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5인 사건 피의자들의 사건 이후 행적에 관한 소고

        윤경로(Yoon Kyung-R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이 논문은 105인 사건 피의자들에 관한 사후 행적을 추적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05인 사건 피의자들 가운데 사건 이후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 9명을 선별하여 그들의 친일행적을 추적하였다. 추적 결과 이들 9인의 행적은 대체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출옥 후 실업활동에 종사하다가 친일로 경도된 유형이다. 김동원 이근택, 이춘섭, 차균설 등 4인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출옥 직후부터 친일활동으로 경도된 경우이다. 이에 해당자로 나일봉과 장응진 그리고 윤치호 등 3인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출옥 후 중국 상해로 망명한 후 일제의 ‘첩자’와 ‘밀정’ 혐의로 결국 사살당한 옥성빈과 옥관빈 형제 2인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류인 상기 4인은 105인 사건에서 풀려난 후 주로 실업 및 종교 활동과 민족개량주의운동에 참여하다가 1930년대 중반이후부터 보다 적극적인 친일 활동의 길을 걸었다. 특히 이들 4인은 일제의 식민지배하에서 주로 경제실업활동에 종사한 실업인이자, 기독교인이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 부류인 나일봉과 장응진은 사건 이후 일본 조합교회 교인이 되었다. 특히 나일봉은 출옥 후 바로 일본 조합교회 목사로 변신, 친일활동에 적극 나섰다. 마지막 부류인 옥성빈, 옥관빈 형제는 1933년 중국에서 살해되었다. 옥성빈은 출옥 후 상해로 망명하였지만 상해 망명 직후부터 임정 요인들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의심을 받았다. 옥관빈은 당대 재중 한인 가운데 최고의 사업가로 거부가 되어 명성이 높았다. 그러나 사업가로서 대성공을 거둔 그를 바라보는 상해 임정과 한인 독립운동단체의 눈에는 대표적인 ‘한간’(韓奸)으로 비쳐졌다. 따라서 마땅히 처단해야 할 ‘간역(奸逆), 옥역관빈(玉逆觀彬)’으로 단정했고 그 결과 1933년 8월 1일 한인제간단(韓人除奸團)에 의해 처단되었다. 이상 9인의 행적 추적을 통해 105인 사건 이라는 동일한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어려움을 당했지만 그들의 이후 행적은 민족과 역사의 길을 걸은 인물과 순응과 훼절의 현실적 길을 택한 자로 구분된다. 이중 상기 9인은 후자에 속한다 할 수 밖에 없다. 이 모두가 국권을 빼앗긴 민족과 나라의 아픔과 슬픔이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elects nine convicts of the Korean Conspiracy Case who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fter the case, and deals with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t grouped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Kim Dong-Won, Yi Geun-Taek, Yi Chun-Seop, and Cha Gyun-Seol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s they were engaged in business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Second, Na Il-Bong, Jang Eung-Jin, and Yun Chi-Ho began to work with the Japanese immediately after their release. Finally, two brothers, Ok Seong-Bin and Ok Gwan-Bin exiled themselves to Shanghai, China, were suspected to be Japanese spies, and were murdered on that account. The first group of fou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business, religious activities, and national improvement movement after their prison term, but became active Japanese collaborators since the mid-1930s. They were all Christian businessmen. The Na and Jang of the second group became members of the Japanese Johap Church. Na, in particular, became an ordained minister of the church,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pro-Japanese activities. The two Ok brothers were killed in China in 1933. Ok Seong-Bin exiled himself to Shanghai upon release from prison and god involved in nationalist activities. But he was regarded as a person to be watched. Ok Gwan-Bin, on the other hand, made a huge fortune and became a prominent person among Korean communities in China. However, Korean nationalists in China considered him a double-crossing traitor, and a group of Korean undercover executioners assassinated him. The people involved in the Korean Conspiracy Case suffered greatly. However, some continued to walk along the path of nationalist cause, while others chose a practical way of submission and collaboration. The nine persons of this article chose the latter option.

      • KCI등재

        105인 사건과 선교사의 대응

        김승태(Kim Seung-Tae)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105인 사건은 1911년 10월 평북 선천의 기독교계 학교 학생들 검거로 시작되어, 1912년 9월 105명이 유죄판결을 받았고, 항소하여 그 가운데 99명이 1913년 3월 무죄 석방되었으며, 최종 유죄판결을 받은 윤치호ㆍ양기탁ㆍ이승훈 등 6명도 1915년 2월 일본 천황의 특별사면으로 석방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그 과정에서 재한 선교사들과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한 미국의 선교본부들의 활발한 외교적 대응과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고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재한 선교사들은 이 사건에 대한 소식을 미국의 선교본부와 친지들에게 알리고, 총독부 관리들을 찾아가 구속자들을 변호하였다. 그리고 일제 경찰의 예비 신문과정에서 피의자에 대한 고문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대한 항의와 조사를 요구하였다. 1912년 1월에는 선교사 대표가 데라우치 총독을 직접 면담하였고, 1912년 2월에는 YMCA 총무 질레트가 아카시 경무총감을 찾아가 피체된 윤치호의 상황을 알아보고, 회장 저다인과 함께 장문의 이 사건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만들어 5월 22일 국제 YMCA 대표이자 에딘버러 세계 선교대회 계속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던 모트에게 계속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주도록 요청했다. 105인 사건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을 한 선교부는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외에도 미북감리회 선교부, 미남감리회 선교부, YMCA,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계속위원회, 영국 선교연합회 등이었다.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 총무 브라운은 이 사건이 일제 경찰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사실을 파악한 이후부터는 일본대사관과 직접 교섭하거나 여러 선교부들과 연합하여 대책을 강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였고, 재판 직전에 이 사건 관련 편지와 공문들을 언론에 공개하여 공정한 재판을 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1심 재판에서 105인에게 유죄가 선고되자, 선교부 연합으로 비밀회의를 갖고, 그 회의의 결정에 따라 이 사건에 대한 종합 보고서를 작성하여 1912년 11월 20일 출판ㆍ공개하였다.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계속위원회에서도 이 사건에 대한 보고서를 정식의제로 채택하고, 각국 위원들을 통해서 해당국에 있는 일본 대사관에 압력을 행사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영국 선교연합회에서도 영국 주재 일본 대사관을 찾아가 이 사건에 대한 공정한 처리를 요구했다. 이러한 국제 여론의 압력을 받은 일제의 경성복심법원의 재판은 보다 신중하게 이루어졌고,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105인 가운데 99명에게 1913년 3월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하고, 윤치호ㆍ양기탁ㆍ이승훈 등 6명에게만 유죄를 선고했다. 총독부의 체면을 세우기 위한 정치적 판결이었다. 유죄판결을 받은 피고들은 판결 이유가 법리적ㆍ논리적 타당성이 없으므로 고등법원에 상고하였으나, 결국 최종 기각되어 윤치호 등 6명에 대한 형은 확정되었다. 그렇지만, 이들도 형기를 다 채우기 전인 1915년 2월 일본 천황의 특사 형식으로 석방되었다. This paper delineates a detailed history of the Korean Conspiracy Case, also known as the “105 Men Incident.” It emphasizes the committed efforts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in the process of the appealing and the international Protestant network(mission boards in New York, YMCA, and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Continuation Committee) on helping for the release of the falsely accused Christians. With intense tensions between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and Japanese colonial control, the Governor-General Masatake Terauchi grew suspicious of both the American missionary presence and steady growth of the Christian Church. Convinced that the Korean Church was acting as an hotbed of Korean nationalists, the Japanese government reacted forcefully. On June 28, 1912, the Japanese government accused 123 Koreans of treason and assassination attempts against the Governor-General. During the time of detainment, defendants were tortured, and more than 600 others were arrested. Many of them were leading Protestant Christians, arrested chiefly in Pyeongan Provinces and Seoul area. Accounts of brutal beatings have been recorded, some resulting in death. On September 28, 1912, 105 men were convicted and sentenced to hard manual labor. The case was appealed on grounds of injustice and falsified evidence and 99 men except six men who were convicted were acquitted in March 1913. Finally the six men were released in February 1915 by an imperial clemency. In the course of the case, missionaries in Korea and secretaries of the Boards of Foreign Missions in New York convinced that the accused were innocent, and launched a concerted diplomatic campaign for the impartial trial of the accused Christians. Through their various efforts, the truth of the fabricated case was revealed, the falsely accused were released, and the damage to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could be reduced. This case characterized the initial content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Protestant Christianity and the nationalistic nature of Protestantism in early colonial Korea. Prior to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he Conspiracy Case signaled a pivotal change in the course of Korean Protestantism and the importance of the ecumenical efforts in dealing with the state persecution of the church.

      • 제6장 105인 사건과 서대문형무소 연구

        양성숙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1

        서대문형무소는 일제의 식민지배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탄압기구로서 일제는 이곳을 통하여 한민족의 항일 독립운동을 억압하고 말살하려고 하였다. 즉 1908년 경성감옥으로 신축되어 문을 연 뒤 1945년 광복을 되찾기 까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고문을 받으며 처형당했던 수난과 아픔의 현장이었다. 하지만 다른 의미에서 보면 서대문형무소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어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한 현장이기도 했다. 최초의 근대감옥인 서대문형무소의 개소와 함께 일제의 직접적인 개입이 시작되었고 감옥제도에 있어서 자주권이 상실되었다. 즉 조선의 전통적 제도가 종지부를 찍고 서구의 영향을 받은 일본 행형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식민지 행형이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애국지사가 전국적으로 궐기하고 항일의 열기가 넘치면서 무차별적인 체포와 투옥으로 감옥의 수용인원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일제 말 전국에는 형무소 17개소, 형무소지소 11개소를 운영하는 등 감옥을 계속 증설하였으나 항일 애국지사를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감옥의 수용 실태는 위생과 급식상태가 마치 짐승우리와 같았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수감 중 사망자가 속출하였다. 대부분의 감방은 햇빛과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어둡고 습기가 차 있는데다 용변시설을 짓지 않아 방안에서 변통을 사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감옥내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항일 애국지사들은 일제침략에 항거하여 감옥 내에서까지 처절한 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105인 사건은 일제가 허위 날조한 최대 규모의 한민족 탄압사건으로 여기에 연루되었던 700여명의 애국지사들이 훗날 항일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의 지도력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05인 사건과 관련하여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인물의 출신지별 분석 결과 총 105명 중 3명을 제외한 98%가 서북지방으로 지칭되는 평북·평남·황해도 출신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건의 발생지가 평북 선천이었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다. 하지만 서구의 근대적 문명을 일찍 접할 수 있었고 기독교 등 새로운 사상과 신문화가 신속히 수용되어 근대사회로 급속히 진행될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지닌 서북지방의 항일세력을 제거시킬 목적에서 꾸며졌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105인 사건의 재판당시 연령별 현황을 보면 40세 이하가 총 105명 중 89명으로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젊은 층이 대거 관련된 것은 일제가 尹致昊·安泰國·梁起鐸·李昇薰 등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미래의 항일 독립운동세력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청년·학생층을 대거 관련시켜 탄압하려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형량별 현황을 보면 105인 사건 피의자들은 경성지방법원(1심)에서 105명 전원이 5년 이상의 중형을 받았다. 그러나 105인 전원 상고 결과 경성복심법원(2심)에서 6년 형 5명, 5년 형 1명, 무죄 99명으로, 1심 때 유죄판결을 받은 105인 중 94%가 무죄로 풀려났다. 이는 재판이 진행되면서 허위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가혹한 고문이 자행된 사실과 그로 이 사건 자체가 허위 날조된 것임이 명백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의 애국계몽 운동가들은 아무런 잘못 ... Seodaemun Prison is a representative oppressive body built to more efficiently carry out Japanese colonial rule policies, through which the Japanese attempted to oppress and wipe out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time it was rebuilt as Gyeongseong Gamok in 1908 until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1945, it has been a site of ordeals, and grief where a number of patriotic fighters were imprisoned and executed or tortured to death. In the meantim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Seodaemun Prison also served as a venue of spiritual revitalization as patriotic ancestors who f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overcame all the adversities after being imprisoned, and newly explored ways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in this place. With the opening of Seodaemun Prison which was the first modern prison of its kind, the Japanese invaders made a direct intervention, and as a result, the autonomy in prison system was deprived. Eventually, the traditional prison system of Chosun was put to an end, giving its way to the Japanese colonial execution system which had an influence of the West. In the meantime, the Event of 105 Patriots is the largest scale oppression incident ever that had been falsely fabricated by the Japanese aggressors. It also hold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patriotic fighters who were implicated in this incident grew to be leaders in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imprisoned figures related to the Event of 105 Patriots by each location shows that 98% of them(3 out of 105) were from northwestern provinces such as Pyungbuk Province, Pyungnam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is is partly because the Event was originated from Sunchon of Pyungbuk Province and also partly because the Japanese invaders fabricated the event in order to root out anti‐Japanese power in the northwestern provinces which had an outstanding geographical location to rapidly evolve into a modern society by being exposed early to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speedily and by accepting new ideas such as Christianity and cultures. The age of the convicted at the time of the trial of the event was mostly below 40, taking up 85% (89 out of 105) of the total. The massive involvement of younger people in this event was the result of intended oppression by the Japanese against the youth and students who had huge potentials for becoming futur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powers together with relatively widely known national leaders such as Yoon, Chi‐ho, An, Tae‐guk, Yang, Gi‐tak, and Lee, Seong‐hoon. The record of prison term shows that all of the accused involved in the Event of 105 Patriots were given a heavy punishment with more than 5 years at the first instance by Gyeongseong District Court. However, all of them made an appeal to a Higher Court and 5 of them were given 6 year’s term, one of them, 5 year, and 99 of them proved to be not guilty. This means 94% of those who were convicted at the first instance of the trial were released with acquittal. This is because of the disclosure of Japanese fabrication in the course of the trial, as the accused made statements that they had been forced to make false confession due to ruthless tortures imposed on them during interrogation. However, the Event of 105 Patriots attributed to the unjust suffering of activists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f Sinminhoe with more than 6 years’ imprisonment by being falsely charged, and even ordinary members were ruthlessly tortured for 2 years, but later forcibly acquitted under the pressure of public opinion by in international communities. This event brought about a temporary suspension of activities by an underground organization, Sinminhoe and even affected overall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s within the country to the level of withdrawal or shrinkage. However, most of the patriotic fighters resumed their activities for sovereignty restor...

      • KCI등재

        안명근의 생애와 독립운동

        이동언(Dong-Eon Le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1

        안명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수학하다가 1897년 신천 청계동에서 부친 안태현과 함께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안중근의 종제로 어려서부터 안중근의 영향을 받아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안악면학회와 해서교육총회 회원으로 교육구국운동에 참여하였다. 일제가 한국을 강점하자 안명근은 장차 독립전쟁을 위해 간도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배경진?원행섭?박만준?한순직 등 18명과 함께 군자금 모금운동을 전개하다가 일경에 체포되었다. 안명근은 경성형무소에서 15년간 옥고를 치른 후 1924년 석방된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1927년 길림성 依蘭縣 八湖里에서 병으로 순국하였다. 일제는 한국강점 직후 식민지 무단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독립운동 단체와 독립운동 지도자들을 철저하게 감시하고 경계하였다. 특히 일제가 안악사건 등 3대사건을 조작하여 대대적으로 탄압한 이유는 서북지역에 대한 경계심과 반일 기독교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서였다. 경술국치 직전에 일어난 전명운?장인환의 스티븐스 처단의거(1908. 3), 안중근의 이등박문 처단의거(1909. 10)?이재명의 이완용 저격사건(1909. 12) 등은 모두 서북지역 인사들로 기독교 교인들이었다. 안악지방이 황해도의 애국계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서북지역으로 확대되자 이지역 인사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였다. 먼저 황해도지역 독립운동 지도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안악사건과 양기탁사건을 조작하여 독립운동을 위한 국외이주와 무관학교 설립계획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안악사건과 동시에 양기탁사건?105인사건 등을 연계시켜 사건을 확대?날조하여 민족운동자들을 탄압하였다. 안악사건과 양기탁사건 조사 과정에서 신민회 조직이 발각되자 일제는 신민회라는 비밀결사조직이 일제총독 사내정의 암살을 기도하였다고 날조하여 105인사건으로 확대조작하여 평안도지역으로 대대적으로 탄압을 확대하였다. 특히 일제는 안명근사건을 ‘제2의 안의사 사건’으로 주목하고 탄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제는 기독교계 반일세력의 배후로 외국인 선교사들을 지목하고 이들을 축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신민회사건 등에 다수의 외국인 선교사들을 배후세력으로 조작하였으나 기독교세력과 외국인 선교사들을 축출은 실패하고 오히려 일제의 무자비하고 야만적인 식민통치의 실상을 전세계에 폭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KCI등재

        105인 사건 피의자들의 사건 이후 행적에 관한 소고 - 친일로 경도된 9인을 대상으로-

        윤경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이 논문은 105인 사건 피의자들에 관한 사후 행적을 추적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05인 사건 피의자들 가운데 사건 이후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 9명을 선별하여 그들의 친일행적을 추적하였다. 추적 결과 이들 9인의 행적은 대체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출옥 후 실업활동에 종사하다가 친일로 경도된 유형이다. 김동원 이근택, 이춘섭, 차균설 등 4인이 이에 해당 한다. 다음으로는 출옥 직후부터 친일활동으로 경도된 경우이다. 이에 해당자로 나일봉과 장응진 그리고 윤치호 등 3인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출옥 후 중국 상해로 망명한 후 일제의 ‘첩자’와 ‘밀정’ 혐의로 결국 사살당한 옥성빈과 옥관빈 형제 2인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류인 상기 4인은 105인 사건에서 풀려난 후 주로 실업 및 종교 활동과 민족개량주의운동에 참여하다가 1930년대 중반이후부터 보다 적극적인 친일 활동의 길을 걸었다. 특히 이들 4인은 일제의 식민지배하에서 주로 경제실업활동에 종사한 실업인이자, 기독교인이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 부류인 나일봉과 장응진은 사건 이후 일본 조합교회 교인이 되었다. 특히 나일봉은 출옥 후 바로 일본 조합교회 목사로 변신, 친일활동에 적극 나섰다. 마지막 부류인 옥성빈, 옥관빈 형제는 1933년 중국에서 살해되었다. 옥성빈은 출옥 후 상해로 망명하였지만 상해 망명 직후부터 임정 요인들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의심을 받았다. 옥관빈은 당대 재중 한인 가운데 최고의 사업가로 거부가 되어 명성이 높았다. 그러나 사업가로서 대성공을 거둔 그를 바라보는 상해 임정과 한인 독립운동단체의 눈에는 대표적인 ‘한간’(韓奸)으로 비쳐졌다. 따라서 마땅히 처단해야 할 ‘간역(奸逆), 옥역관빈(玉逆觀彬)’으로 단정했고 그 결과 1933년 8월 1일 한인제간단(韓人除奸團)에 의해 처단되었다. 이상 9인의 행적 추적을 통해 105인 사건 이라는 동일한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어려움을 당했지만 그들의 이후 행적은 민족과 역사의 길을 걸은 인물과 순응과 훼절의 현실적 길을 택한 자로 구분된다. 이중 상기 9인은 후자에 속한다 할 수 밖에 없다. 이 모두가 국권을 빼앗긴 민족과 나라의 아픔과 슬픔이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elects nine convicts of the Korean Conspiracy Case who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fter the case, and deals with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t grouped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Kim Dong-Won, Yi Geun-Taek, Yi Chun-Seop, and Cha Gyun-Seol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as they were engaged in business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Second, Na Il-Bong, Jang Eung-Jin, and Yun Chi-Ho began to work with the Japanese immediately after their release. Finally, two brothers, Ok Seong-Bin and Ok Gwan-Bin exiled themselves to Shanghai, China, were suspected to be Japanese spies, and were murdered on that account. The first group of fou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business, religious activities,and national improvement movement after their prison term, but became active Japanese collaborators since the mid-1930s. They were all Christian businessmen. The Na and Jang of the second group became members of the Japanese Johap Church. Na, in particular, became an ordained minister of the church,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pro-Japanese activities. The two Ok brothers were killed in China in 1933. Ok Seong-Bin exiled himself to Shanghai upon release from prison and god involved in nationalist activities. But he was regarded as a person to be watched. Ok Gwan-Bin, on the other hand, made a huge fortune and became a prominent person among Korean communities in China. However, Korean nationalists in China considered him a double-crossing traitor, and a group of Korean undercover executioners assassinated him. The people involved in the Korean Conspiracy Case suffered greatly. However, some continued to walk along the path of nationalist cause, while others chose a practical way of submission and collaboration. The nine persons of this article chose the latter option.

      • KCI등재

        105인 사건과 선교사의 대응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105인 사건은 1911년 10월 평북 선천의 기독교계 학교 학생들 검거로 시작되어, 1912년 9월 105명이 유죄판결을 받았고, 항소하여 그 가운데 99명이 1913년 3월 무죄 석방되었으며, 최종 유죄판결을 받은 윤치호 양기탁 이승훈 등 6명도 1915년 2월 일본 천황의 특별사면으로 석방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그 과정에서 재한 선교사들과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한 미국의 선교본부들의 활발한 외교적 대응과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고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재한 선교사들은 이 사건에 대한 소식을 미국의 선교본부와 친지들에게 알리고, 총독부 관리들을 찾아가 구속자들을 변호하였다. 그리고 일제 경찰의 예비 신문과정에서 피의자에 대한 고문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대한 항의와 조사를 요구하였다. 1912년 1월에는 선교사 대표가 데라우치 총독을 직접 면담하였고, 1912년 2월에는 YMCA 총무 질레트가 아카시 경무총감을 찾아가 피체된 윤치호의 상황을 알아보고, 회장 저다인과 함께 장문의 이 사건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만들어 5월 22일 국제 YMCA 대표이자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계속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던 모트에게 계속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주도록 요청했다. 105인 사건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을 한 선교부는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 외에도 미북감리회 선교부, 미남감리회 선교부, YMCA,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계속위원회, 영국 선교연합회 등이었다.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 총무 브라운은 이 사건이 일제 경찰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사실을 파악한 이후부터는 일본대사관과 직접 교섭하거나 여러 선교부들과 연합하여 대책을 강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였고, 재판 직전에 이 사건 관련 편지와 공문들을 언론에 공개하여 공정한 재판을 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1심 재판에서 105인에게 유죄가 선고되자, 선교부 연합으로 비밀회의를 갖고, 그 회의의 결정에 따라 이 사건에 대한 종합 보고서를 작성하여 1912년 11월 20일 출판 공개하였다.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계속위원회에서도 이 사건에 대한 보고서를 정식 의제로 채택하고, 각국 위원들을 통해서 해당국에 있는 일본 대사관에 압력을 행사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영국 선교연합회에서도 영국 주재 일본 대사관을 찾아가 이 사건에 대한 공정한 처리를 요구했다. 이러한 국제 여론의 압력을 받은 일제의 경성복심법원의 재판은 보다 신중하게 이루어졌고,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105인 가운데 99명에게 1913년 3월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하고, 윤치호 양기탁 이승훈 등 6명에게만 유죄를 선고했다. 총독부의 체면을 세우기 위한 정치적 판결이었다. 유죄판결을 받은 피고들은 판결 이유가 법리적 논리적 타당성이 없으므로 고등법원에 상고하였으나, 결국 최종 기각되어 윤치호 등 6명에 대한 형은 확정되었다. 그렇지만, 이들도 형기를 다 채우기 전인 1915년 2월 일본 천황의 특사 형식으로 석방되었다. This paper delineates a detailed history of the Korean Conspiracy Case, also known as the “105 Men Incident.” It emphasizes the committed efforts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in the process of the appealing and the international Protestant network(mission boards in New York, YMCA, and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Continuation Committee) on helping for the release of the falsely accused Christians. With intense tensions between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and Japanese colonial control, the Governor-General Masatake Terauchi grew suspicious of both the American missionary presence and steady growth of the Christian Church. Convinced that the Korean Church was acting as an hotbed of Korean nationalists, the Japanese government reacted forcefully. On June 28, 1912, the Japanese government accused 123 Koreans of treason and assassination attempts against the Governor-General. During the time of detainment, defendants were tortured, and more than 600 others were arrested. Many of them were leading Protestant Christians, arrested chiefly in Pyeongan Provinces and Seoul area. Accounts of brutal beatings have been recorded, some resulting in death. On September 28, 1912, 105 men were convicted and sentenced to hard manual labor. The case was appealed on grounds of injustice and falsified evidence and 99 men except six men who were convicted were acquitted in March 1913. Finally the six men were released in February 1915 by an imperial clemency. In the course of the case, missionaries in Korea and secretaries of the Boards of Foreign Missions in New York convinced that the accused were innocent, and launched a concerted diplomatic campaign for the impartial trial of the accused Christians. Through their various efforts, the truth of the fabricated case was revealed, the falsely accused were released, and the damage to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could be reduced. This case characterized the initial content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Protestant Christianity and the nationalistic nature of Protestantism in early colonial Korea. Prior to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he Conspiracy Case signaled a pivotal change in the course of Korean Protestantism and the importance of the ecumenical efforts in dealing with the state persecution of the church.

      • KCI등재

        미국 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의 동아시아 인식과 105인 사건

        이성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본 논문은 선교사가 관여됨으로 인해 국제적 사건으로 주목을 받았던 ‘105인 사건’(데라우치총독암살미수사건, 1911년) 당시 미국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의 동아시아인식, 그리고 당시 그들의 문명관을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미국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에서 동아시아를 담당하던 브라운(A. J. Brown)과 스피어(R. Speer) 총무의 동아시아인식을 그들의 문명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제국주의, 식민지주의에 대해 그들이 얼마나 근접한 생각을 지녔는지를 살펴보며, 함께 ‘정치불개입 원칙’에 입각하여 일본제국주의에 대해 결과적으로 동조했던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한국병합’의 상황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지배를 인정한 것을 전제로 ‘한국선교부’와 ‘일본선교부’의 병합을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선교본부와 현지 선교부 간의 갈등이 발생한 것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105인 사건 연구에서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와타나베[渡?暢], 즉 당시 기독교인이며 조선고등법원장이던 그와 ‘미션 네트워크’ 간의 관계도 해명하고자 했다. 이는 필라델피아에 있는 장로교사료보관소의 자로들과 WCC도서관 소장 자료철을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인 바, 선교사 연루를 둘러싼 미국과 유럽 기독교계의 여론이 반영되어 한국주재 선교사들을 불기소처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와타나베가 일정한 역할을 한 사실을 밝히고자한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의 동아시아 인식과 105인 사건 -미국 필라델피아 장로교사료보관소 자료와 일본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성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6 No.-

        본 논문은 선교사가 관여됨으로 인해 국제적 사건으로 주목을 받았던 ‘105인 사건’(데라우치총독암살미수사건, 1911년) 당시 미국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의 동아시아인식, 그리고 당시 그들의 문명관을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미국북장로회 해외선교본부에서 동아시아를 담당하던 브라운(A. J. Brown)과 스피어(R. Speer) 총무의 동아시아인식을 그들의 문명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제국주의, 식민지주의에 대해 그들이 얼마나 근접한 생각을 지녔는지를 살펴보며, 함께 ‘정치불개입 원칙’에 입각하여 일본제국주의에 대해 결과적으로 동조했던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한국병합’의 상황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지배를 인정한 것을 전제로 ‘한국선교부’와 ‘일본선교부’의 병합을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선교본부와 현지 선교부 간의 갈등이 발생한 것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105인 사건 연구에서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와타나베[渡辺暢], 즉 당시 기독교인이며 조선고등법원장이던 그와 ‘미션 네트워크’ 간의 관계도 해명하고자 했다. 이는 필라델피아에 있는 장로교사료보관소의 자료들과 WCC도서관 소장 자료철을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인 바, 선교사 연루를 둘러싼 미국과 유럽 기독교계의 여론이 반영되어 한국주재 선교사들을 불기소처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와타나베가 일정한 역할을 한 사실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片康烈의 국권회복운동과 의열투쟁

        박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2

        Pyun Kang­ryul join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1907 at the age of 16, starting with the Righteous Army led by Lee Kang­nyun. He returned home when he was injured in the Yangju Battle in Gyeonggi Province, and judging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egain sovereignty only by the struggle of righteous armies, he entered Soongsil School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hich was being actively promoted in the provinces such as Pyeongan and Hwanghae, and he extended his activities by joining Shinminhoe. However, soon after he joined Shinminhoe, he was embroiled in the Korean Conspiracy Case which was in fact fabricated by the Imperial Japan and was put into prison. Pyun Kang­ryul took this case as a momentum to fortify his strong commitment to the Korean independence, and started a preparation for a new independence movement. Once out of Seodaemun Prison in 1914, he went to his ancestral home of Gimcheon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prepare for an armed struggle and was actively involved with Daehan­ Kwangbokhoe which had been organized in 1915 in the city of Daegu. In 1918, he went back to his hometown to lead the March 1st Movement in Yeonbaek, Hwanghae Provinc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ed a secret armed organization called Jubidan in Hwanghae Province, which was controll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based in Shanghai, and he led the armed struggle as the representative of Anak Gun. But he was once again detained in Haeju Prison in 1920 for one year and two months on charges of hiding Tongnip Shinmun, the mouthpiec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collecting war funds. When he was out of jail in January 1922, Pyun Kang­ryul went to Manchuria as an exile in November 1922 in order to take part in the Korean National Representatives’ Meeting in Shanghai. However, the meeting did not happen and being disappointed by the breakdown of the meeting, Pyun organized Uisungdan in Shanhaiguan in July 1923 with the aim of Heroic Struggle. Uisungdan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nd pro­Japanese Koreans with strenuous activities such as collecting war funds and attacking Japanese government offices, centering Middle Manchuria including Jilin and Changchun. It expanded its forces by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networking with other provinces, and at the same time tried to sneak into Korea preparing activities such as the bomb explosion case. In addition, Pyun Kang­ryul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improve the living standard of the peasant Koreans who were living in difficulties in Middle Manchuria, while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integ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the whole area of Manchuria with Yang Ki­tak who was the adviser of Uisungdan, and also he great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 of Jeongeuibu. Pyun Kang­ryul was arrested in Harbin in July 1924 after a tip­off from a spy who infiltrated Uisungdan as a member. He went through a legal battle for six months, but was eventually sentenced to seven years in prison. He was put in solitary confinement and was serving time in Shinuiju Prison when his health deteriorated and was bailed out in April 1927. However, his health did not get better and he died for his country at a young age of 38, ending his involvement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20 years which had started in 1907. 본고는 독립운동가 片康烈의 국내에서의 국권회복운동과 중만주지역에서의 의열투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892년 황해도 연백에서 태어난 편강렬은 1907년 16세의 나이에 李康秊부대에서 활동한 것을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하게 되었다. 1908년 경기도 양주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더 이상 의병활동으로는 국권을 회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당시 서북지방에서 활발히 이루어지던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숭실학교에 입학했으며, 新民會에 가입해 활동했다. 그러나 신민회에 가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에 의해 조작된 데라우치 총독 암살미수사건 즉,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게 된다. 편강렬은 105인 사건 연루를 계기로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다지게 되었고, 새로운 방법의 독립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1914년에 출옥한 그는 선대의 고향인 경상북도 김천으로 내려가 무장투쟁을 준비하고, 1915년 대구에서 조직된 大韓光復會에 가담하여 활동했다. 1918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황해도 연백군의 3ㆍ1운동을 주도했다. 3ㆍ1운동 이후에는 상해임시정부의 국내 비밀군사조직인 黃海道籌備團에 참여해 안악군의 대표를 맡아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1920년 상해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을 은닉하고 군자금을 모금한 혐의로 1년 2개월간 해주형무소에 구금되었다. 1922년 1월 출옥한 편강렬은 국외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만주로 망명했다. 그는 의열투쟁을 목표로 1923년 7월 義成團을 조직하고 길림, 장춘, 카륜 등 중만주지역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의성단의 주 활동은 일본인과 친일한인들을 상대로 군자금을 모금하고, 일본관공서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지방조직과 연락기관을 설치하여 세력을 넓히는 동시에 국내로의 잠입을 시도했고 폭탄사건을 준비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편강렬은 중만주지역에 거주하는 이주한인들의 생활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했으며, 양기탁과 함께 전 만주에 소재한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해 활발히 활동했다. 그 결과 1925년 남만주지역을 대표하는 독립운동단체인 正義府가 조직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편강렬은 1924년 7월 의성단에 잠입한 밀정의 밀고로 하얼빈에서 체포되었다. 6개월 간 법정투쟁을 벌였지만 결국 7년형을 받게 되었다. 신의주형무소 독방에서 복역하던 그는 지병이 악화되어 1927년 4월 보석으로 출옥했으나 병세가 나아지지 않아 1929년 1월 서른여덟의 젊은 나이에 순국했다. 편강렬은 그동안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정도로만 알려져 왔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편강렬은 16살의 어린 나이에 의병에 가담하여 38살에 순국하기까지 한평생을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20여년의 그의 독립운동을 돌아보았을 때, 편강렬은 의병활동, 애국계몽운동, 무장투쟁, 의열투쟁,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운동 등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독립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