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건설사업과 공원의 확보

        이종준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4 행정법연구 Vol.- No.73

        사람이 밀집하여 생활하는 주택 인근에 적절한 규모의 공원을 확보하는 일은 중요하다. 공원녹지법은 대규모 개발사업이 실시되는 경우 개발계획에 공원확보계획을 포함하고 사업주체가 그 부담으로 공원을 조성하도록 규정한다. 1,00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도 이 규정을 적용받는다. 1,00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계획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원확보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사업주체는 공원부지를 포함한 사업부지를 시장가격에 확보한 뒤 공원조성사업의 사업시행자 지정을 받아 공원을 조성하여야 한다. 행정 실무에서는 아파트 인근에 공원을 확보하기 위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처분에 기부채납 부관을 붙이는 방식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1,00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에서는 사용될 수 없고 1,000세대 미만의 주택건설사업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1,00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의 경우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공원의 면적기준은 1,000세대 미만의 주택건설사업에 대한 공원 기부채납 부관의 위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1,000세대 미만의 주택건설사업에서 기부채납 부관을 통해 공원을 확보하는 경우 주택건설사업의 사업주체가 공원조성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받기 위해 토지 소유 및 동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관련하여 국토계획법 시행령 제96조 제4항 제4호는 사인이 도시계획시설인 영구시설물을 기부용으로 축조하는 토지가 국・공유재산인 경우에 한하여 그 사인에 대해 토지 소유 및 동의 요건을 면제하는 조항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공원부지가 국・공유재산이 아닌 한, 주택건설사업의 사업주체는 토지 소유 및 동의 요건을 갖추어 공원조성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받아야 한다. 그 뒤에 소유권을 확보하지 못한 나머지 공원부지에 대해 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을 뿐이다. 이렇게 해석하여야 1,00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과 1,000세대 미만의 주택건설사업에서 사업주체가 공원을 설치하는 방식을 조화롭게 이해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build parks of an appropriate size near residential districts where people live densely. The Park and Green Space Act requires that when a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 is implemented, a plan to install parks is included in the development plan, and the project entity is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park at its own expens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more than 1,000 households are also subject to this regulation. Th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plan must include a plan to build a park of a certain size or more. The project entity must acquire the project site, including the park site, at the market price and then be designated as the project operator for the park development project to create the park. In administrative practice, the method of attaching a donation-acceptance attachment to the approval of a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plan is commonly used to install parks near an apartment. However, this method cannot be used i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more than 1,000 households and can only be used i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less than 1,000 households. The area standard for parks that are mandatory for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more than 1,000 households can also be used as a standard for judging the illegality of park donation attachments for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less than 1,000 households. In the case of installing a park through a donation attachment in a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with less than 1,000 households, an issue may arise as to whether the project entity of th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must meet the land ownership and consent requirements to be designated as the project operator of the park development project. Article 96, Paragraph 4, Subparagraph 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exempts the private party from land ownership and consent requirements only in cases where the land on which the permanent facility, which is an urban planning facility, is being built for donation is national or public property. Unless the park site is national or public property, the project entity of th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must meet land ownership and consent requirements to be designated as the project operator of the park development project. Afterwards, expropriation power can only be exercised on the remaining park land for which ownership has not been acquired. When interpre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harmoniously understand the way project entities install parks i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more than 1,000 households and i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less than 1,000 households.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공사발주자 개념의 해석에 관한 쟁점과 해석방향

        권세원,나민오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연구 Vol.65 No.2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공사발주자 정의 규정의 해석방법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법원의 해석기준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고용노동부와 법원의 해석기준을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공사발주자의 정의 규정의 표현 방식에서 해법을 찾아 보았다. 그 결과 건설공사발주자는 상태적 개념으로 정의되었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규범적 지위’와 ‘기대되는 역할’의 형식으로 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하는 자’는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할 지위에 있는 자’로 해석이 가능하다.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 하는 자’는 ‘해당공사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시공)을 총괄하고 조율할 능력이나 의무가 있는 사업주’로 이해 되지만, 건설공사발주자 고유한 감독행위와 선도적 안전조치를 한 사정들은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한 것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할 지위에 있는 자’로 평가하기 위한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첫째, 도급된 건설공사가 건설공사발주자의 사업의 일부에 해당되어 업무를 도급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주된 사업 또는 주된 사업과 불가분의 업무이기에 사업운영상 건설공사발주자가 총괄․관리할 필요가 있는지, 건설공사발주자에게 전문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셋째, 건설공사발주자에게 기술적 우위나 보안을 위한 지휘․감독의 필요성이 존재 하는지와 넷째, 건설공사발주자 소속 근로자에게 위험 발생가능성 존재 여부이다. 마지막으로 도급인에게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할 역량이 없는 경우 등을 평가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courts on how to interpret the regulations defining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However,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the interpretation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the court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for a solution in the way the definition of construction project owner is expressed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was defined as a a phenomenal concept, but in other aspects, it was defined in the form of ‘normative status’ and ‘expected role’, and based on this, ‘a person who leads and manages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project’ can be interpreted as ‘a person in a position to lead and manage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project’. After reviewing the meaning of ‘a person who leads, supervises, and manages construction’, it is understood to be ‘a business owner who has the ability or obligation to supervise and coordinate the overall process of construc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in evaluating the unique supervision and leading safety measures of the owner among the various acts of a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as lead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The following five criteria are proposed for evaluating a person as ‘a person in a position to lead, supervise, and manage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project’. First, the construction work must be part of the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business so that it can be assessed as contracted work. Second, the work must be the main business or inseparable from the main business and must be supervised and managed by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s expertise must be recognized. Third,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must have a technological advantage or the need for supervision for security. Fourth,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danger to workers belonging to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Finall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 contractor does not have the capacity to lead, supervise, and manage the construction.

      • KCI등재

        건설사업과 경제적 실질 우선 원칙 : 시행사와 시공사 관계를 중심으로

        한승엽,전홍준,박재환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Substance-over-form principle is one of the key foundations in accounting which mandates firms to follow economic substance of transactions rather than legal form of those transactions when the two are inconsistent. Under the principle-based IFRS system where managerial discretion is widely allowed, the importance of substance-over-form principle is more emphasiz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conomic substance of project financing-based development business and discusses related accounting issues, a model which becomes prevalent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a project financing business, developers and construction firms are distinct in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from a legal perspective;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former are broad in relation with overall business operation (e.g., designing a development project at the initial stage, financing, purchasing land for development, proceed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contracting with a construction firm, and selling), while those of the latter are restricted only to construction. In reality, however, such distinction is often blurred due to various considerations (e.g., payment guarantee of construction firms against developers’ default cases). As a result, some construction firms are suspected to report their financial information simply based on a construction contract (i.e., legal form) without economic substance of the contract properly considered. Using an audit review case on construction firm A, we show it is likely that despite a construction contract (i.e., legal form) with a developer, the construction firm had actively managed the entire development project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just as its own development project). Our argument is primari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firm and the developer are in special relation (i.e., related parties) despite no explicit ownership between the two entities. Further, the construction firm provides payment guarantee against the developer’s potential default cases and is closely involved in various key decision-makings of the project. As such, if a developer is legally independent but under the de facto control of a construction firm,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review the following accounting issues. First of all, a construction firm should consider consolidating a developer in financial reporting. A construction firm needs to incorporate all circumstances and facts beyond a simple equity relationship in deciding whether to possess controlling power over a developer. Second, two disclosure issues may follow when a developer is not consolidated as a result of the first consideration. Since a construction firm generally provides credit enhancing services to a developer (e.g., payment guarantee) in a project financing-based business model, contingent liabilities may be required to be recognized. In addition, if those in a keen relation with the owner of a construction firm (e.g., relatives, executives, and employees) work for a developer, they may fall under related parties by the relevant accounting standards. Hence, contingent liabilities, related party transactions, or both, if any, should be properly disclosed in the footnote. Third, another consideration, when a developer is not consolidated, is impairment that can occur as a developer’ business risk is passed on to a construction firm. The direct subject bearing such business risk is a developer who manages overall business operation, but if the project goes unsuccessful, receivables of a construction firm may not be fully collectable. Therefore, when evaluating receivables, the probability of a developer’s defaul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so that construction firm’s profits and equity are not overstated. Finally, from interviews with industry experts, this study illustrate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 developer run by a construction firm whi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a deve... 회계는 경제적 거래나 현상의 법적 외형이 경제적 실질과 상이한 경우 경제적 실질에 따라 회계처리토록 하는 경제적 실질 우선 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원칙중심의 국제회계기준은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경제적 실질 우선 원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 분야에 일반화되어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개발사업의 경제적 실질을 분석하고, 관련 회계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의 경우 법적으로는 사업주체인 시행사와 시공업무를 담당하는 건설사(시공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지급보증 등 다양한 실무적 고려사항으로 인해 양 자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빈번하며, 그 결과 경제적 실질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도급계약이라는 법적 외형에 따른 회계처리를 수행하는 건설사가 아직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감독당국의 A건설사 감리지적사례에서도 건설사가 시행사와 체결한 도급계약이라는 법적 외형을 근거로 도급공사로 회계처리했으나, 본 연구는 시행사와 건설사 간의 특수관계, 건설사 중심의 사업진행 과정 등 여러 상황과 사실관계에 비추어 동 사업의 경제적 실질이 자체공사에 가까움을 보인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추가 검토되어야 할 주요 회계이슈로 건설사의 시행사 연결 여부, 우발부채와 특수관계자 공시 필요성, 공사대금에 대한 손상차손 인식 여부 등을 제시한다. 끝으로 업계 전문가와의 면담내용을 기초로 건설사가 설립·운영하는 시행사의 주요 특성(예. 건설사의 시행사에 대한 높은 수준의 통제, 건설사와 시행사 간 특수관계 및 배타적 도급계약 체결 등)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건설업 특성과 회계처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습자를 위한 교육자료와 건설업 종사자와 외부감사인을 위한 실무지침으로서 기능하고, 나아가 건설업계의 올바른 회계처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길,이동명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제주 제2공항 등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 추진은 물론,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과 지방공항의 증축 및 리모델링 등 기존공항에 대한 건설사업도 지속적으로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책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설계, 시공 등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구성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역량이 요구되지만, 특히 공항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로서 프로젝트 관리 전반에 대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항 관리주체인 양 공항공사 프로젝트 관리자들의 전문성 있는 역량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모델로서 역량과, 또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행동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 역량모델의 Pool 작성은 세계의 대표적인 프로젝트 관련 단체인 유럽의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와 미국의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에서 개발한 프로젝트관리자 역량 표준서(ICB, PMCDF)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공항관련 단체(ICAO, KAC 등)의 지침서 등을 근거로 공항건설의 특수성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역량모델 Pool을 3개 역량군, 37개 역량, 327개의 행동지표로 정리하였다. 둘째, 앞서 정리한 역량모델 Pool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자 22명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와 9명이 참여한 워크숍을 통해 내용타당도(CVR)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44개의 행동지표로 역량모델 Pool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이렇게 수정․보완된 역량모델 Pool 내용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경력 20년 이상의 부장급 4명의 전문가 검증과정을 거쳐, 1차 역량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역량모델은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27개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넷째, 최종적인 역량모델 확정을 위해 2년 이상 근무경력의 261명의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1차적으로 개발된 역량모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0개 역량, 33개 행동지표를 제외한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가 최종 채택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공항건설 프로젝트의 발주조직인 공항공사 프로젝트관리자에 대한 역량모델을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로 처음 개발하였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Recently, in Korea, plans for new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Gadeokdo New Airport, Jeju 2nd Airport, as well as construction projects for existing airports such 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fourth phase construction project and expansion and remodeling are in progress. To complete successfully these national projects, a high level of capabilities of various project-related members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wo airport project managers are essential factor.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ompetence area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o implement them as competency models for project managers of airport operators(KAC, IIA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ol of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competency models was created based on the Project Manager Competency Standards(ICB, PMCDF) developed by the world’s representative project-related organizations, the European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 and the American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 it was created by ad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irport construction based on the guidelines of airport-related organizations(ICAO, KAC, etc). As a result, the competency model pool was organized into 3 competence areas, 37 competencies, and 327 behavioral indicators. Secon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of 22 people involved in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and a workshop involving 9 people, and a content validity(CVR) analysis, the revised competency model Pool was supplemented and prepared with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44 behavioral indicators. Third, the first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four managers-level expert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competency model consisted of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27 behavioral indicators. Fourth, to confirm the final competency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261 airport construction project-related employees with more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itially developed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adopted, excluding 10 competencies and 33 behavioral indicators. Fifth,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hat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 competency model for airport corporations project managers, as the ordering organization of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was developed with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 KCI등재

        민간건설공사 설계변경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주성진 사단법인 한국건설법무학회 2024 건설법무 Vol.10 No.1

        건설공사의 분쟁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 중 하나가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변경에 따른 공사비용 증가로 인한 시공사의 추가공사비 청구의 증가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설계변경은 발생 원인이 다양하여, 계약 당시에 이를 예측하기란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예측의 어려움은 건설산업 전반의 특징이기도 하며, 이 특징이 다양한 분쟁의 형태로 나타나기 쉽다.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서 하나의 목적물이 생산되는 과정이 비교적 길어서 최초 계획할 당시의 환경과 진행하는 과정의 환경은 다를 수밖에 없다. 건설산업의 특성상 외부적 요인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유사한 목적물을 시공하더라도, 해당 목적물이 완성되는 장소와 그 특성에 따라 생산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므로 시공방법, 원재료, 시간, 투입되는 인원 등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당초 계획과 다른 방식으로 시공이 진행되기도 하며, 이에 설계변경과 같은 조정이 발생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건설공사의 특징에 따라 설계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계약금액조정과 같은 공사비 문제가 정산과정 등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민간건설공사에서는 이와 관련한 해결방안이 뚜렷하게 제도화되어 있지는 않다. 특히 발주자와 시공사는 계약을 체결하는 시점의 조건을 바탕으로 계약금액을 정하고, 각종 계약이행과 관련한 내용을 계약서에 확정하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계약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설계변경과 정산 시점에 추가공사비에 대해 지급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며, 이에 따라 각종 클레임과 건설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공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클레임이나 분쟁은 공사의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공사기간의 증가와 완료일의 지연으로 이어져 각종 비용과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분쟁으로 이어질 경우에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역시 불필요한 낭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낭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민간건설공사에서 설계변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공사비 청구에 대한 건설분쟁을 제도적으로 또는 건설계약과 관련된 절차적 측면에서 원칙을 정하고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민간건설공사 설계변경에 관한 제도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제안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계약금액조정 제도를 법제화하고, 시공책임형 CM제도를 활성화하여 설계변경 최소화를 꾀하며, 민간 영역에 표준계약서를 의무화하거나, 불공정거래 개선을 위한 제도를 도입하고 각종 분쟁을 해결하는 방안을 다각화 하는 것을 제도적, 입법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민간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설계변경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을 일정 부분 해소하여 계약당사자의 공정한 계약 체결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different causes of disputes in construction projects, but the main one is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due to design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increase in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charged by the contractor. Construction site designs can be changed for various reasons, and it is quite difficult to predict them while signing the contract. Moreover, this unpredictability is a characteristic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can result in various disputes.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cess of producing a single object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refore,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initial planning and that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may be different. Even the best designers cannot predic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se changes lead to uncertainty, which sometimes turns into a source of risk and conflict. Addition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many external factors are present. Therefore, even if a similar object is constructed,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its characteristics, thereby creating discrepancies in construction methods, raw materials, time, and labors. Therefore, construction may proceed in a different way than originally planned, and construction plan tends to chang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jects, design changes occurs frequently that leads to construction cost problems such as contract price adjustments in the settlement process. Howeve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not yet clearly institutionalized in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Particularly, owners and contractors tend to focus on determining the contract amount based on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signing the contract and finaliz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execution of various contracts in the written contract. Thus,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s paid to design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act and the payment of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t the time of settlement, resulting in various claims and construction disputes. Claims or disputes arising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lead to the suspension of construction, which increase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delays the completion date, incurring additonal costs and wasted time. Furthermore, the social cost of disagreement that leads to disputes can be considered unnecessary waste.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inciples for construction disputes over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rising from design changes in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institutionally or in terms of procedures related to construction contracts. The system for design changes in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can be improved as per the following suggestions. Although it will be challenging to enforce it on contracts such as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f a system applicable to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is established and stakeholders are informed and encouraged to actively use it,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can be claimed at a stage prior to the dispute to prevent dispute escalation. Similarly, by institutionalizing the active use of standardized contracts, ways may be sought to resolve disputes from the procedural aspects of the contract.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create an institutional method to prevent disputes from prolonging and spreading by having a body that can actively resolve and mediate disputes as they arise. Such methods are expected to resolve some of the institutional problems related to design changes in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thereby ensuring fair contract signing for contracting parties and preventing disputes.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에서 리스크 요인이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태원,조원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1

        [Purpose]This study set out to find the influence of risk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via connections between the degree of risk management factors and project performance. Ongoing project implementation accounts for a majority of corporate activities in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means that successful project implement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corporate profits and serves as an important element to ensure company’s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suggests that attention must be paid to risk management in projects as a critical element of company survival. [Methodology]In the present study, the potential risk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of construction risks, financial and economic risks, political and social risks, and operational risks. The study examined that the management degree of each factor on project performance and ranked the four factors according to relative influence. [Findings]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nancial and economic risks had the greatest significant influences on project performance, being followed by operational and construction risks in the order. [Implications]Construction companies can attain greater project performance than now through risk managemen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a construction project. [연구목적]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의 수행 과정에서 직면 가능한 위험요인들을 분류하여 각 요인에 대한 관리 수준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각 요인들의 영향력에 대해 상대적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리스크 요인의 관리와 프로젝트성과 사이의 관계에서 프로젝트 관리능력이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건설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 있어 발생 가능한 각종 리스크 요인들은 그 특성에 따라 건설, 정치․사회, 재무․경제, 운영 리스크의 네 가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각 요인의 관리 수준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네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 순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의 크기는 재무․경제, 운영, 건설 리스크 요인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치․사회 요인은 프로젝트의 수행 전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 요인으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 전반에 걸쳐 관리해야 하는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건설 프로젝트는 통상적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대규모,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관리활동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스크에 관한 관리는 프로젝트의 성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리스크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in Khyber Pakhtunkhwa, Pakistan

        Musarat, M. Ali,Ahad, M. Zeesha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 2016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 Vol.6 No.4

        Construction industry ranks as the largest industry and imparts a significant part in developing and achieving the aims of society. Due to the involvement of larger number of stakeholders, construction industry is complex in nature.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in Khyber Pakhtunkhwa (KP), Pakistan. To carry out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term of interview pilot study.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SPSS software in five groups to accumulate authenticity of 44 factors. Later on the ranking was done by relative importance index (RII).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research, "Project Group" stood highest among the five groups with factor of "project size" at the top rank while "Contractor Group" stood lowest with the factor of "client size" at bottom rank. From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Project Group is identified as a crucial blockade in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By giving pivotal attention to project group, the projects could be successfully attained from factors of project size, materials and equipment, funds and resources and project planning. To focus on the factors of project group, trust of the province people could be restored in construction of projects.

      • KCI등재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옥 현(Ok, Hyun),양성훈(Yang, Sung-H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사업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이다. 건설공사를 계획하는 과정과 공사완료 후의 공사비, 공사기간, 수요, 효과 등에 대한 예측치와 실제치를 종합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시행의 효율성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방만한 사업추진을 방지하고, 유사 건설공사의 품질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공사 사후평가 자료를 유사 건설사업에 참조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결과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주청별로 실시하고 있는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결과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을 기초로 하여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 건설사업의 수행 시 유사 건설사업의 수요 증감, B/C 비율 등 결과정보의 참조·활용을 통해 품질 향상 및 효율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사후평가 결과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종합적인 분석 및 평가 등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onstruction post-evaluation (CPE) boosts the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y assessing the performance result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using the results to pursue similar projects. This evaluation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assesses the planning of construction work, the estimated and actual construction costs, the construction period, the demand for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effects of construction projects after the construction work to ensure efficiency. The data was used to prevent lax project execution and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similar construction projects. On the other hand, CPE results information must be managed systematically to refer to and use CPE data in similar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PE system was developed as a measure of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use of the CPE results information of individual ordering agencies. Therefore, the groundwork was laid for the assurance of quality enhancement and efficient project execution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tool for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assessing construction works.

      • KCI우수등재

        토목현장에서의 무인비행장치 기반 현장정보 취득 및 분석 시스템 개발

        김창윤,윤준희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4

        Due to harsh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 understanding of current feature of terrain and other infrastructures is critical issue for site managers. However, because of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s such as large sites and limited capability of construction workers, comprehensive site investigation of current feature of construction site is not an easy taskfor construction managers. To address these circumstances of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deduce difficulties and applicabilities of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rea of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o confirm applicability of UAV in civil construction project,case study have been conducted on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 The result of case study proved that the developed system is one of promising technologies that has been studied in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o improve applicability of UAV for construction and process management information, law and technical issues will be an important area of future study. 건설 현장, 특히 토목 분야 시공 프로젝트의 경우 다양한 요인에 따라 프로젝트 진척상황을 파악하고 공사/공정을 모니터링 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 특히 토목 시공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중 주요 과정 중 하나인 공사/공정관리 모니터링 단계에서의 무인비행장치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그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 도출한 건설 현장의 특징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사/공정관리 모니터링 과정에 대하여 먼저 분석을 수행하고, 현재 드론 기기의 특성에 맞는 활용 방법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토목 현장 관리를 위한 필수 데이터인 정사영상 및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 적용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토목 현장인 도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수행하여 무인비행장치의 현장 활용가능성에 대한 검토 역시 진행하였다. 테스트 베드 수행 결과 개발된 시스템의 건설 현장 관리 적용 가능성 및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하여 취득하고 분석한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시공/공정 관리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술적 보완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민간투자사업과 프로젝트 금융 - 건설단계를 중심으로 -

        김동은 ( Dong-eun Kim ) 한국경제법학회 2005 경제법연구 Vol.4 No.2

        본 논고는 최근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민간투자사업에 있어서 그 소요되는 자금의 상당 부분을 조달하는 프로젝트 금융과 건설위험과의 관계를 다룬 논문입니다. 여기에서는 d선 민간투자사업의 연혁적 발전단계를 약술한 후 현재 논의가 분분하고 그 개념 정의가 불명확한 프로젝트 금융의 정확한 개념을 정립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본 논고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은 프로젝트 금융과의 관계에서 누구에 의하여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choice of vehicle)의 문제를 정립할 수 있도록 사업시행주체의 성격 및 분류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건설위험의 회피 및 경감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건설 단계에 있어서 주요 사업계약의 내용과 법적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사업 관련 계약과 건설위허의 법적 연계성과 해당 계약 작성 시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본 논고는 민간투자사업 및 프로젝트 금융에 있어서 프로젝트 금융대주들이 건설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서, 첫째, 턴키방식의 공사도급계약의 성격과 건설위험과의 관계를, 둘째 건설위험과 관련된 출자자 내지 주주의 의무부담의 유형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끝으로, 본 논고에서는 민간투자사업에서 최소위험자본으로 명명되는 자기자본의 투입과 관련하여 현 실상과 개선방안을 논함으로써 자기자본투입에 관한 민간투자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Act on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finance that is utilized to procure the substantial amount of the funds necessary for such projects and the constructions risks under such projects. This Article will first outline the chronological step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s and will attempt to clearly provide the concept of project finance which is often unclear and sometimes controversial. This Article also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concessionaire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as to whom it may be advisable to select as the vehicle of choice for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taking into account the project finance. Moreover, this Article sets out the guidelines for the legal implications between the project documents and the construction risks and the matters tha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of such documents through analysis of the terms and legal issues of the major project documents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stage which may have a direct connection to the avoidance and mitigation of the construction risks. In addition, this Article provides discussions on the following matters, whic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avoidance of construction risks by the project finance lenders in relation to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and the project finance: (i)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rnkey construction contract and its links with the construction risks, and (ii) the types of obligations of the sponsors or the shareholders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risks. Lastly,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road that should be take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investment regime in relation to the equity investment, through discussion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methods with respect to such equity investment, which is often regarded as equity offering minimal risk under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