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사업)을 위한 역량교육이냐, 역량교육을 위한 혁신이냐?-역량과 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the concept of competency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which is linked to the 3rd cycle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are indeed vali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implemented in the name of autonomous innovation (this is a sentence fragment and doesn’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whether universities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truly innovating when it comes to education. Although competency is a competency that must be cultivated in all curricula, regardless of whether that entails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r a major curriculum,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handbook of universities reduces the concept of competency to the concept of generic skills and divides competencies into major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endency has further solidified the dichotomy of the curriculum and has caused distortion within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these reasons, it is difficult to find innovation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at uniformly operate a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a given manual for evaluation. However, looking at the case of Minerva University, which is innovating education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e find first that competency is presented as an ability to be cultivated not only in the cornersto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ut also in the major curriculum. This is different from the dichotomy approach of competencies as taught at Korean universities. Second, the core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of Minerva is a tool for achieving sub-competence and competency,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C (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 the acces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competency, ease of practice, and measurability are all increased. This enables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re competency concept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y as practical knowledg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hird,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ore competencies are conducted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tools and self-rubrics to enable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at the level of learner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is is different from the self-reported core competency diagnosis of learners at Korean universities. Despite the advantages of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reduces individuals to skills. Second, it takes a segmented approach to core competencies rather than a holistic approach, and finally, it is limited in regards to education because it fosters customized talents which meet the demand, not talents which create social demand. True innovation in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learners’ self-innovation, not top-down government-led innovation. In other words, innovation in education begins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 worl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cquire self-organization skills. 본 연구는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와 연계된 대학 혁신 지원사업에서의 역량(핵심역량, 전공능력, 학습능력) 개념과 역량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를 논하는 동시에, ‘자율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정부 주도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과연 교육의 혁신을 이루고 있는지를 성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과 전공 교육과정을 불문하고 모든 교육과정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편람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일반적 기술(generic skill)의 개념으로 환원하고 역량을 이분화함으로써 전공과 교양 교육과정의 이분화를 더욱 공고히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왜곡을 야기하였다. 때문에 평가를 위해 주어진 매뉴얼에 따라 역량 기반의교육과정을 일률적으로 운영하는 대학들에게서 교육의 혁신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해 교육 혁신을 이루고 있는 미네르바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면 첫째,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코너스톤 코스는 물론 전공 교육과정에서도 함양되어야 할 능력으로제시된다. 이는 한국 대학의 역량의 이분법적 접근과 차이가 있다. 둘째,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은하위역량 및 역량 성취를 위한 도구로서 HC(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의 설정을 통해역량의 측정 가능성과 적용성, 실천의 용이성, 진단과 환류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교수자와학습자 모두에게 핵심역량 개념의 모호함을 극복하고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도를제고하게 만든다.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과 하위역량 설정 구도와 차별되는 점이다. 셋째, 핵심역량의진단과 평가는 학습자 차원에서 평가 결과의 환류가 가능하도록 객관적인 평가 도구와 자체적인 루브릭을 통해 진행함으로써 학업성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는 한국 대학에서 이뤄지는 학습자의자기보고식 핵심역량 진단과 차별된다. 이러한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장점에도불구하고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은 첫째, 개개인을 기능으로 환원하고 둘째, 핵심역량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성과 측정을 위해 핵심역량에 대해 분절적으로 접근하게 만들며마지막으로, 사회의 수요를 창출하는 인재가 아니라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진정한 교육의 혁신은 탑다운 식의 정부 주도 혁신이 아닌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혁신을 통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주변 세계와 소통하며자기 구성 능력을 획득할 때에 교육의 혁신은 비로소 시작된다.

      • KCI등재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여중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김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Methods 89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a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and a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They performed each performance assessment for 3 months. And then independent t-test and pre-post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 score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as more than the total score of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It was .298 points higher. All sub-factors and most of questions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ere improved than before.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sub-factors and some question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factors of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influencing factor of the understanding and musical knowledg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cognitive aspects of musical emotion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lusion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n improving the target competency. I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s carried out by real-life tasks, ability evaluation to apply and utilize knowledge and functions, affective domain evaluation,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actual competency can be enhanc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시 소재 여중생 8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3개월 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와단순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수행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수준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형별 수행평가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사후 총 점수가 .298점 높았다. 역량기반수행평가 집단은 개별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및 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일부하위요인 및 문항들에서 소폭의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각 수행평가 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을 종속변인으로두고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과 응용력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두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이해력과 음악지식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나왔다. 결론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따르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보다 목표 역량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실생활맥락의 과제,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적인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하여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면 실제 음악적 역량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 KCI등재

        The Impact of Grit on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박수옥,Young-Sik Cho 한국치위생과학회 2019 치위생과학회지 Vol.19 No.3

        Background: Recently,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reorganiz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education, non-cognitive factors are emphasized. Grit, the non-cognitive ability to persevere to achieve an individual’s long-term goals, is emerg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grit and core competencies i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se core competenc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350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mplete. The final analysis included 321 students. The survey contents evaluated grit, core competenc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it and core competencies in conjunc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nalyzed using the t-test/Mann Whitney U-test and the ANOVA/Kruskal–Wallis H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Results: The difference of ‘gri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grade point average (GPA)’. Th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ade’, ‘department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GPA’. Among the sub-area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core competency’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of dental hygien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re competency’. Meanwhile, ‘GPA’ was not se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re competency’. Conclusion: Grit, a non-cognitive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e competency, while the effects on GPA, a cognitive facto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competency’, which are ‘core competency’ sub factors.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 2007년도 서울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김진실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구명하고,현재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수준을 구명하며,주요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서 개설한 초임교사과정,교수학습과정,뉴패러다임과정,1정 자격연수과정,농업계 통합표시과목 연수 교사 총 161명을 대상으로 2007년 8월 7일과 8일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빈도,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F검증 등의 추리통계를 적용하였다. 통계적 차이 검증을 위한 유의도는 1%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역량은 크게 교육훈련 역량,연구 역량,상담 역량,행정 및 경영 역량,산학협력 역량인 5개 역량으로 종합할 수 있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보통 수준이다. 이 중에서 상담·지도 역량이 가장 높은 수준이고,행정·경영 역량,교육훈련 역량,연구 역량 순이다. 이에 반하여 산학협력 역량이 보통 이하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셋째,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성별,연령,최종학력,교직진출 경로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성별,연령 및 최종 학력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대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역량은 교육훈련 역량에서 수영운영 역량과,연구역량에서 학회 및 연수참여 역량,상담·지도 역량에서 학생상담,생활지도,인성적 역량이었으며,행정·경영 역량에서는 학급경영 역량은 성별,연령,최종학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교직진출 경로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단지 교육훈련 역량에서 담당교과의 전공지식과 기술과 연구역량에서 담당교과 관련 전문 직업 개발 역량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평균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40,50대 교사가 20,30대 교사보다,대학원 과정 이수 교사가 대졸 교사보다 높은 역량 수준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제시한 역량에 대하여 전문교과 교사틀의 역량이 비교적 종합적이고 실증적 인 관점에서 정리되었다. 이와 같이 구명된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교사 양성,연수 프로그램 개발,전문성 개발 및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고,직업교육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직업교육의 질 제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hree specific objectives were 1) determine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2) to analyze th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3) to verify the difference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by main variabl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population of the survey was the 161 vocational teachers who were taking courses in Center for Vocational Educator Development in SNU in 2007. A total of 130 respond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5 main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were determined. The competencies were teaching and training, Research, Counseling and Guides, Administrating and Managing,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ies. Second, the present competencies level were analyzed 3.29. In 5 competencies, Counseling Guides competency was 3.68 which I the highest, Administrating and Managing competency was 3.51, Teaching and Training competency was 3.36, Research competency was 3.01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y was 2.89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path for teacher. Besides Operating class, Participation on conference, Counseling, Guides, Personality, most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gender, age and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significantly on difference on career path for teacher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subject related professional vocation development.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as the aspect of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teachers and community development, connection with industry as well as the fundamental teaching competency. Also, research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to do co-work with general subject teachers.

      • KCI등재

        한국의 환자중심 의사 역량 연구

        전우택,정한나,김영전,김찬웅,윤소정,이건호,임선주,이선우,Jeon, Woo-Taek,Jung, Hanna,Kim, Young-Jon,Kim, Chanwoong,Yune, Sojung,Lee, Geon Ho,Im, Sunju,Lee, Sun-Woo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2 의학교육논단 Vol.24 No.2

        With increasing demands for medical care by society, the medical system, and general citizens and rapid changes in doctor's awareness,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doctors are also changing.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octor's competency framework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to make i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ach period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and resident training. To this end, a big data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2011-2020), domestic newspaper articles (2016-2020), and domestic social networking service data (2016-2020) related to doctor's competenc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with 28 medical education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doctor's competencies among 1,000 citizens, 407 nurses, 237 medical students, 361 majors, and 200 specialists. Through the above process, six core competencies, 16 sub-competencies, and 47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subject-oriented doctor's competencies. The core competencies were: (1) competency related to disease and health as an expert; (2) competency related to patients as a communicator; (3) competency related to colleagues as a collaborator; (4) competency related to society as a health care leader (5) competency related to oneself as a professional, and (6) competency related to academics as a scholar wh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 KCI등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7 교육과정연구 Vol.25 No.3

        ``역량``은 본래 직업 훈련이나 교육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던 용어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용어는 학교교육과 관련한 논의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핵심기술``(core skill)이나 ``핵심역량``(key competency) 등 교육계에서 사용하는 역량관련 용어는 이러한 관심을 반영한다. 특히 최근 들어 OECD가 역량의 개념을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규정하면서, 학교교육이 이와 관련한 논의에 무관심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글은 최근 교육계에서 자주 회자되는 ``역량``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학교교육,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의미와 성격을 탐색해 보고,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역량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와 관련된 쟁점은 무엇인지를 검토한 후, 역량 담론이 교육과정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Competency``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But recently we can find the terminology easily in the discourse on schooling. Competency-related terminologies such as ``core skill`` and ``core competency`` being used in the world of education reflect this trend. Especially, as the OECD defined the concept of competency as the necessary a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whole life, educator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ourse on competency.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ompetency is, and what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 is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n order to obtain this aim, I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nature of competency. Then, I reviewed the meaning and some issues that the notion of competency gave to the context of schooling. Lastly, I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entailed for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헤르바르트(Herbart)의 흥미론에 비추어 본 역량중심 인성교육

        마은종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of the competency based character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Herbart’s theory of interest and the core competency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Herbart, the knowledge interests are classified into empirical interest, speculative interest, and aesthetic interest. The sympathy interests are divided into sympathetic interest, social interest, and religious interest. In terms of competency, empirical and speculative interests are essential. Empirical interest is required in the point that empirical interest pursues a wide range of knowledge suggested in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utilizes a variety of knowledge or experience. Speculative interest is essential in the aspect that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helps to solve a problem reasonably and in the aspect tha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creates something new. The concept of aesthetic interest is similar to that of cultural sensibility defined in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The sympathy interests are closely related to community competency. Among the sympathy interests, sympathetic interest means an interest of sympathy with others’ pleasure and pain, and it is an interest in happiness of the entire community. Social interest means an interest in social and national happiness and unhappiness beyond huma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is defined as the ability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community development with the value and attitude needed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community members. In particular, community citizenship, democratic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are defined as the sub-competency factors of community competency, which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y of contributing to a community as a democratic citizen as pursued by Herbart. The education that Herbart’s theory of interest seeks is the character education in which children develop morality through many-sided interest in class. Therefore, if Herbart’s many-sided interest is developed well in class,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hieved. 본 논문은 헤르바르트(Herbart)의 흥미론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연관시켜 역량중심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헤르바르트는 일반교육학과 교육학강의개요에서 흥미를 크게 인식적 흥미 와 공감적 흥미로 규정한다. 다시 인식적 흥미는 경험적 흥미, 사변적 흥미, 심미적 흥미로 분류하고, 공감적 흥미는 동정적 흥미, 사회적 흥미, 종교적 흥미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서 경험적 흥미와 사변적 흥미 중에서 경험적 흥미는 창의적 사고 역량에서 제시한 폭넓은 지식을 추구하며 다양한 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필요한 역량이다. 또한 사변적 흥미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한다는 측면과 창의적 사고 역량이 새로운 것을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필요한 역량이다. 심미적 흥미는 심미적 감성 역량에서 규정한 문화적 감수성 개념과 유사한 개념이다. 공감적 흥미는 공동체 역량과 밀접히 연관된다. 공감적 흥미 중에서 동정적 흥미는 타인의 즐거움과 고통을 공감하는 흥미로, 공동체 전체의 행복에 관심을 두는 흥미이다. 사회적 흥미는 인간 관계를 넘어서 사회와 국가 전체의 행복과 불행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흥미이다. 교육부에서는 공동체 역량을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공동체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공동체성, 민주시민성, 세계시민성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헤르바르트가 추구하는 민주시민으로서 공동체 기여하고자 하는 역량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헤르바르트의 흥미론이 지향하는 교육은 아동이 수업에서 다면적 흥미를 통해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인성교육이다. 따라서 헤르바르트의 다면적 흥미가 수업을 통해 잘 발달시킬 때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역량기반 모듈식-트랙별 교육과정(MTC) 개발 연구

        윤우영,이태정 한국세무회계학회 2019 세무회계연구 Vol.0 No.62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ies are trying to maximize educational performance by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actical process for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mpetency-based Module-Tracked Curriculum(MTC) was developed using the Department of Tax and Accounting Information, K College University. To develop MTC, the department conducted a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and competency modeling was conducted for industry-related industries. A Sbuject Matter Experts(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was formed, including field experts for each job, and job definition, job model setting, and job model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rough workshops, and the resulting competency units, competency unit elements, performance criteria, knowledge(K), Considering Skill(S) and Attitude(A), the course was drawn, the course specification was prepared, and the final curriculum was drawn. The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hould first develop and operate a liberal arts curriculum and a informal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ies. Seco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r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mpetency-based evaluation plans and additionally develop and utilize various methods. Such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ness of tax accounting related department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reform and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to reflect the industrial site demand.식-트랙별 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위원회 4차 산업혁명 시대 등 급변하는 교육패러다임 변화로 인하여 대학은 역량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교육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사례 개발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K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의 역량기반 모듈식-트랙별 교육과정(MTC)을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MTC 개발을 위해 학과의 내․외부 환경분석을 시행하였고, 학과와 관련된 산업체를 대상으로 역량모델링을 실시하여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직무별 현장전문가를 포함하여 교육과정개발위원회를 구성하고 워크숍 등을 통해서 직무정의, 직무모형 설정, 직무모형 검증을 하였다. 도출된 역량의 능력단위 등을 고려하여 교과목도출, 교과목명세서 작성 및 최종 교육과정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은 첫째,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교양교육과정 및 비교과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둘째, 역량기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결과를 평가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 및 질 관리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역량기반 평가방안을 도입하고, 추가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개발․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산업환경변화에 따른 세무회계관련 학과의 경쟁전략 마련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관한 연구는 산업의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7 교육과정연구 Vol.25 No.3

        ``역량``은 본래 직업 훈련이나 교육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던 용어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용어는 학교교육과 관련한 논의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핵심기술``(core skill)이나 ``핵심역량``(key competency) 등 교육계에서 사용하는 역량관련 용어는 이러한 관심을 반영한다. 특히 최근 들어 OECD가 역량의 개념을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규정하면서, 학교교육이 이와 관련한 논의에 무관심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글은 최근 교육계에서 자주 회자되는 ``역량``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학교교육,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의미와 성격을 탐색해 보고,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역량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와 관련된 쟁점은 무엇인지를 검토한 후, 역량 담론이 교육과정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Competency``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But recently we can find the terminology easily in the discourse on schooling. Competency-related terminologies such as ``core skill`` and ``core competency`` being used in the world of education reflect this trend. Especially, as the OECD defined the concept of competency as the necessary a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whole life, educator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ourse on competency.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ompetency is, and what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 is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n order to obtain this aim, I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nature of competency. Then, I reviewed the meaning and some issues that the notion of competency gave to the context of schooling. Lastly, I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entailed for the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