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드라마"를 통한 경험의 확장 및 치료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연극학회 2011 한국연극학 Vol.1 No.45

        Like other aesthetic forms of therapies, dramatherapy also applies aesthetic Medium to the therapy. In other words, it integrates the aesthetic and creative essence of drama with the psychotherapeutic purpose. Dramatherapy uses various elements - theatre, playing with dolls, movements, mime, sound, stories, masks etc. - to construct the imaginative worlds. It is generally said that the dramatic reality is fictional and thus not real. But unlike those general thoughts, it allows the participant some safer and motivating frameworks that help him to reflect on his personal stories, to discover his supressed feelings, to rid himself of obessesions and eventually to set up a new object in his lif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dramatherapy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Creativity encouraged by dramatherapy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prove the phenomenological potential of dramatherapy. Dramatherapy uses the mediated method based on metapher and symbol much more than any other therapies like the psychoanalysis or the pyschodrama. Through this method, the creativity and self-motivation of the participant can be strengthened. The final aim of dramatherapy is not to give him a therapeutic solution but to lead him to discover it by himself. Dramatherapy knows the power that makes the particiapant overcome his stress. That ist why dramatherapy puts a premium on expanding and diversifying his experiences. Because of this view, dramatherapy is closely connected to phenomenology. Phenomenology also believes that the reality is not fixed but is discovered by the subject each time. It says that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is no more valid to explain the realtiy. As long as we regard the subject as being separated from the object, we can never find another new possibilies that might make us overcome the fixed thoughts toward the world. This is the main subject of ``Phenomenological perceptive experience`` or ``perceiving with the boy``. The phenomenolgical dialog-modell, established by Bernhard Waldenfels, makes us reflect on the role of the dramatherapist. His dialog-modell is based on the schema of suggest-response instead of the schema of question-answer. The new modell of Waldenfels gives the participant some various possibilities to reflect on himsel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rapist and participant should be based on this phenomenological dialog-modell. The dramatherapist should not ask a ``right`` answer from the client. He/She only ``suggest`` him to reflect on himself before he answers on it. The man who plays a centre role is not the dramatherapist but the participant. He ist not a passive patient any more. He is the active agent who leads the whole dramatherapeutic process and find the key to heal by himself. The final aim of dramatherapy is to expa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and to help him to reflect on himself.

      • KCI등재

        뉴미디어를 활용한 연극치료: 연극치료와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키넥트의 접목을 중심으로

        김진영(Jin-Yo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격심한 사회변화 속에서 마음의 병을 앓는 현대인들이 많아지면서 미술치료, 음악치료와 같은 예술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극치료 역시 여타 예술치료 분야에 비해 늦은 출발에도 불구하고 빠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나, 활용 현황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뉴미디어 기술이 연극치료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주목, 그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3가지 관점에서 뉴미디어 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첫째, 물리적 제약을 넘어선 가상현실의 구축, 둘째,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 셋째, 감각의 재교육과 확장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연극치료와 뉴미디어의 협업 가능성과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뉴미디어 기술이 연극치료에 접목될 경우 연극치료가 갖는 현실적 한계와 제약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가 생경하게 인식될 수 있는 두 분야의 협업을 통해 연극치료의 발전과 인간의 정신건강에 이바지하게 되길 희망한다. Amid severe social changes, there are many more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As a result, interest in art therapy is increasing. Despite the late start of the other art therapys, the dramatherapy is undergoing rapid growth, but the use of the dramatherapy is still modest. This study is focused on new media technologies and how there can be utilized in the dramatherapy and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utilization.For this examine in detail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First, construction of the virtual reality beyond the physical constraints.Second, interaction utilizing interactive technology.Third, retraining and extension of the senses.Thus, we can see the potential collaboration and synergy effects of new media and dramatherapy. When new media technologies are combined with the dramatherapy, it is expected that the dramatherapy will help overcome the realistic limitations of the dramatherap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ramatherapy and mental health car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two areas.

      • KCI등재후보

        제의적 연극치료 연구 -제닝스와 존스를 중심으로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7

        The theatre has itself the effect of curing. That is why the dramatherapy actively uses the theatre as a medium of therapy. There are diverse types of dramatherapy models since the theatre is a composite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ritual model as one of these models. The ritual dramatherapy underlines the role of curing in the rite based on the shamanism. Our purpose is to clarify a theoretical aspects on which the ritual dramatherapy is founded. In this study, we first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manism and dramatherapy; which points of shamanism is related of the dramatherapy. Then, we explicated that the ritual dramatherapy pursuits the embodyment, not the representation. Lastly, we sough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is model through some clinical cases of Jones and Jennings. The ritual dramatherapy of Jones focuses on the daily rite instead of the shamanism. This is similar to the thought of Evreinov or Turner that all aspects of our daily life are theatrical. Meanwhile, the ritual dramatherapy of Jennings reconciles the opponents through new language and objects. The conflicts and anguishes are reached to the metaphysic integration, in other words to the state of healing, through the destruction. However, this study deals with mainly the theory, so that clinical cases of only two researchers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work, we will explore the Korean ritual model using the elements of shamanism. The shamanism is not just on the primitive ages. Today, Korean society somewhat contains collective mental problems and we need a certain rites. If we show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ritual model through the clinical cases,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society as “Salpuri”. 연극은 자체적으로 치료의 효과가 있다. 연극치료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연극예술을 치료를 위해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술치료의 한 종류다. 연극의 종합 예술적 특성만큼이나 연극치료는 모델이 다양하다. 그 중 하나가 연극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제의에 초점을 맞추고 제의의 치료적 성격을 강조한 제의적 연극치료 모델이다. 본 연구는 제의적 연극치료란 무엇인지 이를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규명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제의적 연극치료의 개념과 범위,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제닝스와 존스의 이론과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제의와 연극치료의 공통점을 밝혀 어떻게 제의가 연극치료와 연계가 가능한지 탐색하고, 제의적 연극치료가 추구하는 연극적 방식이 재현이 아닌 체현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제의적 연극치료의 실제에서는 제닝스와 존스가 임상에 적용시킨 방식을 살필 것이다. 존스의 제의적 연극치료는 제의의 범위를 넓혀 일상에서 벌어지는 의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일상의 모든 양태가 연극적이라는 예브레이노프 및 터너의 견해와 유사하다. 제닝스의 제의적 연극치료는 잔혹연극의 이론을 기반으로 연극의 제의성을 탐구하여 새롭고 낯선 언어와 오브제를 사용하여 대립물의 대화와 화해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취한다. 갈등이나 고통은 파괴를 거쳐 형이상학적 통합이라는 내적 치료에 이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두 전문가의 이론과 사례만을 제시하고 있다. 차후 연구에서 스노우와 미첼의 연구 나아가 본 연구자의 임상에서의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면 제의적 연극치료의 모델의 효용성을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의는 과거의 원시적인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엄연히 치료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심리적 효과를 연구하여 연극치료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의적 연극치료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 살, 원)풀이가 필요한 한국사회에서 제의적 연극치료는 상당히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 한국형 제의적 연극치료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 KCI등재

        한국의 굿과 연극치료의 연계 가능성 연구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8

        현재 연극치료는 유럽과 구미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그들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연극치료 역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연극치료 임상을 하다보면 특정 지역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커다란 장점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를테면 한국인을 위한 한국 고유의 정서를 기반으로 연극치료를 행할 때 참여자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연극성과 치료성을 갖추고 있는 한국 전통의 굿을 통해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 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한국인을 위한 연극치료에서 굿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굿은 한국 전통연극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굿놀이, 풍물굿, 두레굿, 연희굿, 걸립굿, 마을굿과 같은 굿의 명칭에는 놀이, 연희, 축제, 굿이 한데 어울린 흔적이 발견된다. 둘째, 굿의 기본 정신이 치료에 있다는 점이다. 한국인들은 굿을 통해 심신의 위안을 얻고 치료를 받았으며, 공동체의 단결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첫째, 한국의 굿을 개괄하고 굿의 근본적인 목적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굿이 행해지는 절차 및 형식과 내용이 어떤 점에서 연극 및 연극치료와 연계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여기에서 다룰 요소는 배우, 관객, 공간, 플롯의 차원이 될 것이다. 이처럼 굿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인에게 유용한 연극치료의 방법과 모델을 확장하고 연극치료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굿이 지니고 있는 연극성과 치료성에 주목하면서 한국인에게 적합한 연극치료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머물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 연구가 좀 더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굿 유형의 연극치료를 임상적으로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굿과 연극치료는 그 성격상 연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하며,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의 지평을 넓히는 첫걸음으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drama therapy including theatre and psychotherapy is gradually becoming the object of attention. The drama therapy is actively studi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it is true that the main theories and models were there created. However, the dramatherapy was recently payed attention also in Korea and it is natural to find new dramatherapy models appropriated to Korean culture and emotio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new dramatherapy model through the korean Gut which contains both theatrical nature and therapeutic nature. Why the Korean Gut? Because the Korean Gut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In the names of Gut such as Gut play, Pungmul Gut, Maeul Gut, the trace of play, drama and festival remains. In Gut, there are theatrical methods and procedures like role play. The Koreans h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promoting the unity of community and also to gain the peace of mind and body. Therefore, studying the Korean dramatherapy, it`s natural that we are interested in Gut.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dramatherapy copies the forms and contents of Gut as it is. We pursue the theatrical style and the function of treatment appeared in Gut. For that, we firstly summarize the Korean Gut and discover the purpose of Gut. Then, we explore the connectivity between Korean Gut and dramatherapy depending on the forms and procedures of Gut and on the actor, public, space and plot of the drama. Nevertheless,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a first step to develop a Korean customized model of dramatherapy. For developing more valuable model, it needs to apply this model to clinical cases for Korean participants.

      • KCI등재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체계 정립을 위한 제언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본 연구는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먼저 활동하고 있는 소수의 연극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슈퍼비전과 관련하여 어떻게 경험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설문조사를 한 다음, 사회복지와 정신건강 등의 다른 영역에서 진행하는 슈퍼비전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슈퍼바이저의 역할 및 관계 역동에 대해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치료사들이 슈퍼비전에서 작업 내용과 치료사로서의 자기 점검을 가장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고, 이것과 다른 영역에서의 구조를 연계하여 연극치료 슈퍼비전에 적합한 기본 골격을 작업 내용, 작업 환경, 관계역동의 세 가지 기능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슈퍼바이저의 역할 점검에 있어서 슈퍼바이저- 치료사(슈퍼바이지)- 참여자의 세 축이 서로 상호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역동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연극치료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관리자이자 전문가, 안아주고 보호하는 부모, 창조적 예술가의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연극치료에서 앞으로 슈퍼비전과 관련하여 연구할 과제는 매우 많으며, 작업내용과 행정, 지지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하여 실제 슈퍼비전 작업과 교육,훈련 전반에 걸쳐 세부적인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극치료 슈퍼비전이 궁극적으로 연극이라는 예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framework of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To address this central aim,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periences of dramatherapists and their needs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supervision in other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and Mental hygiene was examined. Lastly, the role of the supervisor and dynamics of relationship were also explored by conducting case studies.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the program of supervision work and self examination as dramatherapists are the main concerns for dramatherapists. Based on this result and the frameworks from other areas, the basic structure for dramatherapy supervision was structured focusing on the program of work, working environment, and dynamics of relationship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supervisor, it was found that the reciprocal influences among three participants- supervisor, therapist (supervisee) and client- resulted in the dynamics of relationship. Therefore, the role of dramatherapy supervision was classified as an expert and manager; embracing and protective parents; and a creative artis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further research on the supervision in dramatherapy is required. Specifically, more in-depth studies on the function of program, administration and support with detailed elements of supervision practice, education and training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ramatherapy. Finally, it was reassured that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is fundamentally based up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rama.

      • KCI등재

        연극치료에서 다루는 ‘감정’에 관한 신경과학적 고찰⑴

        김진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융합, 통합이 시대적 화두인 오늘날,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신경과학을 통해 연극치료의 치유적 속성과 가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연극치료의 중요한 치유 메커니즘인 ‘감정’을 신경과학과 연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21세기 핵심 연구 분야로떠오른 신경과학은 인간의 감정에 관한 생물학적, 물리적 뉴런 메커니즘을 보여주는데, 신경과학을 통해 확인되는 감정의 치유적 속성은 사실 오래전부터 연극의 메커니즘으로 자리해온 개념이었다. 신경과학의 발전으로새롭게 발견한 것처럼 보이는 인간의 감정에 대한 이해가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연극에 내재돼 있었던 것이다. 연극을 적극적인 치유활동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는 연극적 활동과 감정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극 행위를 매개로 내담자의 감정적 문제를 탐색・진단하고, 내담자 자신의 감정인지, 감정 스펙트럼의 확장, 건강한방식의 감정표현, 타인과의 원활한 감정소통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신경과학으로 드러난 ‘감정’ 이 갖는 치유적 메커니즘을 통해 연극치료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고 치료 현장에 적극적인 활용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emotional healing mechanisms of dramatherapy through neuroscience, which is currently influential in society and culture.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is a topic of great interes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s the value of dramatherapy. Neuroscience, recognized as a key research area in the 21st century,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biological and physical neuronal mechanisms of human emotions. However, the emotional healing properties of drama, which have newly discovered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have long been inherent. Dramatherapy, which actively utilizes the healing properties of drama, diagnoses the client's emotional ploblems through dramatic acts. The program aims to raise awareness of the client's emotions, expand their emotional spectrum, help clients express emotions in a healthy way, and smooth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other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e use of dramatherapy in the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suffering from emotional ploblems.

      • KCI등재

        폭식증 환자의 연극치료 사례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연극학회 2014 한국연극학 Vol.1 No.52

        This paper describes dramatherapy with a bulmina nervosa patient. She was in her early 20s and has been under the various psychotherapies for cure of deep depression since 2005. We had 24 sessions and 3 persons - the patient, the therapist, and the assist-therapist- participated in dramatherapy. I found there``s a big collision between her important roles in the course of initial interview and diagnosis. Those roles are ``a good daughter of mom`` and ``an independent adult``. Therefore I defined her bulmina nervosa as ``an symbolic behavior repeats compulsively the failure of separation from her mother.`` And I set the general goals, the separation from her mother, the awareness and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and the diminuation of overeating and vomiting. To attain these object, we had many different dramatic experiences in dramatherapy. We made a self-portrait, the mask of bulmina nervosa, family sculpture, figure work, the past I and the present I, psychodramatic scene and several stories. In order to objective assessment, I used behavioral observation and 6PSM(6 Pieces Story Making) analysis. First of all the most noticeable change was a rapid decrease in over-eating and vomiting. Before the dramatherapy she had overeaten 30 times per week. At the closure it has fallen off to 1 time per week. Another behavioral changes were shift of outward appearance, not going church, working for living, and having a date with only one. She made 3 stories on 1th session, 13th session, and 23th session. And I comparatively analysed those stories wit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qualitative analysis, I classified 5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ubstantial similrarity. On protagonist structure, there``s no difference. Three protagonists are dead things. The type of task structure is changed from an escape, a traveling, to metamorphosis. The type of obstruction structure is changed from the protagonist to an outside object. The type of closure structure is changed from an exaggerated happy ending, sad ending to probable happy ending. To quantitify the aspects of transformation, I developed an assesment tool using likert scale. It is composed of 4 sub-categories-reality testing, imagination, ego-strength, optimism problem-solving. In reality testing category, a shift of score was 9-11-15, imagination 2-5-5, ego strength 3-2-2, optimism 6-3-7, and total score 20-21-29. This change of score reflects the growth of problem solving capacity. Viewed in this light, dramatherapy with this girl was successful on the whole. The th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it was psycho-dynamic approach focused on separation from her mother and defence mechanism to avoid negative emotion. And assessment method used in this case will be full of suggestions to researches to come.

      • KCI등재

        연극치료의 이야기 활용 방안

        박미리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3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전통 설화를 연극치료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극의 외적 측면이 무대 공간, 배우의 움직임, 언어, 소품 등 공연의 ‘보이는’ 측면과 관련된 것이라면, 이야기는 내적 측면에 해당되어 극을 통해 ‘말해진다’. 연극치료에서 전자는 체현, 투사, 역할에 해당되며, 후자는 이야기 활용을 위한 구조화를 의미한다. 이를 통합하면 연극고유의 표현 매체는 결국 몸과 이야기라는 두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의 활용은 연극치료 작업에서 매 회기 분명한 초점과 안전함을 제공한다. 본론에서는 <구렁덩덩신선비>를 통해 연극치료의 활용 방안을 구상하고, 다음으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택하여 몸과 이야기를 통한 연극치료 작업이 결과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역할을 인식하는데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설화를 활용하여 연극치료를 진행할 때 이야기를 활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의 여백에 있는 많은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이야기 자체를 더욱 풍성하게 할 때 연극의 안전망이 더욱 확립된다. 둘째, 이러한 확장은 이야기의 내용뿐만 아니라 인물 창조에 있어서도 또한 다면적인 입체성을 덧입힘으로써 보다 개성적인 인물로 형상화할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알 수 있게 된다. 셋째, 이야기에서 내용이나 사건 등과 같은 사실적인 요소들을 추상적인 기호들로 재구성한다. 이미지나 구체적인 사물, 색깔, 소리, 몸짓을 통한 이해와 공감을 가능하게 해 준다는 것이다. 그 결과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이해, 공감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문제를 객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자가 치유력 또한 향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to use korean traditional tales in dramatherapy. The external sides of a drama are related to “visible” side, such as stage, performance of actors and actresses and props, whereas a story is “told” throughout a drama as an internal side of it. In dramatherapy, the former are embodiment, projection, role and the latter means structuralization for the use of story. The application of a story in dramatherapy work provides explicit focus and safety in every session. Ultimately, the own medium for expression of drama are two factors -body and story. In the text, we consider ways of utilization the story <snake groom> in drama therapy and through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we find out how dramatherapy process using body and story eventually work in recognition of our emotions and roles. The ways and effects of using tales in dramatherap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by creating more episodes in the marginal space of stories, it makes the story itself much more interesting and strengthens the safety as a dramatic fiction. Second, this expansion adds multifaceted dimension to a story and character creation as well, so it helps the formation of more fully portrayed character. Through this process, clients can figure out their own identities. Third, story restructure abstract perspective as well as realistic factors such as contents and events. Third, realistic factors such as contents and events in the story are transformed into abstract symbols. It help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through image, specific objects, color, sound, gestures. As a result, they can develop our ability of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sympathy with others and objectify our problems. Also, they can improve our self healing skills.

      • KCI등재

        여섯조각이야기의 양적 분석을 위한 시도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7

        여섯조각이야기(6PSM)는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도구다. 참여자의 스트레스 대응 기제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이래로 그 서사의 내용을 주제, 갈등, 치료에 대한 반응, 극적 발달 단계, 영웅 서사, 지배적 상징의 측면에서 읽는 다양한 질적 분석 방식을 축적해왔다. 그러나 연극치료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그 효율성을 알기 쉽게 입증하기 위해서는, 질적 분석에 편향적으로 의존하는 데서 벗어나 평가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양적 분석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양적 분석은 평가 대상을 개념화, 범주화, 계량화할 것을 요구한다. 연구자는 그에 따라 먼저 여섯조각이야기가 투사하는 참여자의 특성을 회복 탄력성으로 집약하여 개념화하였다. 회복탄력성은 위기나 역경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스트레스 대응 기제의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 애초의 제작 배경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그 회복탄력성의 특성에 준하여 여섯조각이야기의 줄거리를 분석하는 범주를 여섯 개의 질문으로 찾아냈다. 주인공이 능동적이고 구체적인가?(주인공의 능동성), 주인공에게 적절한 과제인가(과제의 적절성), 과제 수행과정이 그럴듯한가?(과제수행과정의 개연성), 이야기가 만족스럽게 끝나는가?(결말의 낙관성), 인물의 정서와 상호작용이 긍정적인가?(정서와 관계의 긍정성), 허구를 잘 만드는가?(허구의 완성도)가 그것이다. 세 번째는 계량화 단계로, 채점이 가능하도록 각 범주가 내포한 준거에 따라 이야기의 특성을 6단계의 문항으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사한 특성을 측정하는 범주끼리 묶어 선택결합, 표현, 자아상, 정서의 네 항목으로 정리했다. 이 항목들은 각각 참여자의 현실 검증 능력, 상상력, 자아강도, 낙관성을 나타내며,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하위 능력으로서 참여자의 변화 양상을 보다 정밀하고 다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참여자 A가 작업 전과 후에 만든 여섯조각이야기를 비교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양적 분석이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보이고자 했다. 그 용례를 통해 여섯조각이야기의 양적 분석이 참여자의 회복탄력성과 세부적 변화의 양상과 크기를 일목요연하게 포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의 여러 진단평가 도구 중 여섯조각이야기를 택하여 그 결과를 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식을 탐색하고 처음으로 제안한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ix-Piece Story-Making(6PSM) is a diagnostic assessment tool of dramatherapy based on storytelling. It had developed in 1992 by Mooli Lahad and Alida Gersie. At the beginning, it``s aim was to find the type of teller``s coping strategy to stress. And since then, variou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read content of narrative in terms of theme, unconscious conflict, reaction to the dramatherapist, dramatic development, heroic narrative and dominant symbol have been developed. But dramatherapy has been too much heavily dependent on qualitative research. It``s important to try qualitative analysis and develop qualitative assessment tool for demonstrating the efficacy of dramatherapy to many people knows little about dramatherapy. Qualitative analysis follows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catego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assessment object. According that process, I integrate attributes of teller the 6PSM project and the result is resilience. Psychological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overcome the crisis and return to positive conditions. In that respect, the developing backgroun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type of stress coping mechanism has something to do with this concept, resilience. And then, I sort out six categories in the form of a question that analyze the story of 6PSM. Those are the main character``s activeness and concreteness, relevance of the task, probability of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fiction configuration capabilities, affection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 aspects, task performance and ending. The third stage is to quantify and subdivide into six steps each category for scoring. And final procedure is to tie between two categories that measure similar attributes Selection combination, expression, self-image and affection are those four categories. Those respectively demonstrate reality testing ability, imaginative faculty, ego strength and optimism. And as lower capacity that make up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those makes us to check more precisely the changes in participants. The case of participant A``s two stories shows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about 6PSM really captures the size and pattern of participant``s detailed chang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elected 6PSM among other diagnostic assessment tools and produced analysis tool that can analyze the result quantitatively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

        집단창작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일반통합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선형,배희숙,김상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4

        종합예술인 연극은 무대에서 몸을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그 치유성이 있다(Jones, 2005: 252). 예술치료 분야 중 연극치료는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지만, 연극치료의 모델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그 활성화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연극의 치유성, 집단성, 창작성을 본격적으로 활용한 집단창작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창작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일반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도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북 소재 장애일반통합어린이집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주 1회 3시간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그들이 처한 작업환경에 바탕을 둔 이야기를 구성하고 연습을 거쳐 실제로 공연을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후에 직무스트레스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마무리 단계에서 참여 교사와 비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 증세는 프로그램 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에는 의미 있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프로그램은 향후 연구대상의 확장 및 다양화를 통하여 하나의 집단창작 연극치료 모델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effect of collective creation dramatherapy on the job stres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orking for handicapped children. For that, we have performed 10 sessions of collective creation dramatherapy: eight story creation and drama repetition sessions, one rehearsal session, and one representation session for 10 childcare teachers of integrated handicapped children’s home. During the first sessions, these subjects talk about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integrated classes and write the stories. Based on these stories and episodes, the main dramatherapist rewrites the play script. After each session, the discussion about the session programs was recorded. To evaluate the research quest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8 questions on job stress are used. The subjects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is collective creation dramatherapy. The result data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three sub factors(job stress causes, job stress symptoms, and job stress result)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s the results, the scores of the job stress causes and the job stress symptoms are reduced after the collective creation dramatherapy and this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job stress result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dramatherapy.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research subjects, this program might be considered as a base for collective creation dramatherapy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