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

        김향신,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2

        Drawing on 3rd wave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2013,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background,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ur SEM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were robust predictors of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or household income, the strong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proved to b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as well as on educational aspirations. While family background had little to do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were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Specifically, household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whic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had a strong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aspirations, but peer relationships had little to do with educational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ors utiliz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ich are relatively free from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to close the gap in educational aspirations between the classes.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정배경을 구성하는 핵심 요인인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교육포부에 강력한 직접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관계도 원만했는데, 부모-자녀 관계는 교사-학생 관계 및 교우 관계는 물론 교육포부에 강력한 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가정배경은 교사-학생 관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면 교우 관계는 가정배경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가구소득이 교우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행사했고,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부모-자녀 관계도 교우 관계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교사-학생 관계는 교육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만, 교우 관계는 교육포부와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계층 간 교육포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교사-학생 관계를 적절히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레비나스와 리쾨르 철학을 중심으로

        전종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1

        The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in this article is to replace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ith ethical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is stems from the view that ethical relationships are more fundamental than educational relationships. First, my relationship with others is based on a personal and collective ethical perspective. From this ethics, moral and ethical subjects can establish their own views on others and the world. Second, this eth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ship is useful in educational practice, especially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wofold. It is the aspect of comparative analysis of Lévinas and Ricoeur’s philosophy of ‘others-me’ and the aspect of attempting philosophical reconciliation between ethical and educational rel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nd propose a new educational relationship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ethic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others based on Lévinas’ philosophy and the education of mutual recognition based on Ricoeur’s philosophy were proposed. First, in the pedagogy of others, three themes were emphasized. 1° Double asymmetr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2°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subjugation. 3° Pedagogy of the other as possibility education. Through these three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Lévinas’ pedagogy were discussed. Second, the pedagogy of mutual recognition also dealt with three topics. 1° Self-affirmation and the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 2° Caring and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3° Mutual Recognition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se three themes are elements that represent Ricoeur’s pedagogy. 이 글에서 채택한 연구방법론은 교사-학생 사이의 교육적 관계를 타인-나 사이의윤리적 관계로 대체하는 데 있다.이는 윤리적 관계가 교육적 관계보다 더 근본적이라는 견해에서 비롯된다.한편,타인-나의 관계는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윤리적 관점에기반을 둔다.이러한 윤리로부터 도덕적·윤리적인 주체는 타인과 세계에 대한 자신의관점을 확립할 수 있다.다른 한편,이러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관계는 교육적 실천, 특히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에 유용하게 적용된다.그러므로 이 연구가 이바지한바는 이중적이다.레비나스와 리쾨르의 ‘타인-나’의 철학을 비교 분석했다는 측면과윤리적 관계와 교육적 관계 사이의 철학적 화해를 시도했다는 측면이 그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윤리적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를 통해 새로운 교육적 관계를 도출하고 제안하는 것이었다.그 결과물로 레비나스 철학에 기초한 타자의 교육학과 리쾨르의 철학에 기댄 상호인정의 교육학을 제안하였다.한편,타자의 교육학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강조했다.1° 교사-학생 관계의 이중 비대칭성,2°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3° 가능성 교육으로서의 타자의 교육학.이런 세 요소를 통해 레비나스의 교육학의 특징을 논했다.다른 한편,상호인정의 교육학에서 역시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1° 자기 긍정과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2° 배려와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 3° 상호인정과 교육적 관계.이 세 가지 테마는 리쾨르 교육학을 대표하는 요소라 하겠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경영교육 서비스 품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교육만족, 관계품질 및 재이용의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나상균,김태호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5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for re-use of small enterprises.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outcomes:Firs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the former is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the latter, which means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performance of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it is revealed tha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ffects education satisfaction. This signifies that lecturers are requested to make efforts and to take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ir teaching service quality in an attempt to satisfy requirements for education.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the former turns out to exercise little impact upon the latter,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rust and commitment have nothing to do with relationship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Fourt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intent for re-us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ormer exerts certain amount of influence upon the intent for re-use. This means that relationship quality can act to prevent current clients from leaving and to induce new clients. Fifth,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for re-use, it is learned that the former affects the latter, which means that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lectures are ready to attend the class again and to recommend them to other students.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교육서비스 품질, 관계품질, 교육만족도, 재이용 의도 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교육서비스 품질과 관계품질과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경영교육서비스 품질은 관계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성과 요인으로 관계품질이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둘째, 경영교육서비스 품질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이다. 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사들의 강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과 실천 방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관계품질과 교육만족도와 관계이다. 분석결과, 관계품질은 교육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강사와 수강자의 관계에 있어 신뢰와 몰입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관계품질과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관계품질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계품질이 현재의 고객이탈을 방지하여 주고,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교육만족도와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이다. 교육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강의에 참여한 수강자들의 만족여부에 따라서 강의를 다시 듣고 싶은 의도와 타인에게 추천을 의미한다.

      • KCI등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교육적 관계"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김민성(Minseo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교수자-학습자의 관계가 ``교육적``인지의 여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교육``, ``교수``, ``학습`` 등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교사-학생 상호작용, 교사-학생관계, 교수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기반하여 ``교육적 관계``의 의미와 그 하위요소(학생에 대한 존중과 관심, 대화적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신뢰, 학생에 대한 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 학생의 몰입/성장)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문항검토와 1, 2차에 걸친 예비검사 제작과 실시를 통해 하위요소별로 4개의 문항,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서울과 광주지역 4개 종합대학 총 27개 강좌, 1,282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상정하는 ``교육적 관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교차타당도 분석 결과 ``교육적 관계`` 척도는 적절한 구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3-.89로 양호하였으며, 대학교수자 역할진단도구와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통해 교육적 관계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교육적 관계``의 하위 요소별 학생성별, 교수성별, 강좌분야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교육적 관계``가 교수자나 학습자, 강좌분야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교육적 관계`` 정도와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와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는 ``교육적 관계``가 이론적으로 상정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교육적 관계``는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관계`` 측정도구의 개발은 대학교육의 질제고를 위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whet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educational reflects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defined and its components (respect, concern, dialogical interaction, trust, expectation, enthusiasm, engagement/growth)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interaction and teaching. With the cont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the final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with total 28 items (4 items for each subscale)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for 1,282 college students in 4 universiti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ross-validation using a Bollen-Stein bootstrapping technique showed the valid quality of the scale. Cronbach α of 7 subscales ranged from .83 to .89, an indication of proper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Concurrent validity were confirmed by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Professor`s Educational Role`` scale. According to students` and college instructors` gender and academic fiel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motivation/attitude were found, an evidence of the ro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because educa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college teaching.

      • KCI우수등재

        고령운전자 교육의 관계마케팅과 안전교육 참여지속성의 관계 분석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아라,차성현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in elderly drivers’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n a total of 387 drivers over sixty-five who participated in traffic safety educ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among relationship marke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were all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 addition, the result of sobel tes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marketing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in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elderly driver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elderly drivers cognitive and psychomotor ability and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s. Second, Education program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channels, such as mobile text message and mailing service. Final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instructors to build their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teaching and relationship marketing. 이 연구는 도로교통공단의 고령운전자 교육에 대한 관계마케팅, 교육만족도, 참여지속성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로교통공단 13개 시도지부에서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을 수강한 만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387명을 대상으로 관계마케팅, 교육만족도, 참여지속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에서 결측치 등을 제외한 32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계마케팅과 참여지속성, 관계마케팅과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와 참여지속성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 결과, 관계마케팅과 참여지속성 간의 관계는 교육만족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령운전자의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참여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령운전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체계적 안내 및 홍보, 교수자의 교수역량 및 관계마케팅 역량 증진을 위한 행 ‧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이 지각한 교육적 관계, 학업도전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

        소연희(Yeonhee So)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전공계열에 따라 교수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 학업도전 및 창의적 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변인들 간의 상관분포와 교육적 관계와 학업도전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계열 213명, 인문·사회계열 203명, 이·공계열 20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적 관계와 학업도전에서는 이·공계열의 학생들이 사범대와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보다 낮았고, 창의적 행동은 사범대,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학생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사범대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창의적 행동과 교육적 관계의 상관이 학업도전보다 높았다. 반면 이·공계열 학생들의 경우, 창의적 행동과 교육적 관계가 학업도전과의 상관분포보다 낮았다. 셋째, 중다회귀분석결과, 모든 전공의 학생들에 있어서 교육적관계가 학업도전보다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높았으며, 특히 사범대생들의 경우, 학업도전이 창의적 행동의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의 창의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across undergraduate majors of education, humanities & social studies, and science & engineering,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predication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challenge on creative behavior depending on major fields. Participants were 213 education, 203 humanities & social studies, and 203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indicating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displayed lower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and education undergraduates revealed the highest average in creative behavior. Creative behavior showed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relationship than with academic challenge in undergraduates majoring in education and humanities & social studies.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displayed lower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relationship. For creative behavior,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the best predictor for undergraduates in all three maj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creative behavior, it is desirable to consider educational relationship of professor and undergraduates and academic challenge in college instruction.

      • KCI등재

        어머니의 교육참여가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부모 관계의 상호작용효과

        김지영 ( Kim Ji Young ),이강이 ( Lee Kangyi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육참여와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부모 관계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해 어머니의 교육참여와 교사-학부모 관계가 상효작용효과를 가지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에서 실시한 학부모교육참여패널연구 1차년도 2차(2017) 자료에서 주요변인 및 통제변인에 모두 응답한 어머니, 교사 총 144쌍으로 하였다. 주요변인으로 아동의 학교적응(교사응답)과 6개 유형의 어머니의 교육참여(어머니 응답), 교사-학부모 관계(교사응답)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주요변인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교육참여와 교사-학부모 관계의 주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참여와 교사-학부모 관계만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교육참여와 교사-학부모 관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학부모 관계에 따라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와 비대면 상담, 가정 내 교육지원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부모 관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부모교육 참여빈도의 높고 낮음에 따른 영향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학부모 관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비대면 상담빈도의 높고 낮음에 따른 영향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가정 내 교육지원의 영향은 교사-학부모 관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참여와 인식적 차원의 교사-학부모 관계의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교사-학부모 관계 증진과 효과적인 학부모 교육참여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irst-grader’s school adjustment,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teacher-parents relationship. Data came from 144 mother-teacher pai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grade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The mothers completed the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questionnaires and teachers were requir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first-grader’s school adjustment and the perceived teacher-parents relationship.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main effects and interactive effects of these variables.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as follows: (a) Only mother’s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arenting type) and teacher’s perceived teacher-parents relationship had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 Teacher-parents relationship had the interactive effects with mother’s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arenting type) and non-face counseling with the teacher (communicating type) and educational supporting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at home (learning at home type). The higher the teacher-parents relationship, the lower the impact difference due to the higher and lower the mother's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and the lower the teacher-parents relationship, the lower the impact difference due to the higher and lower the mother's non-face counseling frequency. In addition, the impact of educational supporting activities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s was crossed with the levels of teacher-parents relationship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teacher-parents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proper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making programs and establishing systems that improve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nd aim at effective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 KCI등재

        O.F.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

        강기수(Gang, Gi Su),최은주(Choi, Eun 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와 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본질을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자 관계의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llnow는 모든 교육 현상을 유아와 교육자의 존재와 관계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육자를 존재 그 자체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Bollnow의 교육적 관계론은 유아와 교육자에게 교육현장에서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극복하고 신뢰에 근거한 안정감과 희망을 갖게 한다. 셋째, Bollnow는 유아가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고 싶어하는 교육적 의지를 지닌 존재임을 주장함으로써 새로운 유아관을 제시한다. 결국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론은 현재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관계부재, 교육 당사자 간 불신 등으로 야기되고 있는 교육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educators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O. F.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and its na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nature of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s as following. First, Bollnow understands all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the existence and relationship of infants and educators, and understands infants and educators as beings themselves, and attempts a concrete and essential approach to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such understanding. Second, Bollnow’s educational relations theory allows children and educators to overcome the negative atmosph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gives them a sense of stability and hope based on trust. Third, Bollnow proposes a new preschool by asserting that the child has an educational willingness to voluntarily receive education. After all, the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relationship theory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s a clue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rela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distrust among the educational parties.

      • KCI등재

        관계성 향상을 위한 기독 청년교육 방안 연구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2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1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in term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university education, faith, and spirituality in order to form and improve relationships, which are major developmental tasks of youth, and to suggest Christian youth education by the elements of education. Relationships are formed when you are connected to another person and community, feel interested in each other, feel a sense of bond and belonging, and maintain a stable and satisfactory relationship. This is not skill or technology, but is related to life attitude and value, and continuous learning and training are required. Various developmental tasks in youth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relationships. Relationships positively affect the lives of young people, such a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n the early stages of you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 Relationships are also very important in faith because human existence and faith are defined and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ot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iritual development for the meaning of life and inner growth. In the aspects of learne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suggested to understand learners with desire for relationships, the generation they live i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occurs. In terms of teachers, teachers have to try to change their roles such as facilitators, guides, managers, and mentor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 it was suggested that relationships should be the ultimate purpos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was presented in thre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nd each main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it was proposed to select a learner-centered group learning method that induces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o cause interaction by considering other elem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lationship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In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sults and evaluation, it was proposed to confirm that what was considered during the educational planning stage was effectively carried out in actual education, to evaluate various evaluation methods, various aspects, and to summarize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 KCI등재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에 관한 고찰

        정기섭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roblems experienced in the untact educational situation due to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sharing space in educational relationship. Method: For this purpose,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of Locke and Rousseau,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mentioned by the geisteswissenschaftliche Paedagogen. At last, it was tried to explain the problems experienced in untact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meaning of sharing space in educational relationship. Results: Spac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provides clues for explaining problem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education. Conclusion: The experience in untact educational situation confirmed why the sharing of the space formed in the face-to-face human educational relationship is important. If the learning process to enable a balanced sensory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space is omitted and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only learning from the technical and engineering perspective will remain. 연구목적: COVID-19로 인해 언텍트 교육상황에서 경험한 문제들을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라는 관점에서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그를 위하여 1) 로크(J. Locke)와 루소(J.J. Rousseau)에게서의 교육적 관계를 살펴보고, 2)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에게서 읽어낼 수 있는 교육적 관계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3) 교육의 구성요소로서의 공간,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토대로 언텍트 교육에서 경험한 문제들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관계는 특정한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의 교육자-피교육자의 관계이다. 이러한 이해에서 공간은 교육활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비대면 교육에서 경험한 문제해명을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논의 및 결론: 언텍트 교육경험은 대면의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가 왜 교육적으로 중요한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균형적인 감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대면의 교육적 공간에서 교육의 과정이 생략된 채, 감각 경험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비대면 공간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만을 강조하게 된다면 교육자와 피교육자의 관계에 기초한 교육은 사라지고 기술공학적 관점에 의한 학습만이 남게 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