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모더니즘 다시읽기- 베를린 올림픽(1936)과 미술전시<조선미술전람회| 퇴폐미술전>을 중심으로 -

        김승호,하형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4

        20세기 전반기 모더니즘시기에 일본의 식민주의와 독일의 나치주의는 미술과 체육을 정치적인 도구로 활용한다. “1936 베를린 올림픽”은 나치정권의 문화정책을 구현한 것이자 식민지시대 조선의 현실을 국제적으로 선언한 체육행사다. 반면에 <퇴폐미술전>과 <조선미술전람회>는 식민주의와 인종우월주의를 구현한 프로파간다전시다. 이 두 전시가 하나는 조선의 근대화라는 명목아래 추진된 관전이자 여전히 미해결된 과거사의 문제로 남아있고, 다른 하나는 모더니즘의 기수로 평가받던 전전의 아방가르드예술가들과 그들이 혁신적이자 실험적으로 고안한 결과물들을 퇴폐로 낙인찍은 미술전시이다.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모더니즘”의 프로젝트로서 베를린 올림픽(1936)과 미술전시(<조선미술전람회>|<퇴폐미술전>)을 다시 들여다본다. 1930년대 나치정권의 선전도구였던 <퇴폐미술전시>와 내선일체를 위한 선전도구였던 <조선미술전람회>는 모더니즘 미술에 인종주의와 식민주의를 부각시켰고, 종족우월주의를 위한 도구로 체계적이자 조직적으로 기획된 “1936 나치 올림픽”은 인류의 제전이자 평화를 추구한 모더니즘올림픽 역사에 오점으로 기록된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의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손기정을 둘러싼 이야기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의 마라톤경기에서 황영조가 우승하면서 과거의 기억과 더불어 식민지시대가 회자된다. 미술전시의 경우 조선총독부가 주관한 조선미술전람회가 최근에 들어와 탐구의 대상이 되는 반면에, 불편한 기억 속에 은닉되었던 <퇴폐미술전>에 대한 비판이 68세대로부터 수면위로 부상한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과 미술전시(“선전”/“퇴폐미술전”)은 20세기 모더니즘의 프로젝트를 사회(집단)학과 심리(개인)학적 투사(projection)를 요구한다. 모더니즘의 프로젝트로서 올림픽과 미술전시는 부정의 변증법을 들여다보는 기제(機制)이자 미술전시(선전과 퇴폐미술전)과 기억, 올림픽(1936년 베를린)과 기억은 사회학적 성찰의 과제다. 프랑크푸르트 철학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모더니즘(Modernism)은 인류의 보편주의를 바탕으로 발전한 프로젝트라고 규정한다. 모더니즘에서 산출된 인류의 평화와 자율성이 정치사회적으로 활용된 것에 대해 하버마스는 ‘모던과 모던의 기획자체가 좌절된 것이 아니라 모던의 기획을 동반했던 오류들과 모던을 지양하려 했던 극단적인 기획의 잘못에서 배워야 한다.’(Kleine Politische Schriften, 1957)라고 경고한다. 모더니즘이라는 보편주의의 토대위에 예술과 체육이 자체의 고유한 의미에 따라 발전되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함몰되면서 20세기 전반기 모더니즘의 프로젝트가 미완이라고 선언한다. 20세기 전반기 모더니즘미술이 <퇴폐미술전>과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종족주의와 식민주의를 위해 조작되고 극단적으로 기획됐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은 식민주의를 공식화하고 종족우월주의의 도구로 활용되면서 모더니즘의 프로젝트는 올림픽과 기억 그리고 미술전시와 기억으로 해석된다. During the period of modern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Japanese colonialism and German Nazism used art and sports as political tools. “1936 Berlin Olympics” is an athletic event that embodies the cultural policy of the Nazi regime and internationally declares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On the other hand, <Degenerate Art Exhibition> and <Joseon Art Exhibition> are propaganda exhibitions that embody colonialism and racial supremacy. These two exhibitions, one of which is a spectatorship promoted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of Joseon and which still remains as an unresolved issue of the past, and the other, of the avant-garde artists of the prewar era, who were evaluated as standard bearers of modernism, and the results they devised innovatively and experimentally, are presented. It is an art exhibition branded as decadent. This thesis examines the Berlin Olympics (1936) and art exhibitions (<Joseon Art Exhibition>|<Degenerate Art Exhibition>) as a project of “Modern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Degenerate Art Exhibition>, a propaganda tool for the Nazi regime in the 1930s, and the <Joseon Exhibition>, a propaganda tool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Japan, highlighted racism and colonialism in modernist art and systematically and systematically promoted it as a tool for racial supremacy. The planned “1936 Berlin Olympics” will be recorded as a stain on the history of the Modernism Olympics, which pursued peace as well as a festival for mankind. The story surrounding Sohn Ki-jung, who won the gold medal in the marathon at the 1936 Berlin Olympics, and Hwang Yeong-jo, who won the marathon at the 1992 Barcelona Olympics, talk about the colonial era along with memories of the past. In the case of art exhibitions, while the Joseon Art Exhibition orga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ently entered and became the object of inquiry, criticism of <Degenerate Art Exhibition>, which had been hidden in uncomfortable memories, surfaced from the 68th generation. The 1936 Berlin Olympics and art exhibitions demand social (group) and psychological (individual) projections of the 20th century modernist project. As a project of modernism, the Olympics and art exhibitions are a mechanism to look into the dialectic of negation, and art exhibitions (Joseon Art Exhibition and Degenerate Art Exhibition) and memory, and the Olympics (Berlin, 1936) and memory are tasks for sociological reflection. Frankfurt philosopher Jürgen Habermas defines Modernism as a project developed based on universalism of mankind. Regarding the political and social use of the peace and autonomy of mankind produced by modernism, Habermas said, 'It is not that the modern times and their planning itself were frustrated, but the errors that accompanied the modern planning and the mistakes of the extreme planning that tried to abolish the modern times. You have to learn from (Kleine Politische Schriften, 1957). According to him, despite the fact that art and physical education had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own unique meaning on the basis of universalism called modernism, the project of modern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as re-examined as a memory while declaring that it was incomplete as it was buried in political ideology. Modern art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as manipulated and extremely planned for tribalism and colonialism in <Degenerate Art Exhibition> and <Joseon Art Exhibition>. As the 1936 Berlin Olympics formalized colonialism and was used as a tool for racial supremacy, the project of modernism is interpreted as the Olympics, memories, and art exhibitions and memories.

      • KCI등재

        두 번의 연행, 일곱 편의 조사 자료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본 연구는 1936년 8월 31일 사리원 경암산 아래 광장에서 벌어진 봉산탈춤에 대한 조사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의 봉산탈춤 연행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관심만큼 여러 조사 자료들이 산출되었다. 필자는 바로 이 조사 자료들에 주목한다. 1936년 봉산탈춤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에 대한 섬세한 검토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관련 조사 자료들의 특징과 관계가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 필자는 기대하고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36년 사리원에서의 봉산탈춤 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은 총 여덟 편이다. 이 조사자료들은 크게 참여 관찰기와 채록 자료로 대별할 수 있다. 참여 관찰기로는 무라야마 지쥰의 참여 관찰기와 스텐 베리만의 참여 관찰기가 있다. 이 두 참여 관찰기 사이에 영향 관계는 전혀 없다. 채록 자료로는 오청 채록본,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임석재 채록본 등이 있다. 그런데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등은 오청 채록본을 바탕으로 번역 · 필사 · 전재 등을 한 2차 가공자료들인 것이다. 따라서 채록 자료들은 크게 오청 채록본 계열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채록 자료는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대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또 다른 연구 과제들을 제기한다.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의 섬세한 비교 연구’, ‘참여 관찰기의 비교 연구’, ‘봉산 구읍 연희자들 주도의 봉산탈춤 존재 연구’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들은 본 연구의 과정에서 산출된 것이며, 동시에 문화 정치학적 논의와 깊게 연관되는 것이다. 이렇게 1936년 봉산탈춤 연행에 대한 조사 자료의 특징과 관계 정리라는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 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연구 과제들이 생성되었다. 어쩌면 본 연구의 본래 목적이 여기에 있었다고 할 수도 있다. 연속되거나 새롭게 떠오르는 과제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본 연구가 자리 잡은 것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That performance drew a lot of interest.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a number of research materials were produced. I pay attention to those research materials, which were reviewed delicat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those research materials. To sum 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 total eight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t Sariwon. Those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nd oral records. In the categor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y, there are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of Jijyun Murayama and that of Stern Bergman. No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were found. As for the oral record materials, there are Cheong Oh’s oral records,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Sang-su Choe’s oral records and Seok-jae Im’s oral records. It should be noted that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and Sang-su Choe’s oral records are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which were transcribed, translated, and reprinted based on Cheong Oh’s oral records. Therefore, the oral record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the oral records of Seok-jae Im. In fact, the oral record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of Cheong Oh and Seok-jae Im. These study results have led to the initiation of other studies. Those a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Seok-jae Im,” “A comparative stud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 study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is led by performers in the old town of Bongsan.” The studies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y are connected with cultural politics discussion. Based on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various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reated. Maybe,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study may be said here.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a prior study to study the emerging study assignments in earnest.

      • KCI등재

        고향의 발견, 호명된 ‘영서(嶺西) - <봄·봄>, <동백꽃>과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

        이현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2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ho grew up in cities and so adopted urban sensibilities after being baptized by modernity, came to be writers who represented the local lyricism and homeland trends. This article begins by describing how ‘Yeongseo’, the home of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as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literary texts were produc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Yeongseo’, or homeland, as shown in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published journals.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Lee Hyo-seok’s and Kim Yu-jeong’s novels set in rural villag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in connection with the journal’s special Homeland project in 1936. Chogwang, which was founded in November 1935 as a comprehensive popular magazine, conducted four special Homeland projects in 1936 which were centered aroun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o the symbols of homeland or rural villages that appear to Kim Yu-jeong’s and Lee Hyo-seok’s works. Chogwang’s special Hometown projects in 1936 are believed to have inspired the locality and lyrical natures of Spring &Spring(December1935),Dongbaekflower(May1936),and BuckwheatSeason(October1936).LeeHyo-seokandKim Yu-jeonghavebeencalledrepresentativesoflocallyricism because of their desire and struggle to clarify their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Thisarticleexploresthejournal’ssocialandhistorical environment, focusing on Kim Yu-jeong’s Spring & Spring and Dongbaek flower and Lee Hyo-seok’s Buckwheat Season.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context of other works of Kim Yu-jeong and Lee Hyo-seok,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during this period but were not based on ‘Yeongseo’ or rural villages.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성장한 도시적 감수성의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 내지 ‘고향’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된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효석과 김유정 문학의 경우, 고향 ‘영서’가 문학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생산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고 있다. 특히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에 나타나 있는 ‘영서’(혹은 고향) 표상이 지닌 의미를 출판 매체(잡지)라는 당대 텍스트 생산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과 김유정의 ‘농촌’ 배경 소설이 지닌 의미를 1936년 조광 고향 기획 특집과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합대중잡지를 표방하고 1935년 11월 창간된 조광이 1936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한 ‘고향’ 특집 기획은 김유정과 이효석의 나타난 ‘고향’ 내지 ‘농촌’ 표상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으로 작동하고 있다. 조광의 1936년 고향 기획 특집은 <봄·봄>(조광, 1935. 12), <동백꽃>(조광, 1936. 5)과 <모밀꽃 필 무렵>(조광, 1936. 10)의 향토성과 서정성을 추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을 형상화한 대표적 작가로 불리게 된 저변에는 문단에서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싶어 했던 두 작가의 욕망과 분투도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과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발표 지면이 어떻게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 시기 조광에 발표된 ‘영서’(혹은 농촌) 배경 작품이 아닌 다른 김유정과 이효석의 작품들과의 맥락 속에서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을 살펴보는 것은 이후 과제로 남겨 놓는다.

      • 김유정 농촌소설에 나타난 "향토" 표상

        이현주 ( Hyunju Lee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1 No.-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자란 김유정이 당대에 이미 ‘농촌’ 내지 ‘고향’을 표상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맥락을 당대의 문학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김유정이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현상 공모에 소낙비 가 1등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김유정은 농촌소설로 등단하였을 뿐 아니라, 1930년대 당대에도 유독 ‘농촌소설’ 작가로 호명되고 있다.김유정은 1935년 카프 해산을 기점으로 새로운 문학적 모색이 요구되던 시기에 당대의 농민문학과 다른 체화된 고향을 그리며 등장했다. 김유정의 농촌소설은 농촌을 계몽의 대상으로 그리지도 않고, 그 반대로 낭만적 이상향으로만 심미화하지도 않는다. 김유정 농촌소설에는 자본과 식민화의 논리와는 무관한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과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지고 식민지 자본주의로 인해 피폐해진 농촌 현실이 동시에 표상되어 있다.그런데 1935년 조선일보에 발표된 작품들에는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진 피폐한 농촌 현실이 전경화 되어 있고, 1936년 조광에 발표된 동백꽃 에는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이 전경화 되어 있다. 김유정이 1935년에 발표한 작품은 대부분 농촌 혹은 산골을 배경으로 하고, 1936년에 발표한 대부분은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36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으로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조광에 실린 동백꽃 이 거의 유일하다. 봄,봄 과 동백꽃 은 근대 지식인이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자신의 심적 위안의 공간으로 삼은 고향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잡지 『조광』의 1936년 기획 특집이 견인한 것으로 판단된다.하지만 김유정은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약동하는 향토를 표상한 경우에도 그곳이 ‘서정성’으로만 봉합될 수 없는 공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유정의 농촌 소설 혹은 김유정의 ‘고향’(내지 ‘향토’)는 당대 향토 담론에 틈을 내는 “황폐한 시골, 굶주린 농민”으로 표상된 ‘고향’ 내지 ‘향토’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면모로 인해 김유정의 ‘고향’ 내지‘향토’는 1930년대 ‘향토’ 담론이라는 문학적 장으로만 논의할 수는 없게 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through which Kim Yoo Jung-who received modern baptism and grew up in a city-had emerged as the quintessential author representing "rural area" or "hometown,"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setting at the time. The author of this article highlights the fact that Kim Yoo Jung virtually began her career after her work, Sonakbi(「소낙비」), was awarded first prize atthe 1935 Chosun Ilbo’s "Shinchun Moonye Contest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Kim Yoo Jung not only began her career with a rural novel, but she was also known as a writer of "rural novels" in the 1930s. Since the KAPF Dispersal in 1935, a new literary perspective was being demanded in the literature field. Kim Yoo Jung emerged in the literary scene with a novel that illustrated rural communities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rural literature (novels) at the time. She did not depict rural communities as a subject of enlightenment nor did she aestheticize them as romantic utopia. Her novels construe rural communities as both lyrical and vigorous environment unaffected by capitalism and colonialism as well as ravaged and shattered environment tainted with rampant poverty and betrayal, and devastated by capitalism and colonialism.Interestingly, her novels published in Chosun Ilbo in 1935 draw light on the brutal reality of rural environments tainted with poverty and betrayal, while the Dongbaek Flower(1936. 5) published in Chogwang in 1936 portrays the rural environment as a lyrical and lively place. Most of the novels Kim Yoo Jung published in 1935 take place in a rural setting or remote mountain villages, and most of the novels published in 1936 occur in an urban setting. The Dongbaek Flower is the only novel published after 1936 that takes place in a rural setting. The Spring, Spring(「봄봄」) and Dongbaek Flower both illustrate the process of a modern intellectual reconstructing his memories of his hometown as his emotional fortress and solace. This is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specially featured in the 1936 Chogwang.

      • KCI등재

        조선성악연구회 <춘향전>의 공연 양상-1936년 9월 창극 <춘향전>을 중심으로-

        김남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 조선성악연구회는 1934년에 창립하였고, 1936년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창극 제작에 나섰다. 조선성악연구회가 창극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동양극장 청춘좌의 신창극 <춘향전>에 찬조 출연하면서, 창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후 조선성악연구회는 1936년 9월 <춘향전>을 제작하여 무대에 올리기까지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하지만 그들은 끝내 <춘향전>을 완성하였는데, 이 공연은 이후 조선성악연구회 제작 창극의 일차적인 완성판에 해당한다. 특히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이 이후 한국 창극사의 ‘원형’으로 자리 매김 된다고 할 때, 이 <춘향전> 공연의 의의는 상당하다고 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공연에 대한 세심한 재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의의 역시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 그래서 각종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1936년 9월 <춘향전>의 공연 양상과 양식적 특질을 해명하기 위해서 구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춘향전>의 공연 양상을 재구하여 그 창극사적 의의를 논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 김유정 농촌소설에 나타난 ‘향토’ 표상

        이현주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31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자란 김유정이 당대에 이미 ‘농촌’ 내지 ‘고향’을 표상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맥락을 당대의 문학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김유정이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현상 공모에 「소낙비」가 1등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김유정은 농촌소설로 등단하였을 뿐 아니라, 1930년대 당대에도 유독 ‘농촌소설’ 작가로 호명되고 있다. 김유정은 1935년 카프 해산을 기점으로 새로운 문학적 모색이 요구되던 시기에 당대의 농민문학과 다른 체화된 고향을 그리며 등장했다. 김유정의 농촌소설은 농촌을 계몽의 대상으로 그리지도 않고, 그 반대로 낭만적 이상향으로만 심미화하지도 않는다. 김유정 농촌소설에는 자본과 식민화의 논리와는 무관한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과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지고 식민지 자본주의로 인해 피폐해진 농촌 현실이 동시에 표상되어 있다. 그런데 1935년 조선일보에 발표된 작품들에는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진 피폐한 농촌 현실이 전경화 되어 있고, 1936년 조광에 발표된 「동백꽃」에는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이 전경화 되어 있다. 김유정이 1935년에 발표한 작품은 대부분 농촌 혹은 산골을 배경으로 하고, 1936년에 발표한 대부분은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36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으로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조광에 실린 「동백꽃」이 거의 유일하다. 「봄·봄」과 「동백꽃」은 근대 지식인이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자신의 심적 위안의 공간으로 삼은 고향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잡지 『조광』의 1936년 기획 특집이 견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유정은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약동하는 향토를 표상한 경우에도 그곳이 ‘서정성’으로만 봉합될 수 없는 공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유정의 농촌 소설 혹은 김유정의 ‘고향’(내지 ‘향토’)는 당대 향토 담론에 틈을 내는 “황폐한 시골, 굶주린 농민”으로 표상된 ‘고향’ 내지 ‘향토’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면모로 인해 김유정의 ‘고향’ 내지 ‘향토’는 1930년대 ‘향토’ 담론이라는 문학적 장으로만 논의할 수는 없게 된다.

      • KCI등재

        1930년대 중국에서 전개된 김성숙의 번역 활동과 그 사상적 맥락

        윤소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5

        From the Canton Uprising in December 1927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30s, the details of Kim Sung Suk’s (1898-1969) activities in China remained a gap in previous research. Recently, it was revealed that during this period, Kim Sung Suk translated the following Japanese academic books into Chinese and published them in China. These are Tokuzo Fukuda’s Japanese Economic History, Tsugimaro Imanaka’s National Socialism, Israel.Ya, Weinstein’s Hegel, Marx, Lenin. This book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by Takeo Naoi, the title of the Chinese translation is the whole process of Dialectic(辯證法全程). This study examines what kind of books Kim Sung Suk translated, the context in which Kim’s translation activities took place, and how it relates to the establishment of Kim Sung Suk’s ideology. The three books above translated by Kim were all in-depth works written by leading scholars in this field in Japan. Japanese Economic History, which sought to understand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of Japan, the party that colonized Joseon, National Socialism, which analyzed the problems of German and Italian fascism at the time, and also dialectical epistemology. The translation of Hegel, Marx, Lenin, a research book that analyzes the past history and present and predicts the future, was a significant source of nourishment to Kim’s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bove all, he was able to grasp the world’s ideological trends at the time, analyze the logic of Japan’s colonization of Joseon based on Marxism, and recognize the uniqueness of Joseon. It seems that these translation activities could have been accomplish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his Chinese wife Du Junhui(1904-1981), and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the boom in Japanese translation in Shanghai in the 1930s provided economic benefits to Kim’s family. However, Kim Sung Suk returned to the forefro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organizing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Alliance in early 1936. The influence of his translation activities can be seen in his writings in the late 1930s. In particular, in Student Movement in Anti-Colonial Countries (1936), Kim did not simply develop his argument limited to the student movement, but since Kim fled to China, he developed a warm-hearted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the phenomenon, and diagnosed it. And it reveals that it is based on ‘dialectical’ thinking as a tool to observe the future. For Kim, dialectics formed the framework of perception that enabled him to analyze reality and predict the futur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at for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one must persevere and take on challenges toward the goal without giving in to the trials and errors that occur in the process. Kim Sung Suk criticized the communist theory that emphasized class conflict as a strateg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believed that in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the issue of ‘n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class’. He consistently emphasized the unity and cooperation of all national forces for the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Since Joseon is still a semi-feudal colonial society, he diagnosed that it is at the stage of an anti-imperialist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rather than a socialist revolution. He avoided ideological confrontations, conflicts within political factions,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classes, and all these ‘internal contradictions’ and pursued the liberation of the entire nation. He summarized his political orientation as the ‘democratic socialism’ of Germany and Denmark after Korea’s liberation in 1945. Looking at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Kim Sung Suk’s thought, the period of translation activity centered on Japanese social science books in the early 1930s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torage and development of his ideology. 1927년 12월 金星淑(1898~1969)이 참여했던 광동봉기의 실패 후부터 1930년대 전반기까지 중국에서의 김성숙의 활동 내용은 그동안의 연구에서 공백기로 남아있었다. 최근 이 시기에 김성숙이 몇 편의 일본어 학술서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에서 발간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 연구는 김성숙이 중역한 후쿠다 도쿠조(福田德三)의 『일본경제사론』, 이마나카 츠기마로(今中次麿)의 『민족적 사회주의론』, 와인슈타인 저, 나오이 다케오(直井武夫) 역 『헤겔, 마르크스, 레닌』 (중국어판 『辯證法全程』)을 통하여 이 번역서가 어떠한 저술인지, 어떤 맥락에서 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그것이 김성숙의 사상 정립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김성숙이 번역한 세 권의 책은 모두 일본에서 이 분야의 대표적 학자에 의해 저술된 심도 깊은 저작들이었다. 조선을 식민지화한 당사자인 일본의 경제적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 『일본경제사론』, 당시 독일과 이탈리아의 파시즘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그 문제점을 분석한 『민족적 사회주의론』, 또한 변증법적 인식론에 입각하여 과거의 역사와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한 연구서 『헤겔, 마르크스, 레닌』의 번역은 김성숙의 독립운동론 구축에 적지 않은 자양분이 되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를 통하여 김성숙은 당시 세계의 사상적 조류를 파악하고 마르크시즘에 입각하여 일본의 조선 식민화의 논리를 분석함과 아울러 조선 만의 특수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번역 활동은 그의 중국인 아내 杜君慧의 협력을 통해 성취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1930년대의 상하이에서 일본서 번역이 붐을 이루었던 시대적 배경이 작용하여 김성숙 가족에게 경제적 혜택을 제공했다. 그러나 김성숙은 1936년 초에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조직하며 다시 독립운동의 일선으로 복귀했다. 1930년대 김성숙의 번역 활동의 영향이 단적으로 드러난 저술은 1936년에 발표한 『반식민지국가의 학생운동』(1936)이다. 이 저술에서 김성숙은 단순히 학생운동에 국한되어 논지를 전개한 것이 아니라, 김성숙이 중국에 망명한 이래 온축한 사상적 지향과 현상인식, 이를 진단하고 미래를 관측하는 도구로 ‘변증법’적 사유에 입각했음을 드러내고 있다. 김성숙은 독립운동의 방략으로서 계급 갈등을 중시하는 공산주의 이론을 비판하고, 조선의 현실에서는 ‘계급’ 보다는 ‘민족’ 문제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시종일관 민족해방투쟁을 위해 민족 각 세력의 일치단결과 협동을 역설했다. 그는 아직 조선은 반봉건적 식민지사회이므로 사회주의혁명 보다는 반제민족해방운동의 단계라고 진단하고, 사상적인 대립, 정파 내부의 갈등, 계층 간 이해관계 갈등, 이 모든 ‘내부 모순’을 지양하고 민족 전체의 해방을 쟁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한 그의 정치지향을 해방후 그는 독일, 덴마크 등지의 ‘민주사회주의’로 요약했다. 이와 같이 김성숙 사상의 전체적인 발전과정 속에 볼 때, 1930년대 전반 일본 사회과학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 번역 활동기는 그의 사상적 온축·발전기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KCI우수등재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이선,Yee, Sun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6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history of Son keechung laurel tree, which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onument No. 5. Sohn keechung's victory in the marathon at the 1936 Berlin Olympic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courage great pride and national spirit for the Korean people's national spirit who had spent their painful day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seedlings that Son keechung received at the time are currently growing at Son Keechung Sports Park on the hill in Manri-dong, west of Seoul Station, and are Quercus palustris. That variety of Tree is native to the United States. The 11th Berlin Olympics, held in 1936, is a golden opportunity for Hitler to show off the history and cultural excellence of the German race, so it does not make sense to award victors an American giant oak instead of the German oak tre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various media outlets made a fait accompli due to Hitler's simple mistake.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aurel that Son received was the Quercus robur, based on the articles of the Korean newspaper, the German daily newspaper, and the recently introduced article of Der Spiegel, a leading German weekly magazine.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originally awarded Quercus robur be planted in Son keechung Memorial Park and that the newly discovered history be notifi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bsite and various records.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의 내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936년 손기정 선수의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는 일제강점기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던 우리 민족에게 커다란 자부심과 민족정기를 북돋아 주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손기정 선수가 부상으로 받은 묘목은 현재 서울역 서쪽 만리동 언덕의 손기정 체육공원에 자라고 있으며, 미국산 대왕참나무(Quercus palustris)이다. 1936년 개최된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은 히틀러가 독일 게르만족의 역사와 문화의 우수성을 과시하기 위한 절호의 기회인데, 독일산 참나무 대신 미국산 대왕참나무를 수여한다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서울시와 각종 매체에는 이를 히틀러의 단순 착오에 의한 결과라거나 다소 억지스러운 추측으로 그 내력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신문 기사와 독일 일간지 기사 및 최근 소개된 독일 주간 유력지 슈피겔(Der Spiegel) 기사 등을 근거로 손기정 선수가 받은 월계수가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정황을 근거로, 원래 수여 받은 로부르참나무를 손기정 기념공원 내에 식재하고, 새롭게 밝혀진 내력을 서울시 홈페이지와 각종 기록에 고지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영화 <미몽>과 1936년의 경성

        염복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Mimong(Sweet Dream, 1936), the oldest talkie film made in the Korean language in existence, became an instant target of many researchers in its cinematographical plot and methods when it first came to light. This article, based on former studies in film history, crossexamined several significant places in the colonial capital of Joseon depicted in the film with historical materials. As Sweet Dream dealt with a run-away modern girl, it showed some modern landmarks of Keijo. This paper found eight places that were fairly accurately identified with other photos of the tim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film as a text of reading city rather than film history and pursue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oday’s Seoul.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