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과 사건

        권영빈(Young-Bin Kwon)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2 No.-

        이 글은 『82년생 김지영』을 정동적 ‘되기’의 관점에서 주목해 소설이 지닌 서사 구성의 원리를 문학주체를 주조하는 기술적 요인으로 분석한다. 정동(affect)은 힘을 주고받는 존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초개체적 관계성과 그 힘의 증감, 주체의 ‘되기’라는 형성적·과정적 양태를 강조하고 의미화하는 개념이다. 소위 ‘정동하고 정동되는 몸의 능력’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정동됨(연결)’을 ‘정동하는 능력(행위)’으로 변용하는 정치적·윤리적 주체화의 형식과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정동의 대표적 쓰임이라 할 수 있다. 정동은 예측불가능성과 비인칭적·비본질적 특징을 필수적으로 갖지만 마주침(encounter)의 흔적과 그 축적이 세계를 재고하는 교육-미학적 효과를 낳는다는 점에서 동시대를 설명하는 주요 개념틀이 되며, 『82년생 김지영』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정동 장치로서의 내밀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82년생 김지영』은 우리 사회에서 페미니스트 주체의 생산과 운동 흐름의 분화를 포함해 다양한 문학·문화사적 계기와 담론들을 형성했는데, 이러한 ‘현상’으로서의 『82년생 김지영』은 ‘공감’이라는 포획된 정서에 기반한 여성 주체의 각성과 연대를 설명하는 것이 되기에 앞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을 텍스트 내적으로 구조화하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논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다룬 정동적 ‘되기’는 소설-독자의 상호 참조와 상호 조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론적 실천으로서의 자기 재정보화로, 소설의 특징인 통계수치 인용과 같은 독자 동반출현 기술과 젠더화된 공간의 학제화·생애주기화는 이러한 ‘되기’를 추동하는 주요 동력이다. 한편『82년생 김지영』에 등장하는 ‘빙의’는 김지영의 몸이 자신의 주체성을 매끈하게 비워낸 공간이 아닌, 단독자이면서도 타자와 항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적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는 장치이다. 이는 소설이 김지영의 삶을 대신 이야기하는 의사와, 자신의 주변을 살았던 여성을 대신 이야기하는 김지영과, 현실의 여성을 대신 이야기하는 텍스트 『82년생 김지영』이라는 복합 구조를 체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사 구성의 원리가 소설 안팎으로 새로운 문학주체를 구성하는 자기조직체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을 환기한다. 『82년생 김지영』은 우리 사회에서 정동적 주체(들)의 발작적 출현의 징후를 보여주는 텍스트로, 이 글은 소설이 지닌 운동성을 현상이나 담론의 맥락이 아닌 서사 내적 원리로 논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Kim Jiyoung, born 1982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ive ‘becoming’ and tried to analyze the principle of narrative composition of the novel as a technical factor that molds the subject of literature. Affect is expressed as ‘force’ or ‘encounter of forces’ and ‘the capacity of the body to affected and to be affected’. In addition, it is a concept that analyzes the form of political and ethical subjectification that transforms this ‘being affected(connection)’ into ‘the ability to affect(action)’. Affect has unpredictability, impersonal and non-essential characteristics as essential. However, in that the traces of encounters and their accumulation create pedagogical- aesthetic effects of reconsidering the world, they are the main concepts that explain contemporaries. Kim Jiyoung, born 1982 has a structure as an affective apparatus that makes this possible. Kim Jiyoung, born 1982 has formed various literary and cultural discourses such as the production and movement of feminist subjects in our society. Before explaining the awakening and solidarity of female subjects based on the captured affect as ‘empathy’, Kim Ji-young, born 1982 as a ‘phenomenon’ should be discussed in text's internal structure detail. The affective ‘becoming’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an epistemological practice that enables the cross-reference and mutual organization of novel-readers which means means ‘self-reinformatization’. The novel drives this ‘becoming’ by citing statistical figures or by timing genderized spaces. On the other hand, the “possession” that appears in Kim Ji-young, born 1982 is a device that emphasizes that Kim Jiyoung's body is not a empty space where her subjectivity has disappeared, but a relational existence that is always connected to “the other” while being single person. Kim Jiyoung, born 1982 has latent structures creates a “self-organizing system” that constitutes a new literary subject inside and outside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is a text that shows signs of a seizure of affective subject in our society, and this article was an attempt to discuss the motility of the novel at a technical level, not in the context of a phenomenon or discourse.

      • KCI등재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의 불안한 결속: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엄혜진(Yum, Hae J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82년생 김지영』의 재현 전략 및 수용 과정이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소설적(영화적) 표현이라는 점을 제안하고, 자기계발을 성공뿐 아니라 생존의 일반 양식으로 삼게 된 청년 세대 여성들의 페미니즘 기획과 부합할 수 있었던 역동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82년생 김지영’은 오늘날 자기계발하는 여성 주체의 규범적 표상이자, 여성 자아 정체성 기획이 처한 새로운 곤란과 위기를 나타낸다. 1990년대 이후 여성도 남성처럼 살 수 있다고 격려해왔던 성공 담론의 한계 효용 속에서 좌절과 실패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공감과 위로의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자기계발 담론을 갱신했다. ‘82년생 김지영’이 페미니즘의 기호로 부상할 수 있었던 과정에는 청년 세대 여성들이 구축한 페미니즘 담론장의 특성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여성혐오의 피해자라는 동질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러링(거울보기)을 통해 이를 공고히 하는 공감 정치의 실천이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세계와 안정적으로 만나 폭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여성의 보다 나은 삶과 주체적 삶을 공통의 가치로 삼는다는 점에서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은 모호한 경계를 공유하며 경합해 왔다. ‘82년생 김지영’ 신드롬은 자기계발과 페미니즘 사이에 상쟁하는 이 긴장 속에서 형성된 불안한 결속을 나타낸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ggest that the representative strategy and acceptance pro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are the novelistic(and cinematic) expression of women’s self-help. And at the same time, by virtue of critical discursive analysis (CDA) I searched the dynamics through which the novel has been successfully in harmony with the feminist schemes of young women who embodied self-help as an general modes of success as well as survival. “Kim Jiyoung, Born 1982” is the normative icon of self-helping female subjects, and represents the new difficulties and crisis that face women’s self-identity scheme. In the process that has made Kim Jiyoung, Born 1982 as a feminist icon, the features of the discursive field of feminism built by young women have been closely linked. The features are activism based on misogyny discourse and personalized politics of sympathy. Although these trends spreaded socially the idea that the discriminations experienced by contemporary women are cummulative but also new, they, rather than resisting the system itself that values most competition based on the norm of market, tried to secure the rights of equal participation into self-help. The practice of the politics of sympathy, which confirms the homogeneous identity as the victims of unequal field of competition, and of the widespread misogyny, and strengthens itself through mirroring, has met with the world of women’s self-help of “Kim Jiyoung, Born 1982”. And this encounter has made great explosion.

      • KCI등재

        국경을 넘는 페미니즘과 ‘얼굴없음’의 정동 : 『82년생 김지영』 일본어 번역을 중심으로

        김미정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how Nam-joo Jo’s novel, 『Kim Ji-young, born 1982』 (2016) has been read and distributed since it was translated into Japan in 2018. This novel sparked a great debate in Korean criticism in 2017. In particular, the critical percep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popular feminism” and “representation form” in relation to this novel in Korea is still not being dispelled. Discussions in Korea are rotat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modern aesthetics. At this time, the translation of this novel overseas and examining its situation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current discussion in Korea, and further discussion can be promoted. It is believed that the socalled external perspective is necessary. I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Kim Ji-young, born in 1982』 in 2018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and distributed in a discourse. First of all, in Japan, this novel is known only to have played a role in the priming water of the K-feminism+K literature boom, but it has been accepted since the 2000s as an expression of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neo-liberalism in Japan. This novel was in the place where the discourse of generations in Japan leads to gender discourse and is revived. In addition, this novel was read as a message that actively resisted hate-speech and misogyny in Japan in the 2010s when neo-liberalism and neo-conservatism were unfolding. This was confirmed by reviewing various discussions in Japan from translation in 2018 until recently, and corresponds to the contents of chapter 2-4. However, the enthusiasm of the public for this novel itself was set as an example of popular feminism. In particular, new media via the Internet was an important platform for the distribution of this novel. Therefore, the unoptimistic sentiment toward popular feminism, which has been a concern in Korea, is likely to be projected into the translation boom in Japan. Howe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itself questioned and changed the gender dynamics of the traditional public sphere in Japan. This was elucidated in chapter 5. It is necessary in research work to contextualize and signify phenomena in a simple structure. Today, however, the situation quickly flows and changes. Before framing the issue concisely, what is needed first may be a gaze for sensitivity and affect that are not easily recovered by the existing representation system. Now, the reader's desire and affect cannot be explained in the modern representation system. This is a measure of the different conditions of literature today. Affect is transindividual. The image of facelessness on the book cover is distributed like a symbol. However, anonymous readers find the possibility of projecting each one onto that empty face. Ironically, the representation in this novel is rather set as an investigation of affect and virtuality. This is beyond the novel or the identification of the reader. It also reminds us of the old memories of literature that could not be reduced to individual writers or printed works. 본고는, 조남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2016)이 2018년 일본에 번역된 이래로 읽히고 유통되는 상황을 검토한다. 이 소설은, 2017년 한국의 문학계에서도 논쟁을 불러일으킨 바 있고, 특히 이 소설과 관련한 ‘정치적 올바름’ ‘대중 페미니즘’ ‘재현 형식’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지금도 불식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 소설 현상이 근대 미학의 원리를 전방위적으로 질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식의 출구가 필요해 보이기도 한다. 이때 이른바 외부의 관점, 즉 이 소설의 해외 번역 상황을 살피는 일은, 현재 한국에서의 논의틀을 갱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우선 이 소설은 일본 내 K페미+K문학 붐의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만 알려져있지만, 2000년대 이후 일본의 신자유주의 저항 언설의 ‘표현’을 이어받으며 받아들여진다. 일본의 2000년대 중후반 대중적 세대(프레카리아트) 담론·운동은,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담론·운동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흥미롭게 볼 것은, 세대 운동과 젠더·페미니즘 운동의 결정적인 차이로서 당사자가 가시화하느냐 마느냐를 둘러싼 재현법이다. 단적인 사례로, 아마미야 가린이 주도한 세대 투쟁이 당사자를 가시화하는 재현전략에 관련된 것과 달리, 『82년생 김지영』을 매개로 한 일본 내 대중 페미니즘의 발흥은 당사자 얼굴을 비가시화하는 전략에 상응한다. 얼굴을 드러낼 것인지 말 것인지를 둘러싼 차이는, 단일한 주체를 상정하는 운동이냐, 무명의 복수성을 호환시킬 방법적 탈주체의 운동이냐의 차이다. 또한 『82년생 김지영』은, 신자유주의, 정치적 신보수주의가 전개되는2010년대 일본의 혐오발화(hate-speech)와 여성혐오(misogyny)에 적극적으로 항거하는 메시지로 읽히기도 했다. 이 점은 소설의 약점으로 지적되어 온 단일하고 소박한 여성연대 이미지(혐의)를 다양하게 분할하는 독법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내용은 본 논문의 2-4절의 내용에서 다루었다. 그런데 한편으로 이 소설에 대한 열광 자체는 대중 페미니즘의 사례로 지목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인터넷을 매개로 하는 뉴미디어가 이 소설 유통의 중요한 플랫폼이다. 그렇기에 한국에서의 대중 페미니즘이나 진영논리에 대한 우려가 일본 내 번역붐에 그대로 투사되기도 쉽다. 하지만 소설의 번역, 유통 과정 자체가 일본 내 전통적 공론장의 젠더 역학을 정면에서 질문한 측면은 중요하게 보아야 하고, 오늘날 일본군 위안부 운동, 한일 미투 연대 등의 활동과 연결되는 지점도 주목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5절에서 이러한 내용을 규명했다. 계속 진행중인 『82년생 김지영』 현상을 간명한 구조로 맥락화, 의미화하는 것은 연구작업에서 필요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은 사안마다의 상황이 숨가쁘게 유동하고 변화한다. 지금 그 사안을 간명하게 프레이밍 하기 이전에 우선필요한 것은, 기존의 표상체계로 쉽게 회수되지 않는 감수성, 정동에 대한 직시(直視)일지 모른다. 특히 근대적 재현=대표=표상(representation) 체계로 온전히 설명되지 않는 독자의 욕망과 정동, 그리고 개체적 저자성의 의미로 환원시킬수 없는 이 소설 현상은, 가치 판단 이전에 오늘날 문학의 달라진 조건을 가늠케한다. 정동이란 본래 특정 개인으로 환원될 수 없는 초개체적 웅성걸림이다. 표지의 '얼굴없는 두상 이미지가 일종의 표상처럼 유통되고 있지만 오늘날 무명의 독자들은 그 비어있 ...

      • KCI등재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 여성영화의 일면: 영화 <82년생 김지영>론

        전지니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ovie KIM Ji-young: Born 1982 (2019) as the film, which dramatized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2016) as the novel, which had been the best seller and had been at the center of the gender debate by the world of popular culture, in relation to having been prompted a discussion about the gender hierarchy and the material deflection within the film world after ‘feminism reboot.’ As it is known, a movie became a target of persistent controversy up until the release from the production presentation phase. With being linked mainly with a social aspect to be discussed, a full-fledged argument over a work was not triggered. Considering this matter, this study complexly examines the direction of adaptation, the orientation of a film, and a significance in the acceptance process starting from the controversy over a movie. Specifically, the aim is to inquire into the direction of commercial film based on women’s narrative and ‘woman’ film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year in 2020. 본고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영화계 내 젠더 위계와 소재의 편향성에 대한 논의가 촉발된 것과 관련하여, 베스트셀러이자 대중문화계 젠더 논쟁의 중심에 있었던 소설 82년생 김지영(2016)을 각색한 영화 <82년생 김지영>(2019)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알려진 것처럼 영화는 제작 발표 단계부터 개봉 이후까지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됐으며, 주로 사회상과 연동하여 언급되면서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촉발되지 않았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고는 영화에 대한 논란에서 출발해 각색의 방향, 영화의 지향점 및 수용 과정에서의 의미 등을 복합적으로 살펴본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해 여성서사를 기반으로 한 상업영화의 목표 지점 및 2020년 한국 이후 ‘여성’ 영화의 방향을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은 <82년생 김지영>을 어떻게 읽는가?: 경력단절을 경험한 유자녀 기혼여성의 해독을 중심으로

        박지훈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7 No.3

        By analyzing how women who experienced a career break read the film <Kim Ji-Young: Born in 1982>,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hat married women with a child (children) are interpellated in Korean society and their implications. The respondents of our study did not necessarily sympathize with Kim Ji Young’s desire to get back to work. It is not because the respondents do not support women’s realization of their dream via their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t’s rather because of their awareness that career women are still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childcare and housework and thus must endure mental and physical tiredness. The respondents also felt in the film the negative perception of stay-home-moms as lazy and incompetent and expressed their discomfort about the reproduction of a derogatory term such as ‘mum-roach.’ The respondents’ reading of the film indicates the married women’s precarious position in Korea. The patriarchal culture that assigns the primary role of childcare and housework to women and the neoliberal discourse that regards stay-home-moms as lazy and incompetent ultimately require married women to perform both role perfectly. 본 연구는 경력단절을 경험했던 여성들이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재현하는 경력단절여성의 서사를 해독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유자녀 기혼여성이 사회에서 호명되는 방식과 그 함의를 논의한다. 응답자들은 직장 복귀에 대한 김지영의 서사에 전적으로 공감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이 경제활동을 통한 여성의 자아실현을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이 아니라, 김지영이 직장으로 복귀하더라도 그녀가 책임져야 할 가사와 육아·양육의 의무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더 큰 정신적·육체적 부담을 감당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응답자들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전업주부를 무능하고 열등한 존재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을 영화에서도 느꼈으며 이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다.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응답자들의 해독은 한국 사회에서 유자녀 기혼여성이 처한 불안정한 위치를 드러낸다고 보인다. 기혼여성에게 육아·양육, 가사노동을 떠맡기는 가부장적인 문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여성을 자기계발하지 않는 나태하고 존재로 바라보는 신자유주의적 시선은 결국 유자녀 기혼여성에게 직장생활과 육아·가사 노동을 둘 다 완벽하게 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 페미니즘 문학교육 연구—장편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석추영(石秋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8 No.-

        교육의 보급은 녀성들의 사회 참여도 비중을 늘이고 지위를 현저히 높였지만 녀성에 대한 불평등은 은연중 지속되고 있고 그에 따른 새로운 문제도 싹트고 있다. 이에 자기계발과 자아보호 등 녀성들의 리익을 대변해줄 페미니즘 교육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지만 교육과정에 몇가지 어려움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론문에서는 ‘3위목표(三维目标)’에 근거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당대 현실 수요에 따른 페미니즘 문학교육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 한국 조남주의 장편소설 《82년생 김지영》을 구체적인 수업 실제로 다뤄 그 교육적 효과를 추론해보고저 한다.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남성 독자와 여성 독자의 의미 구조 분석 :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김세화 ( Kim Se Hwa ),최숙기 ( Choi Sook Ki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읽은 대학생 남녀 독자 48명을 대상으로 독자 성별 변인에 따라 페미니즘 텍스트를 읽은 독자의 의미 구조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2년생 김지영』이라는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전체 독자집단은 주인공 김지영의 모습을 통해 현실 사회에서 여성의 성차별적 구조에 대해 인식하고 젠더 담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형성하는 양상이 의미 구조로 분석되었다. 둘째, 『82년생 김지영』과 같은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서 독서 토의ㆍ토론은 독자들의 의미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 토의ㆍ토론을 통해 독자들이 질문을 떠올리고 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은 젠더에 관한 독자 의미 구조를 형성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독자 성별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 남성 독자집단은 페미니즘 텍스트를 통해 여성의 성차별을 간접적으로 경험하지만, 소설의 통계적 왜곡과 편향에 대한 의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저항과 의혹을 보였다. 넷째, 여성 독자 집단은 성차별에 대한 토론 경험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군가산점 문제나 젠더간 극단적 갈등 우려에 대한 의미구조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of readers who read feminist texts. Forty-eight participants who read the novel Kim Ji Young Born 1982 were broken down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reading this feminist text, the entire reader group recognized the gender discrimination structure against women in the real worl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protagonist Kim Ji-young and formed a sense of gender discourse in the sense of meaning. Were analyzed. Second, while reading feminist texts such as Kim Ji Young Born 1982, reading discussions have been seen to play a central role in shaping readers’ meaning structure. Through reading discus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reading and talking about readers plays a mediating role in shaping readers’ meaning structure about gender.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readers’ genders, the group of male readers indirectly experienced women's gender discrimination through feminist texts but showed resistance and suspicion about the text by forming a semantic structure for statistical distortion and bias in the novel. Fourth, women's readers' groups, importantly,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the discussion on gender discrimination and showed a meaning structure for the issue of military add-on or extreme conflict between genders.

      • KCI등재

        80년대생 여성 서사에 재현된 인정 투쟁 - 영화 〈벌새〉와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김윤희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이 글은 대표적인 여성영화라 일컬어지는 <벌새>(2018)와 <82년생 김지영>(2019)의 두 주인공이 모두 80년대생 여성들이라고 하는 사실에 착목했다. 2010년대 후반과 2020년대 초반에 개봉한 상당수의 여성영화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강요되어온 남녀의 성역할 이데올로기로 인해 여성이 스스로를 존중하지 못한 채 타자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분투하는 인정 투쟁을 다루고 있다. 특히 <벌새>와 <82년생 김지영>은 경제운영방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던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여성들이 가정 안에서 오랫동안 내면화해온 이데올로기와 교육을 통해 형성하게 된 가치관이 상이함으로써 겪게 되는 정체성의 혼란을 다루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벌새>와 <82년생 김지영>이 인정 투쟁의 한 형식으로 영화를 채택하여 이들 여성들의 삶을 환기한다고 전제하고 이들 영화가 재현하고 있는 80년대생 여성들의 서사를 통해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이 스스로 개인적 자기 가치 부여의 기회를 획득하며 자신들이 속한 공동체 내 성원으로 당당히 살아가고 있는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사회는 여전히 가부장제로 인한 남성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여성으로 하여금 자기 규율을 통해 자기혐오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여성의 권리를 배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여성이 가족으로부터, 사회로부터 부정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강화하지 못하고 자기존중을 제대로 이룰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냈다. 남ㆍ녀를 떠나 한 사람이 온전한 주체로서 한 사회의 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랑ㆍ권리ㆍ사회적 연대라고 하는 인정의 형식들을 여성들이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경(國境) 안과 밖의 여성들 ―‘K–’의 곤경과 한국의 가족주의

        강지윤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first began appearing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form of women’s narrative that was inherited from writers working in the 1990s. These narratives of marriage migration reflected an increase in migration, which was transforming Korea into a somewhat multi- racial society. Moreover, it reveals that the issue of migration in Korean society possessed a distinctly gendered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 recognition of emigrants as civilians occurred mainly in the form of recognizing families composed of a Korean native and foreign spouse.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ideology of familialism conceals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is gradually being shifted to low-wage female workers from less-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feminism reboot” phenomenon in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in the mid-2010s, re-popularized a female image free from the problems of class and race at a time when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were gradually losing prominence.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suc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ref lects the fact the combined patriarchal and neoliberal system of Korean society, which limits the social role of women to being consumers and mothers who direct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maintain the family’s social status, was no longer sustainable due to neoliberalism losing its hegemonic status. 이 글은 2000년대 중후반에 나타난 결혼이주 서사들과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대표하는 『82년생 김지영』을 같이 읽으며 이 두 가지 여성서사들이 한국의 외부와 연결되고 있는 다른 양상이 보여주는 변화를 신자유주의와 함께 작동해온 한국 가족주의에 내포된 문제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독해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중후반 다수 창작된 결혼이주 서사들은 1990년대부터 확대되어온 여성서사를 이어받아 한국 사회의 결혼이주 여성들의 현실을 조명한 작품들로 이해된다. 이 시기 결혼이주 서사들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관찰되는 이주의 젠더화 현상 속에서 여성의 돌봄노동이 저개발 국가 출신의 여성에게 이월되는 현상을 한국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은폐하는 기제를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주도했던 여성서사인『82년생 김지영』이 결혼이주 서사가 축소된 자리에 한국사회의 ‘내부 식민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를 재등장시키면서 페미니즘의 동아시아적 확대를 추동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이 글은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의 글로벌한 확대를 가져온 『82년생 김지영』이 앞선 시기의 결혼이주 서사가 맥락화했던 여성–인종–계급 문제를 결락하고 있는 역설에 주목할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우리는 서발턴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가?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화 〈82년생 김지영〉 리뷰 분석

        여신(Lu, Che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8

        본 논문은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관객 평점의 양극화 현상의 특징과 그 사회적·심리적 원인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통해서 탐색했다. 우선 네이버 영화에 등록된 46,424건의 리뷰를 수집·분석한 결과, 성별, 세대, 관람 여부에 따른 평점 격차가 존재했다. 이에 형태소 분석을 통해, 관객의 무의식적 관심을 가장 잘 반영하는 일반명사를 추출하여 살펴봤다. 또한 일반명사 가운데 1) ‘공감’, 2) ‘여자’와 ‘여성’, 3) ‘엄마’와 ‘어머니’, 4) ‘세대’, 5) ‘육아’, ‘주부’와 ‘결혼’과 같은 출현 빈도가 높은 형태소를 대상으로 평점대별 Word2Vec 연산을 통한 의미 탐색을 진행했다. 그 결과, 영화 〈82년생 김지영〉에서 평점의 양극화가 만들어지는 사회구조적 원인과 집단적 무의식의 양상에 다가갈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젠더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대두 되고 있는 갈등과 분열의 근본적 원인이 소수자 내지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부족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사회적인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인문학 소양 향상, 특히 소수자를 대변하는 콘텐츠의 제작과 공유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ation of audience reviews for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as well a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causes by adopting the text mining method. First, the analysis on the 46,424 collected reviews from the movies section of Naver, a Korean online platform, showed that the ratings differ according to gender, generations and whether they actually watched the film or not. Thus, through the analysis on morphemes, common nouns that can best reflect the unconscious interest of the audience were extracted for the research. Also, with the morphemes that have high frequencies among the common nouns, such as 1) “empathy” 2) “women” and “female” 3) “mom” and “mother” 4) “generation” and 5) “child rearing,” “housewife,” “marriage,” their meanings were explored through the Word2Vec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ratings. The results led the research team to the socio-structural causes and aspect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at brought about the polarization of the ratings from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earch team decided that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conflict and split, which have been arising in Korean society, lie in the lack of empathy for the minority or others as well as gender, and thus, suggests creating and sharing contents that can enhance knowledge in the humanities and especially, represent the minority as an alternativ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apability for empathy throughout society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