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Management System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Universities

        김영준(Young-Jun Kim),권량희(ryang hee kwo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academic management system that is required in relation to the activation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activities that are importantly operated by universities to support students’ capacity growth and success. FGI was used for professionals who served as heads of departments that plan and overse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universities. The academic system tha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activa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input and output. First, the academic system that should be put in order to actively approach students while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presented in the categories of ‘integrative composition system of feedback mechanism’, ‘operational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In this regard, detailed grounds such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mmittee, roadmap for completion of multi-dimension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lecture plan and class evaluation linke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day and meet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specific day designa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nkage system, promotion channels and event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new program development and improvement maintenance through student planning monitoring team were presented together. Next, the academic system at the output level that students should be guaranteed after comple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presented in the categories of the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mileage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human resource certification system. In this regard, detailed grounds such as flexible scholarship payment standards, expansion of scholarship recipients, and employment and career-based incentive payments wer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academic system of input dimension and output dimension should be actively applied to students in a balanced and linked manner in order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can enhance the internalization and advancement when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f all the members including the students, the integrated composition system between the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s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linkage with the related academic system are fully consider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역량 성장과 성공을 지원하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학사제도의 수립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대학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기획 및 총괄하는 부서의 장으로 재직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가 사용되었다.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수립되어야 할 학사제도를 투입과 산출의 맥락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와 동기를 높이면서 활발히 접근하기 위해 투입되어야 할 학사제도를 ‘환류 기구의 통합 구성체계’, ‘운영 내용’, ‘운영 방법’의 범주로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과교육과정위원회, 다중 차원의 비교과 이수 로드맵,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강의계획 및 수업평가, 특정 요일 지정을 통한 비교과 Day 및 모임,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이수제, 비교과 홍보 통로 및 이벤트, 학생 기획 모니터링단을 통한 프로그램 신규 개발 및 개선 유지 등의 세부 근거들이 함께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보장받아야 할 산출 차원의 학사제도를 ‘비교과 마일리지제 운영’, ‘비교과 인재 인증제 운영’의 두 가지 범주로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유연한 장학 지급 기준, 장학 수혜 대상 확대, 취업 및 진로 기반 인센티브 지급 등의 세부 근거들이 함께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투입 차원과 산출 차원의 학사제도가 상호 균형적이고 연계적으로 학생들에게 활발히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는 학생을 비롯한 모든 구성원들의 소통 및 협업, 교과 및 비교과 인프라 간 통합 구성체계, 관련 학사제도와의 연계 등이 충분히 고려될 때 내실화와 고도화를 갖출 수 있다는 측면도 제고되었다.

      • KCI등재

        현장중심 초등교원 양성을 위한 교원대학의 내적체제 및 학사운영 개선방안 모색

        허숙 ( Sook Hur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초등교원 양성의 주임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이 최근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학령아동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초등교원의 수요가 감소하고, 임용고사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목적대학으로서의 의미가 상설되고 있으며, 게다가 계속적으로 정부의 국립대학 구조조정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대학은 대학의 외적체제 변화에 많은 관심과 논의가 집중되다보니 교육대학의 내적체제 및 학사운영이 정말 유능한 초등교원의 양성에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쏟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의 내적체제와 학사운영의 개선을 위해 교육대학의 신입생 선발방식 문제, 심화과정의 편성과 학생매정 문제, 교육과정의 결정 구조, 교사자격증부여 문제, 임용고사의 방식문제 등을 분석하고, 교육대학이 유능한 초등교원의 양성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의 방향으로 교육대학 기능의 다변화, 신입생의 학과별 모집과 초등교과전답교사의 양성,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개선, 교육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임용고사 방식 개선 등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There are 10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NUE) in Korea now which take a pivotal role in educ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ently NUEs have been confronted with som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ncrease of competition in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government policy for restructuring national university system. The NUEs are forced to change their role and university system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Therefore, there are many discussions and concerns about external changes of NUEs including unification with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le few about internal matters in NUEs such as students selection system, improving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cademic management system. With the belief that the improvement of internal academic management system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ses and discusses some problems in students selection system, allotment of freshmen to the department, making university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some alternative ideas such as expansion of the role of NUEs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department-based students selection system, educating elementary school subject specialists, student-based curriculum making,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based on university records.

      • KCI우수등재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형 학생선수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 개발전략

        주형철(JooHyungchul),홍광석(HongKwangseok),백주해(BaeckJuhae)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본 연구는 학생선수가 학업과 훈련을 병행하여 ‘공부하는 학생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형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의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온라인 이력관리평가시스템인 NEIS, 학생선수 e-school과 미국의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인 NCSA, Hudl의 주요 기능을 비교하고 각 사례의 교육적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부하는 학생선수 육성을 위한 한국형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의 운영방향성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한국형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스템 사용자(학생, 학부모, 담임교사, 운동부 지도자)가 학업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 훈련 관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야 한다. 또한 한국형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이 활발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운영개발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형 온라인 이력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학생선수가 학업과 훈련을 병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나아가 학교운동부 문화를 개선하고 훈련의 과학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student-athlete profile system of Korea and United States in order to create Korean online career administration system that allows student-athletes to balance sports and academic as ‘studying student-athletes’. The main functions of NEIS, e-school for student-athlete of Korea, and NCSA, Hudl of the US were compared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each case was analyzed. This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foster ‘studying student-athletes’ using the Korean online career administration system. System users(i.e. student-athletes, parents, teachers and coaches)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cademic management and it is crucial to raise awareness of systematic training.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operating strategies to readily access information in the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Korean online career administration system for student-athlete, it is expected that a student-athlete would be able to establish an opportunity to cooperate with schooling and training at the same time. Also, it can build a foundation to improve the culture of the athletic club and achieve scientific training methods.

      •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채재은,이인서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학습참여활동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분석 : A대학교 Smart Class를 중심으로

        김은혜,이정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0 상업교육연구 Vol.34 No.6

        예기치 못한 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인하여 대학교육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고, 비대면 원격수업 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수요가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A대학의 학습관리시스템인 Smart Class를 중심으로 학습참여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양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구 체적인 검증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게시판 확인, 강의 자료, 강의 시청, 질의응답, 토론방 참여, 지각 횟수 등을 학습참여활동의 하위변인으로 정의하고, 학생참여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평균차이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으로 구분한 경우 학습참여 활동의 평균차이가 유 의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수업자료열람과 질의응답을 제외한 수업 시청, 게시판 참여, 지각, 토론방 참여 등의 학습참여 활동변인들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수업설계자이면서 학습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하는 교수는 비대면 원 격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설계하여 학 습참여활동을 유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습참여활 동의 평가 및 반영, 게시판과 토론방을 자유롭게 접속하도록 동기부여 및 접근이 수월한 시스템 개발 등을 제안한다. The unexpected occurrence of COVID-19 caused many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and increased people's interest and demand for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y focusing on Smart Class, A University's learning management system. It defined bulletin boards, lecture materials, lecture viewing,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room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tardiness as sub-variates of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verage differe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ifference in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ies occurs significantly when students with high academic performance and those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are divided. Seco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can be explained by the variables involved in learning activities, such as watching classes, participating in bulletin boards, being late, participating in discussion rooms, excluding reading class materials and answering questions. The professor, who is a class designer and needs to act as a learning facilitator, suggests that in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strategies that can facilitate learning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learning participation.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non-face-to-face classes, it is proposed to evaluate and reflect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develop a system that is easy to motivate and access to freely access bulletin boards and discussion rooms.

      • KCI등재

        ERT 환경에서 진행된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학습변인에 대한 고찰

        박은경,김정태 한국영어평가학회 2021 영어평가 Vol.1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variables affecting college learners' achievement in a general English course under the Emergency Remote Teaching Environment. For the study, six learning variables were selected: checking the bulletin-board, learning progress, access to the LMS, watching video lectures using mobile devices or PCs, and learning time. 133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online general English courses. Thei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learning variables affect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ecking the bulletinboard, access to the LMS, and learning progress were correlated highly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checking the bulletin-board and watching video lectures using mobile devices contributed to the achievement for the male students. However, only the variable of access to the LMS affected the female students. Access to the LMS was the primary variable for the 1st grade students; checking the bulletinboard and watching video lectures using mobile devices affected the achievement in the Engineering college. In the low-level group, access to the bulletin-board was the only effective variable.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learning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re illustrated.

      • KCI등재

        웹기반 학업성취도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최진영,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과정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에서 소속 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습성과 습득을 보장하 기 위한 관찰 및 관리 수단으로서 학업성취도 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및 운영 사례를 소개한다. 본 대학의 전자공 학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교과목 이수 이력 및 학습성과 성취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학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들에게는 학생별 맞춤식 상담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에서는 학습성과와 관련된 각종 통계도 제공하도록 하여 프로그램 차원의 학습성과 관리가 가 능토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성공적 구축 및 운영 예를 제시함으로써 공학인증과정의 운영에 필요 한 각종 통계지표의 계산 및 제시가 가능함을 보인다. In this study we explain the necessity of a developing management system of academical achievement in a progrm running the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as an observation and management tool to assure students' succesive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s, and also present an operation result of the constructed management system. Taking the electronic engineering program in our school as an object, we constructed a relating database to monitor the students' course work completions and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s, to allow students to build their plans for course work and to enable professors to proceed customized counseling for assigned students. The constructed system also provide various statistics relating program outcomes to allow program professors to proceed effective management of outcomes in the program level. In this paper we show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provide the various statistical indicators, which is needed to effectively run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s, by presenting the results relating successful construction of the system and its operation.

      • KCI등재

        학술연구용품 관세감면 사후관리에 관한 개선방안

        신성식(Sung-Shik Shin),최해범(Hae-Bum Choi) 한국관세학회 2012 관세학회지 Vol.13 No.4

        The current prototype to preferential tariff reductions are being im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expensive research equipment necessary to study the production of Samples used in industrial R & D Institute. However, do not take advantage of the long-term for the mass production of its experimental and research purposes, despite the end of sleep is the reason because of the tariff reduction according to strict post management. No matter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one, if damage occurs due to the gap between the spirit and the law and the reality sector, the law itself needs to be amended or supplement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ariff reduction system Tariff Reduction expensive equipment for follow-up management information, training till the end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research purpose was written. This is legally secure and efficient operation for tariff reduction in academic research supplies is to improve the problem. Supplies tariff reduction measures presented by academic research will allow you to make effective support for business activities through a system of mitigation. Also, Including our export company, government agencies, academic circles being related, and international trade advisory agencies must expand opportunity of information shar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가학술자원관리시스템구축 계획에 관한 연구

        노영희,이수지,박홍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008 정보관리학회지 Vol.25 No.1

        National competence is based on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academia, research and information. IMD reported that Singapore, #2 country in national competence index, topped in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Meanwhile Korea's current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roject lacks comprehensive coordination at a governmental level and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sporadic mann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overall analysis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Consequently,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attention was devoted to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neglecting rare, hard-to-collect sources with historic, academic, and/or cultural values. This study proposes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fully supervise academic resources at least, among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which is a national asset, and also to allocate budget and cultivate new information building projects based on overall analysis on academic resource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system to implement efficient linkag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cademic resources and, to that end, we need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t a national level, maximizing the benefits from the knowledge society that we live in. 국가경쟁력의 근간은 대학경쟁력이고 대학경쟁력은 학술·연구·정보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IMD는 국가경쟁력에서 2위를 한 싱가포르가 대학경쟁력에서 1위를 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국가경쟁력은 대학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지식인프라 구축사업이 국가 단위의 종합적 계획없이 진행되고, 지식정보자원의 총량 분석없이 산발적·경쟁적으로 진행된 관계로 일반적인 정보원구축에 중복 투자가 되는 반면에 수집이 어렵고 많이 활용되지는 않으나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정보원은 오히려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자산인 국가지식정보자원 중 학술정보자원만이라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학술자원에 대한 총량분석을 기반으로 한 예산 투자 및 정보화사업과제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술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학술자원의 효율적 연계, 보급, 활용을 위해서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식기반시대에 적합한 국가단위학술자원관리 체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