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자치체 행정절차의 개혁에 관한 연구

        張校湜(Jang, Kyo-Sik)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6 No.-

        일본의 행정절차법에 따르면 지방공공단체는 행정절차법을 운영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담할 뿐만 아니라 동법 제46조에 의한 노력의무가 지워져 있다. 즉 지방공공단체는 제3조 제2항에 있어서 제2장으로부터 제5장까지의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처분, 행정지도 및 신청 절차에 대하여 행정절차법의 취지에 따라 행정운영에 있어서 공정성의 확보와 투명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 노력의무를 지우고 있다. 또한, ‘지방공공단체에 있어서 행정개혁을 위한 지침의 책정에 대하여’에 있어서도 지방공공단체의 독자의 인허가등의 규칙에 대하여도 적정절차의 정비를 행하여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일본의 지방공공단체는 행정절차조례를 입법적으로 정비하고 독자의 행정절차에 관한 운영사례를 축적하여 왔다. 우선, 일본의 행정절차법 제정 후 10년간의 변화와 그동안의 법령의 개정내용을 검토하였다. 특히 2005년에 일본에서는 행정절차법에 행정입법절차를 추가하였고 의견제출절차에 대한 대폭적인 변화가 있었는바, 행정절차법 개정의 경위 및 그 주요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행정절차법에 대응한 지방공공단체의 행정절차조례의 제정상황과 운영현황 및 그 주요내용을 분석하였다. 우리 행정절차법은 행정처분기준의 설정․공표의무를 지우고 있는데 처분기준의 입법형식 및 처분기준의 법규성이 문제 등이 논의되는데 일본의 경우에 조례에 의한 행정절차의 정비가 중요한 입법형식을 차지하고 있고 행정절차조례에 기한 처분기준이 정비되어 있다. 향후 우리에게 있어서도 지방자치의 실질적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행정절차의 조례에 의한 정비라는 측면에서 그 입법현황과 운영현황은 중요한 참고가 되리라 본다. 그리고, 행정절차법에 대응한 일본의 지방공공단체의 세부적인 행정절차개혁에 대하여 구체적인 조례의 정비작업과 운영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의견제출절차에 따른 지방공공단체의 대응에 대하여 구체적인 지방공공단체의 운영현황을 통하여 그 시사점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행정절차 온라인화에 따른 지방공공단체의 운영현황에 대하여도 행정절차온라인화법의 취지에 따른 지방공공단체의 시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일본 지방공공단체의 행정절차개혁에 대한 실증적 고찰은 우리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절차개혁에 있어서도 입법적 모델로서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행정절차의 성공적인 천착에도 기여하리라 본다.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Japan, local governments shall take the respon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have the obligation to put an endeavor in accordance with Article 46 of the Act above.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s shall make an endeavor to take the necessary actions in order to secure the fairness and improve the transparency in the admi- nistrativ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measures and guidance and application process that are not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Chapters 2 to 5, Clause 2, Article 3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Furthermore, it is required for local governments to maintain the appropriate procedures for regulations including independent approval and permission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guidance for the administrative innovation in local governments. Accordingly, the local governments in Japan have been maintain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ordinances in the legislative aspects and accumulating the unique implementation case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First, the change for the 1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Japan and the revisions up to now were examined. In particular, Japan added the administrative legislative proceedings 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comment proceedings were substantially changed. Thus, the reasons for the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major changes were investigated. Next,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major contents of administrative procedure ordinances by local autho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were analyze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of Korea specified the obligation to establish and publicly announce the standards of administrative measures beyond the execution of disadvantageous measures. However, the legal question on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with respect to the legislation proceedings of execution standards and the legal question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by the legal decrees have been discussed in Korea. The maintenance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by the ordinance is the important legislation form in Japan. The legislation and operation statu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local authorities will be the important reference for the local authorities of Korea in terms of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Korea and maintenance by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ordinances. Finally, the actual maintenance and implementation of ordinances by local authorities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nnovation in Japan were analyzed.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the suggestions related to the comment proceedings from the implementation status by local authorities in Japan. Furthermore, for the imple- mentation status by local authoriti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an online administrative procedure system, the policies of local autho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Online Administrative Procedure System Act were examined. The empirical examination 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nnovation by the local authorities in Japan will be a useful legislation model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nnovation by the local authorities in Korea and furthermor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dministrative procedure in Korea.

      • KCI등재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에 대한 고찰

        김대인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9

        Draft of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in National Assembly, is expected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in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systematic regulation of dispersed administrative law and regulations. For this expectation is to be realiz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From the comparative law perspective, regulation type of general administrative actions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1)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model (Germany, Spain, United States, Japan, Taiwan), 2) general administrative act model (Netherlands, Mongolia). Republic of Korea shows uniqueness because it will entail both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general administrative ac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analyzed, following points can be found. First, both acts’ regulation scope is different.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focuses on the ‘procedure’ of ‘disposition’, whil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regulates ‘substance and procedure’ of ‘other administrative actions other than disposition like public law contract’ and ‘substance’ of ‘disposition’. Furthermor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regulates the guidelines for legislation and statutory interpretation. Second,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complements which is not covered by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loss of power, public contract, etc.),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conjunction with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procedure (criteria of sanction disposition, process of legislation, etc.). In the future, both acts should be develop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each issue, there can be an issue which needs integrative regulation either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or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Notice to public agency is a typical example of this integrative regulation. Second,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be viewed not only as ‘behavioural norm’ but also ‘judicial norm’. The density of application of judicial norm can be diverse according to each provisions in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ird, in the long run,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hould be integrated. With this integration, priority of both act’s application will not become an issue, and systematic regulation of administrative law will be possible. 2020년 10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행정기본법(안)」은 개별법령에 의해서 분산적으로 규율되던 행정법이 체계적으로 규율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행정의 투명성과 효율 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다. 이러한 기대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체계정당성의 차 원에서 행정절차법과의 관계정립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외국의 법제를 보면 일반행정작용에 대한 규율방식은 크게 1) 행정절차법 모델(독일, 스 페인, 미국, 일본, 대만)과 2) 일반행정법 모델(네덜란드, 몽골)로 나누어진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행정절차법과 일반행정법이 공존하게 된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들과 다른 특유성 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의 행정기본법(안)과 행정절차법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법의 규율범위는 구분이 된다. 행정절차법은 ‘처분’의 ‘절차’ 위주로 규율하고 있는 반면에, 행정 기본법은 ‘처분 이외의 행정작용’(예를 들어 공법상 계약)에 대한 ‘실체’ 및 ‘절차’에 관해 규 율을 하고 있고, ‘처분’과 관련해서도 ‘실체’적인 규율을 하고 있으며, 행정기본법은 입법지 침 및 해석지침 등에 대해서도 규율을 두고 있다. 둘째, 행정기본법(안)은 행정절차법의 규율에서 제외되어 있는 부분들을 보완해주는 역할 을 하며(실권의 법리, 공법상 계약 등), 2) 행정기본법(안)은 행정절차법과의 결합을 통해 행 정절차를 보다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제재처분의 기준, 입법절차 등). 향후 양법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될 필요가 있다. 첫째, 개별쟁점별로 행정기본법 과 행정절차법의 어느 한쪽으로 통합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신고가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행정기본법에 대해서 단순한 행위규범의 성격만을 인정할 것은 아니고, 가능 한 한 재판규범의 성격까지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행정기본법의 규정에 따라 재판 규범으로서의 적용밀도는 다양하게 보아야 한다. 셋째, 장기적으로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 법은 통합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양법의 우선순위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을 막을 수 있고, 행정법 전반을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행정청문절차에서 제도개선에 관한 소고

        이경환,장교식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一鑑法學 Vol.- No.53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 hearing is a procedure in which an administrative agency directly hears the opinions of concerned parties, etc. and investigates evidence before issuing a disposition(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rticle 2, No. 5). Administrative procedures operate a self-regulating function to realize the practical rule of law, and the hearing system, which provides the opposing party with an opportunity to state opinions and submit advantageous data prior to any disposition, becomes a central el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Recently,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has been amended to expand the subject of hearings to conduct a hearing even if there is no application from the person concerned in the case of a disposition unfavorable to the public, such as the revocation of licenses, permits, etc(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rticle 22, Paragraph 1, No. 3). In the case of disposi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of many people for fair and professional hearings, two or more presiding officers of hearings were selected to strengthen the rights related to the hearing procedures of the people(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rticle 28 Paragraph 2).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to promot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administration and to secure the fairness,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the administration, so the hearing procedure should also meet its purpos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for system improvement necessary to enhance administrative democracy,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the current hearing procedure including the recently revised contents. To this e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nee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parties, etc. in spite of the revise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 rights of the parties to acc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hearing, and transparent and fair operation of the hearing. 행정절차법상 청문은 행정청이 어떠한 처분을 하기 전에 당사자등의 의견을 직접듣고 증거를 조사하는 절차를 말한다(행정절차법 제2조 제5호). 행정절차는 자기통제적인 기능을 작동하게 하여 실질적 법치주의를 실현하게 하는데, 그 중 어떠한 처분에앞서 상대방에게 의견진술과 유리한 자료제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청문제도는 행정절차의 중심이 되는 요소가 된다. 최근 행정절차법이 개정되어 인허가 등의 취소 등 국민에게 불이익한 처분을 하는 경우 당사자 등의 신청이 없는 경우에도 청문을 하도록청문 대상을 확대(같은 법 제22조 제1항 제3호)하고, 공정하고 전문적인 청문을 위하여다수 국민의 이해가 상충되는 처분 등을 하는 경우에는 청문 주재자를 2명 이상 선정할수 있도록 하여(같은 법 제28조 제2항) 당사자인 국민의 청문절차와 관련된 권리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행정절차법은 국민이 행정에 참여하는 것을 도모하고 행정의 공정⋅투명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청문절차 또한 그 목적에 부합되어야 할것이다. 이에 최근 개정된 내용을 포함한 현행 청문절차에서 행정의 민주성, 공정성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개선에 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문절차를 개시하는데 있어 개정된 행정절차법에도 불구하고 당사자등의 지위를 강화해야 하는 점, 해당 청문과 관련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당사자의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는 점, 청문 주재자의 선정 및 청문절차의 진행과 관련해서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이 있어야 하는 점 등을 중점적으로 해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행정기본법」에 대한 입법평론

        홍완식(Hong Wan Sik) 한국국가법학회 2021 국가법연구 Vol.17 No.3

        우선 행정법의 통칙에 해당하는 「행정기본법」의 제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수 없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행정기본법」의 제정이 입법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법률의 제정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한다. 다만 이글에서는 절차적인 측면에서는 「행정기본법」 입법과정의 적절성과 적법성 및 신중성 그리고 체계적인 측면에서는 전체적인 행정 관련 법률들의 수직적 및 수평적 체계성 등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입법평론의 관점에서 「행정기본법」 입법의 절차적 적절성과 체계적 적합성을 검토하여 보고자 하였다. 행정에 관한 원칙과 법리 및 통칙에 관한 조항을 입법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오랜 과정에서는 물론이고 「행정기본법」 제정과정의 전후에 행정법학 분야에서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입법과정이라는 관점에서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을 조명해보는 작업은 다소 미진하였다고 본다. 어떠한 법률이 어떠한 입법과정을 통해 입법에 성공하고 또는 입법과정에 아쉬움이 있는지 등의 검토를 퉁해서 바람직한 입법과정을 생각해 보는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입법평론이라고 하는 관점과 틀에서 「행정기본법」의 입법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행정법의 일반적인 사항을 총칙적으로 규정하는 법률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행정법을 연구하고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의 오랜 숙제와도 같은 것이었지만, 문제는 이러한 법률의 간절한 필요에도 불구하고 너무 짧은 기간 동안에 충분한 의견수렴과 숙의과정이 결여된 채로 「행정기본법」이라는 결과물이 만들어졌다는데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생각해 볼 것은 개별 법령이나 법령의 구체적인 조항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으로는 법령들간의 체계성을 검토하는 것도 중요한 입법학 분야의 과제로서 인식되고 있다. 입법을 함에 있어서는 체계정당성 원칙이 존중되어야 하는데, 법체계의 체계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각 법령 상호간의 모순과 중복이 없어야 하며 특히 새로이 제정되거나 개정되는 법령은 기존 법령과 더불어 모순이 없는 법체계가 유지되도록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과 관점에서 「행정기본법」과 기존의 행정법제와의 체계성에 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많은 연구자와 실무가들은 행정법의 본질적이고 중요한 사항에 관한 기본법적 규율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 폭넓은 공감대를 지니고 있었지만,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에서 행정에 관한 일반규정으로서 들어가야 할 ‘본질적이고 중요한 사항’이 충분히 검토되고 숙고되었는지를 돌아보지 않을 수가 없다. 이론과 판례의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행정법의 기본적인 원칙과 법리를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행정기본법」은 입법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입법이지만, 충분한 의견수렴과 숙의과정이 결여되거나 부족한 채로 「행정기본법」이 제정되었다는 지적을 면할 길이 없다. 특히, 「행정기본법」의 제정과 함께 「행정절차법」과의 중복 문제와 향후 관계 설정 및 두 법률의 개정과제 등에 관한 우려가 존재한다. 「행정기본법」이 제정되었다는 성공과 함께, 「행정기본법」이라는 법률 제목에서부터 「행정절차법」 등 기존의 행정 제법과의 관계 등 체계는 물론이고 「행정기본법」의 내용이나 법적 성격 등에 이르기까지, 향후 논의가 필요한 많은 입법과제가 놓여졌다. In the broadest sense, the administration law is a branch of public law. The administration law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law usually encompasses acts and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administration and regulation of government agencies.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were enacted before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enacted in 2021.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to ensure fairness,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in administrative operations and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 by providing for common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reby allowing citizens’ better access to administrative procedure.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had the status and function of the basic law in the Korean administration law. And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to protect citizens from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or interests caused by the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exercise or non-exercise of public authority, and to ensure proper resolution of disputes over the rights based on public law or the application of law,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procedures. Finally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enacted on March 23, 2021. The purpose of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in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systemat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The legisl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a significant success and development for the codification of administrative law. The administrative law is codified only in few of the nations. The codification of the administration laws is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restating the law in administration law area. But the legisl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has raised a lot of critics. Many concern about the fail of the legislative integrity between the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refore it is needed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zation between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other administrative laws.

      • KCI등재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관한 연구

        이재훈(Lee Jae Ho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3

        ICT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생활 양태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ICT 기술의 발전 및 적용 영역 확대로 인한 생활세계 전반의 디지털화 경향은 단순히 사적생활 영역만 변화시킨 것에 그치지 않고, 공적 영역의 변화까지도 이끌어오고 있다. 공적 영역의 디지털화의 일환으로 행정기관의 업무 양태가 디지털화 되고 있고, 전자정부의 구축 및 적용 영역 확대는 세계적인 추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공적 영역의 디지털화의 추세 속에 현대 ICT 기술 발전 양태를 행정영역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법제가 독일 연방 입법자에 의해서 형성 되어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독일 연방입법자는 전적으로 자동화 설비에 의해 행정행위가 발령될 수 있다는 규정을 ‘과세절차의 현대화에 관한 법률’을 통해 연방조세법전, 연방사회법전 제10권 및 연방행정절차법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전자동화 행정행위는 주무행정기관의 담당 공무원의 의식적 작용이 배제된 채 사인에 대한 개별적·구체적 법적 규율 내용이 산출된다는 점에서 연방행정절차법 제정 당시부터 연방행정절차법에서 규율되어 오던 ‘자동화 장치를 이용한 행정행위’와는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반드시 전자 문서 형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전자적 행정행위와 등치하지도 않는다. 독일 연방입법자의 이번 법률 개정 작업을 통해, 행정청이 전자동화 설비를 통해 사인에 대한 개별적·구체적 법적 규율을 하는 것이 허용됨을 법률을 통해 명시적으로 제시하였고, 더 나아가 이러한 작용의 법적 성격을 행정행위로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작용에 대해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독일 연방입법자는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허용되기 위한 규범적 제약을 두고 있다.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허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단행 법령(Rechtsvorschrift)에 이러한 행정행위가 가능하다는 별도의 규정이 존재해야 하고, 더 나아가 당해 작용과 관련하여 행정청의 재량 또는 판단 여지가 존재하지 않아야만 한다(연방행정절차법 제35조의a 단서). 본고에서는 ‘과세절차의 현대화에 관한 법률’을 통해 개정된 연방조세법전, 연방사회법전 제10권, 연방행정절차법 중 연방행정절차법과 관련된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대해서 고찰하도록 한다. 따라서 우선 연방행정절차법 상의 ICT 기술 관련 기존 규정들 및 ‘과세절차의 현대화에 관한 법률’을 통해 도입된 새로운 규정들을 일별한 후,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대해 명시적인 규율을 담고 있는 연방행정절차법 제35조의a의 규범적 의미를 살펴본다. 더 나아가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도입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후속 문제점들에 대처하기 위한 연방입법자의 제도적 보완책 내지 추후에 규범제정권자가 전자동화 행정행위와 관련된 법령 제정을 함에 있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동화 행정행위라는 제도가 독일에서 앞으로 어떻게 운용될 것인지 전망해보도록 하고, 이번 독일 연방행정절차법의 개정이 우리에게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간단히 살펴본다. As of 1 January 2017, the German Act on the Modernization of the Taxation Procedure of 19 July 2016 has come into force in its essential parts. The law ensures the issuance of fully automated tax assessment under the German Tax Code(Abgabenordnung) as administrative acts.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e German Bundestag (federal parliament) has also decided to concurrently adapt fully automated administrative acts in the Germen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Verwaltungsverfahrensgesetz) and the Code of Social Law Ⅹ (Sozialgesetzbuch X). The amendments aim to implement the possibility to issue a fully automated administrative act in all three pillar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us to develop them in a largely uniform manner. The German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has been extended in its content based on Article 20 of the German Act on the Modernization of the Taxation Procedure which provides the regulation on the fully automated administrative act and notification of administrative acts through publicly accessible networks. The newly-added Article 35a of the Germ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paves the way for such digitized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legally secure way. The article concerned regulates fully automated administrative acts. Such administrative decisions may be made without human intervention. But Article 35a of the Germ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does not allow the unconditional performance of fully automatic administrative acts. Such fully automatic administrative acts can be performed only on matters not left to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This paper presents the normative meaning of Article 35a and other relevant normative Issues.

      • KCI등재

        행정기본법의 혼돈·분열·위헌문제

        김현준(Hyun-Joon Kim)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8

        2021. 3. 23. 제정된 행정기본법에 대하여 많은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행정기본법을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본고는 이 법에서 다음과 같이 혼돈·분열·위헌의 문제점을 찾고 있다. 첫째, 행정기본법은 일본식 기본법과는 구분된다는 의미에서 일종의 한국형 기본법이라 할 수 있지만, 정작 그 한국형 기본법의 개념이나 규범적 특질에 대한 설명이 잘 보이지 않는다. 행정기본법의 일반법으로서 특징을 강조하는 견해도 있는데, ‘일반법’, ‘통칙법’ 등이 아닌 ‘기본법’을 법률명으로 고수한 입법자는 일반법과는 다른 입법유형을 의도했으리라 생각된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기본법의 규범적 실체가 제대로 해명되지 않고 있어, 기본법의 옷을 입은 행정기본법이 종래 다른 기본법에서 나타난 혼선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둘째, 행정기본법은 행정통합법전화 논의와 함께 시작되었지만, 행정법의 전부 법전화는 처음부터 불가능한 작업이며, 부분법전화는 다름 아닌 행정절차법에 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행정기본법의 내용도 행정절차 법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고, 주로 독일 행정절차법 등에서 볼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행정기본법이 우리 고유의 법이라는 주장도 설득력이 없다. 내용상 제2의 행정절차법이라 할 수 있는 행정기본법이 제정됨으로써 우리나라 행정절차규범은 행정절차법과 행정기본법으로 분열되었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셋째, 행정기본법은 법률에 맞추어 법률을 제정한다는 이른바 ‘입법의 법률구속성’, 심지어 ‘입법의 행정입법 구속성’이라는 위헌의 여지도 안고 있다. 법치국가원리 및 민주주의원리에서 요청되는 거리보호(Distanzschutz)의 측면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위법한 법률’이라는 독특한 상황을 유발할 수도 있다. 나아가, 행정조직법정주의의 문제점이나 기본법이라는 입법유형의 불명확성도 위헌성의 틀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 While there are many positive evaluations of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enacted on March 23, 2021, this paper intends to evaluate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finds problems of confusion, fragmentation, and unconstitutionality in the Act as follows. First, since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is distinct from the Japanese Basic Ac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kind of Korean Basic Act, but the concept of the Korean Basic Act is not clearly seen. There is an opinion that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as a generality, but it is clear that the Basic Act and the General Act are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Therefore, while the normative substance of the Basic Act has not been properly elucidated, there is a risk that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dressed as the Basic Act will similarly cause confusion as seen in other Basic Acts. Second, although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began with the discussion of the Integrated Administrative Act, it was practically impossible to implement the Code as an integrated administrative law code, and the Code limited to general administrative law was nothing but a kind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 content of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did not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it is mainly found in the Germ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o the argument that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is our own law is not persuasive.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eco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terms of content,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norm was divided in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Third, the Basic Administrative Act has the problem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so-called ‘binding on the legislative power’ and even ‘binding on administrative regulation.’ The aspect of distance protection (Distanzschutz) required by the rule of law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mocracy is also controversial. Furthermore,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ism or the ambiguity of the legislative type of the Act can be examined in terms of unconstitutionality.

      • KCI등재

        행정절차참여권의 침해와 비재산적 손해배상 : 독일법과의 비교

        최준규(Choi, Joonkyu)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2

        There is a precedent of the Korean High Court which said that, if the government intentionally omitted the related local people’s participation procedure in the administrative decision prescribed by the law while setting up the waste disposal site, such people could claim for non-pecuniary damages based o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However, the author disagrees with such conclus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when the law which stipulates the related parties’ participation right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violated, such participation right should be enforced in principle through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must be realized in such a way as t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to the right holder, not in the way of monetary compensation. If the administrative court did not cancel the administrative act in ques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government would have issued such administrative act anyway, even if the related people ha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dministrative act, then such court’s decis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administrative court’s intention not to recognize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Nevertheless, if the civil court - emphasizing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participation right as such - orders the damages for the non-pecuniary loss only based on the infringement of the participation right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then there may occur a disharmony between the judgment of the administrative court and that of the civil court. Also, when the procedural defects of the administrative act will make such act not void but just revocable and the statute of limitation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ran out already, plaintiffs can no longer attack the validity of the administrative act. Under such conditions, it is contradictory to the purpose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o award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only due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Second, when the government willfully or maliciously omitted the people’s participation procedure in making administrative act, the judiciary should boldly and positively invalidate such administrative act in question. Under such conditions it see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ople s participation rights,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But, in fact, it may be an unsuccessful measure, because it leaves the defective administrative act intact, so that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continues being omitted. It is also difficult to expect that awarding damages can make the government voluntarily observe the statutory administrative procedure in the future.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and leaving the defect of omitting administrative procedure uncured may give the government wrong signal that it is ok to proceed with government plans omitting bothersome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related parties, and to justify its intentional disregard of the law by paying money later. Thir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a kind of public right, if we pay attention to the independent value of such participation right. It is the state, that is, all of us, not the qualified local people who was harmed by omitting the participation procedure, and undermining the value of participatory democracy. Awarding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only due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is practically to privatize public damages. This means that a government that has committed illegal acts by omitting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procedures must pay the fines or penalties to the related residents near the waste landfill facility not to the government. However, public loss should be compensated, correcte 하급심 판례 중에는, 폐기물매립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국가(지방자치단체)가 법률에 규정된 주민참여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주민들이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를 이유로 국가(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본 것이 있다. 그러나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위 판례의 결론에 반대한다. 첫째, 행정절차 참여관련 법규정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이해관계인의 권리구제는 원칙적으로 행정소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행정절차참여권은 권리자에게 행정절차참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그 권리가 실현되어야 하고, 금전손해배상의 방식으로 실현되어서는 안된다. 만약 행정법원이 주민참여절차를 거쳤어도 어차피 동일한 행정처분이 발령되었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또는 사정판결을 근거로 문제된 행정행위를 취소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법원의 판단에는 행정절차참여권의 독자적 가치를 중시하지 않겠다는 취지가 포함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사법원이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를 이유로 한 위자료를 긍정한다면, 행정법원의 판단과 민사법원의 판단 사이에 모순이 발생한다. 또한 행정절차를 거치지 않은 행정행위의 흠이 취소사유에 불과하고 원고들의 부주의로 취소소송 기간이 이미 도과한 경우라면, 원고들은 더 이상 행정행위의 효력을 다툴 수 없다. 이 경우 원고들이 위자료 청구의 형태로 행정절차참여권 침해문제를 다툴 수 있게 허용하는 것은, 행정소송의 제소기간을 둔 취지와 맞지 않는다. 둘째, 행정절차를 거치지 않은 국가의 비난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사법부가 문제된 행정행위를 과감하게 무효로 보는 것이 정도(正道)이다. 행정행위의 효력은 그대로 둔 채 위자료를 허용하는 것은, 외관상으로는 행정부에 대한 사법부의 적극적 견제를 통해 국민의 권리구제를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이미 이루어진 불법을 수인하는 상태에서 이를 금전배상으로 무마하려는 미봉책에 불과할 수 있다. 사법부가 행정행위의 효력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대신 위자료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행정부가 절차를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순기능을 할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행정부에게, 국민의 행정절차참여권은 무시한 채 일단 사업을 진행하고 나중에 금전배상으로 해결하면 충분하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행정절차참여권은 그 독자적 가치를 중시하면 할수록, 공적(公的)성격이 두드러지는 권리이다. 참여민주주의의 가치가 훼손됨으로써 손해를 입은 자는 국가, 즉 우리 모두이지, 인근 주민들만이 아니다. 행정절차참여권 그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 권리가 침해된 경우 위자료 배상을 허용해야 한다는 생각은, 실질적으로 보면 공적(公的)손해를 사유화(私有化)하자는 것이다. 행정절차를 생략하는 위법행위를 한 국가가 이에 따른 벌금 또는 과징금을 폐기물매립시설 인근 주민들에게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가 국가에게 가한 공적 손해의 전보, 교정, 예방은 민사상 금전손해배상의 방법이 아니라, 행정소송, 형사처벌, 행정기관 내부의 징계, 행정기관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시민사회와 입법부의 감시・감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가가 고의로 주민들의 행정절차참여권을 침해하였더라도, 그것만을 이유로 한 위자료 배상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미국의 행정조사제도와 연방거래위원회의 조사절차

        김민배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19 한국산업보안연구 Vol.9 No.2

        Article 15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was amended in August 2019. In other words, in the event of a possible viol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or an act of infringement, the Minister of Industry and Trade and the Head of an Intelligence investigation agency shall conduct a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was amended to investigate reported violations of industrial technologies by Article 15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under Article 17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actical procedures necessary to implement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system introduced by the amendment to Article 15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review the U.S.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legislation as a target of the comparative law. However, the U.S. does not have the same basic law as the Korea Basic Law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in the United States are conducted by individual statutes, such as antitrust laws. In this study, the research system under the U.S. Antitrust Act is the main subject of study. The U.S.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does not permit submission of reports, access surveys, and investigation activities unless there is a provision in the Act.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of the United States sets forth the legal basis for compulsory investigati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entering homes or businesses, survey of house arrest, witnesses, documents submitted, reporting requirements, will be. Under the U.S.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there is a non-official act that distinguishes it from a formal proceeding of administrative action. In the United States,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under the provisions of individual statutes. U.S.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set up in individual statutes include access inspections, summons issuance and the right to request reports. In this study,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being undertaken by the US Federal Trade Commission(FTC) are the primary research targets. Through such review and research, we seek to obtain suggestions on specific and practical procedures and methods required for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to be conducted under the revision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In addition, the government intends to draw on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revision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산업기술보호법 제15조가 2019년도 8월에 개정되었다. 그 결과 과거의 ‘조치’를넘어 ‘조사와 조치’를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추가되었다. 즉, 산업기술침해 행위의 우려가 있거나 침해행위가 발생한 경우 산업통산부장관과 정보수사기관의 장은행정조사를 실시해야한다. 산업기술보호법은 기존의 제17조에 의한 실태조사는 물론 제15조에 의해 산업기술침해 신고에 대해 조사를 하도록 개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산업기술보호법 제15조의 개정으로 도입된 행정조사제도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실무적 절차연구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교법의 대상으로미국의 행정조사법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런데 미국은 한국의 행정조사기본법과같은 기본법은 없다. 미국의 행정조사는 독점금지법 등과 같은 개별법령에 의해 실시된다. 본고에서는 산업기술보호법의 행정조사제도와 관련하여, 미국의 독점금지법상의 행정조사제도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행정조사에 대하여 미국 행정절차법은 보고서의 제출요구, 출입검사, 기타의 조사활동과 요구는 법률의 근거가 없는 한 명령하거나 실시하는 것을 허용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미국의 행정절차법은 강제조사에 대하여 법률상의 근거의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행정조사는 첫째, 주택이나 사업소 등에 출입하여 장부, 기록, 가택을 조사할 수 있는 권한 둘째, 증인을 소환하고, 서류제출을 명할 수 있는 권한 셋째, 기록과 보고서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으로 행해지고 있다. 미국의 행정절차법에서는 행정처분을 하는 정식의 절차와 구별되는 비공식의 행위가 있다. 그범주안에다양한행정활동이있고행정조사도그중 하나이다. 행정절차법의 대상이 되는 행위들은 정식의 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지만 행정조사와같이 비공식의 행위는 규제가 다르다. 그러므로 미국에서 행정조사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행정조사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행정조사에 대해서는 개별법령의 규정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개별법령에 정해진 미국의행정조사는 출입검사, 소환장발부, 보고서 요구권 등이다. 본고에서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실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조사 절차를주된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검토와 연구를 통해 산업기술보호법의 개정에 따라 실시해야 할 행정조사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절차와 방법 등에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보완해야 할 산업기술보호법상의 제도적개정방향에 대해서도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

        행정기본법 제정 및 행정절차법 개정에 대한 평론 — 행정법이론체계에 대한 함의와 입법적 과제 —

        김유환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2 행정법연구 Vol.- No.68

        One year aft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enacted in 2021,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was amended significantly. Administrative law theories have been greatly impacted by the both legislations. And significant theoretical problems have been discussed about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problems are as follows. ①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legislators adopted a litigatory concept such as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deliberately.(§2, 4) ② The legislators defined the concept of sanction ambiguously and adopted dual concepts in reality.(§2, 5, §23) ③ The legislators specified §14①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consistently with the ruling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④ The legislators adopted the concept “de facto effects” which mismatches with the current administrative law Dogmatics. Bu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Act has not contained the concept.(§15) ⑤ The legislators defined balancing of interests as comparing all the disadvantages and all the public interests in the process of Revocation or Withdrawal of disposition. By doing so, they have lost their practical points and aims. (§18(2), §19(2)) ⑥ The legislators adopted the title “Withdrawal of Legitimate Disposition” for Article 19, Bu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meaning of withdrawal of disposition. Moreover, though the legislators have assumed only prospective effects of withdrawal. withdrawal of disposition has retrospective effects sometimes.(§19) ⑦ The legislators have not permitted automatic disposition for discretionary administrative actions. However, It is not consistent with current administrative practice.((§20) ⑧ The legislators have not allowed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by the third party of the disposition and restricted the application of the clauses for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irrationally.((§36 (1),(3)) ⑨ The legislators made big mistakes in the clauses for Re-examination of dispositions. Many legal scholars consider the clauses as unconstitutional. In addition, In amend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 legislators limited the possibility of administrative assurance only for the party of the disposition and not for the third party of disposition. However, It is not easily justifiable in the light of current theoretical understandng. Not only these theoretical problems, there are many drawbacks in the multiple legislation system of general administrative law. Overlapping and dispersed rulings are another significant problems. For these reasons, I recommend strongly the integration of the both acts into one cod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과 주요내용

        채향석,하명호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0

        Although administrative statutes or regulations account for more than 90% of about 5,000 ones, there has been no general Act that stipulates the principles and general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has been complicated, such as identical or similar matters being prescribed differently by individual statutes, which often damaged th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administration by causing confusion not only for the people but also for public officials. Thus,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which is to ensure democracy in and legality of administration and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thereof by prescribing principles and general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Article 1), was enacted and promulgated on March 23, 2021. However, few other countries have legislative precedents that stipulate these contents. Therefor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legislative model of Korea, and it is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law academia and administrative practice. In view of functioning as general provisions of administrative law while maintaining system consistency with individual Acts, the nam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as adopt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ndability of incorporating individual Acts into a single Act. The main contents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Chapter 1 provides purpose, definitions, calculation of period for administration, and Chapter 2 on legal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provides principle of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principle of equality,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duty of good faith and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authority. Chapter 3, administrative action, specifies dispositions(standards for application of law, effects of dispositions,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subordinate clauses, revocation of illegal or unjust dispositions, withdrawal of legitimate dispositions, automatic dispositions, standards of exercising discretion, standards for sanctions and limitation period for sanctions), deemed authorization or permission, contracts under public law, penalty surcharges, administrative compulsion, other administrative actions(effects of reports depending on acceptance, fees and usage fees), raising of objections to disposition and reexamination. Chapter 4 on legislative activities, etc. of administration stipulates legislative activities of administrati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terpretation of statutes or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ill be revised to newly add administrative plans, publication of violations, and guaranteed, etc. that were discussed during the development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preferentially enacted only those that formed consensus on the matters established by theories and precedents between the government, academia, and legal prof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and review the contents that will be further complemented and improved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 or administrative innovation. In particular, legislative efforts are needed to integrate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o become a general theory of administrative law worthy of its name. 우리나라의 약 5,000개의 법령 중에서 행정법령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영역 전반에 관한 행정의 원칙과 기본사항을 규정한 총론적 법률은 지금까지 없었다. 그로 인하여 하나의 사항에 대하여 개별 법령마다 다르게 규정되기도 하는 등 행정법체계가 복잡하여, 국민들뿐만 아니라 이를 집행하는 공무원들에게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행정의 예측 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였다. 그리하여 「행정기본법」은 “행정의 원칙과 기본사항을 규정하여 행정의 민주성과 적법성을 확보하고 적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의 권익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제1조) 2021. 3. 23.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규정한 다른 나라의 입법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행정기본법」은 우리 법제의 고유한 입법모델에 따라 창안되어, 우리나라 행정법학계와 행정실무의 역량과 경험을 총화하는 결과물이 되었다. 행정기본법은 개별 법률과의 체계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행정법의 총칙으로 기능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향후 개별법들을 하나의 법전으로 통합할 수 있는 확장성도 고려하여, 「행정기본법」이라는 명칭을 채택하게 되었다. 행정기본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총칙에서 목적과 정의 등, 기간의 계산, 제2장 행정의 법 원칙에서 법치행정의 원칙,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성실의무 및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제3장 행정작용에서 처분(법 적용의 기준, 처분의 효력, 결격사유, 부관, 위법·부당한 처분의 취소, 적법한 처분의 철회, 자동적 처분, 재량행사 및 제재처분의 기준, 제재처분의 제척기간), 인허가의제, 공법상 계약, 과징금, 행정상 강제, 그 밖의 행정작용(수리 여부에 따른 신고의 효력, 수수료 및 사용료),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및 재심사, 제4장 행정의 입법활동 등에서 행정의 입법활동, 법제개선, 법령해석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한편, 행정절차법은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행정계획, 위반사실 등의 공표, 확약 등에 관한 내용을 신설하는 개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행정기본법」은 학설과 판례에서 확립된 것으로서 정부와 학계·법조계 등이 컨센서스를 이룬 것들만 우선 법제화한 것이다. 따라서 국민의 권익보호나 행정의 혁신 측면에서 더욱 보완·발전시킬 내용의 연구·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행정절차법과 통합하여 명실상부한 행정법의 총론에 해당하는 법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