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과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이을구,김기수,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Education between students with a lecture, those who perform a content-related project after a lecture, and those who carry out a content-related project without a l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king advantage of both a lecture and project-based lesson led to better achievement than using only a project in Technology Education subject of an academic high school in academic achievement in 'knowledge' area. I infer that it is because they reviewed what they had learned in a lecture and the preparation and practice of the project caused them to memorize it. Second,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standing' area among the group with a lecture, the one with both a lecture and a project, and the one with only a project. However, considering the comparison of averages and the p-value of F-test, I can deduce that the test outcome influences students with a lecture and a project positively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aptation' area among the group with a lecture, the one with a lecture and a project, and the one with a project. I can conclude that those results are because the difficulty level of evaluation was high and they produced a model just by copying textbook con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육에서 강의식 수업만을 받은 학생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후 학습 내용과 관련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한 학생과, 그 리고 강의식 수업을 받지 않고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며 스스로 학습한 학생들 간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1학년 3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내용으로 실험을 실시한 후, ‘지식, 이해, 적용’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 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통한 실험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기술교과에서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지식’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평균값을 보면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를 모두 수행한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면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 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이해’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셋째, 강의식 수업만 실시한 집단,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모두 실시한 집 단,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는 집단과의 ‘적용’ 영역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치기공과 학생의 학습몰입,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최주영,김임선 대한치과기공학회 2021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4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dental technology departments;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immersion in learning,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influencing online learning experience; ways to improv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basic data for designing effective online courses. Method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dental technology students from September 29 through October 8, 2020. The outcome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5.0. A significance level of α=0.05 was used for reliable verification. Results: Immersion in learning,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relatively high among students who studied on a regular basis, and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relatively high among students who studied with almost no interruption. Concer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immersion in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t r=0.862. Class satisfaction was the largest factor that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higher students’ immersion in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were, the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Conclusion: The research is a case study that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student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immersion in learning,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outcome could be used in determining factors that influence online learning and designing effective online courses that improve learner satisfaction.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계의 이해’단원에서 실습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파지에 미치는 효과

        이태주,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practice clas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retention for middle school "Understanding Machines" part and analysis was done using the t verification metho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 class) had a slightly higher average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ory clas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tention post-examination, conducted one hour after and then one day after the clas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 class) and the control group (theory class), showed a slightly higher averag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for retention post-examination given 31 days after the classes were held,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the two previous retention post-examin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 class) ha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ory clas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cannot be derived from practice classes but it can be concluded that practice class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long-term retention.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계의 이해’단원에서 실습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파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t 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험집단(실습수업)이 통제집단(이론수업)에 비해 학업성취에서 조금 높은 평균점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실습수업)과 통제집단(이론수업)이 1시간 경과 시점과 1일 경과 시점의 경우 파지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실습수업)이 통제 집단(이론수업)에 비해 조금 높은 평균점을 얻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31일 경과 시점의 경우는 앞의 두 파지 사후검사와는 달리 실험집단(실습수업)이 통제 집단(이론수업)에 비해 높은 평균 점수를 얻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실습수업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나, 장시간 파지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매우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건설기술의 기초」 단원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체험 활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박종석,이건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기술문명을 이해하고, 고도정보화 사회에 부합할 수 있는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건설 기술의 기초” 단원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모형 교량 만들기 체험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험 활동 중심 수업과 전통식 수업간의 학업 성취도, 학습방법, 성별, 학습 능력의 차이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개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교육 목표 영역인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에 비교한 결과 협동 학습은 인지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는 두 집단간 차이는 없으나, 정의적, 심리·운동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간 학업 능력에 따른 학업 성취를 비교한 결과는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으나 하위 집단에서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통한 체험 활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밝혔고, 학교 현장에서 단원의 성격에 따라 강의식 수업과 체험 학습 모형을 적절히 조화시켜 학습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협동학습 개발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culture, and consider how the experience of building the model bridges at the basic level of “ basics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high school technology class, play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the following;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hands-on experience based classes(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classes(controlled group),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ademical ability between the gender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s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gained by the cooperative study group and the group the underwent individual study was very minimal. Secondly,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developing intelligence, skills of defining, and in psychological exerci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 of developing intellig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cooperative study group showed improved developments for skills of defining, and psychological exercise. Thirdly,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al development subsequent to the academical 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and the middle group, but the effectiveness was very clear in the lower group. This research clearly demonstrates the effects of hands-on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cooperated efforts on the academical development,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n importan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study activities that will maximize the study effectiveness by optimally mixing the lecture based class and the hands-on experience based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members of the school.

      • KCI등재

        ARCS 모형을 적용한 ‘기계 운동의 원리’ 단원 수업의 효과

        송계남,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chnology instructionusing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model on the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To accomplishthis purpose,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veloped for six class periods,implemented and evaluat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cross two groups, as follows: one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using ARCS model, and anothercontrol group that received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The pretest-posttest scores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he scores were analyzed andevaluated by t-test at .05 significance level methods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the pre-experimental design, thelearning motivation and all the motivating factors (Attention, Relevance,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in the post-experimental design,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Moreover, bothlearning motivation and all of the motivating factors(ARCS) were higher in the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Therefore, Technology instructionapplying the ARCS model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than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the pre-experimental design, theacademic achievement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 show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in the post-experimental design, there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Moreover, the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groups. Thus, Technology instruction applying the ARCS model was more effectivein increasing the academic achievement than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Therefore, we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the ARCS model improved thelearners'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교과 수업에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하여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이 수업이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도에 효과를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총 6차시 개발하였고,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은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 유의도 .05 수준에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동기에 대해서 사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습 동기와학습 동기 하위 영역(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사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습 동기와 학습동기 하위 영역 모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기술과 수업에 대한 학습 동기를 증가시키는데 더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에 대해서 사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통계적으로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사후에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를 보였고,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더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를증가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ARCS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기술과 수업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시켜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가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NCS환경에서 ICT분야 교육에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박동철,권두순,황찬규,Park, Dongcheul,Kwon, Dosoon,Hwang, Changyu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5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3

        Recent national polici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develop teaching-oriented educ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learning is taking place. Plan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clas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ways to leverage the integration appearing in variou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usal influence on the ARCS motivation theory can determine the basic psychology of human motivation factors and the desires of a typical human nature theory dealing with the psychological needs of interactivity and immersion is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transfer and to validate the demonstration.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ctor i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raining program modules from a field study conducted at the NCS with a clear empir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the synchronization to the learn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 KCI등재

        개인요인과 학업성취 및 취업준비요인이 정보통신분야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

        김영기,허영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study aims to obtain suggestions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of worker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lecommunications by analyzing how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vidual, of university enrollment, affect the employment of permanent and non-permanent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and female than male, 4-year universities than college and major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lecommunications than non, higher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permanent full-time workers was higher. It was also found that higher the grade as academic achievement factor, higher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permanent full-time workers was higher. But it was found that longer the period of work experience, acquirement of professional certificate, longer the period of language training abroad, more get in preparation program for employment,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s a non-regular part time workers was higher. Therefore, university authorities that plan and implement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who desire to work as permanent full-time worker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assist students gain higher grade, longer period for find employment as regular worker. 본 연구는 개인요인과 함께 대학 재학 중의 학업성취 요인 및 개인별 취업준비 요인이 정보통신분야의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경제적 배경은 정보통신분야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정규직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그리고 4년제 졸업자와 정보통신분야 졸업자가 정규직 취업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요인인 졸업학점이 높으면 정규직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체험 기간, 자격증 취득 여부, 해외 어학연수 기간, 취업 프로그램 참여 횟수 등 취업준비요인은 비정규직으로 취업확률을 높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실제 구직기간(개월)이 길어지면 정규직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통신분야의 정규직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대학관계자는 졸업학점을 잘 관리하고 빠른 진로탐색을 통해 실질적인 구직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컴퓨터 활용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의 중등 기술교과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문혜성(Hye-Sung Moon),사공옥경(Ok-Kyoung SaK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인쇄매체, 영상매체를 활용하는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이 중학생 기술교육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전통적 교사중심 강의수업을 받는 집단과 프로젝트 미디어교육을 받는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째, 프로젝트 미디어교육 학습집단이 전통적 강의방식 학습집단에 비해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업성취도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습결과물 영역의 학업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프로젝트 미디어교육 학습집단이 전통 학습집단에 비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소들 중,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의 솔선수범 및 독립성, 창의성의 요소들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