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랑스 대중문학의 역사

        송덕호 ( Song Duk-ho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인문학연구 Vol.34 No.-

        The popular literature is a phenomenon of literatur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r literature and the general literature? The term of popular literature' is contemptuous. It has been excluded for a long time from the literary history and the critics. Even to our era, it was considered as the bad thing, the sub-literature, in opposition to the ‘good’ literature, so called ‘canon’ or ‘classic.’ The history of the popular literature is jumbled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he popular novel. The popular novel is a type of fiction who tells from the people to the people, but this literature is not be produced by the people. Most of it were realized by the bourgeois and the nobles. The popular literature represent a kind of awaked and collective dream, a dream which is the most hidden impulse and the social identity of the lecturer. The popular novel forges a new idea of the people and becomes popular, for the lecturers discover their identity, recreate the people in it. The popular novel is arose from the melodrama just like the black or gothic novel which was illustrated by Ann Radcliff, Lewis, Maturin, Ducray-Duminil, translated with a tendency moralistic and edificatory by the works of Mme Cottin. But with Eugene Sue the popular novel is opened to the most wide people. It was the arrival of the serial novel, which is published serially in the daily newspaper. It becomes a surprising phenomenon of collective lecture, of apprehension by the writers ― Sue and Soulie ― of all the currents of the popular sensibility. Sue, Soulie, Kock are the most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genre, for the period of 1840-1860. After this period, the bourgeois novel was born. And in the 1880, the popular novel becomes love story. The bourgeois novel defense the profit of the bourgeoisie and their conservative evolution with Ponson du Terrail et Paul Feval. But in the 1920 begins a new era. It is illustrated by a series of feminine writers, and by Guy des Cars, by Maurice Leblanc.

      • KCI등재

        국립 기메 동양 예술 박물관 소장 경판본 소설의 대중성과 의의

        서혜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3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meaning of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There are fifteen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library of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Seoul block printed novels were possess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French interest in study of East Asia. Moreover technique of wood-block printing was very excellent and novels was very popular in Jo-Seon. Seoul block printed novels were very popular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Because there are block books of the same type and printed books of the same type are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The popularity of Seoul block printed novels are as follows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First, the narration of wandering is emerged and reality is emphasized in aristocratic hero novels. Aristocratic hero novels are <So-Dae-Seong-Jeon><Jang-Gyeong-Jeon><Jang-Pung-Un-Jeon><Jo-Ung-Jeon><Yang-Pung-Un-Jeon>. Second, the common women's suffer ing is emerged and sentimentality is emphasized like to <Chun-Hyang-Jeon><Suk-Young-Nang-Ja-Jeon>. Third, domestic formation and restore narration is extended and conservatism is emerged in <Jeok-Seong-Ei-Jeon><Sim-Cheong-Jeon>. The possession of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means international level of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is forthcoming publication of <Printemps Parfumé><Le Bois Sec Refleuri> in France. Besides it is possible that decipher and collection the original text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national museum of asian arts GUIMET. 이 논문은 국립 기메 동양 예술 박물관 내 도서관에 소장된 15종의 경판본 소설의 대중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서관에 소장된 15종의 경판본 소설은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한 샤를 바라가 콜랭 드 플랑시의 도움을 받아 수집한 것이다. 19세기 말 프랑스인들이 조선과 조선 서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고 조선을 방문한 프랑스 지식인들의 목판본에 대한 안목과 조선과 프랑스 양국에서 소설이 성행하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경판본 소설은 박물관에 소장될 수 있었다. 현재 도서관에 소장된 15종의 경판본 소설은 조선 후기 대중성을 지닌 작품으로 영웅소설에서는 유망 서사가, 애정소설에서는 서민 여성의 수난이, 윤리소설에서는 유교 이념에 기반 한 가족 구성원 간의 연대가 강화된다. 그리고 영웅소설에서는 현실성이, 애정소설에서는 감상성이, 윤리소설에서는 보수성이 부각된다. 도서관에 소장된 경판본 소설은 19세기 조선의 문화적 특성을 드러내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입증하고 <Printemps Parfumé><Le Bois Sec Refleuri>가 간행되는 근간이 되었다.

      • KCI등재

        A Love Blessed by God: Narratives in the Popular Islamic Novels of Malaysia

        ( Mohd Zariat Abdul Rani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4 東南亞硏究 Vol.23 No.3

        This article departs from a current development in the Malaysian literary scene, namely the emergence of what is known as the ‘phenomenon of popular Islamic novels.’ The phenomenon is marked by an overwhelming public reception towards novels that outwardly display Isla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 their titles, cover illustrations, and blurbs. The development is interesting because these bestselling popular Islamic novels were preceded by teenage romance novels which were imbued with erotic nuances. This would indicate a significant shift in the popular literary tastes of Malaysian readers. As such, the present study aims to observe this shift from a critical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content of these popular Islamic novels, so as to identify the themes contained within, as well as the role Islam plays in their construction. To that end, two popular Islamic novels will be analysed, namely Melakar Cinta Firdausi by Nurul Aini K. Azhari and Aimi Nabihah Mohamad (PTS Litera Utama Sdn Bhd, 2009), and Ya Fattah; Cinta Sakti by Noorfadzilah (Buku Prima Sdn Bhd, 2009). The study finds that both novels present romantic themes that are Islamic, that are addressed through the manipulation of narrative devices and the usage of an Islamic moral scheme. The foregrounding of Islamic romantic themes goes against the trend of preceding popular novels that were more inclined towards erotic themes.

      • KCI등재후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 연구

        안낙일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the aesthetic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of Korean-Chinese popular literature through detailed analyses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During the early immigration history of Korean-Chinese people, Korean-Chinese literature had a close tie with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owever, years of Chinese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s have shaped Korean-Chinese literature into a rather unique identity in terms of literacy as well as readers.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gone through a quite unique path under the major influence of Chinese communist ideology along with that of North Korean and Russian literature. Each stage of its development exhibits its “localcolor” which is more or less different from Chinese mainstream literature.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post cultural revolution and late 70s, as Chinese government launched its social reforms,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tarted to show its interest 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in early 1990s, Korean-Chinese novel society has further witnessed the maturity and variety in its development via rigorous exchange with its South Korean counterparts. It is well known that years of Cultural Revolution came to an end in 1976 and China stepped into a new era of social reforms. Consequently, Chinese society has gone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o a great extend and it started to embrace some of the capitalistic values and adopt new life style that corresponds to the market economy-based social patterns. Accordingly, Korean-Chinese novel society started to come into shape as popular literature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novel readers. The contemporary Korean-Chinese novel is characterized by adopting the features and techniques of mainstream Chinese literature as its main frame to portray the changes of Korean-Chinese communities. Through the emerging of novels with distinct features of “reality novel” (depiction of common people’s lives and the real world), “scar literature” and “repentance literature,” readers are exposed to various novels with great shape, both aesthetically and conceptually, of contemporary popular novel. The thematic scope of Korean-Chinese novel was further developed in great breadth and depth as Korean-Chinese community had ca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subsequently, the themes and writing styles witnessed the enormous development in its diversity. Novel writers shifted their focus not only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on its journey of searching its true identity but also the lives of Korean-Chinese people, their pains and joys, under ever changing new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popular novels published recently in Korean-Chinese novel society attempts to meet the readers’ need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is rooted in capitalistic life styles. Despite the inevitable conflict in value system between Korean-Chinese and South Korean in the course of direct or indirect exchange of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was able to successfully embrace the new changes and gain the popularity of the reader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been a faithful witness and recorder of the life style of one minority group in China Korean-Chinese people, in the course of choosing ways to survive in greater China area. It can also be seen as the literary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Korean-Chinese community is currently facing as China experiences rapid changes in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not only the arguments about the Chinese-Korean popular novel but also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feature of development. And then I tried to analyze several novels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adequate literary perspective to popular literature and to grope for ‘open vision’ a... 이 글은 중국의 개혁개방시기 이후로 장착된 중국조선족 소설들 중에서도 현대 대중소설의 개념과 실제에 부합되는 일련의 소설들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들의 미적 가치와 문학적 의미를 구명해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조선족 소설문학은 그 태동기 때부터 한국문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변모된 정치,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문학적 독자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중국조선족 문학 고유의 특성과 문학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 소설은, 비록 현실적으로는 중국 소수민족 문학 중의 하위 갈래로 인식되고 있지만, 민족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때 우리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우리 소설’에 다름 아니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조선족 소설은 당대 중국사회의 시대 변화에 부응, 급변했던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생존 방식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며, 특히 최근 들어 중국의 산업화, 자본주의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부딪히는 현실에의 생존적 대응방식이기도 한 것이다. 개혁개방 시기 이후 현재의 중국 사회는 후발 아시아 산업국가 특유의 복합적인 사회 양태를 여실하게 경험하고 있다. 이른바,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혼란스런 착종 현상’이 바로 그것으로서, 특히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조선족 사회는 커다란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겪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서구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수용하면서 급변하는 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들은, 이후 조선족 소설들의 창작과 독자대중들이 향유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재중 조선족 소설 문단 역시 대중소설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시’의 의미에 대한 천착, 현대사회와 여성의 의미에 대한 다각적 탐구, 변모된 성의식의 대중소설 수용 양상 등이야말로 중국조선족 대중소설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조선족 대중문학의 온당한 문학사적 시각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에 대한 문학적 가치 부여와 바람직한 기대지평을 모색해보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시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사이버 소설의 환상성과 한국 서사의 전통

        나은진(Rah, Eun Jea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4 No.-

        지금까지 문학 행위와 소통의 장에 대한 논의는 주로 사이버문학 쪽과 고전문학, 현대문학 세 영역에서 이렇게 별개로 진행되어 왔다. 독자의 반응에 따라 작품의 인기도와 수명, 유사한 갈래 작품의 지속적 생산이 결정되며, 도서 대여점이라는 한국적인 독특한 체제에 따라 문학 작품의 소통이 매개된다는 점이 17~8세기와 현대의 사이버 세대가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이다. 소설사라는 관점에서, 고소설, 전통적 서사와 사이버 소설의 연맥을 위해 우리는 ‘당대’의 ‘대중성’과 대중성에 기반한 소통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사이버 문학에서 전대의 고소설로, 그리고 구비문학으로 이어지는 연계성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 신화에서 발원한 영웅의 일대기 신화와 고소설의 군담소설류, 그리고 현대의 사이버 무협소설로 이어지는 한 갈래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문학의 영원한 주제인 남녀의 애정 모티프가 전설이라는 비극적 설화 형태에서 고소설의 행복한 결말로, 그리고 인터넷의 로맨스 소설로 이어지는 맥락을 짚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현실에서 출발하여 환상적인 유토피아를 꿈꾸는 환상성의 모티프가 민담에서 전기문학으로 그리고 사이버 판타지 소설로 가는 흐름을 확인하였다. 10대 청소년들이 고소설을 모르는 상태에서 판타지 소설을 창작해도 길동이가 꿈꾸었던 ‘율도국’ 공간과 같은 유토피아를 구현해낸다는 것은 바로 우리의 문화가 보여주는 환상성과 타자성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 문학행위의 이면에는 면면히 이어온 문학적 상상력의 현상학적 편향성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향성이 이토록 줄기차게 문학 작품 안에 구현될 수 있었던 이유는 민중의 저변에 뿌리내린 일상성과 대중성의 힘이라는 것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The discussions on the place of the literature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until now have mainly focused on 3 spheres: cyber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each taking a different route. The popularity and longevity of novels and a continuous creation in the similar classification are decided by the response of their readers. That the communication of literary works is mediated by the Korea’s unique system of “book rental stores”is a characteristic which the 17th~18 centuries and the modern cyber generation have in comm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novels, we need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popularity”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ased on “popularity” in order to link to ancient novels, the traditional narratives an cyber novels, which means the flow of the linkage by which is connects to ancient novels in the previous times from cyber literature and to oral literature from ancient novels in the previous times. In order to identity it, first of all, I examined a classification of novels, which connects to the mythological novels which depicted the life story of the heroes, which were originated from a myth, hero novels in ancient times or something like and the cyber chivalrous novels in the modern 20~21centuries. Secondly, I examined the context of the novels whose motif is th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eternal theme of literature, are connected to the tragic novels in a narrative style, the happy- ending ancient novels and the romance novels on the internet. Lastly, I explored into the flow of the novels, whose underlying motif is the dreaming of a fantastic utopia starting the reality, that is, a motif of the fantastics, are connected to folktales, biographic literature and cyber fantasy novels. Under the situation which the young people in their teens are unaware of the ancient novels, even though someone created a fantasy novel, that the realization of the utopia like a space of the “Yuldoguk,” or state which Hong Gil-dong dreamed of means the universalization of the fantastics and the otherness which our culture shows. At the back of this social phenomenon and literal activities, the phenomenological bias of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is ceaselessly inherited is immanent. The reason why the bias is incessantly embodied in the novels like this lies with the power of the ordinary life and popularity which has been rooted in the base of the populace.

      • KCI등재후보

        <白雲仙翫春結緣錄>의 통속성 연구- 재자가인소설과 관련하여

        김정숙 민족어문학회 2004 어문논집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lve into popularity of <白雲仙翫春結緣錄> and to typify popular novel of Jeongi(傳奇小說), there is something that resembles between this popularity and a medium-length story in the middle part of Myong Dynasty. The import of story is meeting and separation, and happy marriage with 백운선, 이옥연, 지월연. It is written at the early, or middle of 18th century. One hero and two heroines marriage harmoniously, this point exposes the popularity. And it is similar in type of character at <九雲夢> and a medium-length story in the middle part of Myong Dynasty. In the part of end, Happy ending form is perfection of love. <相思洞記> has happy ending form too, but the processing love of the couple is more important than perfection of love. Therefore, The author aimed to novel of Jejagain(才子佳人小說) in the aspect that he was aware of popular desire, but the work's inner disposition come within the category of novel of Jeongi(傳奇小說), it is work in a transition period. In the China, Novel of Jejagain(才子佳人小說) on the late of Myong Dynasty and the early of Chong Dynasty is representative type with happy ending. but a medium-length story in the middle part of Myong Dynasty already had this popular structure. There is an external difference between the medium-length story and novel of Jejagain(才子佳人小說), but the medium-length story already had similar style of novel of Jejagain(才子佳人小說). And all types emphasize popularity, so they can be united. As a result, My opinion is that novel of Jejagain(才子佳人小說) is combination with novel of Jeongi and novel of Jejagain. 본 논문은 <白雲仙翫春結緣錄>의 통속적 성격에 대해 주로 구조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 작품의 통속적 성격이 명대 중엽 이후 족출한 중편 문언소설과 연결됨에 착안하여 통속적 전기소설들을 하나의 유형으로 묶어내고자 하였다. <백운선완춘결연록>은 남주인공인 백운선과 여주인공인 이옥연, 지월연 세 사람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행복한 결연을 그린 작품으로, 18세기 초~중반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의 통속적 특성은 우선 인물구도에서 확인되는데, 한 남성과 두 여성의 결합과 그 결합에서 아무런 갈등도 없이 조화롭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운몽>이나 명대 중엽 이후 족출한 중편 전기소설그리고 명말청초의 재자가인소설의 인물구도와 유사하여, 전통적 전기소설의 형식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결말부분에서 남성의 영웅적 활약에 의해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행복한 결말을 맺는 형식은 ‘연애의 과정’을 중시하는 전기소설과는 달리 ‘연애의 완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이런 해피엔딩적 결말은 이미 <상사동기>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작품에서 해피엔딩이 갖는 의미보다는 김생과 영영의 만남의 과정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 그러므로 <상사동기>의 작가는 해피엔딩이라는 통속적 결구로서 독자들의 통속적 욕망을 의식했다는 의미로 볼 때는 재자가인소설을 지향했지만, 작품 내적 성향은 전기소설의 범주 안에 있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규정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중국에서 남녀의 만남이 행복한 결말을 보이는 대표적인 유형이 바로 명말청초의 재자가인소설인데, 이러한 통속적 결구는 이미 명대 중엽 중편 전기소설 속에서 보인다. 명대의 중편 전기소설과 청초의 재자가인소설은 백화체와 장회형식의 사용유무라는 외형적 차이가 있지만, 명대 작품에 이미 청초의 재자가인소설과 유사한 백화체나 장회 형식이 보이는데다가, 두 유형 모두 이전의 전기소설과 구분되는 ‘통속성’이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재자가인소설을 원명대 통속적 전기소설과 명말청초 재자가인소설을 합친 개념으로 이해한다.

      • KCI등재

        대중소설론의 변천과 의의 연구

        오혜진(Oh Hye-jin)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우리나라에 대중소설이 등장한 시점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필자는 대중소설이 활성화된 시기를 1930년대로 잡아 보았다. 1920년대 말부터 대중소설에 대한 논의들이 주로 카프 쪽에서부터 전개되었는데, 이 논의들은 이후의 대중소설에 관한 부정적인 입장과는 다른 측면을 보인다. 1930년대 들어오면서 주로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대중소설이 확산되었고, 이에 따른 논의들이 임화, 이원조, 김남천, 안회남, 윤백남 등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1930년대 김기진에 의해 촉발된 대중소설에 관한 논의들은 임화와 김남천의 장편 및 대중소설과 관련된 평론들로 확대된다. 소설사적으로 보았을 때 최초로 소설론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켰던 촉발점이 되기도 하였다. 비록 당대적인 현실 속에서 최선이 아닌 차선으로써 대중소설을 분석하고 비판하였지만 대중소설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대중을 '지향'하는 문학으로의 의식 변화는 매우 중요한 의미 지점이다.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던 대중소설 논의들이 해방 이후에 와서는 작가들에 의해 그 명맥을 유지한다. 김내성, 방인근, 정비석 등 대중소설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에 대한 옹호와 아울러 대중소설에 대해 좀더 세부적이고 자세한 내용과 형식들을 짚어나간다. 이러한 논의들에 의해 대중소설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상당 부분 불식하는데 성공하였다고 볼 수 있고, 또 대중소설에 대한 용어도 우리 소설계에 정착시키는데 공헌하였다. 대중소설은 1970년대에 와서야 비평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된다. 대중소설에 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 평자들로는 최일수, 김우종, 윤재근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통속성이나 상업성, 성적 묘사의 과도함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급속히 확산되는 대중소설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문제는 어째서 대중소설이 인기를 끌고 있고, 그 원인은 무엇인가 하는 상황적 접근보다는 부정적 측면만을 표면에 부각시킨다. 대중소설을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으로 보는 시각은 김병익이나 김현, 오생근과 같은 평자들에 의해서이다. 김병익은 대중소설의 미학적 형상화와 도시적 감수성을 높이 사면서 그 가능성을 타진했고, 오생근과 김현은 대중문화에 대해 열린 시각을 요구했다. 리얼리즘 소설에 대한 시대적 경도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었던 이들은 대중소설이 가지는 언어적 감수성과 미학적 근거들을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고, 문학의 엄숙함에 의문을 던졌다. Since the end of 1920s,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has been led mostly by KAPF, which showed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negative views on popular novel thereafter. Since after 1930s, popular novel has expanded mainly through serial publication on newspapers, and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were concretized by Im, Hwa, Lee, Won-Jo, Kim, Nam-Cheon, Ahn, Hoe-Nam, and Yoon, Baek-Nam. The relatively active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survived by writers after 1945 Liberation. Writers of popular novel, such as Kim, Nae-Seong, Bang, In-Keun, Jeong, Bi-Seok and others, held on to the value of their own work as well as examined more detailed and up-close content and form of popular novel. It is believed that, thanks to such discussions, a considerable amount of negative aspects on popular novel has been overcome, and that the very term of popular novel has settled in Korean novel circle. Only early in the 1970s did popular novel become the subject of interest by critics. Critics who upheld the critical view on popular novel at the time were Choi, Il-Su, Kim, Woo-Jong, and Yoon, Jae-Keun. Pointing to the problems of popularity, commercialism, excessive suggestiveness, they showed concern about widespread popular novel. Views on popular novel as a new possibility of literature have been taken by such as Kim,Byung-Ik, Kim, Hyun, or Oh, Saeng-Keun. While acclaiming the rural sentiment and aesthetic realization of popular novel, Kim, Byung-Ik sought its possibilities, and Oh, Saeng-Keun, and Kim, Hyun requested open views toward popular culture.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대중 서사의 전략적 변화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중문화는 다양한 대중서사를 생산해낸다. 1960년대의 교양주의의 요구에 비해 대중문화와 대중서사는 질적 수준에 미달하는 형태로 폄하받기도 한다. 각종 검열의 기제와 권력의 억압수단은 대중문화와 대중서사를 검열하고 통제해왔다. 그 중에서 음란, 퇴폐의 혐의와 함께 질적인 문제는 대중서사를 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소설이 정전화되면서 소설을 포함한 문학이 질적인 완성도를 갖춘 교양의 매개였던 것에 비해 대중서사의 수준의 문제로 인해 통제와 검열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대중서사는 지배와 저항의 의미만 존재하지 않는다. 1970년대 대중의 선택은 지배와 저항의 사이에서 대중 고유의 통속적인 문화체계를 성취한다. 겉으로 보기에 속악한 형태의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대중의 선택은, 1970년대 문해교육에 따른 리터러시의 획득에 따른 것으로, 대중성의 고유한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대중의 리터러시는 다양한 장에서 진행되었다. 문자해득 수준이 높아지고 문자행위에 참여하면서 대중은 스스로 글을 쓰는 일을 상상하고 실제로 글쓰기의 성취를 이루어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문화는 대중의 관습과 수준, 그리고 대중 고유의 지식체계에 어울리는 다양한 대중서사를 만들어낸다. 소설에 미달한다는 비판은 대중서사에게는 다양한 서사를 생성시킬 수 있는 고유한 조건이 되었다. 『선데이서울』, 『일간스포츠』 등의 대중매체는 대중의 요구에 부합하는 유사소설의 서사물을 생산한다. 만화소설로 명명된 만화 <임꺽정>과 장편소설(掌篇小說) <바보들의 행진>이 그 예이다. 이들은 수준높은 소설의 양식과는 거리가 있는 서사양식이지만, 소설이 가진 의의를 자신의 양식 내에서 전유하고자 한다. 만화소설은 수준 높은 읽을거리로서, 소설에 뒤지지 않는 질적인 성과를 이루어냈음을 보여준다. 장편소설(掌篇小說)또한 장편(長篇)과 유사한 서사의 구성을 갖춤으로써 대중은 다양한 서사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때로는 소설이라는 규범을 포기하고 형식적인 자유로움은 물론, 연재과정과 독자와의 소통에서 서사적 장치를 허무는 유사소설로서의 ‘유호시리즈’도 볼 수 있다. 유사소설을 표방한 대중서사에는 지배이데올로기의 힘과 대중의 통속적 열망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대중서사에는 권력이 직접 작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그 사이로 통속적인 관음증적인 시선이 개입하는데 이 시선을 통해 여성을 대상화하고 성애에 초점을 맞추는 통속적인 흥미를 유발한다. 그리고 서술자가 독자와 직접소통하면서부터 대중서사는 대중의 리터러시를 확인하고 유통시키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서술자가 돌출하여 발화하는 대중서사의 양식에는 지배적 권력의 힘과 관음적인 대중의 시선, 그리고 그를 통해 구성되는 대중의 감성과 지식수준 등이 혼성적으로 내재해 있다. 대중서사가 실제 현실을 서사 속으로 들여올 때 그 효과는 독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현실 속에는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이 포함된다. 대중서사의 고유한 서술방식을 활용하여 사회 현실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저항과 풍자를 드러낼 수 있었다. 대중서사가 소설 장르의 올바른 형식을 포기하고 유사소설로 일탈한 듯이 보이지만, 이를 통해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형식을 만듦은 물론, 대중의 의미화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the popular culture made out the popular narrative. Culturalism of 1960s drived people take a ‘good’ cultural mode and style for the spiritual elevation as the novel or essay. This thought made it possible to censor the ‘bad’ popular magazine and indecent article, photographs in it. Presentation of the qualitative problems was mean for controls by power. Although the controls, the popular narrative do not have always a drama of controls and resistances. The popular choices were concentrated on the popular or vulgar culture mode. These choices is the result of the popular literacy, which was gained by a modern general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Popular literacy shows how the popularity of 1970s was constructed, by what it made of, and what the composition of it is. popular criticism to th popular culture of obscenity was the intrinsic condition for various narrative mode. The pseudo novel was published in popular magazines as Sunday Seoul(『선데이서울』) and Daily Sports(『일간스포츠』) in 1970s. the first case was Imkeokjeong(<임꺽정>), the novel comics and The Parade of Fools, the conte(<바보들의 행진>) These are made in vulgar mode far form sophisticated style, but these took a important accomplishment of novels and have an intend to show that sophisticated mode was made even in popular narrative as comics and conte. some popular mode gave up the canonized novel`s norms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al readers. ‘Yuho`s Series’ is a example, which is a kind of novel, but writer never indicated his works as novel. This is a strategy of popularity of narrative. Popular narrative connotes the ruling ideology and a vulgar taste and demand. A trace of the intervention of ruling ideology can be found in popular narrative. But A voyeuristic view is intervened between the traces. This means the objectification of female and narrative was focused on expression of sexual love and description of sex, then narrator give a popular knowledge in succession. It is the one of the popular literacy which is made by ruling ideology and voyeuristic views. When a reality is brought in the narrative, the effect is not only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 and causing interest, but also the social meaning related with that reality. the popular narrative identified the social problems and find a means for resist and satire against the problems. The popular narrative seems a deviation from the canonized novel forms, but constructed a communication, made a mode of popularity, and a social meaning.

      • KCI등재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한국 추리소설 붐과 그 사회적 맥락

        안혜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970s and 1980s, when the detective novels created the biggest boom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erm from ‘a detective novel’ to ‘a mystery novel’, and analyze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that drove the mystery novel boom. In the 1970s and the 1980s, Korean mystery novels reached their greatest golden age after the nation’s liberation. With the emergence of a popular writer named Kim Seong-jong, a complete collection of mystery novels was published, and the mystery novel became a bestseller. In addition, TV dramas based on mystery novels were produced as well, and the reproduction of the genre in other media is also active. The fact that these changes occurr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werful ruling ideology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that created the Yushin (Revitalizing Reform) Constitution was in operation and when the nation entered into a high-growth and consumer-capitalist society raises the need to explain the blossoming of mystery novels in this period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is paper has first analyzed the change in the image of Korean mystery novels as the term ‘detective novel’ was replaced with the term ‘mystery novel’. In particular, through the change from a famous detective to an ordinary cop, the mystery novel could demonstrate its appeal to the public while ssecuring dailiness and sociality. In addition, I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rity of popular novels that started in the early and mid-1970s and the boom of mystery novels, and explain that the popularity of mystery novels influenced the sense of the advent of mass society. I also pointed out that through the boom in the collection of mystery novels, readers could come in contact with mystery novels of various genres, and that there was an aspect of mystery novels being used in the context of the popularity of success literature at the time.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the emergence of the new popular media outlets in the form of sports newspaper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popular mystery novel writers and male fans as the main readership. 본 논문은 해방 이후 최대 추리소설 붐이 일었던 1970년대 후반∼1980년대에 주목하여, ‘탐정소설’에서 ‘추리소설’로의 용어 교체 과정을 살피고, 추리소설 붐을 추동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1970∼80년대 한국 추리소설은 해방 이후 최대 황금기를 맞이한다. 김성종이라는 인기 작가의 등장과 함께 추리소설 전집이 출판되었고 추리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또한 추리소설을 원작으로 한 TV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하는 등 다른 매체로의 전환도 활발해진다. 이러한 변화가, 유신이라는 군사독재의 강력한 지배 이데올로기가 작동한 시기이자 고도성장과 소비자본주의사회로 진입한 시대에 일어났다는 점은 이 시기 추리소설을 사회문화적 맥락 위에 놓고 해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먼저 ‘탐정소설’이 ‘추리소설’이라는 용어로 교체되면서 한국추리소설의 상(像)이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명탐정 중심에서 평범한 직업형사로의 변화를 통해 추리소설이 일상성과 사회성을 확보하면서 대중 소구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1970년대 초중반부터 시작된대중소설의 유행과 추리소설 붐의 관련성을 이야기 하며 대중사회의 도래라는 감각이 추리소설 유행이 영향을 주었음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추리소설 전집 붐을 통해 독자들이 다양한 장르의 추리소설을 접할수 있었고, 당시 자기 개발서의 맥락 속에서 추리소설이 통용된 측면이 있음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신문이라는 새로운 대중지의 등장이 인기 추리소설 작가의 등장을 추동했고, 남성들을 주요 독자층으로 하여 성장하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

        중국조선족 대중소설 연구

        안낙일 ( Nak Il Ahn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이 글은 중국의 개혁개방시기 이후로 장착된 중국조선족 소설들 중에서도 현대대중소설의 개념과 실제에 부합되는 일련의 소설들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들의 미적 가치와 문학적 의미를 구명해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조선족 소설문학은 그 태동기 때부터 한국문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변모된 정치,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문학적 독자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중국조선족 문학 고유의 특성과 문학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 소설은, 비록 현실적으로는 중국 소수민족 문학 중의 하위 갈래로 인식되고 있지만, 민족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때 우리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우리 소설`에 다름 아니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조선족 소설은 당대 중국사회의 시대 변화에 부응, 급변했던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생존 방식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며, 특히 최근 들어 중국의 산업화, 자본주의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부딪히는 현실에의 생존적 대응방식이기도 한 것이다. 개혁개방 시기 이후 현재의 중국 사회는 후발 아시아 산업국가 특유의 복합적인 사회 양태를 여실하게 경험하고 있다. 이른바,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혼란스런 착종 현상`이 바로 그것으로서, 특히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조선족 사회는 커다란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겪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서구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수용하면서 급변하는 조선족 사회의 변화 양상들은, 이후 조선족 소설들의 창작과 독자대중들이 향유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재중 조선족 소설 문단 역시 대중소설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시`의 의미에 대한 천착, 현대사회와 여성의 의미에 대한 다각적 탐구, 변모된 성의식의 대중소설 수용 양상 등이야말로 중국조선족 대중소설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조선족 대중문학의 온당한 문학사적 시각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중국조선족 대중소설에 대한 문학적 가치 부여와 바람직한 기대지평을 모색해보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시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the aesthetic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of Korean-Chinese popular literature through detailed analyses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During the early immigration history of Korean-Chinese people, Korean-Chinese literature had a close tie with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owever, years of Chinese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s have shaped Korean-Chinese literature into a rather unique identity in terms of literacy as well as readers.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gone through a quite unique path under the major influence of Chinese communist ideology along with that of North Korean and Russian literature. Each stage of its development exhibits its "localcolor" which is more or less different from Chinese mainstream literature.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post cultural revolution and late 70s, as Chinese government launched its social reforms,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tarted to show its interest 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in early 1990s, Korean-Chinese novel society has further witnessed the maturity and variety in its development via rigorous exchange with its South Korean counterparts. It is well known that years of Cultural Revolution came to an end in 1976 and China stepped into a new era of social reforms. Consequently, Chinese society has gone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o a great extend and it started to embrace some of the capitalistic values and adopt new life style that corresponds to the market economy-based social patterns. Accordingly, Korean-Chinese novel society started to come into shape as popular literature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novel readers. The contemporary Korean-Chinese novel is characterized by adopting the features and techniques of mainstream Chinese literature as its main frame to portray the changes of Korean-Chinese communities. Through the emerging of novels with distinct features of "reality novel" (depiction of common people`s lives and the real world), "scar literature" and "repentance literature," readers are exposed to various novels with great shape, both aesthetically and conceptually, of contemporary popular novel. The thematic scope of Korean-Chinese novel was further developed in great breadth and depth as Korean-Chinese community had ca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subsequently, the themes and writing styles witnessed the enormous development in its diversity. Novel writers shifted their focus not only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on its journey of searching its true identity but also the lives of Korean-Chinese people, their pains and joys, under ever changing new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popular novels published recently in Korean-Chinese novel society attempts to meet the readers` need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is rooted in capitalistic life styles. Despite the inevitable conflict in value system between Korean-Chinese and South Korean in the course of direct or indirect exchange of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was able to successfully embrace the new changes and gain the popularity of the readers. Korean-Chinese popular novel has been a faithful witness and recorder of the life style of one minority group in China Korean-Chinese people, in the course of choosing ways to survive in greater China area. It can also be seen as the literary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Korean-Chinese community is currently facing as China experiences rapid changes in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not only the arguments about the Chinese-Korean popular novel but also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feature of development. And then I tried to analyze several novels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adequate literary perspective to popular literature and to grope for `open vision` and desirable ground for it. And I think, This task is finally no more than to understand honestly the age to which we belong and ourselves who live in t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