍船) in Jeolla-do. However, as it ignored the need to plant and grow trees, the essence of the management of pine trees, by the 19th century, Suyeong government officials greed and tyranny deepened. Devastation of the pine forest worsened, but the governmental forest policy kept the ban on pine trees (松禁) from being improved. Chungcheon Suyeong Fortress policy on pine trees was a special case which was implemented on an island called Anmyeondo Island. The need for research was raised as the subject suitable for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the policy for pine trees. Accordingly, we examined the procurement of pine trees in Anmyeon Island, the acquisition of finances, and the problems through Chungcheon Suyeong Fortress policy for pine trees implemented in Anmyeondo Island.

      • KCI등재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박종덕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This article is a thes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of Yun Jung-ho’s poetry. The goal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the place where Yun Jung-ho lived most of his life, “Anmyeondo Island,” where he lived before returning to college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and “Geumgang River,” the original experience place where Yun Jung-ho was born and raised. In Yun Jung-ho’s poem, there are many poems titled the place, including specific name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title of the ‘In+nomination’ structure. The combination of the preposition ‘in’ that represents the place is so unique that it is said to be the originality of Yun Jung-ho’s poem. In Yun Jung-ho’s poem, Seoul, or “Bon-dong” or “Migration Complex,” is a place where displaced people settle down and continue their lives. “Bon-dong" is a place dotted with poverty, anger, and etc. So ”Bon Dong“ is suspected of developing a very desperate narrative. However, Yun Jung-ho does not charge “Bon-dong” with these charges. He sings of a simple but healthy life through the narratives of people living in “Bon-dong.” The perception of “Migration Complex” is not much different. “Anmyeondo Island” can be seen as a place opposite to Seoul. The experience of “Anmyeondo Island” is ambivalent to Yun Jung-ho. “Anmyeondo Island” is not a place that provides material abundance, economic comfort, or emotional peace. However, “Anmyeondo Island” is a place to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values of equality and honesty, and a place of confident self-confirmation that neutralizes shame. It is a place where he see death, but the place where he realize the maturity of life and confirm it is also “Anmyeondo Island.” The narrative created in “Geumgang River,” Yun Jung-ho's original experience place, acquires a sense of liveli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ecific places and a character who have secured realism. Yun Jung-ho describes his hometown “Geumgang River” as a place of loss. Since the “Geumgang River” is in contact with death, it is shaped as a place to evoke death. 이 글은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윤중호가 생애 대부분의 삶을 살았던 장소인 “서울”과 군대에서 제대한 후 대학에 다시 복학하기 이전에 생활했던 “안면도”, 그리고 윤중호가 태어나고 성장한 원체험지 “금강”이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 윤중호 시에는 구체적인 지명을 포함하여 장소를 제목으로 삼은 작품이 매우 많다. 특별히 주목할 만한 것은 ‘지명+에(서)’ 구조의 제목이다.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에(서)’의 결합은 윤중호 시 제목의 독창성이라 할 만큼 개성적이다. 윤중호의 시에서 서울, 즉 “본동”이나 “이주 단지”는 탈향민들이 정착하여 삶을 이어나가는 장소이다. “본동”은 가난과 분노 등으로 점철된 장소이다. 그래서 “본동”은 매우 절망적인 서사가 전개될 것이라는 혐의를 지닌다. 그러나 윤중호는 “본동”에 이러한 혐의를 씌우지 않는다. “본동”에 사는 사람들의 서사를 통해 소박하지만 건강한 삶을 노래한다. “이주 단지”에 대한 인식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안면도”는 서울의 대척점인 장소로 볼 수 있다. “안면도”는 윤중호에게 양가적인 장소이다. “안면도”는 물질적 풍요로움이나 경제적인 안락함, 정서적 평화 등을 제공하는 장소가 아니다. 그러나 “안면도”는 평등과 정직의 가치를 인식하고 체험하게 하는 장소이며 부끄러움을 무화시키는 떳떳한 자기확인의 장소이다. 죽음을 목도하는 장소이지만, 생의 원숙함을 깨닫고 이를 확인하게 하는 장소도 “안면도”이다. 윤중호의 원체험지인 “금강”에서 생성되는 서사는 구체적인 지명, 사실성을 확보한 인물의 결합을 통해 생동감을 획득한다. 윤중호는 고향 “금강”을 상실의 장소로 묘사한다. 금강은 죽음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죽음을 환기하는 장소로 형상화된다.

      • KCI등재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여름철 PM2.5 OC와 EC 분포 특성 및 배경대기 구분

        함지영,이미혜,류상범,이영곤 한국기상학회 2019 대기 Vol.29 No.4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in PM2.5 were measured with Sunset Laboratory Model-5 Semi-Continuous OC/EC Field Analyzer by NIOSH/TOT method at Anmyeondo Global Atmosphere Watch (GAW) Regional Station (37o32'N, 127o19'E) in July and August, 2017. The mean values of OC and EC were 3.7 g m3 and 0.7 g m3,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reactive gases and aerosol compositions were evide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seasons. It is mostly due to meteorological setting of the northeast Asia, where the influence of continental outflow is at its minimum during this season under southwesterly wind. While the diurnal variation of OC and EC were not clear, the concentrations of O3, CO, NOx, EC, and OC were evidently enhanced under easterly wind at night from 20:00 to 8:00. However, the high concentration of EC was observed concurrently with CO and NOx under northerly wind during 20:00~24:00. It indicates the influence of thermal power plant and industrial facilities, which was recognized as a major emission source during KORUS-AQ campaign. The diurnal variations of pollutants clearly showed the influence of land-sea breeze, in which OC showed good correlation between EC and O3 in seabreeze. It is estimated to be the recirculation of pollutants in land-sea breeze cycle. This study suggests that in general, Anmyeondo station serves well as a background monitoring station. However, the variation in meteorological condition is so dynamic that it is primary factor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secondary species as well as primary pollutants at Anmyeondo station.

      • KCI등재

        서해안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환경

        오재경,한창희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area of Anmyeondo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142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and leveling survey was conducted as well in 12 transects at the sandy tidal flat in the area. The surface sedime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types (slightly gravelly Sand, Sand,slightly gravelly sandy Mud, etc.) and they show fining-distribution toward the offshore. Textural parameter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arse, well sorted, positively skewed in the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whereas being finer,poorly sorted, negatively skewed in the subtidal flat. According to the C-M diagram, the sediment transport modes are characterized by the mixed mode of bedload and graded suspension in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and by graded suspension or uniform suspension in the subtidal flat. Histogram shows a bimodal distribution in the lower subtidal flat which is indicative of two sediment transport modes. 한반도 서해 중부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142점의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였고, 12개 측선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퇴적상은 소량역질사, 사, 소량역사질니 등 다양하게 나타났고 외해방향으로 세립해진다. 조직변수는 조상대와 조간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이고, 조하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세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음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인다. C-M도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조상대와 조간대의 퇴적물은 밑짐이동과 점이부유가 혼합된 형태로 이동하고, 조하대의 퇴적물은 점이부유와지속적부유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도표에서 하부조하대의 퇴적물은 밑짐과 뜬짐 2가지의 이동모드가모두 나타나는 이중모드의 형태를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박종덕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이 글은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윤중호가 생애 대부분의 삶을 살았던 장소인 “서울”과 군대에서 제대한 후 대학에 다시 복학하기 이전에 생활했던 “안면도”, 그리고 윤중호가 태어나고 성장한 원체험지 “금강”이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 윤중호 시에는 구체적인 지명을 포함하여 장소를 제목으로 삼은 작품이 매우 많다. 특별히 주목할 만한 것은 ‘지명+에(서)’ 구조의 제목이다.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에(서)’의 결합은 윤중호 시 제목의 독창성이라 할 만큼 개성적이다. 윤중호의 시에서 서울, 즉 “본동”이나 “이주 단지”는 탈향민들이 정착하여 삶을 이어나가는 장소이다. “본동”은 가난과 분노 등으로 점철된 장소이다. 그래서 “본동”은 매우 절망적인 서사가 전개될 것이라는 혐의를 지닌다. 그러나 윤중호는 “본동”에 이러한 혐의를 씌우지 않는다. “본동”에 사는 사람들의 서사를 통해 소박하지만 건강한 삶을 노래한다. “이주 단지”에 대한 인식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안면도”는 서울의 대척점인 장소로 볼 수 있다. “안면도”는 윤중호에게 양가적인 장소이다. “안면도”는 물질적 풍요로움이나 경제적인 안락함, 정서적 평화 등을 제공하는 장소가 아니다. 그러나 “안면도”는 평등과 정직의 가치를 인식하고 체험하게 하는 장소이며 부끄러움을 무화시키는 떳떳한 자기확인의 장소이다. 죽음을 목도하는 장소이지만, 생의 원숙함을 깨닫고 이를 확인하게 하는 장소도 “안면도”이다. 윤중호의 원체험지인 “금강”에서 생성되는 서사는 구체적인 지명, 사실성을 확보한 인물의 결합을 통해 생동감을 획득한다. 윤중호는 고향 “금강”을 상실의 장소로 묘사한다. 금강은 죽음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죽음을 환기하는 장소로 형상화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