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에서 본 아싸지올리(Assagioli)의 명상관 -『니까야』와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김지명 ( Ji-myeong Ki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로베르토 아싸지올리(Roberto Assagioli, 1888~1974)는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 사이자 심리학자로서, 인간의 정신구조를 의식, 무의식, 집단 무의식 등으로 세분화한 정신통합(Psychosynthesis)이론의 창시자이다. 정신통합이론이 여타의 심리학 이론과 다른 점은 인간의 잠재력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무의식에 내재한 잠재력의 개발은 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되는데, 잠재력의 개발에서 강조되는 것이 ‘의지’이다. 인간은 모두 자유의지를 가지며 이것을 인지하는 것이 정신활동에 유용하다는 것을 부각시켰다. 이것은 붓다가 의지적 작용을 업이라 정의하고 의지가 수반된 행위를 강조한 것과 상통한다. 또 내가 경험하는 상황과 나, 내 마음과 나를 분리하는 탈동일시 기법은 불교의 무아체득과 유사하다. 아싸지올리는 이론뿐 아니라 치료에도 연구활동을 집중하였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치료는 마음의 안정에서 시작하여, 문제를 숙고하는 사색적 명상, 상위의식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수용적 명상, 실제 생활에서의 표현과 실천의 단계인 창조적 명상을 거친다. 이는 마음의 통제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주제에 집중하는 사마타, 통찰지를 개발하는 위빠사나, 불교의 실천 강조와 상응한다. 본고에서는 정신통합이론을 불교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정신통합의 명상치료를 불교의 사마타ㆍ위빠사나와 비교 연구한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에서 불교의 영향을 바로 밝히고, 앞으로 불교의 심리치유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Roberto Assagioli is an Italian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He is the founder of Psychosynthesis Theory which categorized the mental structure of human into the consciousness, unconscious, collective unconscious, etc. This theory is different from other psychological theories with its keen interest in the human potential. Assagioli understood that the spiritual energy such as the spiritual insight and creative inspiration is embedded in the higher unconscious and used it in his psychotherapy. According to him,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embedded in the unconscious of human mind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integration and human ‘will’ is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He emphasized that everyone has free will and that recognizing it is useful for the mental activities. This is in line with Buddha defining the intentional action as karma and emphasizing the deed accompanied by the will. In addition, disidentification technique that separates the self from the experience and the self from the mind is similar to mastering anatma. Assagioli focused his research activities not only in theories but also in his therapies. In the therapeutic aspect, the goal of Psychosynthesis is ‘to unify the individual’s talent and skills to one skill.’ Meditation therapy is an important therapeutic technique for Psychosynthesis. Meditation therapy of Assagioli is useful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will but also in consciousness training for the psychosynthesis. The meditation process of Assagioli starts from the a state of balance and progresses through reflective meditation, a phase dwelling on a subject, receptive meditation, a phase embracing the message of higher consciousness, and creative meditation, a phase of expression and practice in the reality. These correspond with mindfulness for the control of mind, samatha focusing on the meditation topic, vipassana developing the knowledge on the insight and emphasizing practice in Buddhism. This study considers the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Buddhistic perspective and compares the meditation therapy of Psychosynthesis and samatha vipassana of Buddhism.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Buddhist influence in the meditation of Assagioli and help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Buddhistic psychological heal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Assagioli의 정신통합

        박성현,민희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본 논문은 서구 자아초월심리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아싸지올리의 정신통합을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정신통합은 서구 정신분석 전통과 동양 신비주의 전통의 정신 모델을 통합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아싸지올리는 전통적인 정신분석 전통으로부터 하위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동양의 요가 전통으로부터 상위 무의식과 초월적 자기의 관념을 끌어들였다. 정신통합 모델에서는 동일시-탈동일시-동일시의 역동적 과정을 통해 경험에 지배당하고 있는 동일시된 자기로부터 경험을 초월한 초월적 자기로의 성장을 도모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신통합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개념 중 특히, 동일시-탈동일시의 과정, 초월적 자기, 그리고 상위무의식을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한다. 동일시-탈동일시 과정은 불교의 사띠 및 선 수행과 비교했으며, 초월적 자기는 존재의 무근거성의 자각이라는 불교수행의 관점에서, 그리고 상위무의식은 지혜와 자비라는 본성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조명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Assagioli’s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practices. The psychosynthesis theory is derived from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t represents a trial to integrate Western psychoanalytic theory with Eastern philosophies. Assagioli combined the concepts of the lower unconsciousnes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from traditional psychoanalytic theory with the concepts of the higher unconsciousness and the transpersonal self from Eastern yoga traditions. The psychosynthesis model demonstrates that self can grow as transpersonal self by transcending the identified self that is dominated by the experiences of the dynamics of the identification–disidentification process. This study particularly indic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ssagioli’s psychosynthesis theory and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practices with respect to the identification–disidentification process, transpersonal self, and higher unconsciousness. We compared the identification–disidentification process to Buddhist Sati and Seon practices and reviewed the transpersonal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nonbeing. Finally, we critically explored the higher un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ise and compassionate mind in the Buddhist traditions.

      • KCI등재

        통합심리학 연구의 세 가지 주요 흐름: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

        문일경,김명권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통합심리학이 발전해온 역사적 맥락을 세 가지 주요 연구 흐름을 중심으로 파악해보고, 아울러 통합심리학의 향후 과제들을 검토하였다. 현재 통합심리학의 큰 줄기인 Aurobindo, Wilber, Assagioli 심리학이 통합심리학과 자아초월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주요 특징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개괄함으로써 이 세 가지 연구 흐름이 모두 동양 전통과 서양 심리학의 광범위한 성과들을 종합한 심리학의 형태로서, 자아초월심리학과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발전해왔으며, 초의식 영역까지 포함하는 인간의 전체적인 발달모델을 제시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포괄성, 정교함, 이론과 실제의 연결 등에서 개별적인 차이도 존재한다. 통합심리학이 한 걸음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아초월심리학으로부터 물려받은 오랜 유산인 주류심리학과의 소통, 과학적 심리학으로의 도약 등의 과제를 해결해나가야 하며, 보다 확장된 통합심리학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 모습은 통합심리학의 주류 세력인 Wilber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여타 통합심리학의 흐름들과 기존 심리학의 모든 부분 진리들을 포괄하는 새로운 체계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로 비판이나 대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integral psychology centered on three main streams through which it has kept evolving and examine its challenges to overcome. Summing up how the main lines of integral psychology(Aurobindo, Wilber, Assagioli's) have positioned themselves and what their key features are shows that they have all grown, in the close correlation with transpersonal psychology, as a form of psychology which integrated the expansive achievements of eastern tradition and western psychology. Futhermore, they are common in emphasizing the full spectrum model of human development. On the contrary, from the viewpoints of inclusiveness, exquisiteness,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re exist individual differentiations. To jump up, integral psychology must keep overcoming challenges, such as bridging with mainstream psychology, positioning as a scientific psychology which have been inherited from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need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more comprehensive psychology. Its future outline should be a new integral system including all partial truths of other integral streams and existing psychologies, centered on Wilber's integral psychology. More open and receptive attitude should be assumed, accepting any criticism and alternative.

      • KCI등재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마음인문학의 토대정립을 위한 하나의 발견적 모델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2 No.-

        실천적 마음학을 지향하는 마음인문학의 정초를 위해서는 마음의 구조와 기능 (구조학 혹은 정학) 그리고 마음의 구조가 내외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동력학) 논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이 기반 하에서 마음의 병이나 건강의 양상을 논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에 따른 처치의 방법과 기술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음인문학은 기존하는 동서고금의 마음 관련 담론들을 두루 살펴, 해당 자료들을 발굴하고 해석·재구성하는 가운데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설정했다. 필자가 보기에 마음인문학의 이러한 목적에 기초적인 차원에서 부합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 중 하나가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이라 사료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의 이론적 골격을 재구성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마음인문학의 정초문제와 연계하는 가운데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마음인문학 정립을 위한 발견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마음인문학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마음의 구조, 기능, 작용의 문제와의 관련 하에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중에서 실천부분보다는 이론적 골격에다 두었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아사지올리의 마음모델로부터 마음인문학의 정립에 필요한 마음모델을 최소한에서나마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의 이론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만큼 해당 학습은 앞으로 다른 심리통합이론들과의 관계에서도 좀더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마음인문학의 이론적 정립의 기본방향이 예시될 수 있기를 바란다. For a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hat study the practical Mind in a prac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While the task itself is already a serious and very important job, thereafter there is another task to diagnose diseases and health of mental function, by being abl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mind, which he produced in the framework of internal and external surrounding world conditions. Finally, Mind humanities, trying to resolve the such diseases and to make the mind still healthier,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techniques that must be used to treat them. Theses are all the sorts of aspects or tasks that must be fulfilled for an establishment of Mind humanities. To achieve these tasks, Mind humanities must do first of all the things like searching, finding, 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the already existing major materials of all times dealing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ith mind. Finally Mind humanities must can design their own conceptual model of the mind. One example is here. It seems to me that the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sioli would be a good theory suitable for such a purpose.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his theory of psychosynthesis in its core reconstructively and then evaluate cri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foundational issue of Mind humanites.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questions of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as long as it is an urgent task for Mind humanites first and foremos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my estimation, Mind humanites can learn a great deal from the mind-model that Assagioli had submitted.

      • KCI등재

        불교 관법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정신통합의 탈동일시와 대행선의 주인공관법의 비교분석

        문진건,이광숙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rocess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and the practice theory of Daehaeng Seon, which is a general term for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through a focused comparison between the Juingong contemplation method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techniqu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from a psychological framework. Looking at the teachings of Ven. Daehaeng (1927-2012)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y follow a methodology that is thoroughly based on experience, instilling motivation that promotes beneficial growth and change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orrect cognition and correct behavior. It ha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promotes psychotherapeutic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ally, historically, Ven. Daehaeng herself suggested reasonable solutions or provided counseling regarding the problems in the lives of monks and laypeople. In this context,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methods can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psychology and counseling. Though there have been abundant Buddhist and religious studies on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psychological studies on it are very rare. However, Ven. Daehaeng's ideology provides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and healing principles, and has a theoretical system on Juingong as a personality theory. For psychological analysis, it is most appropriate to analyze it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which integrates human spiritual and religious aspects with psychology. Among the theori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gioli(1888-1974), which explains in detail and clearly the spiritual development process such as the state of going beyond the ego,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nd mental performance, shares close similarities with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emplation method of Ven. Daehaeng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can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exploration and analysis of Ven. Daehaeng’s teachings using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and empirical psychology.

      • KCI등재

        심리치료의 탈동일시 개념에 관한 고찰

        이채화,박성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6

        심리치료는 특정한 경험 또는 대상과의 그릇된 동일시 상태의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탈동일시 과정을 포함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심리학 이론에서 탈동일시를 어떻게 정의하고, 치료 작업에 응용하는가를 정리, 고찰하고자 한다. 불교 명상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경험에 대해 거리를 두고 알아차리는 훈련을 통해 오온의 무상성과 무실체성을 깨닫게 함으로써 나를 경험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줄인다. Assagioli의 정신통합이론과 Ken Wilber의 통합심리학은 인간의 초월적 의식에 주목한 이론으로 탈동일시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 의식의 변화 또는 변용을 설명하고 있다. 정신분석이론가인 Winnicott은거짓자기로부터 참자기로의 이행에 있어 탈동일시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는 언어와 상징에 대한 동일시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인지적 탈융합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 정신화(mentalization)이론에서 보이는 탈동일시개념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여러 이론에서 탈동일시가 갖는 다면적 측면을 제시함으로써 탈동일시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심리치료 접근의 성과를 설명하는 공통 요인으로서 탈동일시 개념이 갖는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