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상 강제집행에 대한 한 · 중 법제의 비교법적 연구 - 대집행을 중심으로 -

        김연(JIN YA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2

        많은 경우에 행정목적의 실현은 행정 상대방의 의무이행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대립되는 이익이 병존하는 사회에서 행정청이 명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위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행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이를 강제할 수단이 필요하다. 이런 수단의 대표적인 예가 행정상 강제집행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체계를 고찰하고, 대집행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법제를 중점적으로 비교하면서 중국법의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우선 한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는 대집행에 대해서만 일반법을 제정하고 있으며, 직접강제와 이행강제금 및 기타 행정상 강제집행 수단에 대해서는 개별법에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률에 강제집행 수단이 불비한 때에 의무불이행의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입법체계상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국과 같이 행정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현행 「행정대집행법」에 따르면 법령에 의해 직접 명해진 의무의 불이행도 대집행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법령에 의해 명해진 의무는 보통 불특정 다수인의 의무로서의 성질을 가지므로, 행정행위를 통해 특정인의 의무로 확정된 다음에야 대집행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가령 법령에서 명한 의무가 어느 정도 구체적이어도 의무자로서는 특정의무를 인식하기가 어렵다. 이에 의무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대집행의 대상은 중국과 같이 행정행위를 매개로 하는 대체적 작위의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행정대집행법」은 불이행된 의무에 대해 다른 수단으로 이행확보가 어려울 때에 한하여 대집행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지만, 무엇이 다른 수단에 해당되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졸저는 중국과 같이 행정청과 의무자의 의견을 서로 수렴할 수 있고 탄력적으로 양자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협의제도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이 점차 정비된다면 행정의 실효성 확보는 물론이고, 행정 상대방의 권익보호도 신장될 것이다. In many cases, the realization of an administrative purpose requires the performance of a duty by the administrative counterpart. However, in a society where conflicting interests coexist, the duty order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often not implemented or is violat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 means to coerce the implementation is required. A typical example of such means i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gislativ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in Korea and China, then focused on comparing the legislation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n Korea and China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law for Korea. First of all, according to Korea’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only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s included in general administrative law, while the use of direct force, compulsion payment or other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measures are restrictively provided in individual law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te of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cannot but remain when there is no means of compulsory execution in the law.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legislative system, it is necessary to enact a general legislation on administrative enforcement like China.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Korea’s present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directly ordered by the legislation may also be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However, since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usually has a character as that of unspecified individuals, it is judged that it becomes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only after it is confirmed as an obligation of specific persons through an administrative act. For instance, although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is specific to some extent,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bound in duty to recognize the specific obligation. Thu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erson bound in duty,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to the alternative obligation mediated by an administrative act like China. In addition,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provided that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could be made only when it would be difficult to secure the implementation concerning an unperformed obligation, but it does not state what comes under the other means. I think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negotia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which can collect opinions between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person bound in duty like China and solve the conflict between both parties elastically. Ultimately, if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are gradually maintained,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will be ensured.

      • KCI등재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적 개선에 관한 고찰

        김연태(Kim Yeon tae)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7 No.2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is a means to secure fulfillment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obligations to ensur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and legal execution by the state. Hence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is one of the core elements that characterize the system of public law under the dual division of public and private law. Administrative obligations must be performed and a certain extent of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must be ensured by means of compulsion of performance among others, in order to deal with failures to perform those obligations. Simultaneously, the rights of citizens must not be violated by abusive use of the rights of administrative execution. How to construct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differs by histories and legal systems of each nation. Republic of Korea accepted the German legislation of administrative execution through Japan. Yet while Germany has secured a self-sufficient and complete legal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under general law, Korea uses a system that regulates mainly using individual law from a point of view that is protective of human rights, although it possesses some regulations pertaining to general law.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non-performances of administrative obligations are, at times, not met with appropriate means of execution. The current system is also criticized of its lack of systematic structure as legislations are carried out individually according to different interests of government departments. Moreover, even under the individual legal regulations, the conditions and limits of administrative execution are often unclear and the control mechanisms of adjective law about administrative execution are at times insufficient. Therefore, legislative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order to better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legal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on, this paper recommends that the legal justification, conditions and limits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be clarified by regulat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general provisions under general law, complementally specifying in a limitative manner the appropriate mea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under individual laws, and establishing detailed regulations that consider the distinct content and purpose of individual laws.

      • KCI등재

        행정대집행의 실정법상ㆍ이론상 문제 및 법적 개선방안

        김아름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Administrative enforcement recognized by current law includes charge for compelling the execution and direct compulsory execution. In addition, instant compulsion is also used. For nations to execute administrative enforcement, due to the obligatory features, only the targeted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present laws, only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remains according to general law. Therefore, country tries to apply it as much as possible. So, the feature of each administrative method needs to be reviewed and systemized. Applicable range needs to be clarified. Since fire from Yongsan disposal site, small and big events related to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such as Guryong Village (Urban city reconstruction), Gangjeong Village (Marine base), Dumul Meori (4 grand rivers), Milyang (Transmitter), etc. occurred. From all different areas of society, there has been requests on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t was because there was abuse exceeding legal expectations in the course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n order to solve it, process validity needs to be acquired and legal system maintenance consistent to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needs to be maintained. 현행법상 인정되고 있는 행정상 강제수단은 대집행 외에 이행강제금, 직접강제가 있으며, 그 밖에 즉시강제의 경우도 활용되고 있다. 국가가 행정강제를 집행하기 위해서는 의무의 성질상 그 대상이 되는 것만을 적용해야 하는데, 현행법상 일반법으로서 행정대집행만이 존재하므로 국가는 최대한 이를 활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각 행정수단의 성질을 검토하고, 체계화하여 적용가능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1월 용산철거현장 화재사건 이래로 구룡마을(도시재개발), 강정마을(해군기지), 두물머리(4대강), 밀양(송전탑) 등 행정대집행과 관련하여 크고 작은 사건들이 발생하였고, 사회 각계로부터 행정대집행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있었다. 이는 행정대집행의 실행과정에서 법의 예상을 뛰어넘는 남용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 행정대집행법을 일부 개정하였으나, 아직까지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차적 정당성 확보와 함께 법치주의에 합치하는 법제의 정비가 필요하다.

      • KCI등재

        행정대집행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효근 한양법학회 2019 漢陽法學 Vol.30 No.2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refers to the enforcement of executive jurisdiction in which the obligor does not fulfill the obligation of alternative duties imposed by laws or administrative acts, and the disposition agency itself or a third party realizes its obligations and collects the expenses from the obligor. Concerning the calculation of expense of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oncrete and reasonable standards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e execution of the business in relation to the method of cost calculation and the scope of the actual cost. And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principle of executive suspension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in the case of Germany in terms of expanding the right of people 's rights relief. In addition, unexpected damage can occur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the ability when the duty is resisted in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Such a post - repressive manner is unfavorable to human rights and debates public confidence in administ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exclusion of the inevitable minimum resistance by obe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sm, since direct competence of the obligor is entering the stage of direct compulsion beyond the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Finally, in the selection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means, the discipline centered on individual laws may lack a systematic link between individual enforcement mechanisms. Through the general law regulation governing each compulsory enforcement means, Clear rules for the interrelationships and priorities or selection criteria of individual enforcement instruments need to be presented. However, even if there is no grounds for enforcing in the individual laws, enforcement through general legal grounds may still result i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the people.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specificity to be disciplined in the individual laws, it seems reasonable to supplement the general law through special regulation in individual law.

      • KCI등재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의 현황과 법적 과제

        김지영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5

        Recently,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been raised a number of problems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which enforces an administrative obligation has been steadily discussed. This discussion is based on what apart from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and “National Tax Collection Act” a general act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an advantage for an application of public law principle and fo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in regard to administrative compulsion is in a way acceptable, but it is necessary that we distinguish a necessity from effectiveness. The enactment of general act might not resolve all problem. Korean current individual legislation which each law provide an administrative compulsion has an advantage in point of respect of legislator and adaptability of administration. However, it is undeniable fact that the current system has problem for the restriction of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lack of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Moreover, a citizen has less possibility for a protection of his rights and an administrative remedies in the process of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conclusion it is more effective to continue the improvement of current individual legislation or make an effort its perfection than to enact new a general act. 비교적 최근에 행정집행의 실효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면서, 행정상 의무이행을 강제할 수단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이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 행정집행에 있어서 행정대집행법과 국세징수법상의 대집행과 강제징수 이외에 개별법상의 이행강제금과 직접 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필요성이 오히려 행정작용에 대한 공법상의 규율필요성, 기본권 보호의 강화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행정강제에 있어서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은 타당한 논거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법의 제정 필요성과 그 유용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미 행정대집행법의 예에서 보듯이, 행정작용에 근거가 되는 개별법상의 규정 체계와 일반법의 적용 문제는 행정 실무상의 문제로, 일반법의 제정이 행정집행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행의 개별법상 필요한 강제집행 수단을 선별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제는 입법자 입법재량 존중 측면에서, 행정 현장에서의 적응성의 측면에서 보면 현행 법체계도 그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행정 목적 달성의 실효성, 행정현장에서 집행 공무원의 편의성에만 국한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호에 관한 논의 보다는 다양한 제재수단을 마련하고 있는데 반해 개별법상 행정집행의 한계 및 제한에 관한 사항 등에 관한 미비점이 발견된다. 즉 비례의 원칙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행정소송에 있어서 국민의 권리구제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점은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중 사실행위로서의 성질을 가지는 사안에 있어서는 손해배상, 손실보상 등 금전적 전보 이외에는 권리 보호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은 더구나 이 영역에서 제재수단의 선택에 신중함을 기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에 착안하여, 행정소송법의 개정이나 행정상 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 이전에 제시할 수 있는 차선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개별법상 행정상 실효성 확보수단이 학설과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비추어 미흡한 점이 없는 지를 살펴보고, 법령의 명확성 측면이나 사인의 권리구제에 있어서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행정집행에 관한 일반법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 프랑스는 행정상 실효성 확보수단의 인정에 있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고, 행정상 강제집행제도가 인정되고 있지만, 법령의 규정이 명확하고, 비례의 원칙의 입각하여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행정의 실효성 확보 수단에 대한 평가와 과제 ― 「폐기물관리법」상 과징금과 행정대집행 규정을 중심으로 ―

        이준서 ( Lee Jun-seo )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1

        의성군 단밀 쓰레기산 사건과 같이 사업자는 이익을 취한 반면, 불법폐기물 처리에 막대한 공적비용이 투입되어 그 책임이 국민들에게 전가되는 사건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 오염원인자 책임원칙이나 환경정의와 같은 원칙이 훼손되는 것은 물론 법을 통한 집행력이 약화되면서 법의 흠결을 악용하고자 하는 편법을 양성하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가 반복될 우려가 있다. 이때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법적 개선방안이 규제와 제재를 강화하는 것이지만, 규제의 강화라는 부담에 비추어 그 실효성은 미미한 경우가 적지 않다. 행정의 실효성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법령상의 규제가 약하거나 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의무불이행의 양태에 대한 적절한 실효성 확보 수단을 입법적으로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2019. 11. 26. 개정된 「폐기물관리법」은 그동안 폐기물 관리 행정에서의 미비와 흠결을 보완하려는 취지로 폐기물처리업자의 기준·의무·제재를 강화한 것이다. 그러나 징벌적 과징금의 부과나 행정대집행의 절차 개선 등 행정의 효율성·편의성·신속성을 강조하다보면, 행정목적 달성을 위한 이행을 강제하면서도 개인의 권익침해를 최소화하려는 제도적 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책임자의 범위를 별도의 기준 없이 폐기물처리와 관련 있는 자로 폭넓게 확대하는 것은 책임범위나 분담비율을 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행정절차를 필요로 하게 되어 행정의 신속성을 저해하는 등 본래의 입법 취지에 역행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행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제의 강화 외에도 행정의 목적과 방향을 고려한 수단을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행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행법상의 수단을 이행강제금, 행정상 공표, 관허사업의 제한 등 새로운 유형의 실효성 확보수단으로 대체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행정상의 의무를 이행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거나, 명단의 공표를 통한 간접적이고 심리적인 압박수단을 활용하거나, 의무 위반·불이행에 따른 각종 인·허가를 거부함으로써 행정법상 의무 이행을 확보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이 하나의 법률에 다수 혼재되는 경우, 보다 직접적이고 신속한 행정상 강제집행으로서 기능하는 대집행을 기준으로, 대집행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거나 사건의 성질상 대집행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행강제금을 활용하고, 그 밖의 수단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실효성 확보 수단의 적용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n waste treatment business makes profit by brazen disregard of the law, like the Uiseong Garbage Pile case, it results in a large amount of public expense spent in the treatment of illegal waste, leaving the responsibility passed on to the public. Incidents like these not only brings seriously damage to the principles of the “Polluter Pays” or the Environmental Justice, but also induce repeated exploitation of the leeways of the law, not to mention incapacitation of the enforcement power of the law. The easiest solution may be tightening up regulations and sanctions; however, the burden to bring further restriction on individual rights may outweigh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regulations or sanctions.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 is difficult, not solely because of the inherent deficiencies in the regulative system, but mainly due to the lack of proper enforcement measures implemented in the law and regulation to utilize when non-compliance arises. The revised “Waste Control Act” of November 26, 2019 strengthened the standards, obligations and sanctions of waste treatment companies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in the waste management administration. Emphasizing the efficiency, convenience, and speed of administration by imposing punitive penalties or improving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procedures may force execution only for the achievement of the administrative objective, failing to embrace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minimizing the infringement of individual rights and interests. In addition, the revision that broadly expands the scope of the person in charge to those concerned without providing specific standards may design the law in conflict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legislation, by delaying, not expedit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mean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enforcement,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new types of measure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such as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administrative disclosure, and restrictions on government-licensed busin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can be increased by repeatedly imposing the enforcement fee until the administrative obligations are fulfilled. Administrative disclosure can secure the fulfillment of obligations through indirect and psychological pressure, and restrictions on government-licensed business can achieve effects such as refusal of various permits due to violations of prior obligations and non-fulfillment of orders. In case where multiple types of measure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enforcement present in one law,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system having the most direct and expeditious means such as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n the frontline, prepare other measures like the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to use only where the requirements for the direct and expeditious means are not met.

      • KCI등재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상 리콜제도와 강제집행

        김상태 ( Sang Tae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1

        최근 일본에서는 불량 전기용품 때문에 기업의 브랜드이미지 및 신용이 실추되고, 소비자에 의한 손해배상청구로 기업이 도산되는 등 제품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교훈으로 일본의 기업은 자체적으로 제조물책임 또는 리콜제도의 도입 등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으며, 나아가 관련법령의 준수 및 제품에 대한 안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기용품안전법도 이러한 민간사업자의 자주적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업자에 의한 자주검사와 민간기관에 의한 적합성검사를 규정하고 있다. 다만, 사업자에 의한 자주적인 안전 활동만으로는 전기용품에 의한 사고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기용품안전법에서는 이를 통제하기 위하여 리콜제도인위험방지명령를 도입하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제품의 결함으로 인하여 손해를 입었을 때 이를 배상받는 제도도 유용하지만, 손해의 발생 이전에 혹은 손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리콜제도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리콜제도는 사업자의 자발적 의무이행이 될 경우에 그 의미를 가진다. 만약, 사업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행정기관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의무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제집행과 같은 물리력을 행사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이미 시중에 유통 중인 전기용품에 대한 리콜의 경우, 이와 같은 물리력의 담보는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행정대집행법에 근거하여 행정기관이 직접제품을 수거할 수도 있다. 그런데, 행정대집행에도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언제나 인정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규제완화라는 취지에 맞추어서 리콜제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행정의 권한강화(예컨대, 사업자에게 보고 의무 부과) 등 기존의 리콜 관련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안전성 확보를 우선시한다면 이러한 위험방지명령과 강제집행은 반드시 적절한 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제도는 전기용품이 유통된 후 위해 및 장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발동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규제기관으로 하여금 사업자가 기술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기술기준에 준수하여 전기용품을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Recently in Japan, as the corporate brand image and reliability falls owing to bad electrical appliances and materials and corporations go broke, there occur diverse events·accidents related to product safety. Taking it as a lesson, Japanese enterprises are preparing the countermeasures for themselves such as product responsibility or recall system, further promoting the observance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safety activities about the products continuously.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Material Safety Act defines the independence assessment by the business and the conformity assessment by the private institutions to promote independent activities of such private businesses. However, as only the independent safety activities by the businesses have the restriction to protect consumers from the accidents by the electrical appliances,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Material Safety Act introduces the Order for Prevention of Hazards, the recall system to control it. In the consumer`s position, indeed the system is useful where the consumer gets the compensation when he or she gets damages owing to the defect of products,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have the recall system execu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r the spread of the damages. As the product a consumer uses cannot be perfect by 100% even with all the strict inspection, the recall system is a properly executed system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s by the product and prevent the consumer`s hazards and disturbances arising from the use of the product. This recall system may be conducted by the direction or recommendation by an administrative agency, but basically it is executed by a manufacturer or a vendor at its independent discretion and responsibility. However, recall system has its meaning in case a business performs it with its voluntary duty. In case a business fails to perform the duty granted to it, an administrative agency cannot help executing physical force like compulsory execution to protect people`s life, body and property and secure the effectiveness on the duty. Especially, in case of the recall of electrical appliances under being circulated already in the market, the security of such physical force can be deemed to be very significant. Hence also in Japan an administrative agency may remove the product directly based on the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Act like Korea. Of course, proportionality shall not be always applied to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existing recall-related system like the reinforcement of the authority of administration(for example, imposing duty of report on the business) so that recall system may be used more posi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rt of deregulation. In addition, as far as a consumer`s safety must be secured in priority, such Order for Prevention of Hazards and compulsory execution cannot be always a proper means, for such a system is usually mobilized when the hazard or the obstacle has occurred or is likely to occur after electrical appliances are distributed. So it is asserted also in Japan that it is necessary for regulators to identify that a business understands the standard of technology exactly, and manufactures, imports or sell the electrical appliances by abiding by the technical standard.

      • KCI등재

        대집행의 요건

        김성원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圓光法學 Vol.25 No.2

        The object of public administrative power is achieved by the process that the government impose a certain duty and people perform it. But in case that people do not do their duties, there should be legal measures which make people perform the duties. It is called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that an administrative agency realizes administrative duty forcibly.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is made up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dministrative coercive collection, Charge for compelling the performance and Immediateness compul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which has the Act for general regulations among those legal measures. I examined about the matter of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concretely.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regulates that "In case where a person liable for performing an act ordered directly under Acts (including any order issued by delegation of Acts, and any Municipal Ordinance of the local government;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or by the order issued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under the Acts, and performable by means of a vicarious execution of another person, fails to perform such act, if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erformance by other means, and it is deemed too detrimental to the public interest to leave the nonperformance, the administrative agency concerned may perform the act to be done by the person liable for it, or have a third person do it and collect the expenses therefor from the person liable for it."(Article 2) This thesis also critically reviews the essential requisites that is provided in the Article 2 of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I examined about a requisite of the vicarious execution through a theory and the examination of the precedent.

      • KCI등재

        행정상 강제의 실무상 쟁점

        박동민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3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GAPA) lists five systems in parallel: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mposition of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direct compulsion, compulsory collection, and immediate compulsion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compulsion. General rules were prepared for three systems.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human rights violation and the problem that vicarious execution is not used well. After the ‘Yongsan Disaster’ incident,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provided some improvements, but this alone cannot be the ultimate solution. Physical force against the body cannot be said to be included in vicarious execution, and requests for support from the police also need to be execute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So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itself should provide a stipulated basis for excluding resistance with force. In relation to the use of vicarious execution, in case of cost calculation, it is necessary to prevent unnecessary confusion by establishing specific calculation criteria or scope of imposition for each local government. In practice, there are discussions on how to object to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Since the imposition of charges is an administrative act, the method of objection in principle can be regarded as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in order to remedy the rights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appeal method is guaranteed as quickly as possible, so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appeal method against the imposition of charges to follow the non-litigative case procedure. In addition, it should be seen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 choose within the scope of its reasonable discretion regarding the overlapping sanctions of vicarious execution and imposition of charges. Of course, in order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minimum damage, the amount, frequency, and repeatability of imposition of charges must be strictly limited. In the case of direct compulsion, there are many criticisms that the requirements or procedural provisions are insufficient, despite the strong restriction. In addition to the minimum common requirements of GAPA, a more thorough legislative overhaul is needed to prevent each laws from being abused as tools for human rights violations. In addition, a plan to unify the hearing procedure as an essential procedure may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compulsory collection, disadvantages due to differences from civil enforcement procedures and the lack of administrativ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targets of compulsory collection are cited as problems. Whether it is an administrative compulsory collection procedure or a civil enforcement procedure has a great impact 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eople concerned, so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subject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collection must be clarified.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immediate compulsion and other means of compulsion, such as vicarious execution, is unclear, an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legal character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nd immediate compulsion when they are mix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rect or immediate compulsion,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body and property of the people is accompanied, so whether or not the principle of warrant is applied is an issu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warrant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warrant principle is applied in principle when administrative direct compulsion or immediate compulsion constitutes a serious infringement on the important legal interests of the people, such as personal arrest, seizure, and search. 행정기본법은 행정상 강제와 관련하여 행정대집행, 이행강제금의 부과, 직접강제, 강제징수, 즉시강제 등 5가지 제도를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있고, 이행강제금의 부과, 직접강제, 즉시강제 등 3가지 제도의 총칙적 규정을 마련하였다. 행정대집행은 그 실행과정에서 인권침해의 문제, 대집행이 잘 활용되지 않는 문제 등이 언급된다. ‘용산 참사’ 사건 이후 행정대집행법은 일부 개선 조항을 마련하였으나, 이것만으로는 궁극적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신체에 대한 물리력 행사는 대집행에 포함된다고 할 수 없고, 경찰에 응원 요청 또한 엄격한 절차에 따라 집행될 필요가 있는바, 행정대집행법 자체에 실력으로 저항을 배제하는 것에 관한 명문의 근거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 대집행의 활용과 관련하여 비용액 산정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별로 구체적 산정기준이나 부과 대상의 범위 등을 두어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행강제금은 실무상 그 불복방안에 대해 논의가 있다. 이행강제금의 부과는 행정행위에 해당하여 원칙적 불복방안은 행정쟁송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국민의 권리구제 차원에서 불복방안은 가급적 신속히 보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행강제금에 대한 불복방안을 비송사건절차에 따르도록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대집행과 이행강제금의 중첩적 제재 여부와 관련하여 행정청은 합리적인 재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물론 피해의 최소성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이행강제금 부과 금액, 횟수 및 반복가능성 등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직접강제의 경우 그 제한의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건이나 절차 조항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행정기본법의 최소한의 공통적 요건과 함께 개별 법규에서 인권침해의 도구로 악용되지 않도록 보다 면밀한 입법적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청문 절차를 필수적 절차로 통일화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강제징수의 경우 민사집행 절차와의 차이점으로 인한 불이익, 행정상 강제징수의 대상을 정하는 기준이 없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언급된다. 행정상 강제징수 절차인지, 민사상 집행절차인지는 해당 국민의 권리의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행정상 강제징수 대상을 설정하는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즉시강제는 대집행 등 다른 강제수단과 사이에 구분이 불명확하고, 행정조사와 즉시강제가 혼합되어 그 법적 성격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아울러 직접강제, 즉시강제의 경우 국민의 신체, 재산에 대한 실력행사가 수반되므로 영장주의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다. 헌법상 영장주의의 취지에 의할 때 행정상 직접강제, 즉시강제가 인신의 구속, 압수, 수색 등 국민의 중요한 법익에 대한 중대한 침해에 해당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장주의가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 KCI등재

        한국의 행정제재 현황과 문제점

        정훈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3 No.3

        In modern welfalre states,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sanctionis a main instrument for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and maintenance of order. Administrative sanction is a means for achievement of administrative regulationgoal and can be subsumed under administrative regulation. According to currentlaw and case, administrative sanction includes administrative punishment,administrative fine for negligence,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charge forcompelling the performance etc. These various sanctions may give rise to doublepunishment of a violation of regulation. Also it is a concern to joint penal provisionsthat current law set a exemption provision and only fine and minor fine for juristicperson. For example, Food Sanitation Act Article 100(Joint Penal Provisons) provides… shall be punished by a fine not exceeding 150 million won or 50 million won:Provided, That the same shall not apply in cases where the juristic person orindividual has not neglected to exercise due diligence and supervision over therelevant duties in order to prevent such violation. 행정의 영역은 사법이나 입법과 달리 너무나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각 영역간 공통분모를 찾기 어렵고, 이러한 행정의 특징상 규제나 제재의 형식이나 내용도 매우 복잡. 다양할 수 밖에 없다. 각 행정영역별 복잡한 입법체계만큼이나 복잡한 규제와 제재는해당영역의 행정목적달성을 위해 그때 그때 입법화되어 국민의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규율대상인 개별 행위에 대해 적정하고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행정목적달성에 적합한 수단인지, 나아가 각 제재수단의 중첩적인 적용이 이중제재의 문제는 없는 지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규제 혹은 제재법제의 현실은 행정규제와 행정제재간 개념정의나 구별이 명확하지 않고, 판례나 입법현실을 보아도 양자를 혼돈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규제와 제재간의 관계정립이나 개념정의가 제대로되어 있지 않고, 규제법과 제재법체계의 정비미비로 인해 각 규제.제재수단과 행정목적간의 관련성, 각 수단상호간의 도입취지 등에 따른 적정한 적용원칙 등이 부재한 데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 중 하나가 행정제재간 이중처벌인데 행정형벌과 질서벌, 그리고 제제적 성격의 영업정지와 행정벌은 이중처벌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행강제금과 행정대집행도 병과할 경우 이중처벌에 해당하고 과잉금지원칙에도 반한다. 다음으로 계속적인 위험행위를 중단시키는 영업정지와 제재적 성격의 영업정지는 구별되어야 한다. 현행 법은 수많은 법령에 여러 종류의 제재가 산재되어 있어서 체계적인 수단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가령, 여러 제재수단의 병과가 허용되는지, 아니면 이중처벌이나 일사부재리원칙에 반하는지 등이 문제되는 이유도 이러한 데서 연유한 것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위반행위의 성질이나 영역별로(가령, 영업법, 경제법, 환경법 등) 유사한 공통점을 추출해서 체계적이고 형평에 맞는 제재가 이루어지도록 법정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금전적 제재의 경우 제재의 가액과 법위반행위로 인한 불법이득간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법준수의 의지를 약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특히 법인 등의 영업주에 대해서는 처벌의 양도 문제이지만, 처벌의 종류도다양하게 과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