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계좌표계 전환에 따른 지역좌표계의 좌표변화 분석

        윤한철,박민호,최승영 한국국토정보공사 2010 지적과 국토정보 Vol.40 No.1

        본 연구는 2021년부터 도해지적에 적용될, 지역좌표체계에서 세계좌표체계로의 변환을 대비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새로운 지적기준점들을 이용하여 두 좌표체계 사이의 좌표 차이를 비교하고 정량화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기존에 존재하는 지적기준점간의 성과 차이를 산출하기 위해 두 종류의 망 조정을 실시하였다. 하나는 지적기준점이 각 시군 단위로 관리되기 때문에 시군 단위로 시행되었고, 다른 하나는 시도 단위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세계측지계 좌표로 변환할 때 고려되어야 할 지역 특성에 맞는 변위량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지적측량성과의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planned to prepare for the conversion from a local coordinate system to a world coordinate system which will be applied into graphical cadastre since 2021. It is composed by comparing and fixing the quantity of the coordinate difference between above two kinds of coordinate systems using new cadastral control points. Two types of network adjustments for this study are accomplished to compute the amount of the difference of the result among existing cadastral control points. One of the network adjustments is executed within every county and district boundary as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are managed by the unit of each country and district, while the other is executed within every city and province boundary. As a result, the management plan of cadastral survey outcome is suggested by computing the amount of the difference caused by converting the local coordinate system into a world coordinate system on the basis of local specifics, which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a local coordinate system is converted into a world coordinate system.

      • KCI등재

        월드핸디캡시스템(WHS)의 국내도입배경과 기대효과

        박형진,설정덕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3

        [목적] 2020 월드핸디캡시스템의 특징을 파악하여 국내 도입배경을 알아보고 골프의 문화적측면의 기대효과와 제도 적 측면의 공익적 기대효과를 연구하여 골프 참여자들에게 올바른 골프문화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월드핸디캡시스템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대한골프협회의 2020년도부터 적용된 핸디캡 규칙을 문헌연구의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월드핸디캡시스템의 국내 도입은 영국왕립골프협회와 미국골프협회 의 공동으로 작업하는 월드핸디캡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대한골프협회에서 국내 골프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적 용하였으며 월드핸디탭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코스레이팅을 확대하고 있다. [결론] 월드핸디캡시스템이 우리나라에 올바르게 정착된다면 골프 문화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핸디캡의 정의적 의미가 정 확하게 부여되어 공정한 골프 경기가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 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0 World Handicap System to learn the background of domestic introduction and to study the expected effects of the cultural aspect of golf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ublic interes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to provide golf participants with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ight golf culture. [Method] The prior research of the World Handicap System was reviewed and the Handicap Rules applied from 2020 of the Korea Golf Association were studied as the center of the literature study. [Result]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Handicap System in Korea is based on the World Handicap System, which is jointly operated by the Royal & Ancient Golf Club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 Golf Association , and the Korea Golf Association h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World Handicap System to suit the domestic golf situation and is expanding the course rat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World Handicap System. [Conclusion] If the World Handicap System is properly established in Korea,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olf culture, and the definition meaning of handicap will be accurately assigned so that a fair golf game can be carried out.

      • KCI등재

        지능형 자율운항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은경(Eun-Kyoung Kim),김용기(Yong-Gi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5 No.3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해양사고의 주요 원인은 인간의 수행 오류에 기인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선박의 구축, 선박 정보의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대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이용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은 지능형 자율운항시스템의 아키텍쳐인 RVC 지능시스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VWS(Virtual World System)을 제안한다. VWS는 선박의 안전 항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지능형 자율운항시스템의 부시스템에 정보를 서비스한다. VWS는 특정 문제 영역을 표현하기 위하여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실시간 처리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스케줄링을 도입하였다. 또한 분산 처리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가상세계 API를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된 VWS를 지능형 선박 자율운항시스템에 장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해 보였다. The rapid increase of the current marine accidents is mainly due to the human execution errors. In an effort to address this, various kinds of researches such as construction of the digital vessels and vesse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s have been conducted. But for safe navigation of vessels, it lack on systems study which can efficiently store, utilize and manage the mass data accepted by the vess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VWS(Virtual World System) that is based on the architecture of intelligent system RVC(Reactive Layer-Virtual World-Considerative Layer) model of intelligent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VWS is responsible to stor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safe navigation of the vessel and the information services to the sub-system of intelligent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VWS uses topology database to express the specific problem area, and utilizes a scheduling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processing environment. Also, Virtual World defines API for the system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As a case study, the VWS is applied to a intelligent ship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and simulation is don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 KCI등재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그 극복

        김용해(Kim Yong-Hae)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유엔의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안에는 시민들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자결권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발전을 자유로이 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살아가고 있는 남북의 시민들은 최근 60여 년 동안 특수한 민족분단 상황 속에서 비자주적이고 비민주적인 정치현실을 감내하고 있다. 남북의 민중들은 한반도에서 1,300년 이상 단일국가, 하나의 언어, 하나의 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민족이고, 현재 살아가는 남북한 민중의 대다수가 통일을 염원하면서도, 세계정치 경제와 남북한 정치공동체의 주변부로 밀려 미래의 통일된 민족공동체의 비전 없는 국민으로 수동적인 자세로 살아가고 있다. 이 소논문은 우선 분단체제론 연구를 통해 통일을 바라는 민중의 의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의 실체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분단체제론은 그 동안 한반도의 분단이 엄연한 현실로 50년 이상 당연시 여겼을 뿐 아니라 분단은 이제 자동적으로 분단을 유지하고 있는 일종의 '체제'라는 사실을 드러낸다(2장). 분단체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냉전체제와 그 해체의 역사를 성찰할 것이다(3장). 마지막으로 분단체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생각한다(4장). 한반도의 분단체제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라는 세계체제의 하부구조로 종속되어 있고, 남북 정치 경제권력자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그러므로 남북 민중들은 분단체제의 현실을 자각하는 한편 미래의 통일민족공동체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세워, 대내적으로는 화해와 협력 그리고 평화를 추구해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세계의 민중들과 함께 왜곡된 세계체제를 변혁할 이념을 창안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세계의 평화, 평등 그리고 번영을 이룰 세계체제의 새로운 비전이 지구상의 모순이 가장 첨예한 한반도의 분단체제에서부터 시작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UN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rights of people on self-determination about political position is explicit declared and the right to pursue freely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the citizens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enduring for the last sixty years the dependent and undemocratic political realities in the special folk's division situation.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living for over 1300 years with the history of a single nation, one language, one culture, and the majority of the people currently living in North and South Korea wish for the reunification of folk, while they are living passively pushed to the periphery and prefer the gradual unification without distinctive visions on their in the future reunified political community. First of all, this small article tries to se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division system what kind of obstacles are there to the will of the people who desire to reunite the folk. Theory of division system will reveal the fact that it is granted during the last more than 50 years that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became the reality and that the division is a kind of system which automatically continues to promotes division (Chapter 2). For a more analysis of the division system in-depth we will reflect the history of Cold War and it's dismantling (Chapter 3). Finally, we think how to overcome the division system (Chapter 4).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s dependent as the infrastructure on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as the worldwide system and is controll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in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must be aware of the reality of the division system and build a clear vision of the in the future unified national community so that they internally pursue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peace, and externally invent the ideas with the people of the world which change the present distorted world system. Because the new vision of the world system which creates the peace, equality and common prosperity of the world will be started fro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most glaring contradiction in this world.

      • KCI등재

        유럽연합의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 ‘유-멀티랭크’ 연구

        이태영(Lee Tae-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에서 개발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 ‘유-멀티랭크(U-Multirank)’를 통해 대학의 실제 경쟁력과 질적 수준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 그리고 세계 대학 순위평가 시스템이라는 개념을 재정립해야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는 THE나 ARWU와 같은 세계 대학 순위평가 시스템은 연구중심 종합대학에 초점을 맞추어 정량화된 평가 방식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식은 세계 고등교육 분야에서 대학과 전공 간의 서열화를 조장하는 동시에 소규모 지방대학이나 유사 고등교육기관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더구나 대학 순위평가제의 본래 취지가 잠재적 대학 편․입학자들에게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 개개인의 교육 이상과 요구에 부합하는 고등교육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는 점을 도외시한채, 기존의 정량화된 평가 방식과 순위발표는 결코 도표 위의 수치로 환원될 수 없는 복잡다양한 교육현실을 축소시키는 문제마저 초래하였다. 유럽연합 교육위원회는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고 유럽 사회에 필요한 고등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타당성 조사와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유-멀티랭크’라는 새로운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THE나 ARWU 등과 차별화되는 유-멀티랭크의 특징은 사용자 중심성, 다차원성, 개별성이라는 원칙 아래 대학에 관한 질적 평가 방식을 취한다는 데 있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디지털 글로벌 시대에 최적화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본보기를 제시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접근성과 참여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시스템 자체의 무한한 자기검증과 진화 가능성까지 열어놓고 있다. 이는 대학 평가시스템의 투명성 확보와 관련해 대단히 중요한 장점이다. 무엇보다 유-멀티랭크의 사용자 중심 모바일 운영체계는 미국대학 중심의 기존 세계 대학리그에 국내․외의 다양한 대학들을 노출시킴으로써 공정한 질적 경쟁의 장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우리 대학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희망을 걸만한 대안이라 생각된다. 유-멀티랭크를 통한 세계 대학 평가시스템의 재개념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본 연구는 Edgar Morin의 복잡성 사고 이론과 Karl Popper의 과학철학에 기댄 인식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conceptual reestablishment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s. The hitherto most wellknown and validated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such as Times Higher Education (THE), Quacquarelli Symonds (QS) or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ARWU) primarily assess big universitie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nd performance results in the rankings. Those Systems have instigated a kind of elitism in higher education and neglect numerous small or local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stead of providing stakeholders with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real possibilities of tertiary education so that they can choose an institution that is individually tailored to their needs. Also, the management boards of universities and policymakers in higher education have partly been manipulated by and partly taken advantage of the elitist ranking systems with an economic emphasis, as indicated by research-centered evaluation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supplement such educational defects and to redress the lack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a new system called ‘U-Multirank’ has been implement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European Commission since 2012. U-Multirank was designed and is enforced by an international team of project experts led by CHE(Centre for Higher Education/Germany), CHEPS(Center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Netherlands) and CWTS(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t Leiden University/ Netherlands). The significant features of U-Multirank, compared with e.g., THE and ARWU, are its qualitative, multidimensional, user-oriented and individualized assessment methods. Above all, its website and its assessment results, based on a mobile operating system and designed simply for international users, present a self-organized and evolutionary model of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in the digital and global era. To estimate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redefinition of the worl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using U-Multirank, an epistemological approach will be used that relies on Edgar Morin’s Complexity Theory and Karl Popper’s Philosophy of Science.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외교문서(外交文書) 자문(咨文)의 행이체계(行移體系)와 변화과정

        김경록 ( Kyeong Lok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조선시대 대중국 관계는 명분과 실리의 조화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국제정세와 국내상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조선은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에서 중국의 공문체계에 영향을 받아 외교문서를 통해 외교관계를 전개했다. 조선시대 대중국 관계의 외교문서는 단자(單子), 정문(呈文), 신문(申文), 계문(啓文), 주문(奏文), 자문(咨文), 장문(狀文), 전문(箋文), 표문(表文) 등이 있었다. 뒤에 조회(照會)가19세기에 등장했다. 이러한 외교문서들은 중국에 의해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아 생산, 전달, 접수, 보존등 행이체계가 체계화됐다. 이들 조선시대 외교문서 가운데 자문은 평행문의 일종으로 조·중간 2품 이상 아문 사이에 행이됐다. 조선의 대중국 외교문서는 조선국왕 명의로 생산되어 명대에는 예부, 병부, 오군도독부(五軍都督府), 요동도사(遼東都司) 등에 전달됐으며, 청대에는 예부, 성경예부(盛京禮部), 병부, 성경병부(盛京兵 등에 전달됐다 자문은 조선시대 대중국 외교관계에서 部) . 가장 빈번하게 행이된 실무적인 성격을 가진 문서였다. 명대에 자문의 형식이 정형화된 뒤 청대에 이어졌지만, 일부 변화된 것은 근대화과정에서 중국의 위상이 약화된 점을 반영한다. 또한, 자문의 행이체계는 조·중간 외교문서 관련 각종 외교사건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문의 행이체계는 최종 행이대상이 북경과 심양 등 어디인가에 따라 규정되는데, 조선 사행에 의한 행이와 함께 중국의 공문 행이체계가 함께 포함됐다. 조선에서 명에 자문을 행이하면 최종적으로 황제에게 해당 내용이 전달되며, 조선은 심양에 보내는 자문보다 북경에 보내는 자문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노력했다. 더욱이 자문을 행이할 때, 중국의 공문 행이체계를 활용하기 보다는 사행을 파견하여 전달하고 조선의 외교목적을 보다 명확히 전달하고자 했다. 조선시대 자문의 형식, 내용, 행이체계 등을 통해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에서 조선의 대중국 외교문서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고, 조·중관계의 성격도 분석할 수 있다. 19세기 서구세력의 동양진출은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세계질서를 변화시켰다. 청 중심의 국제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던 조선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청의 국제적 위상으로 세계관이 변화됐다. 이는 자연스럽게 조선의 대외정책과 외교문서에 반영되어 조선의 자문에 있어 형식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조선은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맞춰 외교체계와 외교문서체계를 변화시켰다. 반면에 청은 조선에 대해 청 중심 국제질서를 유지하고자 외교적, 군사적 강압정책을 시행했다. 조선과 청 사이의 외교정책 간격은 점차 심화되어 조·청관계 뿐만 아니라 일본을 포함한 대서구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외교문서였던 자문은 청이 청일전쟁이후 청 중심 국제질서의 붕괴를 맞이하면서 외교문서로서 위상을 상실하고 조회를 비롯한 다른 문서로 대체됐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China developed with a balance in justification and practicality,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change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 Joseon, belong to the World System of Centering around China, applied the Official Document System of China and exchanged their diplomatic documents. The diplomatic documents to Ming and Qing dynasty during Joseon period are: Danja(單子), Jeongmun(呈文), Sinmun(申文), Gyemun(啓文), Jumun(奏文), Jamun(咨文), Jangmun(狀文), Jonmun(箋文), P`yomun(表文) and so on. Later, Johoe(照會) was add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se documents were influenced by China; therefore, they were produced, delivered, receiv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Chinese Official Document System. Among these diplomatic documents of Joseon period, Jamun was the documents so-called, Pyunghangmun(平行文) which was exchanged between the governments of higher than the second grade. The documents of Joseon were issued by the King of Joseon dynasty, and received by the Board of Rites(禮部), the Board of War(兵部), the Five Army office of the Commander-Governor(五軍都督府), and the Liaodong Commander-Guard(遼東都司) of Ming dynasty, and by the Board of Rites, the Board of War, and the Shenyang Board of Rites(盛京禮 部), the Shenyang Board of War(盛京兵部) of Qing dynasty. Jamun among diplomatic documents was the most exchanged documents between Joseon and China because of its practical use. Though the specified forms of Jamun in Ming dynasty were handed down to Qing dynasty, some partial changes were made, reflecting the weakening of China`s status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Its contents include all kinds of diplomatic affairs occurred between China and Joseon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Jamun may be classified by their final destination, whether it is to Beijing or to Shenyang, and also by the use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official documents( ) of China. Since the documents delivered to Ming 行移體系dynasty were finally received by the Chinese emperor in the end, they were generally handled with more care than the ones that are being sent to Shenyang. In addition, delivered Jamun by Sahaeng(使行) a dispatched envoy from Joseon dynasty contained relatively more important information than the ones delivered under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official documents of China. Through the format, contents, and administration system of this type of Jamun, we may identify that the Jamun was the key diplomatic document within the world System of Centering China during Joseon period. Moreover, we may als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order of Joseon dynasty through an analysis of Jamun.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Western Powers` advance into East Asia radically changed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The decline in Qing`s international standing brought changes in fundamental World-view(世界觀) for Joseon who was keeping its national security under the World system of centering Around China. This naturally led to a change in diplomatic policy and diplomatic documents. The changes occurred in the format, contents and its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amun caused Joseon, who was attempting to reform and modernize its diplomatic system to establish modern diplomatic organizations and to formulate appropriate diplomatic document system. Meanwhile, Qing dynasty tried to maintain their world system of centering around Qing(淸中心國際秩序) to Joseon. The gap between Joseon and Qing dynasty`s foreign policy became more deepened by not only their relation itself, but also their relation with the Western Powers including Japan. In conclusion, a traditional diplomatic document Jamun lost its identity as a diplomatic document in accordance with the defeat of Qing dynasty in the Sino-Japanese War which signifies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홍무연간(洪武年間) 명(明)의 봉전(封典) 정비(整備)와 조(朝)·명관계(明關係)

        김경록 ( Kim Kyeong Lok ) 중국사학회 2017 中國史硏究 Vol.106 No.-

        Last Yuan dynasty and early Ming dynasty, when resolved the social turmoil and pursued Ming world order, Emperor Hong-wu (洪武帝) improved the “bongjeon(封典) system” to establish a unified ruling system of the emperor center. As a result of political changes such as political corruption, legal discipline, civil disobedience, and the uprising of peasants before the founding of the Ming, Chu-YuanZhang(朱元璋) recognized the negative elements derived from Yuan`s governing system as a state of utter confusion. In order to establish a stable governance system, Emperor Hong-wu tried to stabilize the ruling class by serving the princes(親王), establishing various national rituals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ing.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Ming, the establishment of a bongjeon(封典) system was a serie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political activities to establish an internal order of government and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al order centered on the emperor. The bongjeon system that he gradually improved for the stability of the governing system was utilized externally to establish the Ming world order(明 中心 國際 秩序). Ming has enacted a tribute system by forcing tributes and tribute to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oryo(高麗) and Anam (安南). After Hong-wu`s twenty years, he pursued the stability of the Ming system, and the bongjeon system was more precisely structured and he pursued a unified ruling system centered on the emperor through the appointment of the prince. Despite the lack of military power due to active punitive war, emperor Hong-wu sought to stabilize the Ming world order by subordinating Nayacu(納哈出) forces to the Liadong(遼東), which was linked to the North Mongol(北元). Emperor Hong-wu wanted to enhance his status as an empire, and beyond the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simple military or national power, to secure the discrimina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kingdom based on the system of rites(禮制) through the bongjeon system. For this purpose, Emperor Hong-wu imitated the enfeoffment system(分封制) established by Kubilai kan(忽必烈) in the Yuan Dynasty and enforced the enfeoff of the prince, and enforced the detailed ceremonies of the bongjeon system and strictly followed them. The bongjeon system of the Ming Dynasty is compose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rd(勳爵), the bureaucratic system(官制) of royal government(王府), as well as confer a posthumous title(追封), has been finely arranged to the official`s salary system(俸祿制) according to the system. Emperor Hong-wu compiled “Zuxunlu(祖訓錄: Instructions by the dynastic ancestor)”, “Zhusi zhizhang(諸司職掌: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of Various Offices)”, “Huang-Ming zuxun(皇明祖訓: Instructions by the ancestor of the August Ming)”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bongjeon system. The bongjeon system was established as a Suerian-Vassal(宗藩) institute in domestic terms during the Hong-wu period, but it was recognized as a Suerian-Vassal system(宗藩體制) in an external sense extending to Ming world order. The bongjeon system that was established by Emperor Hong-wu was mainta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in the Ming Dynasty, and it was legislated as “ZongFan Treaty(宗藩條例)” in Emperor Jiajing(嘉靖帝) period. At the end of the Koryo period, Koryo had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and received bongjeon from Ming.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as it is confirmed in the “Huang-Ming zuxun” of the emperor Hong-wu in relation to Joseon and Ming, it is confirmed as based on the system of rites(禮制) through the bongjeon system that should not be conquered. Bongjeon system based on the system of rites has been thoroughly used as a means of diplomatic pressure, resulting in various diplomatic events in the Joseon-Ming relationship. Joseon wanted to get a bongjeon from Ming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Ming rejected the request of Joseon and tried to secure diplomatic superiority through various diplomatic pressures. Taejong(太宗) was actively utilizing the Ming`s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to solve the bongjeon, and to finish the biggest diplomatic issu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In conclusion,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Joseon has been continuously incorporated into the Ming world order and pursued internal and external stability.

      • KCI등재

        1990년대 후반의 세계체제와 경제성장

        장덕진(Dukjin Chang)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6

        세계체제론과 연결망 이론은 상당한 정도의 논리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유사성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밝히고 난 후, 이 논문은 1995~1999년 기간의 국제무역 연결망 자료에 대한 분석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로, 1990년대 후반에 세계체제는 존재하는가? 둘째로, 아시아 경제위기를 전후해서 세계체제에 변화가 있었는가? 셋째로, 세계체제 변수와 근대화론, 경제학적 발전론 등의 변수를 함께 포함할 때 이 기간 동안 각국의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분석결과 1990년대 후반에도 뚜렷한 세계체제가 존재하며, 이것은 아시아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견고하게 존재하고 있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이론을 대표하는 변수들을 포함한 회귀분석 결과 세계체제를 반영하는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강력하고 일관되게 나타난다. 가치관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경제성장의 단계에 따라 특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경제개방성은 세계체제 내 위치와 가치관 변화의 영향력이 통제된 후에야 비로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다. 끝으로 이러한 양적 분석결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세계체제론의 이론적 성공인지 아니면 연결망 자체의 특성인지는 좀더 신중히 연구되어야 한다고 보는 근거들을 제시한다. The similarity between the logic of world system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has been acknowledg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fter delineating this similarity in more theoretical terms,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data for 1995-1999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as there an identifiable world-system in place in the late 1990s? Second, was ther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world system due to the Asian Crisis of 1997? Third, what factors explain the speed of economic growth for this period when variables from world-system, modernization, and economic theories of development are included simultaneously? World system is firmly in place in the late 1990s and is very robust despite the huge crisis. The OLS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of the variables representing the three different theories, world system variables are strongest in their impact and most consistent across different models. The effect of value change seems contingent on the stage of economic growth. Economic openness begins to exert its influence only after the effects of world system prominence and value change are controlled for. Despite the size and consistency of world system effects foun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very cautious interpretation is called for because it has yet to be answered whether world system theory or the network dynamics regardless of the network substance is responsible for the empirical results.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중국의 수출입현황 분석— 근대세계체제와 아시아 역내 교역론의 재검토

        정영구 한국중국학회 2024 중국학보 Vol.107 No.-

        중국 근대 전환기 경제사 연구에 대한 가장 큰 논란은 서구의 역사를 중심으로 서술한 근대세계체제론과 중국, 일본과 동남아시아, 인도와의 무역사를 서술한 아시아 역내 교역론의 대립일 것이다. 현재는 많은 연구가 축적되면서 근대세계체제론이나 아시아역내교역론의 그늘을 벗어나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의 교역 현황을 새롭게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 두 담론은 아직까지 경제사 연구에 무시하지 못할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중국의 해관 자료에 기재된 수출입현황을 분석해서 이 두 담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무역수지를 보정하여 개항 이후 중국이 빠르게 반식민지로 전락했다고 하는 인식이 사실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아편을 무역수지에서 제거하여 중국의 무역수지가 20세기 초에 와서 비로소 적자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했다. 중국의 주요 수입품은 아편과 면제품류였고, 주요 수출품은 차와 견제품류였다. 이 상품들은 개항 이후에도 여전히 그 지위를 잃지 않고 중국의 무역수지에 큰 영향을 끼쳤다. 본고에서는 이 제품들의 수출입 양상을 비교하여 그것이 근대세계체제이론의 틀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국 상품 전체의 대체적인 수출입양상을 가지고 근대 전환기 중국과 근대세계체제의 관련성을 설명한다면, 중국이 근대세계체제에 병합되어 연동하는 시기는 적어도 20세기에 진입한 이후라고 할 수 있고 근대세계체제의 병합과정이 기존의 교역시스템을 근대세계체제가 대체하는 방식이 아닌 아시아 역내 교역망으로 알려진 전통적 교역시스템에 근대세계체제의 특징이 덧입혀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The biggest controversy over the study of Chinese economic history in modern transition period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heory of the modern world system and the theory of intra-Asia trade. Currently, as many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the status of trade in East Asia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newly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Nevertheless, these two discourses st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y of economic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empirically confirm these two discourses by analyzing the status of imports and exports recorded in Chinese maritime customs report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fact that China quickly became a semi-colonial countr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by correcting the trade balance. And by removing opium from the trade balance, it was confirmed that China’s trade balance turned into a deficit only in the early 20th century. China’s major imports were opium and cotton products, and its major exports were tea and checks. Eve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se products did not lose their statu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China’s trade balance. In this paper, it was confirmed whether it was working 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the modern world system by comparing the import and export patterns of these products. As a result, if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modern world system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ith the general import and export patterns of all Chinese goods, it was concluded that China merged and interlocked with the modern world system after entering the 20th century, and that the merger process of the modern world system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ad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orld system to the traditional trade system known as the intra-Asian trade network rather than the modern world system replacing the existing trade system.

      • KCI등재

        중국과 북한에서 시장-자본 메카니즘의 변용과 지속 -국가자본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진정미 ( Chung Mee Chin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전체론적 구조주의(structural holism)와 복합계이론(complex system)을 적용하여 세계체제론(the World-System)적 시각에서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을 변증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와의 연계과정에서 가능했다. 중국의 시장경제로의 진화과정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고, 이 체제전환과정에서 국가권력이 강력하게 작용하여 국가자본주의로 성장했다. 물론 시장경제 기능은 때때로 경제성장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 공산주의권 국가들이 실패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가 성공할 수는 없는 이유는 물질적 인센티브제도가 부재한 경제시스템은 생산력을 제고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북한정권의 체제전환 가능성은 시장 메카니즘의 수용을 통해 국가주도의 시장 통제와 자원배분을 하는 중국식 국가자본주의모델로 진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국가자본주의 시스템하에서는 강력한 당-정 시스템을 통해 국가의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정치적 목적의 시장 메카니즘을 수용 함으로서 다양한 시장경제요소들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DPRK`s state-capitalist system and state-socialist system. Basic viewpoints in this study are structural holism perspectives in the World-System and complex system approaches. Since the Red Revolution in 1949 the development path of Chinese communism system followed 3 steps: the withdrawal of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the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socialist programs, and the reintegration with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By adopting market allocation mechanism to public ownership system in 1980s and by instituting 1-nation-2-systems in 1990s, China created a new political economy system, what are Chinese Socialism Market Economy. Strictly speaking, this new Chinese system can be regarded as a state-capitalist system rather than a state-socialist system in the World Economy system. In this system, communist governments use various kinds of state-owned companies to manage the exploitation of resources for the state`s crown jewels, and to create and maintain large numbers of jobs. They may utilize elaborately selected and fostered private-owned companies to improve efficiencies and to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 powers. The sovereign wealth funds can be invested to outside world to maximize the state`s profits. The State as a whole behaves like a private economic unit seeking for fortune in international trades and investments fields in the World System. Whether the ultimate goal of the State be economic or political, it can be categorized as a state-capitalist system. The writer suggests that the DPRK should follow the Chinese-style of self-revolution procedure, leading to a market-driven state-capitalism system. Through trials and errors in communism history, leaders of the DPRK might have learned that the Chinese-style state-capitalism to be essential to DPRK`s survival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