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추가 우울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문경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ruminatio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hip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rumin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depression. For this purpose,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uple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68 married couples. As the results, first, the husbands'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were significant, and the wives' actor-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rumination on depression. Second, the husbands' actor-effect, the wives'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rumin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of depres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case of both husbands and wives. Fourth, it was revealed that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of rumination were significant on their own and partner'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depression both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well the interpersonal process of influencing and receiving of husbands' and wives' ruminatio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o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up studies and the counseling practice for married coupl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반추, 우울,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반추가 우울을 매개로 부부 상호간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부 상호간의 영향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총 368쌍의 기혼 부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하고, 아내의 경우는 자기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편의 자기효과,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추는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의 우울을 매개로 자기 및 상대방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편과 아내의 반추와 우울, 결혼만족이 부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와 상담실제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유진,심은정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aths from the husband’s and the wife’s covert narcissism to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to understand differences by actor and partner effects among married couples. For this purpos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for the collected data from 142 married couples to confirm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actor and partner effects among the variables. Additionally, phantom variables were created and the bootstrapping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 of covert narcissism directly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wife. The partner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directly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either among husbands or among wives.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husband and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wife fully mediated the actor-effect of the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wife partially mediated the actor-effect of the wife’s covert narcissism on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wife’s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e wife’s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wife’s covert narcissism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2쌍의 기혼부부 자료를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 및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팬텀변수를 생성하여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아내의 경우만 유의하였다. 남편과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완전매개 하였고,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였고,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도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연인의 관계동등성과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최연재,연규진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r’s relationship equal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tudy also tested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equality and relationship authenticity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Participants were 194 pairs of unmarried heterosexual couples in their 20’s and 30’s who answered the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PIM, the actor effect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equal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both men and women. The partner effect of women’s relationship equality on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forming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allows one to express oneself with more authenticity, leading to an increased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In addtion, the study is meaningful that it identified that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en also increases when women perceive the relationship as equal through the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equality. 본 연구는 연인의 관계동등성과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인 관계와 같은 양자 관계의 경우, 한 사람의 특성이 상대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여 관계만족도에 대한 관계동등성과 관계진솔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였다. 결혼 전 연인 관계에 해당하는 성인 20-30대 이성애 연인 194쌍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APIM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서 관계동등성과 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관계진솔성의 자기효과를 확인하였고, 남성 관계만족도에 대한 여성 관계동등성의 상대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연인과 동등한 관계를 맺을 때 연인에게 자신의 모습을 더욱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인 관계에 더욱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계동등성의 상대방효과를 통해 여성이 관계를 동등하다고 지각할 때 연인관계의 상대방 남성의 관계만족도도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태도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연은모,윤해옥,최효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relationship among married couple’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using an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Also, we examined a moderating effect of family income on these relationships. Specifically, we tried to demonstrate that how family income varie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Survey responses of 1,576 married couples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nalysis, (1) t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actor effects on both husband and wife`s depression, but not a partner effects were not found at both. (2) Both husband and wife who perceived less marital conflic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actor effects on parenting attitude whereas its’ partner effects were found only from wife. (3) Similarly, the actor effects of lower depression 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ere found from both husband and wife whereas its’ partner effects were found only from wife. (4) The negative indirect effects through depression wer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rital conflict on their parenting attitude, and these relational influences were varied depend on family incomes. These results appear that APIM is more optimized for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and findings carry important implication for marriage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을 활용하여 부부갈등, 우울, 양육태도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1,57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하고 있는 부부갈등이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난 반면, 상대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부부갈등이 적다고 지각할수록 긍정적 양육태도를 가지는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는 어머니가 지각하고 있는 부부갈등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긍정적 양육태도를 가지는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우울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만 확인되었다. 넷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부부갈등이 자신의 우울을 거쳐 자신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적인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커플 자료에 대한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부부갈등, 우울,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측정학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측정 및 평가 관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을 매개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usbands’ and wives’ avoidance coping behavior affects intimacy through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The data used for the mode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211 couples, consisting of husband and wife pair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ctor-effect of husbands’ and wives’ avoidance coping behavior was significant, and the partner-effect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which avoidance coping behavior influences on intima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Third,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were significant in case of both husbands and wives. Fourth, after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s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the full effect of responsible attribution has been verified in many ways. These results show that avoidance coping behavior,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intimacy affect different aspects of husband-wife interaction, and that avoidance coping behavior affects the couple’s intimacy by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addition, since the full 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has been verified, clinician should intervene the couple’s avoidance behavior to maintain their intim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mad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연구의 목적은 부부 관계에서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을 매개로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부 상호간에 주고받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적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 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구성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모형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남편과 아내 쌍으로 이루어진 총 211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이 책임귀인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유의하였고, 남편과 아내 회피대처행동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이 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의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편과 아내의 책임귀인이 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아내와 남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편과 아내의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러 경로에서 책임귀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회피대처행동, 책임귀인, 친밀감이 남편과 아내 상호관계에서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며, 회피대처행동은 부부의 친밀감에 책임귀인을 완전매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책임귀인의 완전매개효과를 통해 볼 때, 부부를 다루는 임상현장에서는 부부가 상대 배우자에게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책임귀인으로 반응하기 전에 부부의 회피대처행동에 개입하여 부부의 친밀감 유지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노인 부부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 부부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차(2015년) 자료를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를 통해 제공 받아 2018년에 분석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1,121쌍의 노인 부부 데이터이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아지고,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존중 감이 우울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없었으며, 남편과 아내 모두 자아존중감이 생활만 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간 영향력 차이 비교 결과, 아내의 생활만족도는 남편보다 자신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남편의 생활만족도는 자신의 자아 존중감뿐 아니라 아내의 자아존중감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넷째, 가구 소득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남편 자아존중감→아내 우울’에 서만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married couples. The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is influence was moderated by family income. Data were collected from 1,121 elderly couples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the 10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5) b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alysis revealed that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s own depression, but not with their partner’s.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s own and with their partner’s life satisfactio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wives’ life satisfaction were directly influenced by one’s own self-esteem rather than their partner’s. However, the husbands’ life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one’s own self-esteem as well as their partner’s. These influences were nor different when family income were moderated its relationship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차근영 ( Cha Geunyeong ),김석선 ( Kim Suk-sun ),길민지 ( Gil Minj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우울의 상호의존성을 검증하고, 이 후 모형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40-60세까지의 중년 부부로, 본 연구는 부부관계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중년부부 207쌍의 커플자료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분석방법을 통하여 경로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우울에서 모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APIM 모형 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1에서는 중년 부부의 스트레스가 높을 때 자신의 우울이 증가하는 자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방 효과에서는 부인의 스트레스만이 남편의 우울을 증가시키고, 남편의 스트레스는 부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는 결혼만족도가 높을 때 남편과 부인 모두 자신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자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방 효과로는 부인의 결혼만족도만이 남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부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관리 및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중년기 부부의 우울증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ddle-aged couples`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dividually and interactively between wife and husband b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Data from 207 middle aged couples have been analysed with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egree of similarities between husband and wife on stress,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tress had significant actor effect on the depression of husband and wife alike, revealing the influence of positive stress on depression. In contras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partner effect between husband and wife. That is, the stress of husband had no partner effect on the wife`s depression, whereas, the stress of wife had negative partner effect on the husband`s depression. Martial satisfaction had also actor effect presenting that when martial satisfaction was high, individual depression of husband and wife was low. Likewise the stress, marital satisfaction had no partner effect on the wives` depression, indicating that wives` marital satisfaction had negatively influenced the depression of their partner. However,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had no influence on their partners` depression. These finding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eciprocal influences between wife and husband when plann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in regards to improving the depression of middle aged couple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녀가치의 매개효과

        기쁘다 한국가족관계학회 2018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2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maternal and paternal value of childre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in the longitudinal dyadic approach. Metho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author analyzed three waves (from 5th to 7th year) of the data, and the sample size was 1,773. The average age was 34.79 for mothers, and 37.26 for fathers. Their average length of marriage was 95.3 months, and their children were 51.03 months old on average. Results: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fluence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both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influenced the value of children, with the actor effect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with the partner effect only from mothers. The value of children influence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the actor effect only from mothers and fathers. Also, the value of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the actor effect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For the partner effect, only the mediation path from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mothers’ value of children to mo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highlighting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value of children to improve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maternal and paternal value of childre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in the longitudinal dyadic approach. Metho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author analyzed three waves (from 5th to 7th year) of the data, and the sample size was 1,773. The average age was 34.79 for mothers, and 37.26 for fathers. Their average length of marriage was 95.3 months, and their children were 51.03 months old on average. Results: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fluence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both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influenced the value of children, with the actor effect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with the partner effect only from mothers. The value of children influence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the actor effect only from mothers and fathers. Also, the value of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ith the actor effect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For the partner effect, only the mediation path from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mothers’ value of children to mo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highlighting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value of children to improve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종단적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이은진(Lee, Eunjin),남석인(Nam, Seok 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부부 쌍(dyadic) 자료를 활용하여 남편과 아내의 상호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5차(2013년)-7차(2017년) 본조사에 참여한성인 자녀를 둔 노인 부부 1,420쌍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차지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적용하여 남편과 아내의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고,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 아내의 결혼만족의 종단적 자기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는 부부의 성인자녀관계만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 반대로 결혼만족이 성인자녀관계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 상대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성인자녀관계만족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자기효과는 남편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건강한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 of older adult couples based on longitudinal data, and to ver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by utilizing couple s dyadic data. As the analysis data, responses of 1,420 older adult couples with adul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from 2013(Wave 5) to 2017 (Wave 7) were used. This study applied the 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o test actor and partner effect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and verify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itudinal acto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Thir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older couple s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Meanwhile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orth, the partner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but the actor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sitive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 in old 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 가정 부모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커플자료 분석을 위해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중 만 5세 이하 자녀를 두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으로 구성된 5,531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 검증 방법에 기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평등한 성 역할태도를 가질수록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과 간 크기 비교 결과,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경우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는 어머니-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는 반면, 어머니의 성 역할태도가 아버지-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상대방효과 보다는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배우자의 성역할태도 보다는 자신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 교육 시 평등한 성 역할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의 경우에도 평등한 성 역할태도가 긍정적 자녀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경험과학적 증거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parental sex-role attitude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b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parental sex-role attitude in married couples with immigrant women who have children under 5 years old. For the analyses, a total of 5,531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cluded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ple’s sex-role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s who were more conscious of gender equality displayed a bette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is effect was greater in the case of the father’s attitude than the mother’s. Second, the father’s sex-role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whereas the mother’s attitude did not. Third, the couple’s actor effects were greater than their partner effects and this means that the personal sex-role attitude has a greater impact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an the partners’ attitude.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derived from these empirical-scientific database results and related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of gender equality attitude for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