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민속학과 기록자료 활용

        이해준(Lee, Hae-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고는 연구논문의 성격이라기보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25년을 회고하면서 그동안 이루어낸 학술사적 성과와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들을 점검하는 소박한 글이다. 학회 창립기의 의식과 방향성이 과연 무엇이었으며, 또한 그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반추하면서, 앞으로 좀더 보완하여야 할 부면을 지적하여 본 것이다. 1990년 한국역사민속학회의 태동은 기존의 민속학연구가 지닌 역사적 이해의 한계, 즉 ‘민속의 역사적 변천과 전개 양상의 차이’에 대한 불만과 아쉬움, 그리고 역사학의 민중생활사에 대한 무관심을 반전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모색이자 시도였다. 창립의 주역들은 평소 민속학 연구에 대하여 비판과 문제의식을 가졌던 소장 민속학, 역사학, 인류학, 종교학 등 여러 분야 소장연구자들로 이들은 민중생활사 정리방법론, 역사민속학사의 정리, 지역자료의 광범한 발굴과 활용, 종합문화로서의 학제적 연구방법 시도 등등 기존의 학계와 다른 연구성과를 축적하였다. 본고에서는 민중생활사, 생활문화사와 관련하여 기록 자료의 다양한 탐색과 광범한 동원 활용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필자의 자료 동원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생생한 생활일기 자료라든가, 집안의 교육의 산 자료로서 가훈류 자료, 그리고 마을의 운영과 세세한 생활문화를 기록화한 성책 고문서 자료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지적과 제안을 토대로 향후 역사민속학이 쓰여 지지 않은 자료와 쓰여 진 기록자료 사이에서 더 많은 자료원을 찾고 활용하는 방법들을 모색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is not so much a research paper as a plainly written article to examine the results, reflections, and follow-up tasks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terms of its academic history by looking back on the last 25 year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and directivity of the society’s foundation, reflect how much its goal has been achieved, and the auxiliary aspects to be complemented further afterwards. The birth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1990 was a new grouping and trial to reverse indifference to history of folklife in our history within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at previous folklore research has, that is, complaints and regrets about ‘the historical changes of folklore and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The initiators of its foundation were the researchers in such areas as folklore, history,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having a critical mind about the folklore research constantly, and they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cademic circles by organizing the arrangement methodology of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excavating and using regional data exclusively, or tr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as general culture. Meanwhil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to explore diversely and mobilize and use exclusively recorded data regarding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living culture. Particularly they include the lively diary data found by this author’s data mobilization experience, data of family mottos as living data of family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data recording a village’s operation and detailed living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pointing out and suggestion will be used as methods to find and use more data sources from the recorded data as well as unwritten data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afterwards.

      • KCI등재

        여성문학(사)의 ‘역사/문화’ 공간 생성과 ‘디지털’ 창의-생산을 위한 시론 - 상상지리지 설계와 문화생산을 위한 전제ㆍ조건ㆍ방법

        최기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3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space design as a mode of ‘creative-production’ at a digital dimension through arguing the significance of both the representations of cultural history through non-scripted affective elements and the female literature considering experience, actions, practice, and orality. This work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reconstructing the cultural geography of women in the Joseon period in digital level should go beyond digitalization as a fixed method of reproducing the textual data. It also presents the view that audiences in a digitalized space can hav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original literary data in a new form by experiencing other audiences’ viewpoints on this content as a human resource.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women’s practicality, value, literary life and ethical and affective practice as a way of analyzing women’s cultural/literary history, which are lettered in the texts oral transmission the Joseon period. The life history of the women the Joseon era, which are written in scripts are mediated through male, intellectual, scripts (hanmun, a Chinese character), through the a concept of institutional literature. Since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s and reflections on subjective utterances and representations of women are either erased or concealed, the task of restoring such contents is similar to the work of ‘transparently existing’ shadow read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male culture that is not permitted to literary life formally in the Joseon era and to restore their value and reality to the digital space, we should consider the women’s way of study like ‘seeing a lot and memorizing well’, unlike the masculine way of ‘reading a lot and memorizing well’. This could include maidens and nannies who occupied the lower class of the status system. In addition, it should be designed in a ‘creative-productive’ way that reflects and critically understand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 data, beyond the way of expanding and reproducing the male-centered gaze that looks at women. This paper explores the limitations of modern Korean audience in the way of existence of women’s culture in the Joseon era, expanding on their introspective, critical and imaginative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historically existing reality, and suggest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human engineering implementation of digital design that can be done. 이 논문은 문자 중심의 여성문학(사) 이해의 한계를 논증하는 방식으로 ‘비-문자’ 감성 요소에 대한 문화사적 재현의 중요성과 행위자의 경험, 실천, 구술 차원을 고려한 디지털 차원에서의 여성문학/문화 공간을 설계하기 위한 ‘창의-생산’적 가능성을 제안했다. 이는 조선시대 여성의 문화지리를 디지털 차원에서 재구성하는 작업이 문자화된 자료를 고정적으로 재생산하는 디지털-재현의 방식을 넘어서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이때 디지털 수용자가 대상 자료를 이해하는 방식과 관점 자체를 인문적 자원으로 포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했다. 이 논문은 그 가능성에 대해 문자화된 여성문화/문학사의 기록 이면에 잠재되거나 온축된, 여성의 가치와 실천성, 문자로는 명시할 수 없었지만 실제로 존재했던 문자생활과 문학 행위, 인문적으로 가치 있는 윤리적이고 감성적인 실천을 독해하는 방식으로부터 찾아보고자 했다. 문자화된 조선시대 여성의 생애사는 사대부, 남성, 지식인, 한자, 제도적 ‘문’을 경유한 자료이므로, 여성의 주체적 발화나 재현의 수사, 성찰성의 내용은 지워지거나 감추어졌기 때문에, 이것을 복원하는 작업은 ‘투명하게 존재하는’ 그림자 읽기의 작업과 흡사하다. 조선시대에 공식적으로 문자생활을 권유받지 못한 여성 문화를 이해하고, 그 가치와 실재를 디지털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박람강기’라는 남성적 방식과는 달리, ‘박문강기’라는 구술과 청취의 화행성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며, 신분제의 하위 기단을 차지하던 여종과 유모도 포함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여성을 바라보는 남성 중심적 시선을 확대재생산하는 방식을 넘어서, 수용자가 자료를 통해 역사와 문화를 성찰적으로 사유하고 비평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창의-생산적’ 방식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현대의 수용자가 조선시대 여성 문화의 존재 방식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문자화’된 기록이 갖는 한계와 작동 원칙에 대한 성찰적이고 비평적이며 상상적인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 설계에 대한 인문공학적 구현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했다.

      • KCI등재

        한국의 디지털 문화사

        조동원 ( Dong Won Jo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6

        이 글은 한국의 디지털 문화사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전자계산기로서 컴퓨터가 언제 처음 왜 도입되었는지 그리고 미디어로서 개인용 컴퓨터가 어떻게 대중에 보급되고 이용되었는지를 규명한다. 우선 1967년을 전후해 전자계산기를 처음 도입한 경제기획원, 한국생산성본부,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인구조사와 통제, 생산성 경영과 노동 관리, 과학기술의 만능과 오류 차원에서 초기 컴퓨터의 개념이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그리고 1980년대 초반부터 정부기관과 대기업만이 아니라 중소업체나 이용자도 주도적으로 나서며 시작된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이용 방식의 상반된 두 흐름을 대비하며 이때부터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어떻게 개인적 참여 미디어로 자리 잡기 시작했는지 분석한다. 이 연구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국의 디지털 문화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비판적으로 개괄하고, 컴퓨터를 매개로 해 현대 한국 사회문화의 변동을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성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exploration for the research on a history of digital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two historical periods: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as an electronic data-processing machine in the late 1960s; and the popularization of computer as a personal computer and communicative media in the 1980s. For the first part, I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computer was constructed in terms of census and control of population, management of productivity and labor, and universality and error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n the first computers were leased or purchased by Economic Planning Board, Korea Productivity Center, and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ound the year of 1967. For the second, I examine how its concept had been transformed into personal participatory media, when personal computers we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both from the top such as the government and big corporations, and from the below like Cheonggyecheon electronics shops and even early active users in the 1980s. This preliminary research on the history of digital culture and computing can contribute to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Korea.

      • KCI등재

        트랜스문화론의 변주 (II) :‘사이보그와 안드로이드, 트랜스휴먼과 포스트휴먼, SF장르와 우주적 트랜스’, 그리고 문화교육

        임헌 ( Lim Hu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49 No.-

        L'objectif de ce travail est d'examiner et approfondir la problématique de la ‘transculturologie’, surtout concernant les paradigmes de sa variation : ‘Cyborg, humanoïde et androïde, transhumain et posthumain’, et fianlement, par rapport à l’enseignement culturel. D’abord, cet article part d’une perspective de notre époque, soi-disant ‘une ère trans-multi-hyper-global-glocal’ qui représente les tendances cuturelles de ce monde actuel, éminement ‘digital-smart’. Il ne serait pas d’exagérer trop si l’on dit que le premier trait de ce monde en globalisation, ce sont les phénomènes transculturels, ce qui se passe à tous les coins de la terre, d’ailleurs d’une rapidité presque de la vitesse de la lumière ou supersonique. Ainsi donc, les deux facteurs majeurs de ce changement brusque se résument que voici : ‘phénomène global-glocal’ et ‘culture digitale-smart’. Et fâce à cette mutation fondamentale ou paradigmatique de la civilisation mondiale, il serait tout à fait naturel de réfléchir sur les problèmes divers de la transculturologie, dont la méthodologie majeure était déjà étudiée dans notre article précédent, qu’on pourrait appeler Trans-I . Et suite auquel, dans ce travail, Trans-II , on voudrait réfléchir en principe sur la réciprocité de la transculturologie et du transhumain, étant donné que dans les paradigmes de celui-ci sont contenus les variants tels que ‘cyborg, humanoïde et androïde, AI et EI, posthumain’, etc. Au fond, en tant qu'une sorte des êtres hybrides entre l'humain et la machine, ou l'organisme et la cybernétique, ils sont tous des thèmes fondamentaux de la futurologie, qui sont tellement intéressants ainsi qu'on en voit souvent les représentations dans les genres de science-fiction : ‘cinéma, roman, bande dessiné, animation, jeux d'ordinateur’, etc. Voilà un point essentiel pour notre étude, car par là, remarque-t-on, s'ouvre un nouvel horizon pour les liens entre la transculturologie et les SF-genres. D'ailleurs, si l'on pense que ceux-ci sont les composants essentiels de la culure de masse, on peut se rendre compte vite de la corrélation de la transculturologie et de la culture de masse, s'établissant à travers le transhumain et le SF-genre. En somme, ce qui pourrait se résumer en un chaînon : < Transculturologie- Transhumain- Futurologie- Cyborg, Humanoïde, Androïde- Posthumain- ‘SF-genre’- Culture de masse- Enseignement culturel >, etc. Concernant la réciprocité de la transculturologie et de l'enseignement culturel, il suiffirait de signaler les intérêts particuliers des étudiants de nouvelle génération qu'on rencontre en effet dans les salles de cours, pour le ‘Transhmain-transtella storytelling’ représenté par les SF-genres. En conséquence, un sens de ce travail qui vise à chercher les variations paradigmatiques de la transculturologie consiste à ouvrir les issues de celle-ci aux champs analytiques de la culture de masse, via le SF-genre, et de l'enseignement culturel. Enfin, fermant cet article, notons un point qui pourrait être fondamental pour les études ultérieures de la transculturologie : les liens potentiels entre celle-ci et l'idée inventée de ‘Big culture’, qui serait de la théorie tout à fait récente de ‘Big data’ et ‘Big history’.

      • KCI등재

        역사문화 콘텐츠 육성 정책의 회고와 전망

        양창진(Yang, Chang-Ji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한국은 해방 후 전쟁의 폐허 속에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바탕으로 고속성장을 이루었다. 자원과 에너지를 결집하여 신속히 압축 성장하기 위한 국가 주도 산업화 정책은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경험을 하드웨어 정보 인프라 구축 및 정보 콘텐츠 축적에도 적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제 우리나라는 산업화 단계를 넘어 지식 정보화 시대를 지나고 있다. 지식 정보화 시대는 제조업이 국가적 역량을 결정하던 과거와는 달리 정보의 축적과 이를 활용한 산업이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는 시대이다. 때문에 지식 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간 기업과 벤처 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를 추진해 온 우리나라가 정보화라는 시대 조류 속에서도 이전의 국가 주도 패러다임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가 과거에 추진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전략이 지식 정보시대의 정보 콘텐츠 및 DB 구축에도 유효할 것인가 하는 점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가 추진하는 대표적인 지식 콘텐츠 구축사업 중 ‘국가DB사업’, 특히 역사 문화 분야의 DB 구축사업을 주로 고찰하였다. 이 사업은 국가주도의 디지털 사회간접자본 축적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국가 DB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국가DB사업 출범 초기와 달리 단기간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2차 가공 자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출범하면서 국정과제로 정부3.0을 제시하였는데, 이 정책의 핵심은 정보의 공유 개방을 통한 국가 보유 콘텐츠의 민간 활용 제고에 있다. 이 정책을 위해서는 정부가 민간 영역에 속하는 콘텐츠의 2차 가공 사업은 지양해야 한다. 이렇게 정부와 정책 담당 기관 사이에 정책의 불일치가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은 민간에 맡기고, 국가는 여전히 원문 중심의 기초 자료 축적을 담당하여야 함을 선진국 사례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After the liberation and ruins of Korean War, Korea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on the basis of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This policy, despite many problems, mobilized resources and energy for compressive growth and had a big success. A result of the success now the private sector has been greatly expanded and the extent of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y was weaker. Korea is going through the knowledge information era. Unlike in the past,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ge depends on the capacity of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to respond quickly to the change and the role of private enterpris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n, is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a old paradigm? This paper aims to look whether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is available in this time.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National Information Agency is moving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to build a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that can create economic valu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govern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proposed the Government 3.0 issues. The core of this policy is to promote the private advantage of the national informations by its’ opening and sharing. Secondary processing of content for economic values belongs to the private sector. In conclusion,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was a state-led digital social overhead capital or basic contents accumulation strategy and is still valid in the information era.

      • KCI등재후보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강순애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 충주지역의 역사문화자료 현황과 전망

        길경택 ( Gil Kyung-taek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17 東硏(동연) Vol.2 No.-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충주를 중심으로 한 역사문화자료를 고려시대 건국을 기준으로 그 이후 것들을 주로 언급하여 살펴보았다. 그 방대한 역사문화자료 가운데 충주지역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건을 특별히 발췌하여 그림으로 형상화한 기록화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충주지역이 우리 역사의 변곡점에 항상 등장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충주의 역사문화자료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고찰해보았으며, 그동안 관련 기관에서 진행된 학술적 활용에 대한 자료도 소개하였다. 특히 예성문화연구회의 중원문화학술대회가 비록 민간단체라고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학술적 활용의 가장 오랜 예로서 이제까지 충주지역의 역사를 지켜온 문화의 산증인이었음에 주목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urrent and future of history and culture data in Chungju. First of all, this introduced to history and culture data since the Goryeo Dynasty by each time period. Through these analyse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Chungju area is always at an inflection point in our histor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This also considered history and culture data by classifying the field and introduced academic application data conducted in relevant institutions all the while. Especially, Jungwon Cultre symposium of Yesung Culture Research was important example of academic application and was a living witness for the history of the Chungju area.

      • KCI등재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민족문화수호운동’ 서술에 대한 검토

        한규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In the wake of the latest regime change, controversies over the textbook, Korean Modern History, have been intensely discussed and they still remain unresolved. Such phenomenon confirms that writing textbooks for school students in an objective and neutral manner is a highly difficult task. Nonetheless there is a consensus that a textbook should not include dubious nor false content. It is not a matter of ‘perspective’ nor ‘emphasis,’ but a matter of accuracy and clar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for National Culture Preservation’ in chapter five of the textbook Korean Modern History of which six versions are currently in circulation. The contents were reviewed by each category as follows: ‘system’, ‘terminology’, ‘transcription’, ‘error’, ‘evaluation’ an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bstantial problems were detected even within one section of the textbook comprising five chapters with 17 sections. Not to mention the category of ‘system’ which is inevitably problematic, there were the lack of coherence and appropriateness in ‘terminology’ and ‘transcription,’ inaccurate description deviating from the historical facts, dubious ‘evaluation’ uncritically repeating existing misinformation, and presentation of inaccurate ‘data’ with no precise citation of the source. However values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 and hard work of its authors should not be discarded on a wholesale. Perfection should be encouraged but it is rarely possible in reality. Thus, not only the authors but also interested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conference participants should pay attention on this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also contain debatable and controversial points. However it can be a reference material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ent Korean Modern History, as well as in authoring a new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새 정부에 들어와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이 뜨거웠고, 그 불씨는 아직도 꺼지지 않고 있다. 이 모습을 지켜보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를 객관적ㆍ중립적 입장에서 쓰기가 참 어렵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하지만 『교과서』에 의미가 분명치 않거나 사실과 다른 부분이 없어야 한다는 점에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즉 ‘시각’이나 ‘비중’의 문제를 떠나 『교과서』의 내용은 분명하고 정확해야 한다. 이 논문은 이같은 매우 기초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기존에 나와 있는 6종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제5장 ‘민족문화수호운동’ 내용의 ‘체제’ㆍ‘용어’ㆍ‘표기’ㆍ‘오류’ㆍ‘평가’ㆍ‘자료’ 등 분야로 나누어 검토했다. 그 결과, 총 5장 17절로 이루어진 교과서의 한 절인 이 부분에서만도 적지 않은 문제가 보인다. ‘체제’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용어ㆍ표기의 일관성ㆍ적합성 결여, 역사적 사실과 다른 오류, 종래의 통설을 답습한 모호한 평가, 출처가 분명치 않거나 잘못 제시된 자료 등이 그러하다. 검인정인 만큼 특정 인물ㆍ사건에 대한 평가나 서술의 비중이 교과서에 따라 다를 수는 있다. 하지만 적어도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서술 객관적 평가, 출처가 분명한 자료의 제시 등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당위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기존 『교과서』들은 이 점에서 약간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거의 ‘경전’과 같은 권위를 갖는다. 역사학을 전공한 교과서 저자들에게는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시각을 알려주는 것이 물론 중요하겠지만, 그들이 수험생임을 고려한다면 논쟁의 여지가 적은 명확한 사실과 공정한 평가를 교과서에 담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이같은 점을 염두에 두지 않는 저자는 없을 것이다. 기존 6종의 『교과서』 역시 오랜 시간 동안 신중에 신중을 더한 집필과 검토를 거쳐 이루어진 소중한 성과물들이다. 이런저런 문제들이 없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과서』의 가치나 여기에 쏟은 저자들의 노고는 결코 폄하될 수 없다. 완벽을 지향해야 하는 것은 당위지만 현실은 그리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들 이외의 관련 연구자들이나 학회 차원의 관심과 격려가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김주관(Joo-Kwan Kim) 역사문화학회 200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9 No.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usefulness and methods of the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s with cultural resources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s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in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GPW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changed research techniques of fieldworkers, and even created such new subdisciplines as visual anthropology, ethnographic film, and anthropology of soun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new technologies have made fieldworkers manage much more data produced with various kinds of media. The situation urges fieldworkers to build archives on different perspective from traditional one.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changed the academic atmosphere, and emphasizes more collaborative works exchanging informations and ideas on lin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for fieldworkers to build proper archives in order to manage multimedia data and promote collaborative academic projects. GPWH, which was launched in 2002, has tried to construct digital archives, and the case seems to shed lights on the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s of cultural resources in general. In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is the standardization of storage medium, data format, and metadata format to ensure economical and managerial efficiency. The archives of GPWH decided to use HDs and CDs as storage media. Data format takes different formats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data: hwp for texts, jpg for pictures, wmv for moving pictures, and mp3 for sounds. Among various metadata formats, GPWH archives chose Dublin Core since it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with many virtues as metadata. Though the GPWH archives are not accessible to people on the outside because of legal and ethical constraints not yet solves, digital archives will have great consequences on cultural industries as well as academics. In my experience construction the GPWH digital archives, researching and archiving tasks, especially relating to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carried on in close cooperation. But a most desirable way is that researchers make themselves well-trained archivists. This paper shows just a case of the digital archives construction. For better ones, what we need at this point is to exchange informations and ideas among the institutions which are constructing or plan to construct digital arch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