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3차원 수치모형(Si3D) 개발 및 Sacramento-San Joaquin River Delta 에서의 모형검정

        정태성(Cheong Tae Su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3B

        Estuaries are a valuable natural resource as habitat for living creature. An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an estuarine change in which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 of estuarine salts, sediments, contaminants, and certain biological organisms (for example, plankton and larval fish) are governed by advection and dispersion usuall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processes of water circulation and mixing. Because significant variations in currents and salinity occur in all three spatial dimensions in most estuaries, 3-D models are needed. For example, tidal currents in estuaries that flow in opposite directions at different depths or travel in one way near a shoreline and in the opposite way near the center of a channel are not uncommon. The density gradients that occur in estuaries are severe enough to affect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irculations and the vertical mixing. A fine grid three-dimensional semi-implicit finite deference hydrodynamic(Si3D) model and the particle tracking model were developed to validate hydrodynamic mechanisms and fish behaviors in the vicinity of Delta Cross Channel. For the calibration, 3-D numerical model results for flow, water surface elevation, and velocity profile data are compared with field studies data obtained in 2000. The results show that the new model fits flow and water surface elevation data measured in the vicinity of DCC better than DSM2. The Si3D provides represents of three dimensional velocity profiles measured in the vicinity of DCC. 생태, 환경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는 연안유역에서의 염도, 유사, 오염물질, 그리고 특정 미생물(플랑크톤, 어란)의 이동 및 확산거동에 관련한 수리학적 지식은 연안생태계 및 수자원 보호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연안유역에서는 주기적인 흐름에 의한 연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이동 및 확산과정이 중요하므로 3차원 수치모형이 필요하며, 밀도에 의한 순환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밀격자를 갖는 3차원 준음해 유한차분모형을 개발하고 Delta Cross Channel(DCC) 유역의 3차원적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2000년에 수집된 유량, 수위, 그리고 유속분포 자료를 개발된 모형결과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모형을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모형은 1차원(DSM2) 모형에 비해 유량과 수위자료를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C 유입부에서 수집된 3차원 유속자료와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모형은 3차원 난류 유속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드론영상 기반 고밀 도심지의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에 관한 연구

        최연우,윤혜원,추미진,윤동근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2

        3차원 공간모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틀로서 도시계획, 환경, 토지 및 주택관리, 재난 시뮬레이션 등 다 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3차원 공간모형의 구축 시에 저비용으로 단시간에 3차원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드론의 활용성은 증가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가상도시 구축 및 시뮬레이션 모듈 활용 측면에서 항공촬영의 정 확도 및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이 밀집하여 위치한 도심지를 대상으로 항공촬영 조건별로 드론을 활용한 항공촬영의 정확 도 및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2동 내 건축물 밀집도 가 높은 일부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항공촬영 조건으로, 촬영각, 촬영고도, 드론영상의 중복률을 활용하였다. 항 공촬영의 정확도는 대상지 내에 설치한 검사점의 실제 측량값과 항공촬영을 통해 구축한 3차원 공간모형의 예측값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를 산정하였다.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는 항공촬영을 통해 생산된 Point cloud 와 Point cloud에 기반하여 구축된 3차원 공간모형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밀도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정 확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중복률에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정밀도의 경우에는 중복률이 높 을수록 정밀도는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촬영각도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정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촬영고도의 경우에는 정밀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선고도비의 경우에는 중복률 과 상이하게, 기선고도비가 커질수록 정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e 3D spatial model is an analysis framework for solving urban problems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environment, land and housing management, and disaster simulation. The utilization of drones that can capture 3D images in a short time at a low cost is increasing for 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model. In terms of building a virtual city and utilizing simulation modules, high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and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function as important factors, so a method to increase the accuracy has been proposed. This study analyzed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and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by each condition of aerial survey for urban areas where buildings are densely located. We selected Daerim 2-dong, Yeongdeungpo-gu, Seoul as a target area and applied shooting angle, shooting altitude, and overlap rate as conditions for the aerial survey.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survey value of CPs and a predicted value of 3D spatial Model. Also, We calculated the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Point cloud and the 3D spatial Model (3D Mesh).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ocation accuracy tended to be high at a relatively high rate of overlap, but the higher the rate of overlap, the lower the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and the higher the shooting angle, the higher precision.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cision. In terms of baseline-height ratio, the precision tended to be improved as the baseline-height ratio increased.

      • KCI등재

        애임즈 변환에 의한 불가능도형의 3차원모형

        심복섭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3

        공간의 사물을 관찰할 때 그것이 실물이건 사진과 같은 복제품이건 우리가 사물을 사물로써 인식한다는 점에는 큰 차이가 없다. 인간의 눈은 항상 ‘망막의 상’이라고 하는 2차원의 평면정보를 3차원의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애임즈 변환’은 이렇게 평면정보를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조형적 고찰이다. 이 변환과정을 거치면 3차원에 재현할 수 없는 ‘불가능도형’을 3차원모형으로 재현하는 일이 가능해 지는데, 여기에는 관찰자의 시점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즉 불가능도형이 가지고 있는 모순된 평면정보에 시점을 개입시켜 쓸모 있는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을 통해 모순된 정보구조는 공간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연속성이 확보된 공간정보는 3차원모형을 구축하는 단서가 된다. 이렇게 구축된 3차원모형은 열리거나 뒤틀린 구조적 변이를 통해 착시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그것을 보는 순간 마치 자신의 뇌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의식하는 것을 즐기기라도 하듯 묘한 혼란에 빠진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형적 호기심과 즐거움의 충족은 물론 뇌의 움직임에까지 간섭하려는 심리적인 의도를 직감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불가능도형의 불가사의한 매력을 작품에 담거나 애임즈 변환으로 풀어내는 여러 예술가의 시도와 족적을 통해 그 조형적 의미와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시각예술분야에 대한 일시적인 주목이 아니라, 애임즈 변환이 조형활동과 조형교육에 있어 혁신적 사고와 발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매력적인 존재이며 나아가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초조형의 근거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we observe an object of space, we can recognize it as an object regardless if it is the real object or a duplicate. That's because our eye processes the 2D information 'the image on the retina' into a 3D space information. In this study I look at how Ames transforms the plane information into spacial information, and how to reproduce the impossible figure into a 3D model. The observer’s visual point is deeply involved. That is, it is to transform into the useful space information by involving the visual point in the inconsistent plane information of impossible figures. The plane information contradicted by transformation can obtain the spatial continuity, and the space information of continuity becomes a trace for implementing the 3D model. Such the implemented 3D model h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imperfection. When we look at it we falls into a strange confusion, like enjoying knowing how the brain works. Through it, we can satisfy our curiosity and enjoyment and can directly feel a psychological intention of trying to intervene even in the brain’s proc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the formative meaning and possibility through many artists’ attempts and traces that contain the impossible figures’ mystery attraction or is interpreted by Ames transformation. It is because this is not a temporary observation for the visual art field, but is the attractive existence which can transform the innovative thinking and idea in the formative activity and the formative education. Furthermor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base of available Basic Design and Art in many fields.

      • KCI등재
      • KCI등재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붕괴파 모의에 관한 연구

        정우창,이진우,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of the flood wave due to the dam failure is carried out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e applied numerical model is ANSYS CFX (Ver. 13.0) which is a commercial software developed by ANSYS Inc. This numerical model is applied to three different cases of hydraulic model experiments related to the analysis of the dam-break wave, and the results simulated from three-dimensional model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from laboratory measurements and the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s results of comparison, the predicted results agree well with measured ones and are more slightly accurate than those from the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In particular, the peak water depth and its time agree almost accurately with measured ones.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applied in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predict the peak water depth and its time after a dam failure.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파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적용된 3차원 수치모형은 ANSYS Inc에서 개발한 ANSYS CFX (Ver. 13.0) 상용 프로그램이며, 댐 붕괴파의 전파양상 분석과 관련된 기존의 세 가지 수리모형실험에 대해 측정결과와 2차원 수치모형에 의한 결과와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결과 3차원 수치모형은 2차원 수치모형에 비해 측정결과에 보다 따르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첨두수심과 발생시간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적용된 3차원 수치모형은 댐 붕괴에 따른 첨두수심 및 발생시간의 예측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 KCI등재

        3차원 지적등록 방안에 관한 연구

        김감래(Kim Kam Lae),황보상원(Hwang Bo Sang Won),이성화(Lee Seong hwa) 한국지적학회 2007 한국지적학회지 Vol.23 No.2

          As the concern about the practical use of land is increased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s of the scientific technologies, populati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usage of land have been enlarged not only to the earth surface but also to the air and undergroun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register every real right of buildings and public facilities by the current 2D cadastre which registers spatial objects in planar dimension although the real land use are extended to the 3D. Consequently a new methodology is required to register the physical objects and rights of real property. In this paper, the modeling of 3D objects of digital cadastre is presented with the analysis of 3D objects that should be registered in 3D cadastre.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구의 급격한 증가 및 급속한 도시의 확산, 산업화 등으로 토지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토지의 이용이 지표면뿐만 아니라 지상의 공간과 지하의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토지이용의 입체화에 따라 공간상의 권리의 대상인 각종 건축물 및 시설물 등을 현재의 등록 방법인 2차원의 지적등록 방법으로는 등록대상이 2차원인 관계로 그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지표면은 물론 공간상에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및 시설물 등의 물리적 객체와 소유권 및 기타 권리관계를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등록의 필요성과 3차원 지적등록의 대상 등의 분석을 통하여 공간상의 3차원 지적 분할과 이의 가시화를 통하여 실현가능한 3차원 지적의 등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입체모형 활용 현황, 수요 및 구축 비용을 고려한 실현 가능한 3차원 입체모형 구축 방안 연구

        김민수,박두열 한국국토정보공사 2020 지적과 국토정보 Vol.50 No.1

        In response to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3D object models in the latest fields of digital twin, autonomous driving, and VR/AR, as well as the existing fields such as city,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energ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3D object models with various precision from LOD1 to LOD4 will increase more and more in various industry fields. Howev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ve partially built 3D object models of different precisions for some specific regions because of the huge cos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feasible plan that can solve the cost problem in generating 3D object models for the whole territory. For our purpose, we first analyzed usage, demand, generation technology and generation cost for 3D object models. Afterwards, we proposed LOD3 model generation plan for all territory using automatic 3D object model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image matching. Additionally, we supplemented the proposed plan by using LOD4 generation plan for landmarks and LOD2 generation plan non-urban area. In the near future, we expect this would be a great help in establishing a feasible and effective 3D object model generation plan for the whole country.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의 정보화 환경 변화에 따라 도시, 건설, 교통, 에너지 등의 기존 국토교통 분야 뿐만 아니라, 디지털트윈, 자율주행, VR/AR, 디지털콘텐츠 등의 최신 분야에서도 공공 및 민간의 3차원 입체모형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다양한 서비스 및 산업 분야에서 LOD1에서 LOD4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밀도를 가진 입체모형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토부, 지자체, 민간기업 등은 대규모의 구축 비용 및 시간 문제로 인하여 각기 다른 정밀도의 입체모형을 일부 특정 지역에 대해서만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국토를 기준으로 이러한 구축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입체모형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입체모형의 활용 현황 분석, 입체모형에 대한 수요 분석, 그리고 다양한 입체모형 구축 방법 및 비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이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 국토에 대하여 항공사진 매칭 기반의 자동화된 입체모형 생성 방법을 이용한 LOD3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랜드마크에 대한 LOD4 구축과 비도심지에 대한 LOD2 구축의 보완 방안을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방안은 현재 시점에서 실효성 있는 입체모형 구축 및 갱신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치기공(학)과 실습용 샘플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3차원적 분석

        남신은(Shin-Eun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기공(학)과 교과과정에서 이용되는 실습용 샘플 모형을 3차원 가상모형으로 재구성하여 상·하악 치열의 크기와 형태 및 해부학적 구조물의 위치를 분석하고, 나아가 실제 구강 내 모형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샘플 모형을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치기공(학)과 실습시간에 사용되는 샘플 모형을 준비하여 3차원 스캐너(optoTOP-HE, Breukmann, Germany)를 이용해 3차원 가상모형으로 재구성하였다. 준비된 실습 샘플 모형을 대상으로 치열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4개의 항목(견치부 너비, ICW; 구치부 너비, IMW; 견치부 길이, IIC; 구치부 길이, IIM)과, 교합만곡을 분석하기 위한 3개의 항목(스피만곡, 윌슨만곡, 몬슨 구의 반지름)을 측정하였다. 또한 절치부에서부터 절치유두까지의 최단거리(IP)를 측정하여 상악 전치부와 절치유두의 위치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측정은 RapidForm 2004(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측정에서 얻은 결과값은 동일한 측정지표를 이용해 분석한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급내상관계수(ICC)로 산출하였으며, 0.999(p<.001)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결과 상·하악 실습용 샘플 모형을 대상으로 치열의 너비(ICW/IMW)와 치열의 길이(IIC/IIM)를 측정한 결과 상악에서의 치열 너비(ICW/IMW)를 제외한 대부분의 측정 항목이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 하악 치열이 이루는 스피만곡과 몬슨구의 반지름 역시 더 작게 나타났다. 또한, 절치부에서부터 절치유두까지의 최단거리(IP) 역시 선행연구 결과보다 짧아 절치유두의 위치가 실습용 샘플 모형에서 더욱 전방으로 위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로 비추어 볼 때 치기공(학)과에서 사용되는 실습용 샘플 모형은 실제와 크기 및 형태에서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실습용 샘플 모형 제작 시 보다 적절한 크기와 형태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evaluate that of sample model used in the dental technique training using 3-dimesional virtual models. Methods The sample models were scanned and rendered as a virtual dental models using a 3-D scanner(optoTOP-HE, Breukmann, Germany). 4 measurements were made to determine arch size(ICW, intercanine width; IMW, intermolar width; IIC, incisor to intercanine line; and IIM, incisor to intermolar line) and three measurements were made to determine occlusal curvatures(curve of Spee, curve of Wilson, and Monson’s sphere).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incisor to incisive papilla(IP)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anterior teeth and incisive papilla. All measurement value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which used the same measurement parameters. Intra-rater reliability was evaluated for all parameters using ICC, revealing excellent coefficient values(ICC = 0.999, p<.001). Results ICW/IMW(arch width) and IIC/IIM(arch length) were smaller in the both upper and lower sample models except for ICW/IMW in the upper model. Curve of Spee was shallower and the radius of Monson’s sphere were smaller in the lower sample model, as well. In addition, IP was shorter and tend to be located more anterior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ample models were smaller than average sizes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incisive papilla in the sample model was located more anterior in the palate. This finding could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for improving sample models of dental technique training.

      • KCI등재

        LiDAR자료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최적 Sensor 위치 선정방법론 개발

        유한서(Yu Han Seo),이우균(Lee Woo Kyun),최성호(Choi Sung Ho),곽한빈(Kwak Han Bin),곽두안(Kwak Doo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2

        최근 항공사진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보급과 수치사진측량 시스템 및 분석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인하여 데이터 추출, 영상이미지프로세싱처리, 정밀 대축척지도제작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2차원 평면 정보라는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에, 높은 위치정확도와 개체인식을 위한 정확한 공간정보와 3차원 좌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위치정확도가 검증된 LiDAR의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지형을 반영하였고, 센서 최적 위치를 도출하기위해 확률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공간분석을 통해 확률 값을 산정하였다. Grid기반인 2차원·3차원 센서위치지점을 생성하고 LiDAR의 3차원정보를 센서감지영역 산정에 적용하였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최적 센서위치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최적 센서위치지점 선정 시 고려사항을 3가지 조건으로 나누었다. 첫째조건은 방해물이 없는 2차원인 경우(2-D Non obstacle), 둘째조건은 방해물이 존재하는 2차원인 경우(2-D Obstacle), 셋째는 방해물이 존재하며 3차원인 조건(3-D Obstacle)으로 설정하였다. 이 3가지 조건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2차원, 3차원적 공간에 대한 최적위치선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수집을 위한 지상 고정센서 위치 선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previous studies, the digital measurement systems and analysis algorithms were developed by using the related techniques, such as the aerial photograph detection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process. However, these studies were limited in 2-dimensional geo-proces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3-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nd coordinate system for higher accuracy in recognizing and locating of geo-feat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chastic algorithm for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using the 3-dimensional spatial analysis method. The 3-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LiDAR was applied in the sensor field algorithm based on 2- and/or 3-dimensional gridded poi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ase studies using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algorithms; the first case was based on 2-dimensional space without obstacles(2D-non obstacles), the second case was based on 2-dimensional space with obstacles(2D-obstacles), and lastly, the third case was based on 3-dimensional space with obstacles(3D-obstacl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ology forthe optimal sensor placement ― especially, for ground-settled sensors ― using the LiDAR data, and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algorithm application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sen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