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영화 이미지의 존재론 - 프레임이미지

        정찬철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프레임이미지’를 초기영화 시대의 영화이미지 체계(이하 ‘초기영화이미지 체계’로 표기함)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그동안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에 대한 연구는 탐 거닝의 ‘어트렉션 시네마’ 개념과 같이 관객과 영화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관한 관객성 분석이 핵심을 이루었다. 특히 이러한 연구 경향은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와 수용자의 관계를 근대적 시각문화 속에서 바라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문화사적 관점의 주도 속에서,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영화 기술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문제는 여전히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프레임이미지를 영화 기술에 기반 한 영화이미지 체계로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의 간극을 채우고자 하며, 문화사적 요인과 더불어 기술적 요소가 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있어서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본 논문은 프레임이미지를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과 ‘닫힌 프레임’이라는 형식적 조건으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다. 단일 프레임은 무빙이미지의 기록·저장·재현 기술 미디어인 필름의 개별 프레임을 뜻하며, 닫힌 프레임은 필름의 공간적 범위로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둘째, 본 논문은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이 어떻게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초기영화 시대 스펙터클하고 환상적인 장면 연출에 사용된 특수효과 중에 하나인 스톱모션 기법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스톱모션으로 완성된 환상적인 상황이나 대상이 쇼트로 분절되지 않고 전체적 상이 프레임 안에서 모두 보여 지는 방식으로 재현되는 경향을 ‘닫힌 프레임’이라는 용어로 개념화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단일 프레임과 닫힌 프레임으로 특징되는 프레임이미지는 무빙이미지의 상호 연결보다는 개별 프레임의 독자성에 기댔던 ‘사진’의 확장이며, 환영적인 이미지의 재현을 위해 발명된 소마트로프와 매직랜턴과 같은 19세기 시각문화의 계보에 속한다. 영화의 전사, 즉 프레임을 합치는 것이 아닌 프레임 별로 나누는 것에 몰두했던 프리시네마(pre-cinema)의 선구적인 광학기술 및 사진술은 영화장치 등장의 기술적 기반이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영화 시대 영화 이미지의 체계의 기술적 조건이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fine the frame-image as a form of cinematic image during the early period of cinema. In order to define the frame-image, it suggests two sub-terms for it: a single frame and a closed frame. The single frame is a technical term used to refer to each frame in the sequence of the film. The closed frame describes the spatial domain of frame itself. First,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regime of early cinematic images was formed practically by the technical condition of a single frame. To do this, the paper analyses stop-motion as a cinematic technique which works in a single frame. Secondly, the paper explains the closed frame as a cinematic style formed by the technical base of a single frame. In the fantastic shots created by the stop-motion technique, the entire figure of the object must be shown instead of a montage. This was a rule when attempting to make the fantastic situation more real while framing it within the frame. The closed-frame style of the frame-image manifests itself throughout the history of cinema - from its beginning to its second century – but realized now by digital imaging technology.

      • KCI등재

        시각적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가치 연구

        김찬수,김광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5

        시각적 메시지는 여러 분야에서 우리에게 전달된다. 회화의 그림에서부터 영상 분야의 사진 스틸과 비디오, 상품의 광고, 그리고 요즈음 경쟁이 치열한 스마트폰까지 점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각적 메시지들은 우리에게 보여지기 위하여 정해진 틀의 크기(size) 안에서 시각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 틀이 프레임(Frame)이다. 즉, 시각적 메시지는 프레임이라는 틀 안에서 담겨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프레임이라는 구성 틀 안에 담겨지고 있는 시각 메시지가 프레임이라는 틀에 의해 어떻게 우리의 시각적 감각기관에 영향을 주는 것인가에 대하여 궁금해진다. 그래서 본 연구는 우리가 지각하는 시각 메시지가 어떻게 프레임에 의해 전달되는지 프레임의 역할과 가치에 관하여 살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것을 위해 우선, 메시지를 담아내는 프레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그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과 우리의 신체가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요소들에 대한 심리적·철학적·시각적·메커니즘에 따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시각 메시지의 전달을 위해 프레임의 구성 요소와 시각적 인지 습득 요소들 간에는 차이가 없는지도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각 메시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치에 대한 내용을 학문적 이론에 의한 프레임의 재해석과 더불어 기계적인 프레임의 생산 요소와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시각적 종합 구성 요소 중, 카메라에 의한 프레임의 구성 요소도 함께 살펴본다. Visual messages are delivered to us in many fields. Its territory is gradually expanding from paintings, still cuts from visual media video,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and to competitive smart phones. And these visual messages carry visual messages in sizes of the fixed form in order to be seen to us. This form is a frame. In other words, visual messages are contained in a form called as frame. Then a question of how these visual messages in a composition form called frame affect visual sensory organs of people ari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oles and values of frame how visual messages that we perceive are delivered by the frame. Above all, theoretical approach to frame that carries messages is needed. Psychological, philosophical, and visual approaches on factors that compose the frame and factors that our body observes visually are required. Also its is important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 factors of the frame and acquisition factors of visual recognition in order to deliver visual messages. This study will inquire contents about values of a frame that composes visual messages along with reinterpretation of frame with an academic theory and production factors and process of a mechanical frame. In addition, component of the frame according to a camera will be looked into.

      • KCI등재

        무용공연 관련 기사의 프레임 분석: 2007-2008년 중앙일간지를 중심으로

        윤지현 ( Ji Hyun Yoon ) 대한무용학회 2008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56 No.-

        Frame analysis is a research method for analysing reported texts and discourses in mass media and is used frequently in media studies. Frame means how journalists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particular issue in society and this attitude of journalists tends to decide which aspects of the issue could be shown and shed the light on. So the reported texts in papers are not objective facts but constructed ones by the frames on the particular issue. This paper tries to analyse frames of news on dance performances reported by national papers in 2007 and 2008. In frame analysis of forms of articles o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Iyengar(1991)`s method, episodic frame occupies an absolutely big portion, over 70% and it closes to nearly 90% if it is added to episodic/thematic frame. On the contrary thematic frame was only about 8%. This serious unbalance founded in the result implies that the articles on dance performances usually depend on reporting aids produced and presented by performance groups. In frame analysis of contents of articles on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three frames. They are human interest frame, creation frame and conflict frame. Considerable numbers of articles are sorted as no frame of contents because they are so simple informative that they haven`t got any meaningful frame. They were sorted as just informative. The other articles were classified to three frames. In human interest frame, there were two different approaches on dance performance which were an emphasis on dramatic life history of dance people and an approach to them as pop stars. In creation frame, it stresses on artistic experiments and multi genre trials in dance works; and moderniz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for theatre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propose that journalism on dance performances is needed more speciality on dance as an art and more independent attitude of reporting dance issues.

      • KCI등재후보

        뉴스 보도에서 예시와 프레임의 공존이 수용자의 이슈 지각과 판단에 미치는 영향

        양천효,유홍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This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news frames and exemplarsin news reports that dealt with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total of 242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experiment. The study was designed 4 (News frame: Fact delivering frame,Responsibility attribution for China frame, Responsibility attribution for SouthKorea frame, Human-impact frame) x 2 (Exemplification: Revealed, Didn’t reveal)between subjects factorial experiment in set of the issue of North KoreanDefe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ames and exemplars impacted newsperceptions and selection exposures significantly. Human-impacted frame madethe strongest issue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for China frame resulteda longer self-exposure time. When the exemplars were suggested, issueperception was stronger and selection exposure was longer. The difference inthe three attitudinal components, which are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al intention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ode of exemplar (exemplar revealed, exemplardidn't reveal) failed to appear, but the differences in attitudinal componentsby the news frames appeared significantly. Responsibility attribution forframes of China and South Korea and Human-impacted frame influenced cognitionand affect dimension, but all frames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ehavioral intention dimension. The audiences that read the Human-impactframe news revealed a worse cognition of the North Korea defectors' humanright conditions, and took the most compassion for them. Furthermore, the audiencesof Human-impact frame had the strongest intention against the repatriation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gave the toughest policies for SouthKorea government while provided the greatest supports. On the other hand, allof the audiences showed low intentions to help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addition,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d that South Korea youths had low attentionsand knowledge concerning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North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뉴스보도에서 뉴스 프레임(frame)과 예시(exemplar)의 동시 사용이 수용자의 이슈 지각과 판단에 어떻게 경쟁하면서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242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사회적 이슈는 중국내 탈북자의강제북송 이슈이었다. 실험설계는 프레임(사실전달, 중국 책임귀인, 한국 책임귀인, 인간고뇌)과예시(적용, 미적용)를 적용한 피험자간요인설계이었다.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예시를 적용한뉴스에 노출된 집단이 탈북자 이슈를 더 심각한 것으로 지각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사실전달뉴스보다 예시를 적용한 인간고뇌 프레임과 중국책임 프레임이 탈북자 이슈를 가장 심각하게지각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귀인은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보다 뉴스프레임에 의해 발생하여, 한국에 대한 책임귀인은 한국책임 프레임에 의해, 중국에 대한 책임귀인은중국책임 프레임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간고뇌 프레임이 책임귀인 프레임과 동일한 책임귀인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도 나타났다. 인간 고뇌 프레임이 탈북자에 대한연민적 태도를 가장 크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고뇌 프레임은 탈북자에 대한 연민적정서와 태도를 초래하면서 한국 정부의 탈북자 정책에 대한 가장 높은 지지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반면, 탈북자 강제 북송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책임론을 강조하는 한국책임귀인 프레임이가장 낮은 지지를 유발하였다. 인간고뇌 프레임은 또한 탈북자를 지원하려는 높은 행위 의도에서도 다른 프레임들에 비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프레임’(Frame)의 교육과정적 함의

        김승호 ( Seungho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임의 교육과정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있다. 칸트의 ‘선험적 프레임’(카테고리)에 따르면, 인간의 마음속에는 선천적인 인식능력 또는 조건들이 이미 주어져 있으며, 만약 그것을 상정하지 않는다면 프레임의 적용은 애당초 불가능하다. 피아제의 ‘발생적 프레임’(구조)에 따르면, 인간은 프레임 적용의 규칙을 스스로 발달시켜 나갈 수 있는 선천적인 성향을 가진 존재이다. 쿤의 ‘사회적 프레임’(패러다임)에 따르면, 프레임의 적용이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이미 합의된 규칙이 있어야만 한다. 프레임을 갖는다는 것은 단순히 프레임의 의미를 언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을 통해서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그 사례로서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교육은 한편으로 프레임을 전수하는 일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의 변화를 유도하는 일이다. 학교교육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교과들을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복합적 프레임을 전수하는 임무를 묵묵히 수행해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iculum implications of ‘frame’. According to Kant's "transcendental frame"(category), innate cognitive abilities or conditions are already given in the human mind, and application of the frame is impossible if it is not assumed. According to Piaget's "generative frame"(structure), humans are naturally inclined to develop the rules of framing themselves. According to Kuhn's "social frame"(paradigm), there must be socially agreed rules for the application of frames to be objective. Having a frame does not simply mean a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 frame, but rather that an object or phenomenon can be recognized as an example of that frame. Education is the task of transferring frames on the one hand, while inducing changes in frames on the other. School education has traditionally silently carried out the task of transferring complex frames by teaching students various subjects.

      • KCI등재

        프레임 분석 방법론의 모색에 관한 연구

        최종술 ( Jong Sool Choi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6 공공정책연구 Vol.32 No.2

        프레임 분석은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정책문제에 대한 이해당사자 혹은 집단간의 갈등해결방안 연구에 있어서 프레임 분석은 매우 유용하다. 다수 프레임의 분석을 통해 각 프레임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서 갈등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연구방법론이 확립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그것은 프레임이 지닌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고유하고 독립적인 프레임 분석 방법론은 존재하지 않으며, 연구자들은 담론분석을 비롯한 기존의 다양한 프레임 분석 방법론을 차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레임 분석방법론의 기본적인 틀을 모색하기 위하여 프레임 분석의 이론적 배경과 프레임 연구의 연혁, 선행연구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정형화된 프레임 분석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구조, 프레임의 형성과정, 프레임 분석방법의 단계와 그 한계에 대해서 논의해 본다. 정형화된 프레임 분석방법론의 모색은 프레임의 구조와 형성, 전개과정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프레임 분석의 단계를 프레임의 명료화 분석, 강화 분석, 확대 분석, 재구성 분석이라는 단계로 정형화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인 분석방법론 즉, 각 단계별 정형화된 분석 방법론은 향후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general, the frame analysis has been used in the social sciences. The frame analysis was frequently employed in the press area.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sector to solve policy issues, frame analysis would be helpful. However, the methodology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frame analysis and formal methodology of frame analysis is not pres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a frame analysis methodology.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ctions: First, this paper refers to the concept of the frame, character, object and type of the frame, Second, the paper discusses a structure of frame, a formation of frame, and a development of frame. Third, to look for ways of frame analysis, it proposes the steps of analyzing the frame. Frame analysis steps are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a clarification of frame. The second step is a enhancement of frame. The third step is a enlargement of frame. Fourth step is a mod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frame. Finally, the analysis of frame has the limitation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특징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for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to defin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A word of ‘frame’ has a variety of meaning which represents a fixed pattern of an object, a thing and an event. In this study, the frame i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per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 people recognizes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frame. Also the reader understands a text through the reading frame which is a set pattern of an cognitive organization for the reader’s comprehension of texts. The read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books by the assistance of the reading frame. The reading frame is the reader’s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constructing of meaning from the books. In other words, the reading frame manages and controls the reading activity of reader. The reading fram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general frame. It’s peculiarity is originated psychological process of reader in reading activity.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comes out by traits of it’s the components. The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frame that exhibits the special characters are the stagnant schema, the acquired reading skills, the categorized book informations, the fixed reading aim, the sole pursuit will for reading theme, the set pattern reading habit and attitude and so on. Those factors of reader frame are build up reading education and repeated reading activity. The while in the reading education was not concerned about the reading frame. For the future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reading frame for improving to student’s reading ability.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살피는 데 있다. 프레임이라는 말은 일정한 틀을 가진 대상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인데 이 논의에서는 읽기 활동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프레임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프레임을 통하여 대상을 인식하고 행동한다. 그런 점에서 독자도 글을 때에는 읽기 프레임에 따라 읽기 행위를 하고 의미를 구성한다. 읽기 프레임은 독자가 읽기를 학습하고, 글을 읽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읽기 프레임은 여러 가지 읽기 관련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요소들의 특성에 따라 그 특징을 갖게 된다.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구성 요소들은 정체된 배경지식, 습성화된 읽기 기능, 범주화된 도서 정보, 고착적 읽기 목적, 전일적 주제 탐구 의지, 정형화된 읽기 습관과 태도 등이다. 이들 요소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읽기 프레임을 이루고 있으며, 독자의 읽기 활동에 관계한다. 이 읽기 프레임에 대하여 읽기 교육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읽기 교육을 통하여 학생이 읽기 프레임의 존재를 알고,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저출산 이슈에 대한 언론의 현실 구성: 보수 대 진보신문의 프레임 비교연구

        황성욱 ( Sung Wook Hwang ),이병혜 ( Byung Hy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저출산 관련 언론 보도의 프레임이 어떻게 현실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가 내용분석하였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전체 기사들이 주제면에서 국내외 저출산 극복 사례 및 정부의 정책과 제도를 중심으로 보도함을 관찰하였다. 사건 중심적 보도보다 주제중심적 보도가 더 많았으며, 정부 및 여성/부부에 대한 기사의 묘사는 대체로 중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기사의 정보원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나 대체로 정부, 의학전문가, 기업 등의 일반 조직, 일반인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한 기사가 다수였다. 세멧코와 발켄버그의 책임귀인, 갈등, 인간적 흥미, 도덕성, 경제적 결과 프레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기사들이 갈등 프레임과 도덕성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저출산 문제의 원인을 지적하는데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사회적 체계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했다.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이라는 변인을 통해 구분하였을 때 언론의 보도는 또한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진보신문은 보수신문들에 비해 주제 중심적 보도보다 사건중심적 보도를 더 많이 보여 주었고, 정부가 저출산 이슈를 다루는 방법 등에 대해 보수신문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다. 진보신문은 도덕성 프레임을, 보수신문은 인간적 흥미 프레임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논하는 인과관계 프레임에 있어서 진보신문은 사회적 체계의 문제를 부각시키는 반면에, 보수신문은 개인의 책임 또한 지적하는 프레임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저출산 관련 언론 보도, 보수언론의 보도, 진보언론의 보도에 있어 향후 개선점을 제안하고 토론하였다. This study content-analyzed the frames in the low-birth rate news based on the framing theory.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d how press constructs our reality by analyzing the frames in Chosunilbo, Joongangilbo, Hankyoreh, and Kyunghyang. Most news often reported domestic or foreign low-birth rate related cases and the governmental policies to get over the low rate (Sub-topics). Thematic coverage was more popular than episodic news (Cognitive aspect).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or women/the married was often described in neutral ways (Affective aspect). In many cases, sources in the news were not clearly identified, but the voices of government, doctors, companies, and general people were mostly cited often (Framing mechanism). When examining 5 news frames of Semetko and Valkenburg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conflict, human interest, economic consequences, and morality), most news did not show conflict frame and morality frame. Most news attributed the low-birth rate matter to the social system. The ideological variable of conservative press and progressive press also influenced the frequency of each frame. For example, progressive newspapers showd more episodic news than conservative newspapers, whereas conservative newspapers showed more thematic news than progressive newspapers. Progressive newspapers represent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government than their counterparts. Progressive newspapers used more morality frames than their counterparts, whereas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more human interest frames than their counterparts. Regarding causal frames, progressive newspapers showed more systemic frames than their counterparts, whereas conservative newspapers emphasized individualizing frames as well as systemic fram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디지털 게임 설계 장치로서의 다중 프레임 연구

        김다인(Da-In Kim),성정환(Jung-Hwan Sung)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6

        회화를 기점으로 영화, 만화, 게임을 아울러 관객의 시선을 묶는 행위의 주축을 담당하는 것은 프레임이다. 프레임에 대해 안다는 것은 프레임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 게임의 프레임, 그 중에서도 일차 프레임의 한정된 구성을 보완하는 다중 프레임에 관해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기본 구성인 구조적 프레임, 플레이어 행위의 출력인 가변적 프레임, 기존 시각 매체 특성을 나타내는 표면적 프레임으로 다중 프레임을 분류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게임 설계 장치로서의 다중 프레임의 양상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향후 게임의 다중 프레임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고 다중 프레임 분석의 기제를 제공했다는 데서 유의미하다. Starting with painting, it is the frame that plays the main role in movies, cartoons, and games as well as the act of attracting the audience"s attention. Knowing about a frame is to be able to read and use the frame.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frames of digital games, especially multiple frames that complement the limited configuration of primary frames. In this paper, frame within frames are classified into structural frames,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game, temporal frames, which reflect player behavior, and surface fram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visual media. Through this, we examine the aspects of frame within a frame as digital game design equipmen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the possibility of using frame within a frame of games in the future and provides a mechanism for frame within a frame analysis.

      • KCI등재후보

        ‘일진회’ 관련 청소년 보도의 프레임 분석

        김선남(Kim Sun-Nam),정현욱(Jung Hyun-Wook)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0

        본 논문은 청소년 관련 뉴스보도가 청소년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어떤 부분을 강조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뉴스보도의 내용과 형식을 양ㆍ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프레임(frame analysis)분석을 원용하였다. 프레임 분석은 뉴스보도가 사회문제를 어떻게 규정하고 또 특정한 의미를 어떻게 담아내는지를 밝히는 총체적인 접근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서울방송(SBS)〉,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가 보도한 청소년 폭력서클 ‘일진회’ 관련 기사(2005년 1월 1일- 2005년 3월 31일) 131건이었다. 본 연구는 보도형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사가 사건중심인지, 주제 중심적인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보도내용 분석은 기사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주제들을 유사한 틀로 통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의 틀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관련 뉴스보도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사건 중심적인 프레임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뉴스는 청소년 문제와 관련하여 사건의 발생의 현황과 실상을 단순히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을 뿐, 그러한 사건이 왜 일어나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심층적인 접근이 결여되어 있었다. 둘째, 청소년 관련 뉴스 보도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법/질서프레임〉, 〈도덕성프레임〉, 〈폭로/고발프레임〉, 〈개혁/개선프레임〉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청소년 관련 보도는 대체로 법/제도 질서 추구를 강조하는 보수적 성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체로 보도는 ‘경찰’의 역할을 더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이들을 긍정적인 이미지(질서유지자)로 부각시켰다. 청소년 문제에 관련된 보도는 청소년 문제는 청소년 개인의 일탈된 행위에서 나온 것이며 이들을 법과 제도의 강화와 개별적인 의식의 전환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음을 강조하여서 구조적인 사회변화를 차단하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강화시켰다. 셋째 청소년 관련 뉴스 보도에서 언론사별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제도프레임〉은 한겨레에서, 〈도덕성프레임〉은 조선일보에서, 〈폭로/고발프레임〉은 KBS에서, 〈개혁/개선프레임〉은 동아일보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사건중심적인 프레임〉은 〈법/제도프레임〉 및 〈폭로/고발프레임〉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토대로 하여볼 때 향후 일부 언론사에서는 청소년 문제를 스트레이트 기사보다는 사설, 논설 등과 같은 주관적인 기사작성방법에 의존한 심층적인 코너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청소년 관련 뉴스보도는 청소년 문제의 근본 원인에 관한 심층적인 접근이 부재하고 기존의 체제를 유지하는데 초점을 둔 보수적인 경향을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 관련 뉴스 보도는 법의 강화를 통한 해결을 주장하는데 이는 기존의 사회체제에 대한 도전 의식을 봉쇄하고 체제 변혁을 방해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언론은 사설, 논설 등을 통하여 청소년 문제의 대안을 심층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news media approach to juvenile delinquencies and where they put the highlight in their report. This paper applied the so-called ""a frame analysis"" which analyzes the content and pattern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approach is understood as a comprehensive one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s how news reports define a social problem and project its specific meaning. 131 articles related to the reports of teenagers" violent gangs, collected from KBS, MBC, SBS, Dong-A Ilbo, Cho-Sun Ilbo, and Han-Gyrae during January 1st to March 31st 2005,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report pattern,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event-centered articles and subject-centered articles. Additionally, the articles, repeatedly emphasized under the same title, have been grouped into the same category. The following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news of juvenile delinquencies took the pattern of event-centered frame. In other words, the news of juvenile delinquency focused on the event, but did not uncover why the event took place and how to deal with it. Second, on the basis of content, the reports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4 frames: 〈legal/ordinal frame〉. 〈ethical frame〉, 〈revealing/challenging frame〉, and 〈reformative/innovative frame〉. Most of the reports were regarded as conservative because they emphasized law and order. They tended to highlight the role of policemen and projected their positive images. They fortified the conservative ideology, while understanding teenager"s problem as a deviant behavior and considering it to be fixed by the legal sanction or the change of conscience. Third, with regard to the dominant frame, there was a visible difference among companies. For instance, Han-Gyrae resorted to 〈legal/ordinal frame〉, Cho-Sun Ilbo to 〈ethical frame〉. KBS to 〈revealing/challenging frame〉, and Dong-A Ilbo to 〈reformative/innovative frame〉. The fact that 〈event-centered frame〉 was closely related with 〈legal/ordinal frame〉 and 〈revealing/challenging frame〉 informed us that media have to devote more spaces, like editorials and special comments, to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juvenile delinquencies than to the straight descriptions. In a nut cell, it can be argued that the reports of juvenile delinquencies are so much conservative that they support the reproduction of the existing system, while closing eyes to the examination of the central cause of the problem. In the future, media have to approach the issue of juvenile delinquencies in order to find the critical causes and publish more editorials and special comments which can be used to find out effective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