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통합’과 ‘융합’ 개념 탐색: 실험적 소고

        곽덕주,박혜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e paper aims to show how the concepts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re internally related to the nature of arts, especially their principles of creation, and to clarify the main principles of pedagogical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which can be employed in the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 This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 To do so, we first comprehensively and critically examine how the concepts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have been understood in the discourse of arts and culture by researchers in Korea. Here we can see how the conceptual confusions and un-clarities have derailed the directions of arts education practice in Korea. And then we attempt to categorize three different kinds of arts’ ways of thinking, by drawing upon Gilles Deleuze’s and Susan Langer’s theories of arts, to show how they can be interpreted as three distinctive ways of integrating and converging our everyday experiences into meaningful forms and events. Lastly, the paper tries to clarify the pedagogical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rts education practice in Korea by applying the examined concepts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to the three dominant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in Korea: cross-arts integration approach, knowledge related arts education and, community related arts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에 질적인 차이를 가져다 줄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를문헌 연구에 기초한 논증의 방식으로 탐색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과 ‘융합’의 개념이 예술의 창작 원리와 어떻게 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예술의 고유한 사고가 작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원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통합’과 ‘융합’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담론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적용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예술적 창작 활동에 고유한 세 가지 수준의 예술 언어를 다소 조작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함으로써 예술이 우리 경험을 어떻게 ‘통합’하고‘융합’하는지 살펴본다. 셋째, 이를 토대로 예술의 고유한 힘으로서 ‘통합’과 ‘융합’이 현재우리나라에서 실행되는 세 가지로 구분되는 대표적인 문화예술육의 접근들에서 어떻게 의미 있게적용되고 또 작동될 수 있는지 기술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술장르 간 통합, 교과연계통합, 그리고 지역연계통합 예술교육에서 세 가지 차원의 예술 언어가 어떻게 각각 다르게 연루되는지체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통합’과 ‘융합’ 형태의 교육적 경험을 창출하는 문화예술교육의실천적 방법 원리를 시론적으로나마 제안한다. 이것은 문화예술교육 강사들의 프로그램 기획 및실행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케네디센터 CETA 프로그램의 통합예술교육 방법론에 관한 고찰

        오세준 한국무용교육학회 2018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 of Arts Integration in the Changing Education Through the Arts (CETA) program of the Kennedy Center. Examining this method leads to reflection on some issues on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Tonghap yesul kyoyuk) in Korea. Munwha yesul kyoyuk (Cultural Arts Education) in Korea and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pursued as part of munwha yesul kyoyuk have greatly been influenced by Western discourses. As for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Tonghap yesul kyoyuk),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t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Arts Integration pursued in CETA at the Kennedy Center.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 which is at first probably is a mere translated version of Arts Integration at the Kennedy Center but is now considered as an indigenous concept by many people, has not reached a consensual defin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usion caused in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 practitioners and theoreticians in munwha yesul kyoyuk (Cultural Arts Education) need to understand the following. First, by nature the Arts Integration of the Kennedy Center is for helping students to get knowledge of academic subjects easily, rather than for the arts for art's sake. Second, the method of the Kennedy Center does not demand the arts to deconstruct their ‘genre’. Rather, it encourages students to be accustom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hird, as the Korean word tonghap, the Korean translation of ‘integration’, tends to be understood as ‘removing borders’, tonghap yesul kyoyuk also tends to mean to many people ‘a new style of art in which the arts lose their peculiar forms’. Understanding these will help Koreans as a start point of the Koreans' building the identity of their Arts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에서 나타난 Arts Integration (통합예술교육)의 개념 변이變異

        오세준 ( Oh Sae-joon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8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9 No.2

        Concerning with Cultural Arts Education Munhwa yesul kyoyuk, there has been an alteration of the concept of Arts Integration Tonghap yesul kyoyuk in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is alteration. Arts Integration is a form of practice in which the arts are combined with academic subjects in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f both the subjects and the arts. In Arts Integration, the arts maintains their own peculiar forms to help students learn the academic subjects and the artistic forms. However, Arts Integration, the term translated as Tonghap yesul kyoyuk in Korean, comes to have a different meaning in Korea. It comes to mean a form of arts education in which the art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lose their own peculiar form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rts education. Such an alteration of the concept of Arts Integration was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Cultural Education Munhwa kyoyuk championed by the Munhwa yondae, a citizen organization that argued its own radical way of arts integration.

      • KCI등재

        예술교육의 다문화주의 실천 양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정옥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5

        이 연구는 그동안 인종, 민족, 성, 계층의 문화적 고정관념과, 편견, 선입관을 탈피하고 사회의 통합과 복지를 위해 정책적으로 사용된 다문화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역할을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문화산업시대 예술, 세계인식의 한 도구로서 예술의 역할의 관점에서 문화재생산으로서의 예술교육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예술교육 실천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문화예술교육’이라는 정책적 용어가 등장해야만 했던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 및 정서적 안정과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소외계층들에게 제공되는 예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들을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주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부흥과 예술향유의 기회 확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실천 양상들은 문화예술교육정책, 여가와 웰빙, 예술통합교육, 지역사회 기반 및 연계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주의 실천들에 대한 반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이런 실천 양상들은 예술이 가져다주는 인간 삶과 문화의 이해를 고정된 전통적 교육방식이 아닌 현대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부터 비롯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endorsing multiculturalism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the division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newly emerging social classes among nations in the ‘cultural industry era’ formed by the proliferation of globalization. There is also a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economic and cultural inequalities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ve knowledge-base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current practices of the role of art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examin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practiced politically in order to rid cultural stereotypes, prejudices and bias that have been neglected while the spread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Firstly, it discusse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 ar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olitical term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to be coined and practical aspects where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the underprivileged class i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local culture and arts and arts appreciation. This discussion is considere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ultimate role of arts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leisure and well-being, integrated education, community based and connected education.

      • KCI등재

        문화시설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인천시 동구 우리미술관 문화나눔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구영은,강현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This research studied the case of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that develop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 facilities. Woori Museum of Art developed and has implement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unified three genres of fine arts, music, and play about the tale “Gaengiboori Tiger” since 2016. The program has focused on the cognitive domain of fine arts, the psychomotor domain of music, and the affective domain of play. Fifteen children took part in 12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6, and 26 children participated in 16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7. Thirty children are involved in the program in the first half of 2018, and the museum plans to expand the program according to community demand.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has functioned not only as a gallery but also local cultural facility considering the need to join in the art and cultural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This case shows that the cultural facility makes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s and constantly implements the program. This trial facilitates the spontaneous cre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ecosystem, and suggest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시설을 기반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인천광역시 동구의‘우리미술관’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미술관에서는 2016년부터 지역설화인‘괭이부리 호랑이’를 주제로 미술, 음악, 연극 세 장르를 아우르는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시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문화예술교육 목표는 미술과의 인지적 측면, 음악과의 심동적 측면, 연극과의 정의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었다. 2016년도 프로그램은 12차시 수업에 15명의 어린이가 참여했고, 2017년도 16차시 수업에는 26명의 어린이가 참여하였다. 현재 2018년 상반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며, 30명의 어린이가 참여하고 있다. 지역의 수요에 의해 프로그램 운영은 앞으로 더 확대될 예정이다. 인천 동구 지역의 우리미술관은 미술관으로서 역할이외에도 지역민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문화시설로 기능하고 있다. 본 사례가 의미를 갖는 이유는 지역의 문화시설이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자발적으로 조성해 가는 데 도움을 주고, 향후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도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후보

        해외 예술강사 사례를 통해 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방향

        남기현 ( Ki Hyun Na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3

        2013년부터 시행된 국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의 바람직한 방향을 해외 예술강사 사례로 살펴보는 이 연구는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핀란드의 6개국의 사례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문화 예술교육사는 학교 등에서 교육 활동을 하는 예술가인 예술강사를 포함하여 문화예술 전반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전문 인력으로서,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국가가 공인한 자격을 갖는 자격제도를 의미한다. 정부가 공인한 자격증인 문화예술교육사가 해외의 예술강사 사례와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오랫동안 정부와 지역기관 예술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해외 예술강사 사례는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방향을 찾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문화예술사를 통한 예술통합교육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둘째, 지역문화예술기관의 독자적인 프로그램 지원 및 광역지원센터의 활성화를 촉구하였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의 명확한 역할 및 정체성을 확립을 주장하였다. 넷째, 전통문화예술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성을 포함할 수 있는 분류체계의 개선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속적인 문화예술교육사의 질 관리를 통한 제도운영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위의 내용을 통해 본 제도가 바람직한 방향성을 갖고 실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overseas teaching artist cases of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Japan, France, Canada and Finland to find a direction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in Korea which is being conducted since 2013.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s the professional manpower who involves themselv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cluding art instructors who are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places as schools, and also means the national certificate entitled by law to perform design, progress, analysis, evaluation and business on art and cultural education. Though there is distance between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s a national certificate and overseas teaching artist cases, this article tries to find appropriate direction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by looking into various overseas cases where the artists and local administration associate with educational activity though partnership. This article suggests a few implications through overseas cases. First,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can embody the art integrated education. Seco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can support individual local community center and its art educational programs. Thir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role and its identification should be clearly defined. Forth, the classification of art genre should be reconsidered so as to reinforces traditional-cultural art and embraces diverse artistic professionalism on art and cultural area. Finally,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be conducted constantly.

      • KCI등재

        문화융성 시대를 위한 예술강사 제도 고찰

        김형숙,남기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a teaching artist programand arts & culture instructor system, intended to enrich arts and culture in Korea. Teaching Artists in Schools is aimed to enhan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schools by making subjects more rich and diverse. Arts educators of various fieldsare dispatch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to teacharts and culture. In 2012, 4,263 arts educators from 8 areas participated in artsand culture education nationwide. Despite of these quantitative growth, there aremany problems remain. This article analyzes the teaching artist cases of UnitedStates, United Kingdom, Japan, France, Canada and Finland to find a direction forKorea National Certificat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andTeaching Artists in Schools. In the conclusion, three meaningful implications forKorean art education are suggested: First, Since the availability of teaching artiststo schools and classrooms has contributed to arts integration in the U.S., it canalso be considered a possibility of the art integrated education by teaching artistsin Korea education field as well.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art genre should bereconsidered so as to reinforces traditional-cultural art and embraces diverse artisticprofessionalism on art and cultural area. Finally, The teaching artists role and itsidentification should be clearly defined for the system in Korea. Especially, schoolteachers and teaching artists partnership for co-teaching is needed to be a meanstoward deeper instruction and meaningful learning. 개개인의 행복을 위한 문화융성 시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연구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정착하는 방향을 제시하여 국내 문화예술교육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내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시행에 있어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해외 예술강사의 사례를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우리나라 예술강사제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는 예술통합교육과 해외사례, 해외 예술가의 활동 및 분류체계, 예술강사의 정체성 및 역할을 다룬다. 이러한 기초연구는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자격제도가 정착되기 위하여 그들을 위한 양성과 교육과정에서 예술통합교육(arts integrated education)을 실현할 수 있도록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통문화예술의 장르와 첨단예술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예술 분야를 재고하여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분류체계가 개선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 같은 논의는 국내의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명확한 역할을 규명하고 전문예술가로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교교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질 높은 교육이 실현됨이 바탕이 되어 교육당사자들의 긴밀한 협력과이해를 바탕으로 실천될 수 있다.

      • KCI등재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 ‘꼬물꼬물 가족 놀이터’프로그램 사례 연구

        남경은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2

        본 논문은 논산시 연산문화창고 시설 기반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지원사업으로 자체 개발한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꼬물꼬물 가족 놀이터’프로그램 사례 연구이다. 이번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는 하워드 가드너 8가지 다중 지능 이론과 예술적 사고 습관 습득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실효성과 활성화에 강조점을 두었다. 지역 문화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일반적인 단일 예술 과목 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다른 예술적 배경을 가진 세 명의 주 강사 중 통합예술교육 전문 강사인 한 명이 총괄 기획한 후 나머지 두 명과 진행한 2023년 9월 9일-11월 18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 1~9차시, 6~7세 유아 10명과 보호자 10명으로 구성된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정량적 성과 회차별 92퍼센트 참여율과 정성적 성과 5점 만점에 평균 4.8점의 높은 참여자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로 증명된 이번 프로그램 학습 내용은 지역 사회의 통합예술교육 기회와 수업 질적 향상, 음악 전공 졸업생의 진로 탐색,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나아가 명화, 음악 감상을 통한 예술적 사고 습관, 과학, 역사, 수학, 발표력, 사회성, 자연 친화력, 자아 존중감, 창의력, 발표력, 심미안 등이 유아기 발달 과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the family-participatory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Family Playground' developed independently as a support project to strengthen the field capac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based on the facilities of Nonsan City's Yeonsan Culture Warehouse. The learning goal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Howard Gardner's eight theori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quiring artistic thinking habits, with an emphasis on program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unlike general single arts subject education programs, out of the three main instructors with different artistic backgrounds, one of the three main instructors specializing in integrated arts education planned the program and conducted it with the other two on September 9, 2023. It is a family-participatory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10 children aged 6 to 7 and 10 guardians, from Sunday to November 18, Saturday from 10:00 am to 12:00 pm, 1st to 9th sessions. Quantitative performance: 92% participation rate per session and qualitative performance: The content of this program, as evidenced by the lectur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high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of 4.8 points out of 5, provides opportunities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mproves class qualit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music graduates. It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material for obtaining specific ideas about career exploration and cultural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e positive influence of artistic thinking habits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and music, science, history, mathematics, presentation skills, social skills, affinity for nature, self-esteem, creativity, presentation skills, and aesthetic sense can be confirmed on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진(Soojin Lee),정주연(Joo Yeon Jung),신지혜(Jihae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7

        본 연구는 음악, 미술, 문학을 연계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의 과정과 결과를 성찰하고, 나아가 통합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대중음악밴드를 중심으로 문학과 미술을 연계한 통합 활동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며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창의적인 활동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 학생 6인과 학부모 6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통합 활동에 참여하며 느낀 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한 통합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향후 발전을 위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예술적인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고 예술에 대한 포괄적 관점을 구성하도록 도왔으며, 자기주도적 태도와 성취감을 발달시켜주었고, 학생들이 예술과 관련된 진로를 고민하고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한편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현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연령과 예술적 수준에 적합한 활동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와 환경의 조성, 개인 및 그룹 활동의 적절한 안배를 통한 예술적 탐색의 가능성 확대가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n integrated arts program and issues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topics, researchers developed and ran an integrated arts program. In this program, students enjoyed artistic experiences while participating creative works of blended arts activities from music(pop band), literature, and fine arts.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ogram plans and results focusing on integrated arts activities. In addition, researchers interviewed six participant students and six parents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ask what are their experiences and percieved pros and cons of arts integrated education during th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this arts integrated program stimulated participants’ artistic interests and imagination as well as gave them opportunities to investigate future career related to arts. For effective adaptation of arts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ers discussed on the needs for appropriate approach for young learners who do not have much artistic experiences and excellence as well as proper combination of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for further artistic exploration.

      • KCI등재

        치매예방 문화예술 - ‘실버프랜드 말벗아리’ 프로그램 현장적용 및 효과성 연구

        함수경 ( Ham Su-kyung ),김영연 ( Kim Young-youn ) 한국무용교육학회 202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2 No.1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practical setting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ful for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near future. An integrated cultural arts program named Silver Friends Malbot(companion) Ari was developed as a community service project and applied to the field for the elderly people for dementia prevention.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response were positive and possibility in terms of the program as sustainable social cultural welfare program.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arts healing for dementia prevention can present positive effects on dementia prevention with the utilization of programs based on artistic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practice of cultural welfare helping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s will ultimately be helpful to development into cultural democracy. Second, the on-site application of Silver Friends Malbot(companion) Ari, a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based on integrated arts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vitalizing social and artistic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people and expanding participants’ social networks.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interchanges among the Dementia Reassurance Centers, cultural infrastructures, and the program development human resources worked as the important keys in the process of expeditious program facilit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values of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as a cultural ar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