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Design Concept of an App with Matching Enneagram and Character

        박종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4 No.1

        “Know thyself” is one of the most famous ancient proverbs. We need to know ourselves to understand others and find true ourselves. Enneagram is one of the tools we can use to do it. It has drawn more and more attention from people by its effectiveness and spiritual depth. It has been widely promoted in both business management and spirituality contexts. It has many concepts to be understood. Holy ideas and virtues are understood to be restored to find our true self which is the purpose of using the Enneagram. Actually, holy ideas and virtues are similar with character qualities which comprise character. In this paper, holy ideas and virtues are matched with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To promote transformativ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Enneagram, an app was designed. It has 2 levels. Level 1 is to find personality type and show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of 9 personality types to users. Level 2 is to find subtypes and Enneagram Levels of Development for further purpose.

      • KCI등재

        온전한 행복의 조건

        이종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urvey the condition of perfect happiness. We normally think that happiness is subjective state of mind, but we should treat happiness as concept connected community directively. And also we must relate happiness with spiritual dimension beyond public well-fare. I propose well-being as individual happiness, and well-fare as happiness of public dimension, and then spiritual well-being as happiness of spiritual dimension. I hold that perfect happiness realize in our life when these three dimension come true harmoniously. Today, well-being becomes new trend in our society. This trend combines commercialized consumption culture. But this is not good well-being. Individual happiness means not pleasure nor content, but well and good life. Therefore happiness means that we live good life with virtue. Well-fare means happiness of institutional and collective concept. If we enjoy the happiness, we must stand on the basis spiritual well-being that gives the meaning and ultimate goal of life. If we accept our life as the gift and blessing of God and thank to God, we will feel spiritual happiness. This is true and everlasting happiness that fulfill life itself. Therefore true happiness is good life with virtue and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good spirit with God. 본 소고는 최근 한국 사회의 행복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온전한 의미의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행복은 개인의 주관적 심리상태라고 볼 수 있겠지만, 온전한 행복은 한 개인이 속한 공동체와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우리 삶의 근간을 지탱하는 영적 차원에 기초할 때 온전한 행복을 이룰 수 있다. 최근 한국사회는 웰빙이 하나의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상업주의적 소비문화와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상업화된 웰빙은 온전한 의미의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 개인적 차원의 행복은 쾌락이나 만족감을 뜻한다고 볼 수 있지만 진정한 의미의 행복은 쾌락이나 심리적 만족감 이상이다. 온전한 행복은 자신의 삶을 좋다거나 긍정적으로 느끼는 감정적인 차원을 넘어서 객관적으로 좋은 삶을 사는 것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그런 점에서 행복은 잘 사는 것이며, 좋은 품성을 갖고 덕스럽게 사는 것이 행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행복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 사회 제도적이고 집단적인 개념의 행복으로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온전한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삶의 궁극적인 의미와 목적의 근간이 되는 영적 차원의 행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삶을 하나님의 은총과 축복으로 여기고 감사로 수용하는 데서 영적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삶 그 자체를 채워가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영적인 행복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온전한 행복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 영적인 차원이 조화롭게 통합될 때 이루어진다. 따라서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육체를 비롯해 지성과 마음 그리고 영혼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육체적으로는 건강하고, 지성적 측면에서는 자아의 성장과 덕의 함양을 통해 이웃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지속하고, 영적인 측면에서는 하나님과 끊임없는 영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삶이라 할 수 있다.

      • Quality is to a product what character is to a man -is virtue ethics the missing piece in quality management?

        ( Mia Ljungblom(msc Pedagogy) ),( Thomas Taro Lennerfors(associate Professor)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5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2

        Background It is a growing trend within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to argue that virtue ethics is necessary for good management. This quite recent trend goes against the common view of ethics in business as fundamentally deontological or consequentialist, rather than a focus on character. Business ethics in general, including project management, is often reactive rather than affirmative. In other words, to avoid problems and scandals, managers and employees use rule-based ethics that prohibits infraction and wrongdoing instead of becoming role models that strive for the good. Quality is seldom discussed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virtue ethics should also be a fundamental part in quality management by bringing quality down to the personal level which has a processual focus (continuous improvements, and commitment), and thereby fits well into for example Total Quality Management. We stay true to the Heinzian statement that character is to a man, or woman, what quality is to a product, or process. Purpose To to argue for the use virtue ethics in quality management. Methodology We have emulated the methods employed by Loo using a general inductive approach for analyzing qualitative evaluation data. Responses on three ethical dilemmas were collected between 2011 and 2015. These include 88 responses from Project management students and 31 responses from well-established PM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solution to the dilemmas, and also give their solution if they had the dilemma themselves as a PM. All the respons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analysis in this paper. Findings TQM and ethics have in common that an integral perspective is needed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goals and quality management can benefit from a more direct engagement with theories of virtue ethics. Organizations have to find out what kind of behaviors (virtues) is necessary for quality improvements and what kind of character is best for co-worker working with quality issues. Virtue ethics, as maximalistic ethics, is not enough, but must be complemented with a minimalistic ethics to promote quality

      • KCI등재후보

        7가지 리더십 관점에서의 성품 계발 타당성 연구

        박종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성품 계발을 위한 핵심 덕목이 정해졌다면 이 덕목들을 이용해 어떻게 각 품성을 훈련하고 체화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이는 단순히 지식을 가지는 것만으로는 안 되고 핵심 덕목을 실천하고 체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품 계발을 위해 7가지 리더십 관점에서 핵심 덕목을 나누고 설문조사를 통해7가지 리더십 관점에서 성품계발의 타당성을 조사, 연구한다. 이를 통해 개개인은 자신의 성향에 더 필요한 품성들을집중적으로 계발할 수 있다. After core virtues for character development are determined, how to train and embody character qualities is important issue. It is not only by having knowledge of character qualities but also by practicing them and expanding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them. In this paper, core virtues are classified by 7 leadership perspectives, and through poll validity of character development in view of 7 leadership perspectives is studied. Using the result of the study, each student can focus on developing character qualities which are more needed for his own leadership style.

      • KCI등재

        정조 때의 성균관 대사성 교체 논고

        장재천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Being in charge of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 can grow with the qualities and virtues highly and academic skills to be considered for teacher(師表). When you appoint a secretary in various literature throughout Sungkyunkwan might always be present in the students, and high age, including the great qualities and high academic ability and virtue enough to be a model of society, etc. were found to still believed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ut not much else to do than you might think that in spite of this knowledge and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figures are rarely appointed to Sungkyunkwan President. A paper by virtue only when the great were debate these issues, there is little reason to replace where clearly state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Chief Staff Diary" was confirmed in the literature, such as, only about five people barely know the reason for sure could. 24 years King ruled the president and was replaced with 74 people. The per capita was estimated to be only served four months. Things that are replaced between dozens of times in a day or two even became. If the appointment has been calculated that the same person again, was estimated to be 251 times who average 1.1 months in office. When Myong-sik Yi is to take the test for only the target Sungkyunkwan students, for reasons that self freely without the King's command to take the other local students, Jong-hyeon Min is a dereliction of duty not write a test subject, Bang-haeng Kim the other students in any complaint properly did not reach two euros, Ui-pil Yi is because you did not arrange the position of Executive correctly, Gwang-an Yoon was replaced by laziness. So, five showed clearly why the replacement. Through their careers Myong-sik Yi is twice, Jong-hyeon Min the 8th, Bang-haeng Kim is twice, Ui-pil Yi four times, Gwang-an Yoon is seen as one meeting they were dismissed careers, officials are very loyal and will not be seen. 조선시대 성균관의 총책임자인 대사성이 된다고 하는 것은 사표(師表)가 될 만한 자질과 덕행 및 학문적 실력을 고도로 갖춘 자라고 할 수 있다. 각종 문헌 곳곳에서 성균관 대사성을 임명할 때는 항시 유생들의 본이 될 만한, 그리고 사회의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자질과 높은 학문적 실력 및 덕망을 비롯한 높은 나이 등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으로 발견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상식과 기준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적합한 인물들이 성균관 대사성으로 제수되는 일은 생각보다 그다지 많지를 않았다. 정조 때에 한정하여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논구하였는데, 교체 이유가 뚜렷하게 명시된 곳이 거의 없고,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문헌을 통해 확인한 결과, 겨우 5명 정도만이 이유를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정조 재위 24년간 대사성은 74명이나 거쳐 갔으니 1인당 겨우 4개월 정도 재직한 것으로 파악되며, 하루 이틀 사이에 교체되는 일들도 수십 차례나 되고, 동일인이 자주 대사성에 다시 등용되었던 것을 계산하게 되면 251회나 바뀌어서 평균 1.1개월 밖에 재임하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명식은 성균관 유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황감제 때 국왕의 명령이 없었는데도 멋대로 방외유생들을 응시하게 했다는 이유로, 민종현은 『태학지』로 유명한 사람인데 실상은 과거글제를 기록하지 않아 직무태만으로, 김방행은 관서유생의 1인 시위를 제대로 타이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의필은 감제 때 춘당대에서 자리정돈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 해서, 윤광안은 붕당문제도 있었지만 문묘알성 태만으로 교체되고 말았다. 이렇게 5명의 성균관 대사성은 교체 이유를 분명하게 알 수 있었는데, 그들의 벼슬이력을 통해서도 이명식은 2회, 민종현은 8회, 김방행은 2회, 이의필은 4회, 윤광안은 1회의 파직 경력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다지 성실한 관리들이 아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 전기 성균관 교관의 자질 논란 사례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상식적으로 조선시대 성균관의 교관이 된다고 하는 것은 사표가 될만한 자질과 덕행 및 학문적 실력을 충분히 갖춘 자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성균관의 교관은 오늘날로 말하자면 대학교수다. 그런데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성균관 교관이 된 자들의 자질이 직급의 고하를 막론하고 문제가 많아서 논란거리가 되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지금도 일부 대학교수들이 온갖 비리와 추문으로 세상의 비난거리가 되고 있는 것처럼 조선시대 성균관 교관들의 경우도 매우 비슷한 상황이었다. 성균관 사예 박윤검은 성균관 계집종을 사통하여 애를 둘이나 낳은 전력과 자신의 영달을 위해 비굴한 짓거리를 했다는 평가를, 직강 전순인은 무식하다는 평가를, 사성 진복창은 간신배, 비루, 아첨꾼, 용렬하다는 평가를, 전적 신여집은 음주와 용렬하다는 평가를, 박사 한인은 공사를 구분못하고 개인적 울분을 표출했다는 평가를, 직강 조욱은 근신하지 않고 승진에만 관심을 쏟았다는 평가를, 학정 윤선과 문여는 나쁜 버릇과 나태함을 지적 받았고, 사성 김용은 주색잡기와 주변으로부터 원성을 많이 샀다는 평가를, 직강 채형은 뇌물수수로 나쁜 평가를, 사예 이홍주는 사신으로서의 책임을 망각하고 거짓 장계를 올렸다는 빈축을 샀다. 위와 같이 조선 전기 성균관 교관들 중에는 두고두고 욕먹는 일을 하여 결국에는 나쁜 평가를 받은 것이었다. 이밖에도 수많은 경우들이 있었겠지만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들만을 살펴본 것으로도 충분히 성균관의 사정을 짐작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런 역사적인 일들을 필히 반면교사로 삼아 지금의 대학교수들은 처신을 올바로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It is common sense that the instructor of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 that can grow with the qualities and virtues and academic skills enough to be considered resigned. The Sungkyunkwan`s instructor is speaking today, professor. Now must also be equipped university is also learning and leadership, and the reality is not because anybody can be easily recognized as community leaders. But the general expectations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instructor is Sungkyunkwan party unlike a lot of the things that occurred many controversial issues and the heavy-duty, regardless of the grade.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s instructor as they are now part of the blame away with all sorts of corruption and scandal in the world also was a very similar situation. Ignorance, sloth, alcohol, pornographic, bribery, failure to be honest, because individuals seeking career so you can look at examples of negative evaluation. Among Sungkyunkwan`s instructor above by the whole for many years blamed work was eventually received a bad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uess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have been many, but enough to be seen even a prime example only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se historical events must take this as a lesson to the university are now thought to have acted correctl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정조 때의 성균관 대사성 교체 논고

        장재천 ( Jae Cheon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조선시대 성균관의 총책임자인 대사성이 된다고 하는 것은 사표(師表)가 될 만한 자질과 덕행 및 학문적 실력을 고도로 갖춘 자라고 할 수 있다. 각종 문헌 곳곳에서 성균관 대사성을 임명할 때는 항시 유생들의 본이 될 만한, 그리고 사회의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자질과 높은 학문적 실력 및 덕망을 비롯한 높은 나이 등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으로 발견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상식과 기준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적합한 인물들이 성균관 대사성으로 제수되는 일은 생각보다 그다지 많지를 않았다. 정조 때에 한정하여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논구하였는데, 교체 이유가 뚜렷하게 명시된 곳이 거의 없고,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문헌을 통해 확인한 결과, 겨우 5명 정도만이 이유를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정조 재위 24년간 대사성은 74명이나 거쳐 갔으니 1인당 겨우 4개월 정도 재직한 것으로 파악되며, 하루 이틀 사이에 교체되는 일들도 수십 차례나 되고, 동일인이 자주 대사성에 다시 등용되었던 것을 계산하게 되면 251회나 바뀌어서 평균 1.1개월 밖에 재임하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명식은 성균관 유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황감제 때 국왕의 명령이 없었는데도 멋대로 방외유생들을 응시하게 했다는 이유로, 민종현은 『태학지』로 유명한 사람인데 실상은 과거글제를 기록하지 않아 직무태만으로, 김방행은 관서유생의 1인 시위를 제대로 타이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의필은 감제 때 춘당대에서 자리정돈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 해서, 윤광안은 붕당문제도 있었지만 문묘알성 태만으로 교체되고 말았다. 이렇게 5명의 성균관 대사성은 교체 이유를 분명하게 알 수 있었는데, 그들의 벼슬이력을 통해서도 이명식은 2회, 민종현은 8회, 김방행은 2회, 이의필은 4회, 윤광안은 1회의 파직 경력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다지 성실한 관리들이 아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Being in charge of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 can grow with the qualities and virtues highly and academic skills to be considered for teacher(師表). When you appoint a secretary in various literature throughout Sungkyunkwan might always be present in the students, and high age, including the great qualities and high academic ability and virtue enough to be a model of society, etc. were found to still believed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ut not much else to do than you might think that in spite of this knowledge and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figures are rarely appointed to Sungkyunkwan President. A paper by virtue only when the great were debate these issues, there is little reason to replace where clearly state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Chief Staff Diary" was confirmed in the literature, such as, only about five people barely know the reason for sure could. 24 years King ruled the president and was replaced with 74 people. The per capita was estimated to be only served four months. Things that are replaced between dozens of times in a day or two even became. If the appointment has been calculated that the same person again, was estimated to be 251 times who average 1.1 months in office. When Myong-sik Yi is to take the test for only the target Sungkyunkwan students, for reasons that self freely without the King`s command to take the other local students, Jong-hyeon Min is a dereliction of duty not write a test subject, Bang-haeng Kim the other students in any complaint properly did not reach two euros, Ui-pil Yi is because you did not arrange the position of Executive correctly, Gwang-an Yoon was replaced by laziness. So, five showed clearly why the replacement. Through their careers Myong-sik Yi is twice, Jong-hyeon Min the 8th, Bang-haeng Kim is twice, Ui-pil Yi four times, Gwang-an Yoon is seen as one meeting they were dismissed careers, officials are very loyal and will not be seen.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 타당화 연구

        Kim, Jeong-Han,김성순,이동훈,함경애 한국재활심리학회 2014 재활심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격강점 활용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Kim(2012)이 개발한 성격강점목록(Adapted Virtue Inventory of Strength: AVIS)을 번안하여 한국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K-AVIS) 개발을 위해 부산, 울산, 전주 지역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들 1121명(남학생 299명, 여학생 822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타당화 작업을 위한 비교 측정도구는 한국형 성격강점 인식 질문지, 자존감 척도, 무망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K-AVIS)의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K-AVIS)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K-AVIS)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흄의 정의론에서 유용성의 문제

        김다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4 철학탐구 Vol.73 No.-

        흄의 윤리이론에서 도덕성의 원리는 사회적 유용성의 원리이다. 유용성을 도덕적 행위의 척도로 삼는다는 점에서 흄을 공리주의의 선구자로, 혹은 흄의 윤리이론을 공리주의로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흄은 벤담이나 밀과 같은 공리주의자는 아니다. 그런데 이에 동의하는 사람들도 왜 흄이 공리주의자가 아닌지에 대해서는 명료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흄은 발생적 관점에서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나 선호를 넘어서 사회의 이익 즉 공공의 이익으로서 사회 전체의 선을 증진시키는 행위를 하려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흄은 이에 기초해서 정의를 공적 유용성의 규칙으로 이해한다. 흄의 정의론에서 유용성의 원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사적 유용성이며, 다른 하나는 공적 유용성이다. 흄에게 전자는 자기애에 기초한 자기이익의 원리이며, 후자는 사회적 이익에 기초한 도덕성의 원리이다. 그런데 도덕성의 원리로서 사회적 유용성 또는 공적 유용성을 최대 다수를 위한 합리적 계산이 아니라 공감에 기초한 도덕적 시인의 산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흄은 기본적으로 공리주의가 아니다. 흄은 사회적 이익과 사회적 규범의 기초를 도덕적 시인의 감정을 일으키는 공감적 유용성에 두기 때문이다. 그러나 흄은 공적 유용성에 대한 공감적 시인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흄의 정의론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문제, 즉 공적 유용성과 도덕적 시인의 관계가 명료하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이 점을 분명히 하려고 시도한다. In Hume’s ethics, the principle of morality is the principle of social utility. In that he takes utility as a measure of moral behavior, Hume is interpreted as a pioneer of utilitarianism, or Hume’s ethical theory as utilitarianism. But it is clear that Hume is not a utilitarian like Bentham or Mill. However, even those who agree to this generally do not provide a clear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see Hume as a utilitarian. Hume argues that justice as social morality is understood as a rule of public utility from a generational point of view, and that people tend to enjoy activities that promote social interests beyond individual interests or preferences. And Hume answers based on utility as to why he is pleased with the promotion of good in society as a whole as a public interest. For Hume, there are two types of principles of utility as a principle of action, the principle of self-interest and the principle of public utility. Hume understands the former as the principle of private utility, that is, self-interest, and the latter as a feeling of sympathy for human welfare, that is, the principle of morality as universal humanity. However, Hume is not fundamentally utilitarian in that it regards social interests or public utility as a principle of morality as the product of moral approval based on sympathy rather than rational calculations for the largest majority. In Hume’s theory of justice, there are two kinds of principles of utility : private utility and public utility. The former is the principle of self-interest based on self-love, and the latter is the principle of morality based on social interests. However, Hume is not fundamentally utilitarian in that social or public utility as a principle of morality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a moral approval based on sympathy rather than a rational calculation for the greatest benefit of the greatest number. This is because, for Hume, social interests and social norms are based on the sympathetic utility and moral feelings that sympathize with them. However, a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public utility and moral approval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Hume’s theory of justice.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is point.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지행합일론

        정낙찬(Jeong, Nak-Chan) 한국교육철학회 2008 교육철학 Vol.36 No.-

        Hagok Jeong Jae Doo believed that man is, as a principle of life, equipped with the good knowledge, or the moral autonomy capable of judging right and wrong. He formed his ideas on man based on this principle of lifet heory. Thec haracteristics of his theory on conduct and knowledge, which was formed based on his such ideas about mankind, area s follows. First, he understood this 'good knowledge' not as a natural and reasonable state, but as 'the reason why' on which it was based upon. Second, by contending that good knowledge was a principle of life unliket hea bstract knowledge about principles wei nfer from experience, he emphasized the activeness and creativeness of good knowledge. Third, the theory contends that the bright virtue(明德)-the inherent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ive person-is comprised of knowledge and ability required to become aware of and realizet hep rinciples of thehe avens. Fourth, the principleof life is self enlightening, and simultaneously possesses the four virtues and realizes them aptly. Fifth, good knowledgea s thee ssenceof them ind and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objects through its application cannot be separated. Sixth, the physical application of good knowledge is metaphorically explained as the inability to tell apart the brightness of a light and theb rightness of shining a light, meaning that practiceis incorporated in the good knowledge itself. Seventh, the fundamentals (大本) and achieving morality(達道), bright virtue and closeness with the people(親民), knowledge and conduct is on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learning and application, but are all one and the same. Eighth, in order to recover the essence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efforts to remove personal greed, physical restraint, and bad habits must be made to reach the stage at which one is able to practice morality and virtue even when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