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형도 시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

        이지원,김민옥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61 No.-

        Focusing on Michel Foucault’s theory of heterotopia,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the allegory of heterotopia is embodied in the poetry of Gi Hyeong-do. Gi Hyeong-do’s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econstruction of social conventions of physical space and the placement of disparate places as allegories. Going beyond the poetic conventions of the time and revealing the ‘space-being’ relationship, allegory is not only a way to project the poet’s consciousness, but also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 unique poetic world. Gi Hyeong-do employs the allegory of heterotopia in his poems to return exhausted beings dominated by urban space to their eternal resting place. The characteristic allegorical aspects of Gi Hyeong-do’s poems are “the hiding place of the ruined body: the coat,” “the intersection of despair/hope: the road and the street,” and "the circular haven: the ovary and the seed.” All of these are counter-spaces to the urban space that fragments existence, and aim for a primordial sanctuary to which existence should return. Heterochronia, which deconstruct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ppears as a major way of subverting urban space as a result of Gi Hyeong-do’s poetic violation. In particular, the poetic violation of bouncing the seeds vigorously toward the heavens instead of burying them in the ground to achieve a qualitative shift in existence is a poetic strategy that embodies heterotopia as a way for Gi Hyeong-do to project hope and a haven in the midst of reality. The allegory of heterotopia that Gi Hyeong-do deploys in his poems is not only aesthetically pleasing, but also has the power to effect change. The reason Gi Hyeong-do’s poetry is still relevant in our time is that he constantly sings of the hope to awaken us to the realities of life that urban spaces conceal, and to return the weary beings trapped by urban desires to an eternal haven. This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and orientation of Gi Hyeong-do’s poetry, and the evidence that it is not trapped in a negative worldview. 본고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론을 중심으로 기형도 시에서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기형도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해체하고 이질적인 장소를 알레고리로 배치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당대의 시적 관습을 뛰어넘어 ‘공간-존재’의 관계를 드러낸 알레고리는 시인의 의식세계를 투영하는 방편일 뿐 아니라,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는 토대이다. 기형도는 도시 공간에 지배된 피폐한 존재를 영원한 안식처로 재귀시키기 위해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를 시 안에 장치한다. 기형도 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알레고리 양상은 ‘폐허가 된 몸의 은신처 : 외투’, ‘절망/희망의 교차점 : 길과 거리’, ‘원형(圓形)의 안식처 : 씨방(씨房)과 씨앗’이다. 이 모두는 존재를 파편화하는 도시 공간에 대한 반(反)공간이자, 존재가 재귀해야 할 원초적 안식처를 지향한다. 이때 전통적인 시간 개념을 해체하는 헤테로크로니아는 기형도의 시적 위반에 따른 것으로서 도시 공간을 전복시키는 주요 방편으로 나타난다. 특히 씨앗을 땅에 묻지 않고 천상을 향해 힘차게 튕겨 오르게 함으로써 존재의 질적 전환을 꾀하는 시적 위반은, 기형도가 희망을 쏘아 올리는 방식이자 현실 속에서 안식처로서의 헤테로토피아를 구현하는 시적 전략이다. 기형도가 시 안에 배치한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는 그 자체로 미적 특질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힘을 내장하고 있다. 기형도 시가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유는 도시 공간이 은폐하는 삶의 실상을 우리에게 각성시키고, 도시의 욕망에 갇힌 피폐한 존재를 영원한 안식처로 재귀시키려는 희망을 끊임없이 노래했다는 데 있다. 바로 이것이 기형도 시가 전유하는 특질이자 지향점이며, 그의 시세계가 도저한 부정적 세계관에 갇히지 않았다는 근거이다.

      • KCI등재

        Spatial and Temporal Politics of Memories: Focusing on Shepard’s Fool for Love

        ( Yoon¸ So You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8 영어권문화연구 Vol.11 No.2

        Well-known for a prolific writer, Shepard won a variety of awards. Shepard’s theatrical techniques are particular and salient to investigate. The West is one of his recurring themes, which are focused on American identity, American-ness, American fathers’ masculinity as well. Sam Shepard as a successor to tradition of American plays embodies his peculiar realism on the stage, his theatrical techniques sums up representation of using real props, immediacy and transformation techniques. His Family Trilogy and Family Plays are representative ones to show his theatric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Sam Shepard's Fool for Love, which belongs to his Family Plays. Its main focus is on spatial division and temporal reversal with a view of incestuous relationships between siblings. This stage has conscious and subconscious spaces which are revealed by dividing characters’ areas onstage. Among them, women's space seems relatively empty like the picture the Old Man pointed out. There certainly exists May, but there is no room for their mothers despite providing their father’s space. Moreover, the father figure shows authorities to cross the border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particular, the Old Man’s utterance has control over Eddie. Memories of the characters onstage are connected to passage of time; especially to show the Old Man’s past duality. For that reason, Eddie and May are inseparably stuck in rhetorical topography of love. Therefore, their foolishness for love is about the Old Man’s dual life with his two families. Like a quote by Archbishop Anthony Bloom, “The proper response to love is to accept it. There is nothing to do.”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기카이가지마 섬

        김인아 ( In A Kim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헤테로토피아는 명백하게 실존하는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 공존할 수 없는 공간성이 공존함으로서 오는 불확실성과 모호성, 혼종성을 지니고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의 시간의 흐름은 외부의 시간의 흐름을 받지 않으며 이를 헤테로크로니아라고 이야기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기카이가지마 섬은 분명 실존하는 섬이나 그 정확한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대립되는 공간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모습이 13세기의 서사 문학인 『헤이케모노가타리』를 비롯하여 20세기에 재생산된 현대 희곡, 단편 소설에서 다양한 공간성으로 변용되어 표현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카이가지마 섬의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헤테로토피아로서 판단하고 역사적 사료, 서사작품 속에서 어떠한 모습을 그리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공간성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헤테로토피아는 일반적인 시간의 흐름과는 무관하게 그 공간만이 지니고 있는 시간의 흐름의 속도에 따라서 소멸과 생성을 반복한다고 보았다. 기카이가지마 섬은 13세기에서 20세기의 시간의 흐름을 사이에 두고 문학작품 속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속에서 섬은 같은 공간이면서도 전혀 다르고, 12개의 섬이기도 하고 하나의 섬이기도 하는 대립적이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섬은 작품 내부의 시간의 흐름에도 영향을 받는다. 각 작품 속에서 시간의 흐름의 어떤 목적과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었는가에 따라 섬의 모습은 또 변화한다. 본고에서는 섬의 역할, 위치, 역사 자료와 서사 문학 속에서 공간성의 차이, 작품의 내부와 외부의 시간의 흐름이 지니는 역할 등을 바탕으로 하여 기카이가지마 섬을 헤테로크로니아를 지니고 있는 헤테로토피아로 보았다. 공간성의 인식과 파악은 자신이 서 있는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카이가지마 섬을 ‘貴’로 인식한 것이 유황을 팔던 상인들의 시가이라고 한다면, 13세기의 『헤이케모노가타리』에 등장하는 ‘鬼’의 기카이가지마 섬은 교토에 사는 귀족들의 인식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1920년 발표된 구라타 하쿠조의 현대 희곡 『슌칸』과 1921년 기쿠치 간의 단편소설 『슌칸』, 1922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슌칸』에서는 각각의 작가가 무엇을 중심으로 기카이가지마 섬을 인식하였는가에 따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기카이가지마 섬은 시대의 흐름과 작품의 주체가 누구이며 무엇을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섬의 특징을 헤테로토피아로 설명한다. The heterotopia is clearly the existence of space, by spatiality can not coexist in this space comes uncertainty and ambiguity, a space with a hybridity. The passage of time in the space is not affected by external time is referred to as hetero chromia. This Island and has a spacious covered in this paper is as opposed to the island and its exact location and role clear to the existence and This transformation is produced back in the 13th century epic 『Heike Monogatari』 and 20th centuries, the modern plays, short stories from a variety of spacious represented. I judge the uncertainty and ambiguity of these islands as heterotopia, and will determine what kind of look in the annals of history, narrative works. Change of spatiality is close to the flow of time. Particularly heterotopia repeats the creation and termination,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flow of time in the flow of a typical time and is independent of its space has only. The island has appeared in a number of different aspects in the literature across the passage of time in the 20th century from the 13th century. The island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same space, yet at all, and 12 islands, and also seems to conflict and complex aspects of one of the island too. The island is also affected by the passage of time inside the work.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sland has been used for any purpose and meaning of the passage of time in each work in is changing again. I serve on the island, location, historical data, and the difference between spatiality in the narrative, based on the rol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to the work flow of the time saw the island as a heterotopia, which has a hetero chromia.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ity is determined based on their location. The islands ``precious`` It is the time of the sulfur recognized as a trader who sold the island appeared to ``spirit`` in the 13th century, 『Heike Monogatari』 is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nobility lived in Kyoto. In addition to Kurata Hyakuzo’s also announced contemporary plays 『syunkan』, short stories between 1920 『syunkan』 1921 Kikuchi’s 『syunkan』, and the Akutagawa Ryunosuke’s 『syunkan』 of 1922 can be seen as a problem according to recognized the island as a center of what each artist. Gikaigazima Island covered in this paper is who is the subject of the age of the flow of work and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focused and aware of what to look at these aspects as Heterotopia.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엄경희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As not only the dwelling place and original space common to the mankind but also the first vast place being unable to be ranked and divided, ‘the earth' itself has the natural elementariness implying utopian meanings. In the result of gradual disappearance of utopian meanings in the original place, the modern literature has revealed an emotion of the unrest of existence and continually produced utopian ideals to substitute for the unrest. If the utopia is an unreal place, the heterotopia is an utopian place in reality. The heterotopia, as mentioned firstly in Michel Foucault's Les mots et les choses, is a concept of the spatiality from negative or critical imagination on the basis of literary rhetoric such as the overthrow, collapse, disturbance and nullification with the 'spacial-linguistic' strategy to deconstruct utopian mythologies. The kernel of Michel Foucault's argument is that the heterotopia is the place of 'objections' as well as the 'counter-space' absolutely different from all places if the utopia is the 'non-place beyond place.' His purpose to compare traits of the two topoi is not to assert their opposite meanings but to explain a relation between two positions of the utopian place, in other words, a relation between the utopia 'having no' place and the utopia 'having' a place. The utopia and heterotopia are the 'paired' places being endlessly reconstructed by the imagination of 'sympathies' and 'antipathies,' and the 'heterotopology' is the very methodology to elucidate how the places of heterotopia in this relation are reconstructed in the real space. In this inquiry trying to extend the poetical possibility of heterotopia, the spatial traits of heterotopia in Korean modern poetry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and 'heterotopology' as Foucault mentioned, into 1) the 'heterotopia of primitiveness' and 'heterotopia of deviation' as the places of divinity and cure in every culture, 2) the 'heterotopia of eternality' and 'heterotopia of feast' as the places heterogenizing and dividing times, and 3) the 'heterotopia of fantasy' and 'heterotopia of compensation' giving specific functions to places, and Korean modern poems are each se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se types of heterotopia. 인류 공통의 거주지이자 본래적 공간으로서의 ‘대지(大地)’는 위계화되지 않고 분할되지 않은 최초의 방대한 장소이며 그 자체가 유토피아(utopia)적 의미를 함의는 자연적 근원성을 지닌다. 본래의 장소가 지닌 유토피아적 의미가 점차 사라지면서 그 결과로 근대의 문학은 존재의 불안이라는 정서를 드러내게 되었으며, 그 불안을 메우기 위해 유토피아적 이상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냈다. 유토피아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현실에 실재하는 유토피아적 장소라 할 수 있다. 미셸 푸코가 말과 사물 에 처음으로 언급한 헤테로토피아는 유토피아적 신화를 해체하는 ‘장소-언어적’ 전략으로 전복, 와해, 혼란, 무효 등의 문학적 수사에 근거한 부정적 또는 비판적 상상력의 소산이라 할 수 있는 장소성의 개념이다. 유토피아가 ‘장소 바깥에 있는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는 모든 장소들과 절대적으로 다른 ‘반(反)공간(contre-espaces)’이자 ‘이의제기’의 장소라는 것이 미셸 푸코의 핵심 논지다. 두 장소의 특징을 비교하는 그의 의도는 대립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유토피아적 장소의 두 위상, 즉 위치가 ‘없는’ 유토피아와 위치가 ‘있는’ 유토피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토피아와 헤테로토피아는 ‘감응’과 ‘반감’의 상상력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짝패’의 장소이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현실공간에 재구성되는지를 밝히는 방법론이 바로 ‘헤테로토폴로지’(heterotopologyh), 즉 헤테로토피아의 위상학이다. 본고는 미셸 푸코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토폴로지’의 여섯 가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적 특징을 1)모든 문화에 존재하는 신성과 치유의 장소로서 ‘원시의 헤테로토피아’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2)시간을 이질화하고 분할하는 장소로서 ‘영원성의 헤테로토피아’와 ‘축제의 헤테로토피아’, 3)장소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환상의 헤테로토피아’와 ‘보정(補正)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시들을 선별하여 분석함으로써 헤테로토피아의 시학적(詩學的) 가능성의 적용과 확장을 꾀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매체 예술의 탈전유적 시/공간성 연구

        유원준(Yoo, Won Joon)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4 No.-

        최근 현대의 시-공간 개념은 기술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현실과 가상이라는 서로 다른 존재론적 위상이 혼합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로부터 매체가 현실의 시간과 공간 개념을 변화시켜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실이 시공간적 궤적에 의해 이해된다면 가상-증강 현실에 관한 논의도 기존의 시공간적 한계와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해보자면 기존 물리적 현실의 시-공간 개념과 가상/증강 현실의 공간의 차이점과 연결점을 분석해야하며, 이로부터 현재의 공간 개념이 어떻게 현실의 그것으로 종합되고 있는가를 논의해야 한다. 매체에 의해 파생된 가상공간은 기존의 ‘지금-여기’라는 전통적인 시-공간적 제약을 해체하며 새로운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가상이라는 개념을 현재화되지 못한 혹은 현실이 아닌 무엇으로 정의했던 과거의 개념이 아닌 일종의 잠재적 현실로 상정하는 전제에서 비롯된다. 만약, 가상현실을 잠재된 힘의 상태로 존재하는 유동적이며 유기체적 존재 개념으로 간주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 및 후기 구조주의자들의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해체적 시-공간 개념에 관한 재 고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체적 개념으로 파악되는 현대 건축-공간 개념의 현실적 한계들이 이후 등장한 디지털 매체 예술에 의해 극복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매체로부터 공간에 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탐색함과 동시에 현재 등장하고 있는 유기체적이며 동시에 가상적인 시-공간 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중적 속박 구조의 탈전유적 특성을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Recent concepts of time & space have developed into a combined concept of different existential spaces in the realms of reality and virtua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media has always changed the concepts of time & space of reality. If the concept of reality can be grasp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trajectory of time-space, discussions o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but als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s of previous limitations on time & space. For a more fine grain categorization of this discussion,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previous time & space concepts of physical reality and the spac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must be analyzed and there must be discussions on how the spatial concepts of today are summarized into the realities of today. Virtual spaces derived from media disrupt previous traditional restrictions of time & space and present a new concept of time and space. This stems from the assumption of introducing the concept of virtual as not a previous concept but a type of potential reality that was not possible to be modernized or in fact not of reality. If virtual reality can be regarded as a fluid and organic existence concept that exists with potential strengths,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de-constructive concept of time & space that was presented in the discussions of post-modernists and later by structualists. Therefore this research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realistic limitations of modern architecture-space concepts that are regarded as a de-constructive concept can be overcome using digital media art that appears at a later point in time. Also while simultaneously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perception of time in relation to media, this study also has the objective of discussing the deviating from exclusiveness characteristics of a duplicative restrictive structure that is manifested currently in work that is both organic while also of the virtual time &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